KR20170120318A -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 Google Patents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318A
KR20170120318A KR1020160048626A KR20160048626A KR20170120318A KR 20170120318 A KR20170120318 A KR 20170120318A KR 1020160048626 A KR1020160048626 A KR 1020160048626A KR 20160048626 A KR20160048626 A KR 20160048626A KR 20170120318 A KR20170120318 A KR 20170120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rizontal direction
light source
hous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857B1 (ko
Inventor
이윤철
조용익
김현식
김유신
신경호
유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4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8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및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AVIATION WARNING LIGHT WITH ASYMMETRY ANGULAR DISTRIBUTION OF LUMINOUS INTENSITY}
본 발명은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 장애등이라 함은 산악지방에 설치되는 철탑 또는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이나 도심의 고층빌딩 같은 높은 건축물 등에 설치됨으로써, 야간에 운항하는 항공기 등의 충돌을 방지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은 물론 높은 구조물의 안전유지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항공 장애등과 관련하여 항공법 제83조에는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60미터 이상 높이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자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항공 장애등 및 주간장애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으며, 그 설치 높이와 밝기 및 섬광주기 등 또한 항공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즉, 항공 장애등은 항공기의 조종사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고광도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 연속 점멸 및 점멸, 점등 작동되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항공 장애등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몸체에 램프들이 외주면을 따라 다층으로 배열되고, 램프들이 설치된 원통형 몸체는 투명 보호 렌즈에 의하여 외부 환경 저해 요인들로부터 보호되며, 철근 베이스와 같은 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구조물 상에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항공 장애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에는 커버(11)가 설치되고, 둘레에는 렌즈(120)와 프리즘(130)이 설치된 하우징(10)과, 전류를 생성하는 태양전지판(20)과,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점멸 또는 점등동작을 수행하는 램프(40)와, 상기 램프(40)를 지지하는 지지대(41)와, 상기 램프(4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 반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항공 장애등의 램프들은 원통형 하우징의 외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고, 외주면의 기울기가 0도에 가까운 관계로, 램프들의 중심축선은 수평방향(0도)을 향하게 되어 광은 램프의 중심축선을 따라 진행하며 소정의 반경 내에 퍼지게 되며, 이 경우 광도는 광이 램프의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세기가 감소한다.
또한, 항공 장애등에서 조사된 광이 지면 방향으로 출력되면 불필요한 빛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03803호(발명의 명칭: 일체형 항공 장애등)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및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렌즈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수평방향 하측으로 발광된 빛을 상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부는 임의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프레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의 상부는 입사된 빛이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고, 하부는 입사된 빛을 전반사시켜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하부측 출사면이 곡률을 갖는 비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부의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항공 장애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의 렌즈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의 렌즈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100)은 하우징(110)과, 광원부(120)와, 렌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구성으로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10)이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11)와, 상기 광원부(1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방열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방열부(112)와 밀착하여 360도 방향으로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정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부(120)의 동작으로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112)로 전도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렌즈부(130)는 하우징(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광원부(120)에서 발광된 빛이 광축(C1)의 수평방향 및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프레넬 렌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렌즈부(130)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130)의 상부는 입사된 빛이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는 배광각을 형성하고, 하부는 입사된 빛을 전반사시켜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는 배광각을 형성하도록 제1 입사면(131)과, 제2 입사면(131a)과, 제1 출사면(132)과, 제2 출사면(132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입사면(131)과 제2 입사면(131a)은 중심을 기준으로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입사면(131)으로 입사된 빛은 광축(C1)과 같은 수평방향 빛(C2)으로 굴절되어 제1 출사면(132)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제2 입사면(132)으로 입사된 빛은 광축(C1)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조사되는 빛(C3)으로 굴절되어 제2 출사면(132a)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제1 출사면(132)은 제1 입사면(131)을 통해 입력된 빛이 광축(C1)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곡률이 없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출사면(132a)은 광축(C1)이 출력되는 렌즈부(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곡률을 형성한 비구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2 입사면(132)으로 입사된 빛이 광축(C1)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조사되는 빛(C3)으로 굴절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에 따른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100)과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20)에서 수평방향 하측으로 발광된 빛을 상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광원부(120)에서 발광된 빛 중에서 렌즈부(130)의 제2 입사면(132)으로 입사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하부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제1 입사면(131)과, 제2 입사면(132)으로 입사되게 함으로써, 더욱 많은 빛이 렌즈부(130)를 통해 출력되게 한다.
따라서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출력되는 배광각을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광원부에서 하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항공 장애등
110 : 하우징
111: 지지대
112 : 방열부
120 : 광원부
130 : 렌즈부
131 : 제1 입사면
131a : 제2 입사면
132 : 제1 출사면
132a : 제2 출사면
140 : 반사부

Claims (7)

  1.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12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20)에서 발광된 빛이 광축의 수평방향 및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렌즈부(130)를 포함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120)에서 수평방향 하측으로 발광된 빛을 상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20)는 임의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30)는 프레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30)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30)의 상부는 입사된 빛이 수평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고, 하부는 입사된 빛을 전반사시켜 수평방향 상측으로 조사되도록 배광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30)는 하부측 출사면이 곡률을 갖는 비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KR1020160048626A 2016-04-21 2016-04-21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KR10179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26A KR101797857B1 (ko) 2016-04-21 2016-04-21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26A KR101797857B1 (ko) 2016-04-21 2016-04-21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18A true KR20170120318A (ko) 2017-10-31
KR101797857B1 KR101797857B1 (ko) 2017-11-15

Family

ID=6030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26A KR101797857B1 (ko) 2016-04-21 2016-04-21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855B1 (ko) * 2019-02-26 2019-11-01 한국광기술원 항공 장애 표시등용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광학모듈
KR102071806B1 (ko) * 2018-10-30 2020-03-02 (주)엔디에스 모듈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78B1 (ko) * 2019-07-03 2020-03-25 한국광기술원 렌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렌즈와 항공 장애 표시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202A (ja) * 1999-03-05 2000-09-22 Koito Ind Ltd 航空障害灯
US8662702B2 (en) 2009-09-08 2014-03-04 Star Headlight & Lantern Co., Inc. LED beac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806B1 (ko) * 2018-10-30 2020-03-02 (주)엔디에스 모듈렌즈
KR102039855B1 (ko) * 2019-02-26 2019-11-01 한국광기술원 항공 장애 표시등용 광학계 및 이를 이용한 광학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857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365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reflector and outer lens
JP4587847B2 (ja) 標識灯
JP5282578B2 (ja) 灯具用光学レンズ及び車両用灯具
US7121690B1 (en) Constructive occlusion with a transmissive component
US9007237B2 (en) Lighting devices comprising an array of optoelectronic sources
US9477116B2 (en) Light emitting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20180202630A1 (en) Downwardly directing spatial lighting system
KR101797857B1 (ko) 비대칭 배광각을 갖는 항공 장애등
JP6101680B2 (ja) 車両用灯具
JP6858015B2 (ja) 照明器
KR102125821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101819662B1 (ko) 항공장애표시등
KR101123284B1 (ko) 광 확산 렌즈를 갖는 엘이디 고광도 전방향 섬광등
JP2004232387A (ja) 自発光視線誘導標
KR101123275B1 (ko) 광 확산 렌즈를 갖는 엘이디 고광도 단방향 섬광등
JP4666352B2 (ja) 標識灯
US10436405B2 (en) Lighting module for the lighting and/or signalling of a motor vehicle
CN108105662B (zh) 一种埋入式作业照明灯具光学系统
JP6177228B2 (ja) 車両用灯具
US20110228541A1 (en) Luminaire assembly
DE602006015413D1 (de) Kfz-optisches Modul mit einem Standlicht
KR101362186B1 (ko) 전반사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가로등의 광확산렌즈
KR102093578B1 (ko) 렌즈의 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렌즈와 항공 장애 표시등
US8425096B2 (en) Signal light of mirror type
CN109488994B (zh) 用于机动车辆的照明和/或信号指示的照明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