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081A -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 Google Patents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081A
KR20170119081A KR1020160046780A KR20160046780A KR20170119081A KR 20170119081 A KR20170119081 A KR 20170119081A KR 1020160046780 A KR1020160046780 A KR 1020160046780A KR 20160046780 A KR20160046780 A KR 20160046780A KR 20170119081 A KR20170119081 A KR 2017011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reflecting mirror
elevating
thermal imaging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672B1 (ko
Inventor
임도현
Original Assignee
임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현 filed Critical 임도현
Priority to KR102016004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2B13/143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for use with 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2Foresights
    • F41G1/027Foresights with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1Eyepie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lescop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은, 사용자의 눈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접안 렌즈와, 접안 렌즈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대물 렌즈가 구비된 조준경 본체; 조준경 본체에 마련 되는 열상 카메라부;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열상 카메라부의 영상을 접안 렌즈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및 반사경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반사경의 일측부를 열상 카메라부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반사경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DAY AND NIGHT TELESCOPIC SIGHT}
본 발명은,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상 카메라와 반사경을 이용하여 주간과 야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주간용 광학장비는 낮의 풍부한 광량을 사용하는 광학장비로서,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광학 소자와 광기구물로 간단히 구성되어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쌍안경, 망원경, 조준경 등이 있다.
반면에 야간용 광학장비는 낮에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주간용 광학장비와 달리 야간의 어두운 환경에서도 영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미광증폭 방식이나 적외선(열)을 감지하는 열상 방식 등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미광증폭 방식의 광학장비는 야간의 부족한 광량에 의한 희미한 영상으로부터 광전효과, 전자 수 증폭, 전광 효과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밝은 영상으로 전환된 영상을 형성하여 어두울 때에도 용이하게 피사체를 식별, 조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쌍안 망원경이나 조준경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왔다.
그러나 미광증폭 방식의 광학 장비는 광량이 센 주간에 사용하면 장비가 손상되므로 낮에 사용할 수 없어서, 주간 및 야간에 연이어 광학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주간용 및 야간용 광학 장비를 별도로 휴대하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주야간 겸용 복합장비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주야 겸용 조준경의 경우, 대물 렌즈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릴레이부 또는 접안부를 교체하는 방식 또는 주간 및 야간의 두 개의 경로로 렌즈계를 구성하고 셔터로 광 경로를 전환하는 방식이 있다.
종래의 릴레이부 또는 접안부를 교체하는 방식의 경우 결상 광학계의 시야각이 작고 어두워서, 대물 렌즈계의 구경을 50mm 이상으로 설계할 경우 외각의 빛 잘림 현상이 발생하고 해상도가 떨어져 원거리 물체의 식별이 어려워지고 야간용 조준경 단독 장비보다 야간 모드에서의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광 경로를 전환하는 방식은 간편하게 주간 모드에서 야간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신속하게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광 경로 전환 방식의 조준경은 주야간 모드를 신속하게 변경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조준경의 경우 야외의 거친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서도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는 개선책이 필요하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487호(권동주) 2005.10.0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4516호(이오시스템) 2013. 09. 2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간과 야간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주야간 모드를 신속하게 변경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 등에서도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눈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접안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대물 렌즈가 구비된 조준경 본체;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 되는 열상 카메라부;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상 카메라부의 영상을 상기 접안 렌즈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반사경의 상기 일측부 상기 열상 카메라부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반사경 승강부를 포함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은, 상기 대물 렌즈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열상 카메라부의 영상을 상기 접안 렌즈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바디; 상기 반사경 바디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벽에 있는 반사경 지지대에 결합 되는 제1 체결편; 및 상기 반사경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경 승강부에 결합 되며 상기 반사경 승강부에 의해 승강 되는 제2 체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경 승강부는, 상기 제1 체결편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 되는 연결 로드; 상기 연결 로드에 일측부가 연결되며 타측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반사경 승강부재; 및 상기 조준경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의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의 상기 일측부는 상기 연결 로드와 나사 결합 되며,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와 상기 연결 로드의 나사 결합이 풀림 또는 조임 되어 상기 제2 체결편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반사경 바디가 승강 될 수 있다.
상기 조준경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의 반사경 승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억지 끼워 맞춤 결합 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면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도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열상 카메라부는, 상기 대물 렌즈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는 열상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와 상기 조준경 본체가 접하는 영역의 상기 열상 카메라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열상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는 렌즈와 프리즘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준경 본체에 열상 카메라부와 반사경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반사경 승강부를 작동시켜 반사경의 경사 각도를 신속하게 조절함으로써 주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외력으로 반사경 승강부를 작동시킬 수 있어 거친 외부 환경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사경과 반사경 승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상 카메라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야간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주간 작동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사경과 반사경 승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상 카메라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야간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주간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1)은, 조준경 본체(100)와, 조준경 본체(100)에 마련 되는 열상 카메라부(200)와, 조준경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열상 카메라부(200)의 영상을 접안 렌즈(110)로 반사시키는 반사경(300)과, 반사경(300)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반사경(300)의 일측부를 열상 카메라부(200)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반사경 승강부(400)를 구비한다.
조준경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눈에 근접되는 영역인 좌측부에는 접안 렌즈(110)가 마련되고, 접안 렌즈(110)와 반대 방향인 우측부에는 대물 렌즈(120)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대물 렌즈(120)가 마련된 영역의 조준경 본체(100)의 내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300)의 제1 체결편(320)이 힌지 결합 되는 반사경 지지대(130)가 마련된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조준경 본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선으로부터 과녁이 벗어나는 것을 상쇄시키기 위해 조준경 본체(100) 내부의 십자선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40)와, 십자선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150)와 망선 밝기 조절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준경 본체(100)의 높이 조절부(140)는 망선으로부터 과녁이 벗어나는 것을 상쇄시키기 위해 조준경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는데 이용되고, 수평 조절부(150)는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140)와 수평 조절부(150)와 망선 밝기 조절부(160)에는 캡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조준경 본체(100)에는 주간 사용시의 광로(접안 렌즈(110)와 대물 렌즈(120) 사이)에 광학 부품(렌즈 혹은 프리즘)이, 야간 사용시의 광로(디스플레이(220)와 반사경(300)과 접안 렌즈(110) 사이)에 광학부품(렌즈 혹은 프리즘)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열상 카메라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300)의 상측부에 배치되도록 조준경 본체(100)에 마련되며 야간이나 주변 환경이 어두운 때에 외부의 영상을 반사경(300)으로 보낸다.
본 실시 예에서 열상 카메라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 렌즈(120)가 마련된 영역의 조준경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끼워 맞춤 결합되는 열상 카메라(210)와, 열상 카메라(210)와 조준경 본체(100)가 접하는 영역의 열상 카메라(210)에 마련되어 열상 카메라(210)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0)와, 조준경 본체(100)에 마련되어 열상 카메라(2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열상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220)로 나타내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6719호(2013.02.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 기술에 해당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태로 마련되는 브래킷을 통해 열상 카메라(210)의 저면부에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반사경(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는 조준경 본체(100)의 반사경 지지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고 타측부는 반사경 승강부(400)의 연결 로드(4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된다.
본 실시 예를 주간에 사용 시 반사경(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 본체(100)와 평행하게 누워 있다. 반면에 본 실시 예를 야간에 사용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 예를 들어 45도로 기울어져 열상 카메라부(200)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을 접안 렌즈(110)로 반사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반사경(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 바디(310)와, 반사경 바디(310)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반사경 지지대(130)에 힌지 결합 되는 제1 체결편(320)과, 반사경 바디(3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연결 로드(410)에 힌지 결합 되는 제2 체결편(330)을 포함한다.
반사경 승강부(400)는, 본 실시 예를 야간에 사용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 바디(310)의 상측부를 상승시켜 반사경 바디(310)를 기울어지게 마련하고, 본 실시 예를 주간에 사용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된 반사경 바디(310)를 하강시켜 조준경 본체(100)와 평행하게 마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반사경 승강부(400)는 사용자의 손 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반사경 승강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편(320)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 되는 연결 로드(410)와, 연결 로드(410)에 상측부가 나사 연결되며 하측부는 조준경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반사경 승강부재(420)와, 조준경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의 반사경 승강부재(420)를 감싸는 하우징(4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로드(410)의 내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워 있고, 그 내벽에는 반사경 승강부재(420)의 나사산과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반사경 승강부재(420)는 헤드를 갖는 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헤드가 하우징(430)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경 승강부재(420)의 헤드를 회전시키면 반사경 승강부재(420)는 고정된 위치에서 공회전 되고, 이로 인해 반사경 승강부재(420)와 나사 결합 된 연결 로드(410)는 반사경 승강부재(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로드(410)는 제2 체결편(330)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체결편(320)은 반사경 지지대(1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 로드(410)의 승강 시 제2 체결편(330)이 마련된 영역의 반사경 바디(310)도 연결 로드(410)와 같이 승강 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반사경 승강부재(420)의 헤드가 하우징(430)의 내벽에 억지 끼워 맞춤 결합 되어 하우징(430)을 회전시 반사경 승강부재(420)도 같이 회전되게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반사경 승강부재의 헤드에는 공구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100 : 조준경 본체 110 : 접안 렌즈
120 : 대물 렌즈 130 : 반사경 지지대
140 : 높이 조절부 150 : 수평 조절부
160 : 망선 밝기 조절부 200 : 열상 카메라부
210 : 열상 카메라 220 : 디스플레이
230 : 배터리 300 : 반사경
310 : 반사경 바디 320 : 제1 체결편
330 : 제2 체결편 400 : 반사경 승강부
410 : 연결 로드 420 : 반사경 승강부재
430 : 하우징

Claims (7)

  1. 사용자의 눈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접안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대물 렌즈가 구비된 조준경 본체;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 되는 열상 카메라부;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상 카메라부의 영상을 상기 접안 렌즈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반사경의 상기 일측부를 상기 열상 카메라부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반사경 승강부를 포함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대물 렌즈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상기 열상 카메라부의 영상을 상기 접안 렌즈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바디;
    상기 반사경 바디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벽에 있는 반사경 지지대에 결합 되는 제1 체결편; 및
    상기 반사경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경 승강부에 결합 되며 상기 반사경 승강부에 의해 승강 되는 제2 체결편을 포함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승강부는,
    상기 제1 체결편에 일측부가 힌지 결합 되는 연결 로드;
    상기 연결 로드에 일측부가 연결되며 타측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반사경 승강부재; 및
    상기 조준경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의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의 상기 일측부는 상기 연결 로드와 나사 결합 되며,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와 상기 연결 로드의 나사 결합이 풀림 또는 조임 되어 상기 제2 체결편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반사경 바디가 승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준경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의 반사경 승강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억지 끼워 맞춤 결합 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면 상기 반사경 승강부재도 같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상 카메라부는,
    상기 대물 렌즈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는 열상 카메라;
    상기 열상 카메라와 상기 조준경 본체가 접하는 영역의 상기 열상 카메라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조준경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열상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준경 본체의 내부에는 렌즈와 프리즘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KR1020160046780A 2016-04-18 2016-04-18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KR10180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780A KR101809672B1 (ko) 2016-04-18 2016-04-18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780A KR101809672B1 (ko) 2016-04-18 2016-04-18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81A true KR20170119081A (ko) 2017-10-26
KR101809672B1 KR101809672B1 (ko) 2018-01-18

Family

ID=6030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780A KR101809672B1 (ko) 2016-04-18 2016-04-18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864A1 (ko) * 2018-10-04 2020-04-09 정보선 복합 광학 조준장치
WO2020150397A1 (en) * 2019-01-20 2020-07-23 Volfson Leo Internal display for an opt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4704A (en) 1992-08-14 1995-07-18 Litton Systems, Inc. Night vision weapon sight
KR100900899B1 (ko) * 2009-03-17 2009-06-03 국방과학연구소 소화기 사격통제용 복합광학계
KR101375373B1 (ko) * 2012-10-22 2014-03-17 정보선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KR101440057B1 (ko) 2013-07-01 2014-09-12 주식회사 유텍 주야조준경 체계용 분리형 도트 사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864A1 (ko) * 2018-10-04 2020-04-09 정보선 복합 광학 조준장치
KR20200038678A (ko) * 2018-10-04 2020-04-14 정보선 복합 광학 조준장치
WO2020150397A1 (en) * 2019-01-20 2020-07-23 Volfson Leo Internal display for an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672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32754B2 (en) Optical targeting information projection system for weapon system aiming scopes and related systems
US9148579B1 (en) Fusion night vision system
US9817225B2 (en) Telescopic sight
US20160061567A1 (en) Accessory display for optical sighting devices
US9389046B2 (en) Sight module for firearm
US92292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eyepiece displays
CA2976375A1 (en) Optical sensor for range finding and wind sensing measurements
US11550139B2 (en) Night-vision optical device with automatic infrared-cut function
JP2013537784A (ja) 頭部着用映像システムにおける奥行き知覚を動的に高め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09672B1 (ko) 절환식 주야 겸용 조준경
JP2016128903A (ja) 折り畳み式ブリッジを有するデジタル光学機器
CN101726845A (zh) 一种多模式观察潜望镜
US10895754B2 (en) Optical system for imaging an object
US8368023B2 (en) Optical bypass device
CN103565398B (zh) 检眼装置
JP2010091597A5 (ko)
GB2548836A (en) A night vision attachment for an optical rifle scope
CN111766695B (zh) 一种多功能自动变焦望远镜系统
CN212723630U (zh) 用于红外与微光光学图像融合夜视装置的图像调校机构
CN204241758U (zh) 具夜视功能的望远镜
FR2672702A1 (fr) Viseur de casque.
JP2002162194A (ja) 小火器用昼夜間照準具
TW201534969A (zh) 放大作用光學裝置
KR100613700B1 (ko) 주야겸용 망원 조준기
GB2525163A (en) An optic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