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578A -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 Google Patents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578A
KR20170119578A KR1020160047815A KR20160047815A KR20170119578A KR 20170119578 A KR20170119578 A KR 20170119578A KR 1020160047815 A KR1020160047815 A KR 1020160047815A KR 20160047815 A KR20160047815 A KR 20160047815A KR 20170119578 A KR20170119578 A KR 2017011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terminal
conductive plate
terminal block
elastic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578A/ko
Publication of KR2017011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8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코일을 온/오프 시키는 제1접점부; 및 상기 크로스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제2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단자대와, 일측의 고정단자대에 부착되어 타측의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접점을 구비하는 탄성도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탄성도체판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접촉돌기를 구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UNDER VOLTAGE TRIP WITH LEADING SWITCH}
본 발명은 단락 사고나 모터 과부하 등으로부터 모터부하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Manual Motor Starter, 약칭 MMS)의 액세서리 중에서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Under Voltage Trip with Leading switch, RUX)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내부 접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접점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크로스바(120)와, 상기 크로스바(1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코일을 온/오프(On/Off) 시키는 제1접점부(130)와, 상기 크로스바(1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제2접점부(140)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점부(130,140)는 고정단자대 2개(132a,132b,142a,142b)와, 압축 스프링(136,146)에 의하여 하중을 받는 가동단자대 1개(134,144)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오프 상태에서 크로스바(120) 상단의 누름부(122)를 눌러 줌으로써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도 2는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바(120)는 누름부(122)가 케이스(110)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상승한 상태)이며, 가동단자대(134,144)는 크로스바(120)에 압축 스프링(136,146)으로 매달려 있는 상태로, 가동단자대(134,144)는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도 3은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접점부의 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온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가, 크로스바(120) 상단의 누름부(122)를 수동으로 눌러줌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크로스바(120)가 아래로 이동하면, 크로스바(120)에 코일 스프링(136,146)으로 연결되어 있는 가동단자대(134,144)가 하강하여,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36,146)의 탄성력이 가동단자대(134,144)와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의 접촉 하중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크로스바(120)와 가동단자대(134,144)의 조립부 간격에 의하여 가동단자대(134,144)에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고,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와 케이스(110)의 조립부 간격에 의한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가동단자대(134,144) 또는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에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되면, 가동단자대(134,144)와 고정단자대(132a,132b,142a,142b)간에 접촉면이 줄어들거나 접촉이 되지 않고 떨어지게 되는 통전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100)는 내부접점부의 온/오프 동작을 위해 설계된 크로스바 어셈블리가, 크로스바(120) 1개, 코일 스프링(136,146) 2개, 가동단자대(134,144) 2개를 포함하는 총 5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구조로 제조 공정상 작업자의 조립 공수가 조립 과정에서 불량 발생 확률이 높으며, 재료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내부 접점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통전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부품수를 절감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코일을 온/오프 시키는 제1접점부; 및 상기 크로스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제2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는 고정단자대와, 상기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탄성도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고정단자대와 상기 탄성도체판의 사이를 승하강하며 상기 탄성도체판과 상기 고정단자대 사이의 접촉을 조절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도체판은 상기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단자대는 상기 크로스바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세로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도체판은 상기 세로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탄성도체판에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크로스바의 오프 위치에서 상기 고정단자대와 상기 탄성도체판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돌기와, 상기 크로스바의 온 위치에서 상기 탄성도체판이 상기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는 제2돌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돌기는 상기 탄성도체판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고정단자대 한 개와 크로스바에 조립되는 가동단자대를 삭제하고, 이들의 역할을 탄성도체판이 수행하도록 접점부를 구성함으로써, 조립 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크로스바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가 오프상태에서 고정단자대와 탄성도체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공간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오프(off)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탄성도체판의 탄성력으로 접촉하중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접압스프링을 삭제함으로써 크로스바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접점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접점부의 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온 상태의 접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탄성도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탄성도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크로스바(220)와, 상기 크로스바(2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코일을 온/오프 시키는 제1접점부(230)와, 상기 크로스바(22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제2접점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200)는 접점부(230,240)의 구성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종래의 한 쌍의 고정단자대 중에서 하나의 고정단자대와, 크로스바에 조립되는 가동단자대를 삭제하고 탄성도체판(234,244)이 하나의 고정단자대와 가동단자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고, 품질 안정화와, 원가 절감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접점부(230)와 제2접점부(24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1접점부(230)를 기준으로 본원발명의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200)의 구조와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200)의 제1접점부(23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단자대(232)와, 상기 고정단자대(232)와 접촉 또는 해제되는 탄성도체판(234)을 포함한다.
탄성도체판(234)은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대(232)를 향하여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도체판(234)이 고정단자대(232)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탄성력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하며, 탄성도체판(234)이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도체판(234)은 종래의 고정단자대와 마찬가지로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고정대(234a)와, 상기 고정대(234a)에 결합되는 탄성판(234b)과, 상기 탄성판(234b)에 결합되어 고정단자대와 접촉하는 접점(234c)을 포함한다.
탄성판(234b)는 상기 고정대에 리베팅 또는 볼팅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판(234b)은 종래의 가동접점대와 접압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도전성을 가지며 탄성을 가지는 금속박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청동 합금재질 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120)는 상기 고정접점대(232)와 탄성도체판(234)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225)가 구비된다. 가이드돌기(225)는 크로스바가 상승한 위치인 오프(off) 상태에서 고정접점대(232)의 세로면(232a)과 탄성도체판(234)의 접점(234c) 사이에 삽입되며, 크로스바가 하강 위치에서는 고정접점대(232)의 세로면(232a)을 이탈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25)는 크로스바(2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크로스바(120)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5)는 고정접점대(232)와 탄성도체판(234)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점(234c)의 접촉을 해
제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크로스바(220)는 절연성 재질의 사출물을 이용하므로, 사출성형시에 크로스바에 가이드돌기(225)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가, 크로스바(220) 상단의 누름부(222)를 수동으로 눌러줌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크로스바(220)의 하강에 따라 가이드돌기(225)가 하강하면, 가이드돌기(225)가 고정단자대(232)의 세로면(232a)을 벗어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탄성도체판(234)는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단자대(232)에 접촉하도록 변형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도체판(234)에는 여전히 복원력이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탄성도체판(234)의 복원력에 의하여 접점(234c)이 고정단자대(232)에 접촉하는 접촉 하중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on)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크로스바(220)가 상승하여 가이드돌기(225)가 고정단자대(232)와 탄성도체판(234)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동작한다. 가이드돌기(225)가 탄성도체판(234)을 고정단자대(232)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탄성도체판(234)과 고정단자대(232)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탄성도체판(234)과 고정단자대(232)를 단순히 이격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돌기(225)가 탄성도체판(234)과 고정단자대(23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공간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가이드돌기(225)의 삽입과 이탈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돌기(225)가 사각의 단면을 가지고 있었으나, 제2실시예의 가이드돌기(225)는 탄성도체판(234)의 탄성판(234b)에 접촉하는 면(225a)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판(234b)에 접촉되는 가이드돌기(225)의 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돌기의 삽입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작시에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돌기(225)의 양면에 모두 경사면을 형성된 쐐기 형상으로 나타내었으나, 탄성판(234b)과 접촉되는 면만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의 오프 상태의 제1접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가이드돌기(225)가 제1돌기(226)와 제2돌기(227)로 이루어지고, 탄성도체판(234)이 제1돌기(226)와 제2돌기(227)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멸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200)는 크로스바(220)가 오프(off) 위치일 때 제1돌기(226)가 고정단자대(232)와 탄성도체판(234)의 사이에 삽입되고, 크로스바(220)가 온(on) 위치일 때 제2돌기(227)가 탄성도체판(234)에 접촉하며, 탄성도체판(234)가 고정단자대(23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추가 하중을 인가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돌기(227)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하중이 인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돌기(227)와 탄성도체판(234)이 선접촉보다는 면접촉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도체판(234)과 접촉하는 제2돌기(227)의 면(227a)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탄성도체판(234)이 고정단자대(232)에 접촉하는 하중이 제2돌기(227)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부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도체판(234)과 고정단자대(232)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제1돌기(226)의 삽입과 이탈 동작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앞서 살펴본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쐐기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210 : 케이스 220 : 크로스바
222 : 누름부 225 : 가이드돌기
226 : 제1돌기 227 : 제2돌기
230 : 제1접점부 232 : 고정단자대
232a : 세로면 234 : 탄성도체판
234a : 고정대접점 234b : 탄성판
234c : 접점 240 : 제2접점부
242 : 고정단자대 242a : 세로면
244 : 탄성도체판 244a : 고정대접점
244b : 탄성판 244c : 접점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내부 코일을 온/오프 시키는 제1접점부; 및
    상기 크로스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제2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는 고정단자대와, 상기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탄성도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고정단자대와 상기 탄성도체판의 사이를 승하강하며 상기 탄성도체판과 상기 고정단자대 사이의 접촉을 조절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도체판은
    상기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대는 상기 크로스바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세로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도체판은 상기 세로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탄성도체판에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크로스바의 오프 위치에서 상기 고정단자대와 상기 탄성도체판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돌기와,
    상기 크로스바의 온 위치에서 상기 탄성도체판이 상기 고정단자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탄성도체판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KR1020160047815A 2016-04-19 2016-04-19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KR20170119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815A KR20170119578A (ko) 2016-04-19 2016-04-19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815A KR20170119578A (ko) 2016-04-19 2016-04-19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78A true KR20170119578A (ko) 2017-10-27

Family

ID=6030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815A KR20170119578A (ko) 2016-04-19 2016-04-19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5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3818A (ko) 접촉자
KR101957118B1 (ko) 전자기 릴레이
US20180358188A1 (en) Opposite arc isolation device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relay
WO2005089435A3 (en) Contact structure for a switch
US7397004B2 (en) Push-switch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418204B2 (en) Switch device
KR20170119578A (ko)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CN207587643U (zh) 继电器
US7723632B2 (en) Electrical switch
US20180174772A1 (en) Switch
KR101323605B1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용 고정접촉자 어셈블리
US6879227B2 (en) Switching contact arrangement
US3242281A (en) Switch mechanism for a snap-action switch
CN207503875U (zh) 继电器
CN210607040U (zh) 微动开关机构
EP1073075A1 (en) Switch device
US9818558B2 (en) Snap action switch
JP2020140764A (ja) 電子モジュール
US3548132A (en) Miniature precision snap action switch with wiping contact action
KR101794402B1 (ko) 전자접촉기의 상부 보조접점 기구
CN100419935C (zh) 电路控制保护器
KR20170096675A (ko) 선행 시동형 부족전압 트립장치
EP3467961A1 (en) Connector
JP4295599B2 (ja) スイッチ装置
CN214203574U (zh) 一种磁保持接触器的簧板接触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