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132A -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 - Google Patents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132A
KR20170120132A KR1020177026264A KR20177026264A KR20170120132A KR 20170120132 A KR20170120132 A KR 20170120132A KR 1020177026264 A KR1020177026264 A KR 1020177026264A KR 20177026264 A KR20177026264 A KR 20177026264A KR 20170120132 A KR20170120132 A KR 2017012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ensor unit
electrical
main bod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038B1 (ko
Inventor
미카엘 힌터버거
베르톨드 헬렌탈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12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60L11/18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01R31/369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전기 장치(12)로부터 제 2 전기 장치(14)로 전류를 안내하기 위한 전기 버스 바(10)에 관한 것으로, 제 1 전기 장치(12)에 접속을 위한 제 1 접속부(18) 및 제 2 전기 장치(14)에 접속을 위한 제 2 접속부(20)를 가지며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16)를 포함하고, 고정면(24)을 가진 센서 유닛(22)이 제공되고, 상기 센서 유닛은 버스 바(10)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소자(26)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16)는 지지면(28)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에 센서 유닛(24)이 그것의 고정면(24)에 의해 고정된다.

Description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
본 발명은 제 1 전기 장치에 접속을 위한 제 1 접속부 및 제 2 전기 장치에 접속을 위한 제 2 접속부를 가지며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제 1 전기 장치로부터 제 2 전기 장치로 전류를 안내하기 위한 전기 버스 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배터리 셀은 전기 화학적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전극은 접속 콘택을 포함하고, 하나의 배터리 셀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콘택은 전기 버스 바를 이용해서 다른 배터리 셀의 접속 콘택에 도전 접속되며, 상기 전기 버스 바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시스템 및 전기 시스템에 접속된 전기 구동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와 구동 장치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속 콘택을 포함하고, 배터리 및 구동 장치의 하나의 접속 콘택은 전기 버스 바를 이용해서 서로 도전 접속되고, 상기 전기 버스 바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버스 바들은 기본적으로 공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문헌 증명은 불필요하다. 보통 부스 바라고도 하는 버스 바는 전원 내의 부재이고, 전기 에너지를 전류 흐름에 따라 제 1 전기 장치로부터 제 2 전기 장치로 또는 반대로 안내하는데 이용된다. 전기 장치들은 예를 들어 공급된 전기 에너지가 적절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 소비재 및 예를 들어 전기 기계 기반의 발전기와 같은 에너지원,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또는 이와 같은 것인 광전기 변환기, 연료 전지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버스 바는 높은 전기 전도성 외에 적절한 기계적 강성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과전류 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힘의 영향이 버스 바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버스 바의 적절한 기능은 실질적으로 저하되지 않는다. 특히 버스 바는 또한 높은 열 안정성을 가지므로, 열에 노출되는 상기 버스 바의 영역들에서도 적절한 기능을 실질적으로 확실하게 구현한다. 버스 바는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제 1 및 제 2 전기 장치와 같은 전기 장치들을 위한 접속부를 제공한다. 재료로서 주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이것의 합금,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금속과의 합금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이 사용된다. 또한, 버스 바는 전기 공학에서 안전에 중요한 부품이고, 따라서 버스 바는 특히 표준화에 의해, 예를 들어 DIN 43671, DIN 43673, DIN 43771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버스 바는 그러나 정지 상태의 에너지 분배 시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차량의 전기 시스템 및 전기 에너지가 특히 광범위하게 분배되는 다른 전기 장치들에서도 이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에서도 버스 바의 이용은 일반적이다. 하나의 배터리 셀은 전기 화학적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상호 작용은 전해질의 보완적인 중개 작용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갈바니 셀이라고도 하는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축전지 또는 이와 같은 형태의 배터리에서 이용되는 기능과 관련해서 바람직하게 가역적이다. 전극들의 전기 화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관련 배터리 셀 화학에 대해 특이적인 직류 전압이 전극에 설정되고, 상기 직류 전압은 전극에 연결된, 관련 배터리 셀의 접속 콘택에 제공된다. 직류 전압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다. 전기 공학에서 여러 이용예는 직류 전압을 필요로 하고, 상기 직류 전압은 개별 배터리 셀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직류 전압을 상당히 초과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개 복수의 배터리 셀이 통합되어 하나의 배터리를 구성하고, 배터리 내의 전기적 요구에 따라 전기적으로, 예를 들어 직렬 회로, 병렬 회로, 이들의 조합 또는 이와 같은 형태로 결선 된다.
배터리 내부에서 개별 배터리 셀들은 버스 바를 이용해서 미리 정해진 회로 방식으로 서로 도전 접속되므로, 배터리의 접속 폴(Connecting pole)에 미리 정해진 직류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 납-산 배터리로서, 항공기 분야 및 무정전 전원에서 니켈-카드뮴 배터리로서, 가전 기기 분야에서 리튬이온 배터리로서 및/또는 이와 같은 것으로서, 최근에는 또한 전기 구동 자동차에서도 이용된다.
이러한 자동차는 역시 충분히 공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를 가진 전기 시스템 및 전기 시스템에 접속된 구동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를 포괄한다. 이러한 자동차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전기 구동 장치 및 내연기관을 이용해서 구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이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에서 배터리와 구동 장치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속 콘택을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배터리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콘택 및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콘택은 전기 버스 바에 의해 서로 도전 접속된다. 이 경우에도 전기 버스 바는 전기 전도성 메인 바디로 형성된다.
선행기술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음에도,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시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즉, 버스 바에 제공되는 전류를 변류기 유닛을 이용해서 검출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변류기 유닛은 투자성 환형 코어를 이용해서 버스 바를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검출하여 상응하는 측정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부품이다. 이러한 변류기 유닛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중량 및 큰 구조적 형상을 갖는다. 특히 전기 이동 수단(electric mobility)의 분야에서 이는 방해가 되고 바람직하지 않다. 큰 구조적 형상과 높은 중량은 또한 특히 전기 이동 수단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적절한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한 부하와 관련해서 문제점을 야기한다.
대안으로서, 버스 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션트(shunt)를 이용해서 검출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버스 바는 2개의 메인 바디로 세분되고, 상기 메인 바디들은 션트를 이용해서 서로 도전 접속된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복잡한 변류기 유닛 및 그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들이 방지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버스 바에 개입해야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높은 복잡성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작동 시 버스 바의 높은 전류 부하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션트의 영역에서 필수적인 접촉 위치로 인해 추가 안전- 및 신뢰성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예를 들어 전류와 같은 버스 바의 상태 파라미터의 검출이 개선되도록 버스 바, 배터리 및 자동차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버스 바, 다른 독립 청구항 제 9 항에 따른 배터리 및 다른 독립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특히, 버스 바가 고정면을 가진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버스 바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소자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에 센서 유닛이 그것의 고정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면 및/또는 지지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고정면은 물론 지지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개 내용과 관련해서 "평평한"이란, 평평하게 형성된 표면이 만곡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즉, 실질적으로 공간 내에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직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표면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고정면과 지지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도 만곡되어 또는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고정면과 지지면은 바람직하게 윤곽과 관련해서 서로 대응하게 형성되므로, 가급적 넓은 면에 걸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센서 유닛을 완전히 버스 바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 선행기술과 달리 - 버스 바의 영역에 복잡한 측정 유닛들, 예컨대 변류기 유닛 또는 이와 같은 것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버스 바의 파라미터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인 바디의 구조에 관여하는 것도 불필요하다.
센서 유닛은 버스 바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상태 변수를 검출하는데, 예를 들어 버스 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 전위, 온도, 기계적 스트레인(strain), 기계적 휨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을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센서 유닛의 고정면이 버스 바의 지지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센서 유닛은 이러한 경우에 완전히 버스 바 위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 유닛은 지지면의 평면에서 외부 치수를 실질적으로 초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닛은 즉시, 특히 직접 지지면에 연결된다. 고정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재료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이 접착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버스 바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을 클립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기계적으로 버스 바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고정 가능성들은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면의 영역에 동시에 버스 바의 검출할 물리적 파라미터를 위한 센서 소자도 제공된다. 센서 소자가 온도, 스트레인, 휨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을 검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버스 바와 센서 소자의 바람직하게 직접적인 접촉이 검출의 정확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버스 바는 지지면의 영역에서 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기계적 작용이 지지면에서 센서 유닛의 고정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킬 수 없다. 물론 버스 바의 각각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검출을 위해 버스 바에 센서 유닛의 분리 가능한 고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센서 유닛이 손상으로 인해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에 또는 센서 유닛이 기존의 전기 시스템의 버스 바에 개장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하다.
지지면은, 예를 들어 버스 바가 버스 바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넓은 표면 중 하나의 표면에 의해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경우에, 버스 바의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는 리세스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리세스는 지지면을 제공한다. 이는 횡단면이 사각형이 아닌 버스 바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물론, 센서 유닛이 버스 바 내에 내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스 바 내로 완전히 내장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센서 유닛의 치수들은 버스 바의 외부 치수를 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버스 바, 특히 부스 바는 센서 유닛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버스 바는 바람직하게 센서 유닛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유닛으로서 개별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특히, 버스 바 또는 부스 바를 센서 유닛과 함께 예정되는 작동과 관련해서 테스트하고 이로 인해 추가 가공을 위해 완전히 사전 테스트 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유닛은 버스 바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소자를 포함한다. 센서 소자는 검출할 물리적 파라미터에 대해 조정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버스 바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소자는 상기 버스 바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버스 바의 스트레인 및/또는 휨을 결정하기 위해, 센서 소자가 버스 바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버스 바를 관류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 소자는 버스 바에 대해 비접촉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개선예에 따라, 센서 유닛은, 전기 버스 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상응하게 센서 유닛의 센서 소자는 전류의 무선 검출을 위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는 플럭스-게이트(Flux-Gate) 기술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센서 소자에 의해 자계 강도가 검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버스 바의 구조적인 특성들을 고려해서 그로부터 버스 바를 현재 관류하는 해당 전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소자를 이용해서 센서 소자의 영역 내의 국부적 전류 밀도가 검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밀도를 기초로 버스 바의 횡단면을 고려해서 버스 바를 관류하는 전체 전류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유닛은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자계가 보상될 때까지, 국부적으로 상기 센서 유닛의 영역에 메인 바디 내부를 유동하는 전류에 대한 대응 자계를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센서 유닛은, 결정된 자계 강도가 실질적으로 0이 될 때까지 대응 자계를 변경한다. 대응 자계의 형성을 위한 값으로부터 현재 메인 바디를 통해 유동하는 전류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계산에 의해 및/또는 예를 들어 데이터, 특히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할당표를 고려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유닛이 특히 센서 소자와 함께 일체형으로, 버스 바에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센서 소자를 포함한 센서 유닛이 반도체 칩으로 또는 이와 같은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절한 작동 중에 특히 높은 집적화와 신뢰성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 유닛은 메인 바디에 대해 전기 절연되어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센서 유닛이 그 전기적 구조와 관련해서 매우 융통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센서 유닛의 설계 시 센서 유닛의 적절한 기능의 실행과 관련해서 센서 유닛의 전기 라인들의 안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 자체에, 즉 센서 유닛의 고정면에 직접 전기 절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이 반도체 칩이면, 절연부는 센서 유닛의 고정면의 영역에 산화물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센서 유닛의 전기 절연식 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기 절연부를 센서 유닛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매우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고, 적절한 산화물층의 경우에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매우 콤팩트한 전기 버스 바가 달성될 수 있다. 절연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은 이로 인해 절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 유닛의 구조적 치수들은 전기 버스 바의 상응하는 구조적 치수들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센서 유닛을 바람직하게 완전히 전기 버스 바 내의 리세스 내에 내장되게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로써, 버스 바의 구조적 치수들은 센서 유닛의 배치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매우 콤팩트한 전기 버스 바가 얻어질 수 있다.
개선예에 따라, 센서 유닛은 그것의 적절한 작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제 1 공급 접속부에 의해 메인 바디에 전기 접속되는 것이 제안되다. 이로 인해 전기 버스 바에 센서 유닛의 배치는 동시에 센서 유닛에 에너지 공급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제 2 공급 접속부는 예를 들어 전기 장치들 중 하나의 전기 장치에, 바람직하게 접속부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접속부는 전기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센서 유닛에 공급을 위한 전압을 제 1 및 제 2 공급 접속부 사이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센서 유닛은 적절한 작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의 무선 공급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이 미리 정해진 검출을 실시하기 위해 별도로 에너지 필드를 이용해서 그것의 적절한 작동을 위한 센서 유닛에 전기 에너지 공급 목적의 에너지를 공급받는 트랜스폰더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에너지 필드는 교번 자계, 교번 전자계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에너지 필드는 미리 정해진 물리적 파라미터의 검출의 및 중앙 스테이션에 전달의 지속시간 동안만 준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조립 가능성, 특히 개장 가능성과 관련해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선행기술의 센서 유닛에서 필요로 하는 와이어링이 대부분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센서 유닛이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가 센서 유닛에 상기 센서 유닛의 바람직하게 적절한 전체 수명 동안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예를 들어 리튬 배터리 또는 이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버스 바를 통해 중앙 스테이션에 대한 통신 링크 및/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구성하도록 센서 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무선 통신은 바람직하게, 센서 유닛의 검출된 물리적 파라미터를 다른 목적을 위한 물리적 파라미터를 처리하는 중앙 스테이션에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중앙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장치, 특히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의 중앙 제어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무선, 적외선, 초음파 및/또는 이와 같은 것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링크는 물론 버스 바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중앙 스테이션은 통신 링크로서 버스 바에 대한 상응하는 접속 가능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닛은 해당하는 센서 신호를 버스 바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센서 신호는 중앙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해, 변조된 신호가 버스 바에 전송되고, 상기 신호는 검출된 물리적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닛은 전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유닛에 의해 무선으로 또는 유선으로도 센서 신호가 버스 바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은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상기 센서 유닛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중앙 스테이션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서 유닛을 제어하고 및/또는 센서 소자 및/또는 센서 소자의 신호의 평가와 관련해서 조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기능들은 예를 들어 트리거 가능한 테스트, 데이터 검정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센서 유닛과 통신 장치는 각각 에너지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변환 장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센서 유닛에 에너지 공급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정보를 보유하는 물리량을 신호라고 한다. 에너지 변환 장치는 즉, 수신된 신호의 물리량을 센서 유닛에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이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에너지 변환 장치는 특히, 비 전기 물리량을 전기량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에너지 수확 또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harvesting)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는, 신호 경로를 통해 바람직하게 정보뿐만 아니라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도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량으로서 예를 들어 전류의 세기 또는 전압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전류의 세기 또는 전압의 주파수 또는 위상의 정보가 전송되는 전기 신호의 경우에, 에너지 변환 장치들은 바람직하게, 센서 유닛의 수신된 신호의 전류의 세기 또는 전압을 에너지 공급을 위해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물리량으로서 광파를 포함하는 광학 신호의 경우에, 태양 센서로서 형성된 에너지 변환 장치는, 광파를 네트워크 노드의 공급을 위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RFID(radio-frequency indentification)를 이용해서 유도성으로 센서 유닛에 전송된 신호의 경우에, 자파는 예를 들어 수신기 코일로서 형성된 에너지 변환 장치에 의해 센서 유닛에 공급을 위한 전압으로 변환된다.
주변 온도, 진동 또는 공기 유동과 같은 소스로부터 소량의 전기 에너지의 획득을 에너지 하베스팅이라고 한다. 에너지 하베스팅에 사용되는 구조들은 나노 발전기(Nano generator)라고도 한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무선 기술에서 유선 전원 장치 또는 별도의 또는 분리된 배터리에 의한 제한을 방지한다.
이러한 나노 발전기는 예를 들어, 압력, 진동 또는 음파에 의한 힘 작용 시 전압을 생성하는 압전 결정 및/또는 온도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는 열전 발전기 및 초전기 결정 및/또는 무선 또는 전자기 방사선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에너지로 사용하는 안테나, 특히 패시브 RFID, 및/또는 광전기 효과에 기반해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센서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 바디는 제 1 및 제 2 접속부 사이에 스프링 탄성 영역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특히, 그렇지 않은 강성의 메인 바디에서도 이를 위해 조정된 센서 소자를 이용해서 버스 바에 대한 기계적 영향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계적 치수의 변동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버스 바의 다른 물리적 파라미터, 특히 기계적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버스 바의 길이, 버스 바의 폭, 상기 버스 바의 구조적인 형상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공차 보상 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부재는 예를 들어 스프링 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공차 보상 부재는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의 변동이 검출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이 메인 바디 상의 기계적 응력을 검출하도록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및 제 2 전기 장치의 특히 제 1 및 제 2 접속부의 영역 내의 부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 시스템들의 접속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과부하 상태들이 조기에 검출될 수 있고, 이로써 대응 조치가 도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계적 과부하로 인한 접속부 영역에서 손상이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고려해서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에 의해 제시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기능 및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변류기를 통해 안내되는 버스 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변류기를 통해 안내되는 버스 바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버스 바에 접속을 위한 션트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션트 어셈블리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유닛의 도체 트랙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를 가진 배터리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도 6에 따른 배터리를 측면에서 본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7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1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전기 구동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42)의 부분을 개략적인 사시도에 도시한다.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42)의 전류 케이블(40)은 자동차의 도시되지 않은 전기 시스템에 대한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42)의 전기 접속에 이용된다. 자동차는 전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이를 위해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42)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이 경우 또한, 전기 에너지는 차량의 가속을 위한 구동을 위해 제공되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감속 과정 동안 전기 에너지를 수용하고, 즉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42)에 저장하는 것이 제공된다.
전기 라인(40)은 트로이달 트랜스포머(toroidal transformer;44)를 통해 안내되고, 전기 라인(40) 내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변압기는 공개된 방식으로 전기 와인딩을 갖는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평가 전자장치를 이용해서 변류기(44)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가 평가되고, 전기 라인(40)을 관류하는 전류가 결정된다. 전류의 결정된 값은 또한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통신 링크는 이 경우 자동차의 통신 버스, 즉 CAN-버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통신 버스에 평가 전자장치가 접속된다.
도 2는 여기에서 테이프 도체로서 형성되며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변류기(44)를 통해서도 안내되는 전기 라인(46)의 전류 측정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인 사시도에 도시한다.
도 3은 션트(48)의 이용에 기초해서 선행기술의 전류 측정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전방이 사시도에 도시되는 한편, 도 4는 상응하는 후방을 사시도에 도시한다. 션트(48)는 이 경우 프린트 회로기판(50) 위에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은 동시에, 션트(48)에 접속되는 평가 전자장치를 더 포함한다.
션트(48)는 접속 러그(52, 54)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 러그에 상응하는 전기 라인 또는 버스 바가 접속될 수 있다. 전기 라인 또는 버스 바의 전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션트(48)는 전기 라인 또는 버스 바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버스 바 또는 전기 라인을 관류하는 전류는 동시에 션트(48)도 관류한다. 션트(48)를 관류하는 전류는 전압 강하를 일으키고, 상기 전압 강하는 프린트 회로기판(50) 위에 배치된 평가 전자장치를 이용해서 검출되어 평가된다. 도 1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기판(50) 위에 제공된 평가 전자장치는 상응하는 전류값을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션트(48)가 해당하는 버스 바 또는 전기 라인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상응하는 구조적 조치를 필요로 하고, 이러한 조치는 특히 전류와 전압이 높은 경우에 매우 복잡하다. 특히, 작은 구조적 공간과 중량이 바람직한 자동차 분야에서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변류기의 사용 시 특히, 변류기는 전류의 검출을 위해 필요한 큰 구조적 형상 외에 일반적으로 상응하게 높은 중량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즉, 이동 상태에서 응용 시, 특히 자동차에서, 이는 적절한 작동 중에 진동의 발생을 이유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도 6은 도시되지 않은 전기 구동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56)의 부분을 개략적인 사시도에 도시하고, 도 6에는 고전압 배터리(56)의 2개의 배터리 셀만(12, 14)이 도시된다. 고전압 배터리(56)는 가역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즉, 상기 고전압 배터리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수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전압 배터리(56)는 축전지이다. 상응하게 배터리 셀들(12, 14)은 갈바니 셀로서 형성된다.
배터리 셀들(12, 14)은 이 경우 각각 2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들은 전기 화학적으로 서로 상호 작용한다. 이를 위해 보완적으로 전해질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전해질은 각각의 배터리 셀(12, 14)에 배치되어 전극들과 접촉한다. 전극에서 전압의 생성을 위한 전기 화학적 상호 작용의 기본 원리는 기본적으로 공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 설명은 생략된다. 상응하게 도면에 전극 자체는 도시되지 않고, 전극에 도전 접속되는 접속 콘택(32, 34, 36, 38)만이 도시된다. 여기에서 배터리 셀(12)은 접속 콘택(32, 34)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접속 콘택(34)과 달리 접속 콘택(32)에 전기 화학적 상호 작용에 따라 플러스 직류 전압이 설정된다. 상응하게 배터리 셀(14)은 접속 콘택(36, 38)을 포함하고, 이 경우 접속 콘택(36)과 달리 접속 콘택(38)에 플러스 직류 전압이 형성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셀(12)의 접속 콘택(32)과 배터리 셀(14)의 접속 콘택(36)은 전기 버스 바(10)를 통해 서로 도전 접속된다. 버스 바(10)에 의해 2개의 배터리 셀(12, 14)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므로, 접속 콘택(34, 38)에 배터리 셀(12, 14)의 총전압이 설정된다.
버스 바(10)는 메인 바디(16)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전기 전도성 재료, 여기에서 구리로 형성된다. 버스 바(10)는 전류 안내를 위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상기 횡단면은 이 경우 버스 바(10)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걸쳐 균일하게 배터리 셀(12, 14)의 접속 콘택들(32, 36)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경우 메인 바디(16)는 그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직사각형 횡단면 및 표면(58)을 갖고, 상기 표면은 지지면(28)을 제공한다. 지지면(28)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그 형상과 관련해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은 접속 콘택들(36, 38)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면(28) 위에 센서 유닛(22)은 그 고정면(24)에 의해 접착된다. 접착 대신 또는 보완적으로, 센서 유닛(22)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 예를 들어 클립을 이용해서 버스 바(10)의 메인 바디(16)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센서 유닛(22)은 센서 소자(26)를 포함하고(도 5), 상기 센서 소자는 이 경우 접착층을 통해서 지지면(28)의 영역에서 메인 바디(16)와 접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센서 소자(26)를 이용해서 버스 바(10) 또는 메인 바디(16)의 온도가 검출되는 것이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상응하는 접촉 콘택 위에 납땜된 평가 전자장치는 도 5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이는, 센서 소자(26)의 접속부와 더불어 동시에 전자 평가 유닛 및 통신 유닛도 포함하는 직접 회로이다. 따라서 검출된 온도값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개략적인 회로도에 도 6에 따른 기능 유닛들을 도시한다. 배터리 셀(12, 14)의 접속 콘택들(32, 34, 36, 38)이 도시되고, 이 경우 접속 콘택들(32, 36)은 버스 바(10)를 통해 서로 도전 접속된다. 또한, 배터리 셀(12, 14) 내에 개략적으로 셀 커패시티(60) 및 내부 저항(62)이 도시된다. 상기 2개의 요소에 의해 배터리 셀들(12, 14)의 기능이 모형 방식으로 설명된다. 또한, 도 7에서, 센서 유닛(22)이 통신 링크(64)에 접속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통신 링크에 의해 센서 유닛(22)은 검출된 물리적 파라미터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22)은 상기 통신 링크(64)를 통해 그것의 적절한 작동에 필요한 또는 바람직한 제어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유닛(22)이 이 경우 온도의 검출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버스 바(10) 또는 메인 바디(16)를 관류하는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는 것은 도면에 직접 나타나 있지 않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닛(22)은 도시되지 않은 자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센서 유닛(22)에 통합되어 배치된다. 센서 유닛(22)에 의해 자계 강도가 검출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바디(16)의 구조적 치수들 및 버스 바(10) 또는 메인 바디(16)를 관류하는 전류의 다른 경계 조건들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전류 측정에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방법은 한편으로는 매우 정확한 전류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은 조립 공간 또는 작은 중량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센서 유닛(22)의 구조적 형상은, 상기 센서 유닛이 메인 바디(16) 내에 내장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구조적인 요구들은 공간적 제한에 따라 특수하게 고려될 수 있다. 이로써 부피가 크고 무거운 변류기는 절감될 수 있다. 작은 중량 및 작은 구조적 크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유닛(22)은 물론 또한 진동, 충격 및/또는 이와 같은 기계적 부하와 관련해서 훨씬 더 견고하다.
도 7에서 고도의 정확한 전류 측정을 위한 집적 반도체 회로에 의해 센서 유닛(22)에는 따라서 다른 센서들, 예컨대 온도 센서 및 기계적 스트레인- 및 힘 센서가 설치된다(도 8). 통신 링크(64)는 이 경우 유선 통신 링크로서 형성되고, 상기 통신 링크는 또한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초음파, 적외선 및/또는 이와 같은 것에 기반한 무선 통신 링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통신 링크(64)에 의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한 통신 링크가 구성된다.
버스 바(10) 또는 메인 바디(16)에 대해서 고도의 정확한 전류 측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집적 반도체 회로는 예를 들어 플럭스 게이트(Flux-Gate) 기술에 기초한 전류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절한 작동 시 버스 바(10) 또는 메인 바디(16)의 전압 강하 또는 상응하는 전기 저항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값들은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센서 유닛(22)의 다른 특성을 도시하고, 이를 위해 도 6의 부분이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센서 유닛(22)에 이 경우 예컨대 스트레인 게이지(DMS)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 반도체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소자는 센서 유닛(22)의 집적 반도체 회로에 통합된다. 이로 인해 스트레인, 휨 및 힘과 같은 부하와 관련해서 메인 바디(16) 또는 버스 바(10)의 기계적 부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측정과 관련해서 메인 바디(16) 또는 버스 바(10)의 이동, 스트레인, 휨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계 및 열 부하와 관련해서도 접속 콘택(32, 36)의 부하가, 특히 배터리(56)의 전체 수명을 넘어서도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된 결합 방법, 예를 들어 스크루 결합, 레이저 용접, 본딩 및/또는 이와 같은 것의 수명 또는 품질에 관해 추론될 수 있다.
도 9는 센서 유닛(22)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실시예를 개략적인 회로도에 도시한다. 회로는 기본적으로 또한 도 7을 참고로 이미 전술한 회로에 기초하므로, 보완적으로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실시예들의 기존의 설명에 대한 보완으로서 여기에서, 센서 유닛(22)은 플러스 접속부에 의해 메인 바디(16)의 콘택 위치(66)에 도전 접속된다. 센서 유닛(22)이 반도체 칩으로서 또는 집적 반도체 회로로서 형성되면, 플러스 공급 전압 전위가 이로써 직접 버스 바(10) 또는 버스 바의 메인 바디(16)에 의해 탭(tap)될 수 있다. 센서 유닛(22)의 상응하는 마이너스 접속부는 전기 라인(68)을 통해 배터리 셀(12)의 접속 콘택(34)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센서 유닛(22)은 적절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기 공급 전압을 받는다.
전기 라인(68)은 예를 들어 플랙시블 케이블 또는 이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전기 라인(68)에 의해 마이너스 전압 전위가 제공된다. 이 경우, 전기 라인(68)이 배터리 셀(12)의 접속 콘택(34)에 접속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러나 센서 유닛(22)을 위한 더 높은 공급 전압의 제공을 위해서도 배터리 셀(12)에 직렬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다른 배터리 셀에 접속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센서 유닛(22)을 위한 더 높은 공급 전압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는 센서 유닛(22)의 적절한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56)의 다수의 배터리 셀에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배터리(56)의 개별 배터리 셀의 균일하지 않은 부하가 감소할 수 있다.
적절한 작동을 위해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파괴 전압 또는 기생 전압이 발생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 유닛(22)이 지지면(28)에 전기 절연되어 고정되는 것을 제공한다. 전기 절연은 예를 들어 접착층 또는 절연 시트, 절연 디스크 및/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유닛(22)에 에너지 공급은 전기적 분리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분리는 예를 들어 DC/DC-컨버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컨버터는 절연 변압기(isolating transformer)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보완적으로, 센서 유닛(22)은 무선으로, 예를 들어 교번 자계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닛(22)은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은 에너지장 또는 교번 자계와 함께 작용하고, 교번 자계로부터 에너지를 인출하여 전기 에너지로서 센서 유닛(22)의 작동을 위해 제공한다.
센서 유닛(22)이 전체적으로 프린트 회로기판 위에 제공된 하나의 집적 반도체 칩으로서 형성되면, 특히 바람직하다(도 5). 또한, 본 발명은 버스 바 자체 내에 측정 전자장치를 통합하는 것을 기초로 하므로, 이로 인해 별도로 취급 가능한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이 경우 그것의 적절한 동작과 관련해서 검사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제조 과정에 통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 또는 전기 시스템의 배터리의 제조는 기본적으로 훨씬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배터리 또는 자동차를 참고로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이용은 이러한 용도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은 물론 정지 상태의 전기 시스템에서도, 특히 전기 개폐 장치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즉, 여기에서, 센서 유닛이 전체적으로 무선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점들이 특히 확실하게 나타난다. 이는 특히 중전압 및/또는 고전압 범위의 전기 시스템에서는 물론 저전압 개폐 장치에서도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들의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설명에만 이용되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대해 기술된 장점들 및 특징들과 실시예들은 상응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반대로도 적용된다. 따라서 장치 특징들에 대해 상응하는 방법 특징들이 제공될 수 있고, 반대로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제 1 전기 장치(12)로부터 제 2 전기 장치(14)로 전류를 안내하기 위한 전기 버스 바(10)로서, 제 1 전기 장치(12)에 접속을 위한 제 1 접속부(18) 및 제 2 전기 장치(14)에 접속을 위한 제 2 접속부(20)를 가지며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16)를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10)에 있어서,
    고정면(24)을 가진 센서 유닛(22)이 제공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전기 버스 바(10)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소자(26)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16)는 지지면(28)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에 상기 센서 유닛(22)이 그것의 고정면(2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2)은 상기 전기 버스 바(1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2)은 상기 메인 바디(16)에 대해 전기 절연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2)은 그것의 적절한 작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제 1 공급 접속부(30)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16)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2)은 그것의 적절한 작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의 무선 공급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2)은, 상기 전기 버스 바(10)를 통해 중앙 스테이션에 대한 통신 링크 및/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6)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18, 20) 사이에 스프링 탄성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22)은 상기 메인 바디(16) 내의 기계적 응력을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버스 바(10).
  9.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12, 14)을 포함하는 배터리(56)로서, 각각의 상기 배터리 셀(12, 14)은 2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들은 전기 화학적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고, 각각의 상기 전극은 접속 콘택(32, 34, 36, 38)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들 중 하나의 배터리 셀(12)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 콘택(32)은 전기 버스 바(10)를 이용해서 다른 배터리 셀(14)의 접속 콘택(36)에 도전 접속되고, 상기 전기 버스 바(10)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16)를 포함하는 배터리(56)에 있어서,
    상기 전기 버스 바(10)는 고정면(24)을 가진 센서 유닛(22)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22)은 상기 전기 버스 바(10)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소자(26)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16)는 지지면(28)을 갖고, 상기 지지면에 상기 센서 유닛(22)이 그것의 고정면(2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56).
  10.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시스템 및 전기 시스템에 접속된 전기 구동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로서, 상기 배터리와 전기 구동 장치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속 콘택을 포함하고, 배터리 및 전기 구동 장치의 하나의 접속 콘택은 전기 버스 바를 이용해서 서로 도전 접속되고, 상기 전기 버스 바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전기 버스 바(10)는 고정면(24)을 가진 센서 유닛(22)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22)은 상기 전기 버스 바(10)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소자(26)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16)는 지지면(28)을 갖고, 상기 지지면에 상기 센서 유닛(22)이 그것의 고정면(2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77026264A 2015-02-18 2016-02-15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 KR101968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2061.7A DE102015002061B4 (de) 2015-02-18 2015-02-18 Elektrische Stromschiene mit Sensoreinheit
DE102015002061.7 2015-02-18
PCT/EP2016/053152 WO2016131764A1 (de) 2015-02-18 2016-02-15 Elektrische stromschiene mit sensor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132A true KR20170120132A (ko) 2017-10-30
KR101968038B1 KR101968038B1 (ko) 2019-04-10

Family

ID=5536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264A KR101968038B1 (ko) 2015-02-18 2016-02-15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40494B2 (ko)
KR (1) KR101968038B1 (ko)
CN (1) CN107251271B (ko)
DE (1) DE102015002061B4 (ko)
WO (1) WO20161317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26B1 (ko) * 2018-04-06 2019-07-26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저용량의 전원공급장치로 동작 가능한 저전압 고전류 버스바 시험장치
KR20220096164A (ko) * 2020-12-30 2022-07-07 성호전자(주) 넓은 전압 범위의 고전류 시험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5278B2 (ja) * 2014-12-25 2018-04-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FR3056022B1 (fr) * 2016-09-13 2019-10-11 Pellenc Dispositif d'interconnexion electrique d'elements de batterie et batterie d'accumulateurs pourvue d'un tel dispositif
DE102017200050A1 (de) * 2017-01-04 2018-07-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schlussmodul für ein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sowie Energieversorgungssystem
FR3070543B1 (fr) 2017-08-24 2022-01-14 Accumulateurs Fixes Element electrochimique et batterie avec capteur et/ou actionneur integre
DE102018005996A1 (de) 2018-07-27 2019-03-07 Daimler Ag Verfahren zur Energieversorgung eines Sensors oder Aktors eines Fahrzeugs
DE102018006621A1 (de) * 2018-08-21 2020-02-27 Daimler Ag Batterieeinheit, Verfahren zum elektrischen Verschalten von Zellblöcken einer Batterieeinheit und Verfahren zum Auftrennen einer elektrischen Verschaltung von Zellblöcken einer Batterieeinheit
DE102019213674B3 (de) * 2019-09-09 2020-12-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raktionsbatterie sowie elektrisch angetriebenes Kraftfahrzeug
DE102020105441A1 (de) 2020-03-02 2021-09-02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Batterie mittels einer Sensorvorrichtung, Batterie mit einer Sensor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Batterie
DE102021200308A1 (de) * 2021-01-14 2022-07-14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Elektrische Batteri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elektrischen Batterie
DE102021200571A1 (de) 2021-01-22 2022-07-28 Siemens Mobility GmbH Batteriezelle mit Überwachungseinrichtung
DE102021118868A1 (de) 2021-07-21 2023-01-26 Audi Aktiengesellschaft Stromverteiler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US20230187713A1 (en) * 2021-12-14 2023-06-15 Volvo Car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cell battery assembly and method
KR20240047037A (ko) *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의 온도측정이 용이한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4517A (ja) * 2009-01-19 2010-07-29 Yazaki Corp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WO2011072295A2 (en) * 2009-12-11 2011-06-16 A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of a battery pack
KR20120006309A (ko) * 2010-07-12 2012-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EP2570816A2 (en) * 2011-09-19 2013-03-2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current shunt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506693A (en) * 1992-06-29 1994-01-24 Technology Partnership Limited, The Integrated battery management systems
US6304062B1 (en) * 1999-10-28 2001-10-16 Powersmart, Inc. Shunt resistance device for monitoring battery state of charge
DE102011086612A1 (de) * 2011-11-18 2013-05-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in einer Batterie
DE102011088440A1 (de) * 2011-12-13 2013-06-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nergiespeicherzelle, Energiespeicherzellenmodul und Trägersubstrat
DE102012100862A1 (de) * 2012-02-02 2013-08-08 Elringklinger Ag Zellverbinder
WO2014010419A1 (ja) * 2012-07-11 2014-0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4517A (ja) * 2009-01-19 2010-07-29 Yazaki Corp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WO2011072295A2 (en) * 2009-12-11 2011-06-16 A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of a battery pack
US20120286739A1 (en) * 2009-12-11 2012-11-15 A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of a Battery Pack
KR20120006309A (ko) * 2010-07-12 2012-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EP2570816A2 (en) * 2011-09-19 2013-03-2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current shunt sen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26B1 (ko) * 2018-04-06 2019-07-26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저용량의 전원공급장치로 동작 가능한 저전압 고전류 버스바 시험장치
KR20220096164A (ko) * 2020-12-30 2022-07-07 성호전자(주) 넓은 전압 범위의 고전류 시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1271B (zh) 2020-05-01
KR101968038B1 (ko) 2019-04-10
US20180026251A1 (en) 2018-01-25
WO2016131764A1 (de) 2016-08-25
CN107251271A (zh) 2017-10-13
DE102015002061B4 (de) 2023-11-16
US10340494B2 (en) 2019-07-02
DE102015002061A1 (de)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38B1 (ko)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버스 바
US7807289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module
US9970993B1 (en) Sensor system for measuring battery internal state
KR100993051B1 (ko) 배선 기판, 적층형 축전 디바이스 및 적층형 축전디바이스를 갖는 차량
EP3748369B1 (en) Integrated current-measuring apparatus
US20110273139A1 (en) Power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US20170194771A1 (en) Storage Module
US9196887B2 (en) Assembled battery wiring member and assembled battery module
US20140333314A1 (en) Current measuring circuit, battery and motor vehicle
WO2015148525A1 (en) Battery cell health monitoring using eddy current sensing
US10850618B2 (en) Connection module for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KR102512068B1 (ko) 열전대 유닛을 갖는 배터리 모듈
US11500028B2 (en) Detection device
CN112858933A (zh) 用于电池模块的传感器系统
WO2015186421A1 (ja) バッテリ状態測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
US20210209872A1 (en) Management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US20150331058A1 (en) Voltage detecting device
JP6430218B2 (ja) 電池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システム
JP2023055143A (ja) セルバランス装置及びセルバランス方法
US20210094439A1 (en) Management device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2512061B1 (ko) 배터리 모듈을 위한 센서 시스템
CN110622017B (zh) 用于电蓄能单元的状态识别的分流电阻
CN117269780A (zh) 电流感测模块、车载系统及电流感测和故障诊断的方法
CN112512856A (zh) 用于捕获轨道车辆的电流的装置
KR20130044879A (ko) 고전압배터리용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