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804A -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804A
KR20170118804A KR1020177026050A KR20177026050A KR20170118804A KR 20170118804 A KR20170118804 A KR 20170118804A KR 1020177026050 A KR1020177026050 A KR 1020177026050A KR 20177026050 A KR20177026050 A KR 20177026050A KR 20170118804 A KR20170118804 A KR 20170118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equency
signal
section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5143B1 (en
Inventor
류스케 이시카와
마사히토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11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 탑재기(110)와,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지고,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0)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기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113)와, 통신 방식 변경부와,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112)를 구비한다. 휴대기는, 통신 방식 선택부와,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220)와, 수신 처리부와, 휴대기측 송신부와, 노이즈 판정부를 구비한다.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통신 방식 선택부는,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휴대기측 송신부는,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방식 변경부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통신 방식을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The electronic key system for a vehicle includes a vehicle-mounted device 110 and a portable device 200 that is associated with the vehicle-mounted device and carried to the user. The vehicle-mounted device includes a vehicle-mounted-device-side transmitting unit 113, a communication-mode changing unit, and a vehicle-mounted-device-side receiving unit 112.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method selection unit, a first frequency-use antenna 220, a reception processing unit, a portable-unit-side transmission unit, and a noise determin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judging unit that there is noise,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selects a communication mode different from the currently employed communication mode, and the portable unit sid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to the vehicle-mounted device.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unit changes the communication mode to the communication mode specified by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when the vehicle-mounted-unit-side receiver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of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15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71640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개시를 여기에 참조에 의해 원용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71640 filed on March 31, 2015, the disclosure of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와, 유저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기가 상호 통신을 행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nic key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a vehicle-mounted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d a portable device carried by a us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종래,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와, 유저에 의해 휴대되며,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진 휴대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한 대조가 성립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 등의 다양한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 키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on the basis of a vehicle-mounted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d a verific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device carried by a user and a portable de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various controls Is known.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는, 차량 탑재기는 LF(Low Frequency)대에 속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여 휴대기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UHF(Ultra High Frequency)대에 속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여 반송한다.Generally, in this type of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the vehicle-mounted device transmits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using a radio wave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elonging to the LF (Low Frequency) band. When the mobile device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device, the mobile device carrie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using a radio wave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elonging to the UHF (Ultra High Frequency) band.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는, 차량 탑재기가 탑재된 차량(자차량이라 함)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폴링 주기로 휴대기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신호(폴링 신호라 함)를 송신하고,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가 차량 탑재기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는, 폴링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휴대기와 대조에 관한 처리를 무선 통신에 의해 개시한다.For example, the vehicle-mounted device transmits a signal (called a polling signal) requesting a response to the portable device at a predetermined polling cycle when a vehicle (called a child vehicle) on which the vehicle-mounted device is parked is transmit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exist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of the vehicle-mounted devi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n, when the vehicle-mounted device receives the response to the polling signal, the vehicle-mounted device initiates the process relating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verific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그러나, 휴대기에 있어서, 자차량 이외의 차량(타차량이라 함)이 송신하는 폴링 신호가, 자차량과의 통신을 저해하는 노이즈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노이즈란, 자차량 이외의 전자 기기(타차량)로부터 송신된 전파 중,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할 정도의 신호 강도를 갖는 전파(소위 방해 전파)를 가리킨다.However, in the portable device, the polling signal transmitted by a vehicle other than the own vehicle (referred to as another vehicle) may become noise that hinders communication with the subject vehicle. Here, the noise refers to a radio wave (so-called jamming wave) having a signal intensity that can not normally receive a signal from the vehicle, among the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other vehicle) other than the vehicle .

그러한 과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폴링 주기를 차량마다 상이한 값으로 함으로써, 자차량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와, 타차량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가 중복되어 있을 경우의 상호 간섭을 회피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o such a problem,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of avoiding mutual interferenc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of the vehicle is overlapp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of the other vehicle by making the polling period different for each vehicle.

JP 5218572 B2JP 5218572 B2

그러나, 휴대기에 있어서의 노이즈란, 타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뿐만이 아니다. 예를 들어, 자차량이나 타차량, 다른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발하는 전파가 노이즈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구성을 적용했다고 하더라도, 타차량이 폴링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하는 타이밍이 우연히 겹칠 우려가 있다.However, the noise in the portable device is not onl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ther vehicle. For example, there is a fear that radio waves emitted from an actuator mounted on a vehicle, another vehicle, or another device may become noise.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Patent Document 1 is appli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iming at which the other vehicle polls and the timing at which the vehicle is polled accidentally overlap.

그리고,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려,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When noise is present,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from the vehicle can not be normally received, which may deteriorat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본 개시는,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를 휴대기가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possibility that a mobile device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a vehicle-mounted device due to noise.

본 개시의 일례에 의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기와,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지고, 차량의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기는,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소정의 통신 방식에 준한 신호를 휴대기에 송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와,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변경하는 통신 방식 변경부와, 휴대기로부터 차량 탑재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를 구비한다.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차량 탑재기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와,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와,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통신 방식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통신 방식에 준하여 수신 처리하는 수신 처리부와, 차량 탑재기에 대한 신호를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 송신하는 휴대기측 송신부와, 수신 처리부에 의한 수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적어도 차량 탑재기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인 제1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유무를 판정하는 노이즈 판정부를 구비한다.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휴대기측 송신부는,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통신 방식 선택부가 새롭게 선택한 통신 방식을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방식 변경부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An electronic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vehicle-mounted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d a portable de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mounted device and carried by a user of the vehicle. The vehicle-mounted devic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using radio wave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includes a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o the portable device, A communication method changing unit that changes a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a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unit to transmit a signal to a portable devic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supported by the on-board device transmitting unit; And a vehicle-mounted-apparatus-side receiver for receiving signals in a second frequency band.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 to be employ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 from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modes support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side transmission unit, a first frequency-side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for receiv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selected by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a portable-device-side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he vehicle- A nois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at a first use frequency, which is a frequency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from at least the vehicle-mounted device to the mobile device, among the frequencies belong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ception process by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Respectivel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judging section that there is noise,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selects a communication mode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mode currently employed as a communication mode to be adopt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 side transmitting sectio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transmits a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he on-board device to employ a newly selected communication mode. The communication method changing section changes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the vehicle-mounted-device-side transmitting section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device to the communication method designated by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when the vehicle-mounted device-side receiving section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기는,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소정의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기에 신호를 송신할 때의 통신 방식을,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 즉, 차량 탑재기는,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휴대기에 신호를 송신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that there is noise, the portable device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vehicle-mounted device, a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device by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a communication method currently employed And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o change. When the vehicle-mounted device receives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he vehicle-mounted device changes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mobile device to the communication method indicated in the received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hat is, the vehicle-mounted device dynamically changes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어떤 통신 방식에 준하여 차량 탑재기가 송신한 신호가,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모든 통신 방식에 있어서,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휴대기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을 가능성은 작다.This can occur when a signal transmitt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 according to a certain communication method is not normally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due to noise. However, in all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a plurality of types that can employ the vehicle-mounted-device-side transmitting unit, the possibility that the mobile device can not normall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device due to noise is small.

상기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어느 통신 방식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휴대기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를 휴대기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since the communication system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device is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to transmit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an be expected to be normally received in the portable devi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mobile device can not receive the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device due to the noise.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2는 차량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휴대기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4는 휴대기측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 및 휴대기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 및 휴대기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key system for a vehicl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side control unit,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ortable-device-side processin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side control section and a portable-device-side control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side control section and a portable-device-side control s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0)를 구비한다. 휴대기(200)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대응지어져 있으며, 차량에 대한 고유의 키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편의상, 이후에는, 휴대기(200)에 대응지어져 있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탑재된 차량을 자차량이라고 칭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key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n electronic key system 1 for a vehicle includes a vehicle mounting system 100 mounted on a vehicle and a portable device 200 carried by the user. The portable device 200 is associated with the in-vehicle system 100 and has a function as a unique key for the vehicle. For convenience sake, hereinafter, a vehicle on which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200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vehicle.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휴대기(200)는 각각, 서로 소정의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한 무선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주지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The in-vehicle system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each have a function for realizing a well-known smart entry system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radio wave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구체적으로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차실 내 및 차량 주변의 소정 범위(무선 통신 에어리어라 함)를 향하여 소정의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기(200)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대하여 소정의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반송하는 기능을 갖는다.Specifically,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ransmits a signal in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toward a predetermined range (called a wireless communication area) in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portable device 200 also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in-vehicle system 100 and conveying a signal in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to the in-vehicle system 100.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제1 주파수대란 20㎑부터 200㎑까지의 주파수를 가리키고, 제2 주파수대란 300㎒부터 400㎒까지의 주파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제1 주파수대, 제2 주파수대가 가리키는 범위는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Here, as an example, the first frequency band refers to a frequency from 20 kHz to 200 kHz,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refers to a frequency from 300 MHz to 400 MHz. Of course, the range indicated by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는 제1 주파수대 중, 22㎑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30㎑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출력하는 전파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는, 일본 국내에서의 전파법에서 유래되는 것으로서, 다른 나라에 있어서는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 frequency of 22 kHz is use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the mobile device 200. [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to be output,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radio wav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30 kHz for transmission of signals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the mobile device 200. This effect is derived from the Radio Law in Japan, and is not limited to other countries.

그리고,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경우, 휴대기(200)와 무선 통신에 의한 대조 처리를 실시하고, 대조가 성립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 등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휴대기(200)를 휴대한 유저는, 키로서의 휴대기(200)를 조작하는 일 없이, 도어의 시정/해정, 엔진의 시동/정지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형성하는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적절히 설계되면 되고, 예를 들어 차실 외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차량으로부터 수미터 이내의 범위로 한다.When the portable device 200 is presen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the in-vehicle system 100 carries out a verification process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200, and based on the verification, And executes various controls for executing engine starting, engine starting, and the like. Thus,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device 200 can realize the correcting / unlocking of the door and the start / stop of the engine without operating the portable device 200 as a key.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formed by the in-vehicle system 100 may be suitably design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other than the vehicle room is within a range of several meters from the vehicle.

또한, 휴대기(200)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유저에 의해 조작된 스위치에 따른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시정/해정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소위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 기능을 갖는다. 이렇게 휴대기(200)는 차량의 키로서 기능한다. 이하, 이들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ortable device 200 also has a switch operated by the user. By transmi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witch operated by the user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control such as correcting /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is executed Called remote keyless entry function. Thus, the portable device 200 functions as a key of the vehicle. Hereinafter, the respective parts constituting the electronic key system 1 for vehic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구성][Configuration of Vehicle Mounting System 100]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조 ECU(110),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 터치 센서(140), 스타트 버튼(150), 및 바디 ECU(160)을 구비한다. 대조 ECU(110)는, 상술한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대조 ECU(110)와,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 터치 센서(140), 스타트 버튼(150) 및 바디 ECU(160) 각각은, 차량 내에 구축된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대조 ECU(110)는, 더 세부적인 구성 요소로서, 차량측 제어부(111)와, 수신부(112)와, 송신 제어부(113)를 구비한다. 대조 ECU(110)가 본 개시의 차량 탑재기에 상당한다.1, the vehicle mounting system 100 includes a control ECU 110, a vehicle-side receiving antenna 120, a vehicle-side transmitting antenna 130, a touch sensor 140, a start button 150, And an ECU (160). The verification ECU 110 i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executes various processes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smart entry system. Each of the control ECU 110, the vehicle-side receiving antenna 120, the vehicle-side transmitting antenna 130, the touch sensor 140, the start button 150, and the body ECU 160 is connected to a LAN Area Network). The control ECU 110 further includes a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a receiving unit 112,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which are more detailed components. And the control ECU 110 corresponds to the vehicle-mounted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는 제2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부(112)에 출력한다.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는 차량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The vehicle-side receiving antenna 120 receives the radio wave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receiving unit 112. At least one of the vehicle-side receiving antennas 12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ich is properly designed in the vehicle.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는 송신 제어부(11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1 주파수대의 전파로 변환하여 공간에 방사한다.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는 차량의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 핸들 부근과, 트렁크 도어의 도어 핸들 부근 및, 차실 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하는 에어리어(도달 에어리어라고 함)는 원하는 무선 통신 에어리어를 형성하도록 결정된다.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 130 converts the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into a radio wav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radiates it into the space. 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 130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side transmitting antenna 130 is installed near the door handle installed on each door of the vehicle, near the door handle of the trunk door, and at any position in the vehicle. An area (referred to as a reach area) where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s 130 arrive is determined to form a desired radio communication area.

터치 센서(140)는 차량의 각 도어 핸들에 장비되며, 유저가 그 도어 핸들을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각 터치 센서(140)의 검출 결과는, 대조 ECU(110)[구체적으로는 차량측 제어부(111)]에 순차 출력된다.The touch sensor 140 is mounted on each door handle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at the user is touching the door handle.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respective touch sensors 140 are sequentially output to the control ECU 110 (specifically,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스타트 버튼(150)은 유저가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푸쉬 스위치이다. 스타트 버튼(150)은 유저에 의해 푸시 조작이 되면,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차량측 제어부(111)에 출력한다.The start button 150 is a push switch for the user to start the engine. When the push button 150 is pressed by the user, the start button 150 output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fact to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바디 ECU(160)는,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제어하는 ECU이다. 예를 들어 바디 ECU(160)는, 대조 ECU(1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차량에 설치된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각 차량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 모터에 출력하고, 각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수신부(112)는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차량측 제어부(111)에 제공한다. 이 수신부(112)가 본 개시의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에 상당한다.The body ECU 160 is an ECU that controls various actuators (not shown) mounted on the vehicle. For example,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the comparison ECU 110, the body ECU 160 outputs a drive signal for controlling the time constant of the door installed in the vehicle to the door lock motor installed in each vehicle door, We do the time fixing. The receiving unit 112 demodulates the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side receiving antenna 120 and provide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This receiving unit 112 corresponds to a vehicle-mounted-apparatus-side receiving unit of the present disclosure.

송신 제어부(113)는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입력된 기저 대역 신호를 반송파 신호로 변조한 신호(송신 신호라 함)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생성된 송신 신호를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에 출력하고, 전파로서 방사시킨다.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generates a signal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signal) obtained by modulating the baseband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into a carrier signal. Then, the generated transmission signal is output to 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 130 and is radiated as a radio wave.

이 송신 제어부(113)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변조 방식에 준하여 기저 대역 신호를 변조하고,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 송신 제어부(113)가 본 개시의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에 상당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송신 제어부(113)는 PSK(Phase Shift Keying),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의 3개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and modulates the baseband signals according to the modulation scheme indicated by the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and generates transmission signals . This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an example,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three modulation schemes of PSK (Phase Shift Keying), ASK (Amplitude Shift Keying), and FSK (Frequency Shift Keying).

보다 구체적으로는, PSK로서, BPSK(Binary-PSK)를 채용하고, FSK로서는, CPFSK(Continuous Pahse FSK)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PSK로서는, 기타의 위상 편이 변조 방식, 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기타 형태로서 송신 제어부(113)는 BPSK와 QPSK 등의 복수 종류의 PSK에 대응하고 있으며, 복수 종류의 PSK 중에서도 채용하는 변조 방식을,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분지어 사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송신 제어부(113)는 다른 변조 방식, 예를 들어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assumed that BPSK (Binary-PSK) is employed as the PSK and CPFSK (Continuous Pahse FSK) is employed as the FSK. Of course, other phase shift keying schemes such as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may be employed as the PSK.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kinds of PSKs such as BPSK and QPSK as other forms, and uses a modulation scheme adopted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PSKs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 Als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may correspond to another modulation method, for example, 16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한, 여기에서의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다는 구성은,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어느 변조 방식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들의 변조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 및, 채용하는 변조 방식을 전환하는 기능은,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herein means that any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can be implemented.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modulation processing and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modulation method to be employe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in software. Here, it is assumed that it is implemented in software as an example.

차량측 제어부(111)는 CPU, ROM, 플래시 메모리, RAM, I/O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차량측 제어부(111)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측의 처리를 실행한다.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is mainly composed of a microcomputer including a CPU, a ROM, a flash memory, a RAM, and an I / O, and executes various programs by executing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OM. For example,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executes processing o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side for realizing the smart entry system.

이 차량측 제어부(111)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으로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처리부 F1, 차량 정보 취득부 F2, 대조 처리부 F3, 및 변조 방식 변경부 F4A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측 제어부(111)가 구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1개 또는 복수의 IC 등을 사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This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is a functional block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processing section F1, a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section F2, a verification processing section F3, and a modulation mode changing section F4A as shown in Fig. 2 . In additio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using one or more ICs.

통신 처리부 F1은,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를 통해 수신부(112)가 수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 F1은,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시키기 위한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또는 취득)하고,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1 acquires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12 via the vehicle-side receiving antenna 120. [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1 generates (or acquires) a baseband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 130, and outputs it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

차량 정보 취득부 F2는, 터치 센서(140)나, 스타트 버튼(150), 바디 ECU(160) 등의 차량에 탑재된 센서나 ECU로부터,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도어 핸들에 유저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 스타트 버튼(150)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 도어의 개폐 상태나, 각 도어의 시정/해정 상태 등이 해당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ing section F2 obtains various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the vehicle from sensors or ECUs mounted on the vehicle such as the touch sensor 140, the start button 150, and the body ECU 160 .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door handle, whether the start button 150 is depressed,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and whether the door is in the open / closed state.

도어 핸들에 유저가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는, 터치 센서(140)로부터 취득할 수 있고, 스타트 버튼(150)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는 스타트 버튼(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 상태나, 각 도어의 시정/해정 상태 등은, 바디 ECU(16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시프트 포지션 센서가 검출하는 시프트 포지션이나,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의 검출 결과 등도 차량 정보에 포함된다.Whether or no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door handle can be obtained from the touch sensor 140. Whether or not the start button 150 is depressed can be determined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start button 150. [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the corrective / unbalanced state of each door, and the like are obtained from the body ECU 160. [ The vehicle information also includes a shift position detected by a shift position sensor (not shown), a detection result of a brake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and the like.

대조 처리부 F3은, 휴대기(200)와의 무선 통신에 의한 대조를 실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대조 관련 처리라고 함)를 실시함으로써, 주지의 스마트 엔트리 기능을 실현한다. 이 대조 관련 처리의 수순은 주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verification processing unit F3 implements a well-known smart entry function b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es (referred to as verification-related processing) for performing verific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200. [ Since the procedure of the verification related processing is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개략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대조 처리부 F3은 통신 처리부 F1과 협동하여, 폴링 신호를 소정의 폴링 주기(예를 들어 200밀리초)로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한다. 이 폴링 신호는, 휴대기(200)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고,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조 처리부 F3이 판정하기 위한 신호이다.The outline is as follows.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 verification processing section F3 cooperates wit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section F1 to transmit the polling signal from the vehicle-side transmitting antenna 130 at a predetermined polling period (for example, 200 milliseconds). This polling signal is a signal for requesting a response to the portable device 200 an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200 exist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by the verification processing part F3.

그리고 대조 처리부 F3은,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고, 또한, 대조 처리를 실시해야 할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대조 처리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대조 처리부 F3은,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진입한 것을 검지했을 때나, 스타트 버튼(150)이 푸쉬되었을 때 등에 대조 처리를 실시한다.Then, the verification processing section F3 starts verification processing when the portable device 200 is presen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nd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performing the verification processing is satisfied.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F3 detects that the portable device 200 enters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of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while the vehicle is parked, or when the start button 150 is pushed A ver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또한,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휴대기(200)가 진입했는지 여부는,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폴링 신호에 대한 휴대기(200)로부터의 응답의 유무에 기초하여 판정하면 된다. 즉, 웨이크 신호에 대한 휴대기(20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기(20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진입했다고 판정하면 된다.Whether or not the mobile device 200 has enter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sponse from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polling signal transmitted periodically. That is, when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device 200 is received while the state in which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portable device 200 to the wake signal is not received continues, the portable device 200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has enter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대조 처리에서는 통신 처리부 F1과 협동하여, 휴대기(200)에 대하여 휴대기(200) 고유의 ID(휴대기 ID)로부터 생성되는 ID 코드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대조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대조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서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통신 처리부 F1이 취득한 경우에는, 그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를 해석하고, 당해 응답 신호를 송신한 휴대기(200)가 정규의 휴대기(20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In the verification processing, a verific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portable device 200 to transmit an ID code generated from an ID (portable device ID) unique to the portable device 200 is transmitted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F1. Thereafter, when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1 acquires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as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verification request signal, the ID code contained in the response signal is analyz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rtable device 200 is a regular portable device 200 or not.

그리고, 휴대기(200)의 대조가 성공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 있어서의 차량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처리(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의 준비 처리)를 실시한다.Then, when the verif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200 is successful, various processes (preparatory processing of the door and preparation of the engine star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t that time are performed.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변조 방식을 지정하는 제어 신호(변조 방식 제어 신호라고 함)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차량측 제어부(111)는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임의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시킨 신호를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시킬 수 있다. 이 변조 방식 변경부 F4A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변경부의 일례에 상당한다.The modulation scheme changing section F4A outputs a control signal (referred to as a modulation scheme control signal) designating a modulation scheme t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 Thus,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can transmit, from 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 130, a signal modulated by an arbitrary modulation method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ystems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 This modulation method changing section F4A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 변조 방식 변경부 F4A가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란,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후술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부(112)가 수신한 경우이다. 이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이 나타나 있으며,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변조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modulation scheme changing unit F4A outputs the modulation scheme control signal when the receiving unit 112 receives a scheme change instruction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 The modulation scheme changing unit F4A outputs a modulation scheme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switching to the modulation scheme indicated by the received scheme change instruction signal do.

또한,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일단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에 있어서, 변조 방식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즉, 새로운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형태로 한다. 그 경우, 송신 제어부(113)에서는, 마지막으로 입력된 변조 방식 제어 신호에 준한 변조 방식을 계속해서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다른 형태로서, 변조 방식 지정 지시 신호는 순차 출력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Here, as an example, the modulation method changing section F4A, after once outputting the modulation method control signal, does not need to change the modulation method, that is, when the new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s not received, A control signal is not output.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ntinuously adopts the modulation scheme based on the modulation scheme control signal last input. Of course, as another form, the modulation mode designation command signal may be output in a sequential manner.

또한, 대조 ECU(110)의 기동 직후에 있어서는,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디폴트 변조 방식이라고 함)으로 변조하도록 지시하는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디폴트 변조 방식은, 적절히 설계되면 되고, 여기에서는 PSK(보다 상세하게는 BPSK)로 한다.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comparison ECU 110, the modulation scheme changing unit F4A outputs a modulation scheme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modulation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referred to as a default modulation scheme)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do. The default modulation scheme may be suitably designed and is referred to herein as PSK (more specifically, BPSK).

[휴대기(200)의 구성][Configuration of Portable Device 200]

이어서, 휴대기(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기(2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기측 제어부(210)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와,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를 구비한다. 휴대기측 제어부(210)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 및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 각각과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1, the portable device 200 includes a portable device-side control unit 210, a portable device-side receiving antenna 220, and a portable device-side transmission antenna 230. The portable device- The portable unit side control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unit side reception antenna 220 and the portable unit side transmission antenna 230 in a communicable manner.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는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기측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는 휴대기측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 변환하여 공간에 방사한다. 이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본 개시의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에 상당한다.The portable-unit-side receiving antenna 220 receives radio wave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 waves into electric signals, and outputs the electric signals to the portable-unit-side control unit 210. The portable-unit-side transmitting antenna 230 converts a signal input from the portable-unit-side control unit 210 into a radio wave of a second frequency band and radiates it into a space. This portable-unit-side receiving antenna 220 corresponds to the antenna for the first frequency in the present disclosure.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CPU, ROM, 플래시 메모리, RAM, I/O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휴대기측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ROM에는 상기 프로그램 외에, 휴대기(200) 고유의 ID인 휴대기 ID가 저장되어 있다.The portable unit side control unit 210 is mainly composed of a microcomputer including a CPU, a ROM, a flash memory, a RAM, and an I / O, and executes various processes by executing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ROM. For example, the portable device side control unit 210 executes the process of the portable device for realizing the smart entry system. In addition to the above program, the ROM stores a portable ID that is an ID unique to the portable device 200. [

이 차량측 제어부(111)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으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처리부 G1, 변조 방식 선택부 G2A, 및 송신 처리부 G3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기측 제어부(210)가 구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1개 또는 복수의 IC 등을 사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is a functional block realized by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program, and includes a reception processing unit G1, a modulation method selection unit G2A,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G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device side control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using one or more ICs.

수신 처리부 G1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 처리(복호도 포함)를 실시하고,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송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수신 처리부 G1은,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할 수 있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조 처리가 실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부 G1은, PSK, ASK, FSK의 3개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신 처리부 G1은,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 중, 후술하는 변조 방식 선택부 G2A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변조 방식에 대응한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초기 상태로서 수신 처리부 G1은, 디폴트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converts the reception signal received by the portable-unit-side reception antenna 220 into a digital signal, performs demodulation processing (including decoding), and acquires data transmitted by the vehicle-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demodula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kinds of modulation methods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an employ. Specifically,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demodulating process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ee modulation methods PSK, ASK, and FSK.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performs demodula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modulation method selected by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on section G2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modula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methods. In the initial state,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performs demodula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default modulation method.

또한, 이 수신 처리부 G1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제1 사용 주파수라 함)의 노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노이즈 판정부 G11을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노이즈란, 차량 탑재 시스템(100) 이외의 장치나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된 제1 사용 주파수의 전파 중, 그 신호 강도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휴대기(200)가 정상적으로 수신(복조)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레벨이 되어 있는 전파를 가리킨다. 즉, 노이즈가 존재하는 상태란, 휴대기(200)가 제1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전파 방해를 받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includes a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noise of a frequency (referred to as a first use frequency) used for transmission of a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the mobile device 200 exists Respectively. Note that the noise here refers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the portable device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Demodulation) can not normally be received (demodulated). That is, a state in which noise exists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200 is under the radio wave disturbance at the first use frequency.

휴대기(200)가 전파 방해를 받는 경우란, 예를 들어 타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우연히 겹쳐져 버리고 있는 경우 등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30㎑ 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예를 들어 120 내지 140㎑)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에어리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The case where the portable device 200 is subjected to radio wave interference is,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timing at which the other vehicle transmits the polling signal and the timing at which the vehicle transmits the polling signal are accidentally overlapp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a radio wave of a frequency of 30 kHz or less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in-vehicle system 100 to the portable device 2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equency conventionally used (for example, The output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in the case of using radio waves of 140 kHz. As a result,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can be largely formed.

무선 통신 에어리어를 더 크게 형성하면, 유저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거나, 유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화하거나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타차량의 폴링 신호가 노이즈가 되기 쉬워진다. 즉,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30㎑ 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형태가 보급되고, 자차량뿐만 아니라 타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 시스템으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의 송신에 30㎑ 이하의 전파가 사용되게 되었을 경우, 타차량의 폴링 신호가 노이즈가 되어, 휴대기(200)가 전파 방해를 받기 쉬워져 버린다.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rea is formed to be larger, the range in which the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s expanded or the kinds of services to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diversified. As a resul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olling signal of the other vehicle is likely to become noise. In other words, a mode of using radio waves of a frequency of 30 kHz or less is popularized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s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the mobile device 200, and also for other vehicles as well as the vehicle itself. When a radio wave of 30 kHz or less is use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the polling signal of the other vehicle becomes noise, and the portable device 200 is easily disturbed by radio waves.

노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 방법은, 주지의 방법을 원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에 대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이나, 패리티 체크 등을 실시하여, 수신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된다.A method for judging whether or not noise is present may be a known method. For example, when a CRC (Cyclic Redundancy Check) method, a parity check, or the like is performed on data obtained by digitizing a reception signal received by the portable-unit-side reception antenna 220 and an error is detected in the reception data It is determined that noise exists.

또한,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이었던 수신 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미리 정해진 비트 열로 이루어지는 커맨드나 코드를 검출할 수 없었을 경우에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즉, 수신 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휴대기(200)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포맷에 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된다.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data obtained by digitizing a received signal whos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judge that there is noise when a command or a code composed of a predetermined bit string can not be detected. That is, when the data obtained by digitizing the received signal does not conform to the format us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vehicle system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it is determined that noise exists.

또한,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 신호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수신한 경우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노이즈 판정부 G11은,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변조 방식 선택부 G2A에 통지한다.Furth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ise when a signal in whic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ise is present,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notifies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on unit G2A of the fact.

또한, 수신 처리부 G1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송신 처리부 G3에 제공한다. 정상적인 데이터란,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 깨짐 등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소정의 커맨드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킨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normal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provides the data to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Normal data refers to data that can not be uncorrected, such as data corruption, and can recognize a predetermined command or code.

변조 방식 선택부 G2A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계통[송신 제어부(113) 등]이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과는 상이한 소정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 선택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 처리부 G3에 송신시킨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에 대하여, 선택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조하도록 지시한다.The modulation scheme selection unit G2A is currently employed as the modulation scheme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such as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of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And selects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different from the modulation scheme. Then, it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for instructing transmission of the modulated signal by the selected modulation method to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Further, it instructs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to perform demodulation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ulation method.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조 방식 선택부 G2A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3개의 변조 방식 중,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과는 상이한 변조 방식을 채용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이 PSK일 경우에는, 다음에는 FSK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이 FSK일 경우에는, ASK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on section G2A instructs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of the in-vehicle system 100 to employ a modulation scheme different from the currently adopted modulation scheme among the three modulation schemes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 For example, if the currently adopted modulation scheme is PSK, then a schem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o change to FSK is transmitted. When the currently adopted modulation scheme is FSK,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o change to ASK is transmitted.

변경처의 변조 방식은, 미리 설계된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면 된다. 예를 들어 변조 방식 선택부 G2A는, 디폴트 변조 방식(여기서는 PSK)으로부터,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순서로 한바퀴 돌게 하면 된다. 또한, PSK→FSK→PSK→ASK→PSK와 같이, 디폴트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일단 디폴트 변조 방식으로 되돌리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선택부의 일례에 상당한다.The modulation scheme to be changed may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a rule designed in advance. For example,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on unit G2A may tur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ach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from the default modulation method (PSK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ise in a state other than the default modulation system, such as PSK? FSK? PSK? ASK? PSK, the system may be returned to the default modulation system once. This modulation method selecting section G2A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ng s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송신 처리부 G3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에 출력하고,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서 송신시킨다. 이 송신 처리부 G3이 본 개시의 휴대기측 송신부에 상당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하는 신호란, 상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 외에, 수신 처리부 G1이 수신 및 복조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 G1이 대조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휴대기 ID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준하여 ID 코드를 생성하고, 당해 ID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반송한다. 즉, 송신 처리부 G3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를 실시하고, 응답 신호를 반송한다.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generat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outputs it to the portable-unit-side transmission antenna 230, and transmits it as a radio wave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This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corresponds to the portable unit side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includ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a response signal to data received and demodulated by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For example, when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G1 receives the verification request signal, it generates an ID code from the portable device I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the ID code. That is, when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G3 performs a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returns the response signal.

(휴대기측 처리)(Portable-side processing)

이어서, 휴대기(200)가 실시하는 처리(휴대기측 처리라고 함)에 대해서,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가 일정한 역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개시되면 된다.Next,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portable device 200 (referred to as a portable device side proces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The flow chart shown in Fig. 4 may be started when, for example, a signal whos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received.

또한, 일반적으로 휴대기(200)는 동작 모드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통상 모드와, 통상 모드와 비교하여 실행 가능한 기능을 한정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모드인 슬립 모드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는, 슬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했을 때, 개시되어도 된다. 또한, 슬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란, 폴링 신호를 수신한 경우 외에, 휴대기(200)에 설치된 스위치(도시 생략)가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경우 등이다.In general, the portable device 200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normal mode capable of performing a response process to a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vehicle system 100 and a function capable of being executed in comparison with the normal mode are defined, And a sleep mode which is a mode for suppressing power. The flowchart shown in Fig. 4 may be started when transition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The transition from the sleep mode to the normal mode is a case where a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200 is operat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polling signal is received.

먼저, S101에서는 수신 처리부 G1이,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 처리를 실시하여, S102로 이동한다. S102에서는 수신 처리부 G1이, 수신 데이터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정상적인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상적인 데이터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 깨짐(즉, 비트 에러) 등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소정의 커맨드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킨다.First, in step S101,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converts the reception signal received by the portable-device-side reception antenna 220 into a digital signal, performs demodulation processing, and moves to step S102. In step S102,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eived data is normal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 As described above, normal data refers to data that can not be uncorrected (that is, a bit error) or the like and does not cause a predetermined command or code to be recognized.

또한,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란,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나, 노이즈의 영향에 따라 부분적으로 데이터 깨짐이 발생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가리킨다. 어느 쪽이든,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니었을 경우란, 노이즈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S102는 노이즈 판정부 G11이 노이즈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에 상당한다.The case of receiving data other than normal data refers to a case where noise is received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where data corruption occurs partially due to the influence of noise is received. In any case, when the received data is not normal data, it means that noise exists. Therefore, this step S102 corresponds to the processing in which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S102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02가 "예"가 되어 S103으로 이동한다. 한편, S102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02가 "아니오"가 되어서 S104로 이동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102 that the received data is normal data, S102 is YES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103.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102 that the received data is not normal data, S102 returns to "NO"

S103에서는 송신 처리부 G3이, 수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한다. 이 S103에서의 처리가 완료되면, 본 플로우를 종료한다.In S103,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generates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ta. When the processing in S103 is completed, this flow ends.

S104에서는 노이즈 판정부 G11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하여 S105로 이동한다. S105에서는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계통이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과는 상이한 소정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고, S106으로 이동한다.In S104, the noise determining section G11 determines that noise is present and moves to S105. In step S105,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on unit G2A selects a predetermined modulation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ly adopted modulation method as a modulation method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and moves to step S106.

S107에서는 송신 처리부 G3이,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선택한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은,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선택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조를 행하도록 설정을 변경한다. 이 S107에서의 처리가 완료되면 본 플로우를 종료한다.In step S107,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generates and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for instructing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ng section G2A to transmit the signal by the modulation method selected by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ng section G2A. Further,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changes the setting so that demodulation is performed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modulation method selected by the modulation method selecting section G2A. When the processing in S107 is completed, this flow ends.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200)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그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따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 형태를 변경한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변조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determining that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the portable device 200 transmits a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to instruct the vehicle mounting system 100 to change the modulation mode. When the in-vehicle system 100 receives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he in-vehicle system 100 changes the communication form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mobile device 200 using the modul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dynamically changes the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obile device 200. [

가령 타차량의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겹쳐 버리는 경우이더라도, 변조 방식이 상이하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조할 수 있다.Even if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polling signal of the other vehicle and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polling signal of the other vehicle overlap each other, the signal from the vehicle can be normally demodulated if the modulation scheme is different.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mobile device 200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due to noise.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 실시 형태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고, 또한, 하기 이외에도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various modifications .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의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구성의 일부에만 언급하고 있을 경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제1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member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mentioned,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earlier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 시스템(100) 및 휴대기(200)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 휴대기(200)의 개략적인 구성도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주된 상위점은,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의 대처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변조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사용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한다. 이하, 이 상위점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vehicle mounting system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outline configuration of the in-vehicle system 100 and the portable device 200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a coping method in a case where noise of the first use frequency exists. Specifically,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fluence of noise is suppressed by changing the modulation metho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luence of noise is suppressed by changing the first use frequency. Hereinafter, the portion related to this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부(113)는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주파수를 반송 주파수(즉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송신 제어부(113)는 22㎑, 25㎑, 28㎑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다는 구성은, 3개의 상이한 주파수 중, 어느 주파수도 반송 주파수로서 채용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송신 제어부(113)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는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in the second embodiment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of frequencies out of the frequencies belong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selects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vehicle side control section 111 from among the plural types of frequencies And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at the carrier frequency (i.e., the first used frequency). Here,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three different frequencies of 22 kHz, 25 kHz, and 28 kHz.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that corresponds to three different frequencies here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any one of three different frequencies can be adopted as the carrier frequency. That is,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is configured to dynamically change the frequency to be employ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out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of frequencies.

물론,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는 주파수의 수나, 구체적인 주파수의 값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제어부(113)는 2개나, 4개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3개의 주파수 모두, 30㎑ 이하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113)는 125㎑, 130㎑, 134㎑의 3개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23㎑, 29㎑, 125㎑, 134㎑의 3개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Of course, the number of frequencies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and the specific frequency value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may correspond to two or four or more frequencies. Incidentally, as an example, all three frequencies are set to 30 kHz or l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may correspond to a frequency of 100 kHz or more.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may correspond to three frequencies of 125 kHz, 130 kHz, and 134 kHz. Further, it may correspond to three frequencies of 23 kHz, 29 kHz, 125 kHz, and 134 kHz.

반송 주파수(즉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는 주파수를 전환하는 기능 및, 그 채용한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은,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주파수로 겸용하는 것으로 한다.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adopted frequency as the carrier frequency (i.e., the first used frequency) and the function of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employed frequency may be realized by hardware or by software. Here,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hardware resources for generating transmission signals are controlled by software and used for a plurality of frequencies.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111)는 기능 블록으로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변경부 F4B를 구비한다. 주파수 변경부 F4B는,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해야 할 주파수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주파수 제어 신호라고 함)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차량측 제어부(111)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여기서는 3개)의 주파수 중, 임의의 주파수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게재한 송신 신호를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시킬 수 있다. 이 주파수 변경부 F4B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변경부의 일례에 상당한다.In addition, the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in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as a functional block as shown in Fig. The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outputs t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a control signal (referred to as a frequency control signal) designating a frequency to be employ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Thus,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can transmit, from the vehicle-side transmission antenna 130, a transmission signal in which data is placed on a carrier wave of an arbitrary frequency out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here, three frequencies). This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주파수 변경부 F4B가 주파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부(112)가 수신한 경우이다. 단,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이 아니라, 송신 제어부(113)가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해야 할 주파수가 나타나 있다. 주파수 변경부 F4B는,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case where the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outputs the frequency control signal is a case where the receiving section 112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 the second embodiment indicates not the modulation scheme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but the frequency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should employ as the first use frequency. The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outputs a frequency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employ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received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as the first use frequency.

또한, 대조 ECU(110)의 기동 직후에 있어서는, 주파수 변경부 F4B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디폴트 주파수라고 함)를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디폴트 주파수는, 적절히 설계되면 되고, 여기에서는 22㎑로 한다.Further,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comparison ECU 110, the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outputs to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a frequency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employ a predetermined frequency (referred to as a default frequency) as the first use frequency . The default frequency has to be designed properly and is set to 22 kHz here.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수신 처리부 G1, 주파수 선택부 G2B, 및 송신 처리부 G3을 구비하고 있다.The portable device side control unit 210 in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reception processing unit G1, a frequency selection unit G2B,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G3.

수신 처리부 G1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제1 사용 주파수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 처리(복호도 포함)를 실시하여,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송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수신 처리부 G1은,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할 수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후술하는 주파수 선택부 G2B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선택되어 있는 주파수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초기 상태로서, 수신 처리부 G1은, 디폴트 주파수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converts the signal of the first use frequency received by the portable-unit-side reception antenna 220 into a digital signal and performs demodulation processing (including decoding) to convert the data transmitted by the vehicle- .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corresponds to each of a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that can be employ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the frequency selection section G2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modul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for the signal of As an initial state,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performs demodulation processing on the signal of the default frequency.

또한, 이 수신 처리부 G1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노이즈 판정부 G11을 구비한다. 노이즈 판정부 G11은, 적어도, 주파수 선택부 G2B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선택되어 있는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노이즈의 유무의 판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includes a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determines whether or not noise of a frequency select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exists by at least the frequency selection section G2B.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is as described above.

주파수 선택부 G2B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계통이 채용해야 할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제어부(113)가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와는 상이한 소정의 주파수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선택한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 처리부 G3에 송신시킨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에 대하여, 선택한 주파수 성분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도록 지시한다.The frequency selection unit G2B is a frequency selection unit G2B that selects a frequency at which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is to be us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to be employed by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Selects a predetermined frequency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ly adopted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that can be employ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Then, it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o instruct 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to transmit a transmission signal having the selected frequency as the first use frequency. Further, it instructs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to demodulate the reception signal of the selected frequency component.

변경처의 주파수는, 미리 설계된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면 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선택부 G2B는,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22㎑일 경우에는, 다음에는 제1 사용 주파수로서 25㎑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25㎑일 경우에는, 28㎑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시킨다. 즉, 주파수 선택부 G2B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될 때마다, 디폴트 주파수로부터 미리 정해진 순서로 한바퀴 돌게 하면 된다.The frequency to be chang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signed rule. For example, when the currently adopted frequency is 22 kHz, the frequency selecting section G2B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o change to the first use frequency to 25 kHz. When the currently adopted frequency is 25 kHz,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o change to 28 kHz is transmitted. That is, the frequency selecting unit G2B may be turned by one cycle from the default frequency in a predetermined order every time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determining unit G11 that noise exists.

또한, 주파수 선택부 G2B는, 22㎑→25㎑→22㎑→28㎑→22㎑와 같이, 디폴트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선택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일단 디폴트 주파수로 되돌리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주파수 선택부 G2B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선택부의 일례에 상당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ise in a state where a frequency other than the default frequency is select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such as 22 kHz? 25 kHz? 22 kHz? 28 kHz? 22 kHz, The frequency may be once returned to the default frequency. This frequency selection section G2B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송신 처리부 G3은, 앞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방식 변경 지시 신호나 응답 신호와 같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 및,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에 출력하고, 송신시킨다.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G3 generates and transmits to the vehicle-mounted transmission antenna 230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such a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or a response sign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기(200)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1 사용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그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따른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휴대기(200)에 송신하도록, 통신 형태를 변경한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제1 사용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that there is noise at a frequency currently employ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the portable device 200 changes the method for changing the first use frequency to another frequency And sends an instruction signal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Whe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the in-vehicle system 100 changes the communication mode so as to generate a transmission signal in which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s set to the first use frequency and transmit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mobile device 200 . 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dynamically changes the first us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200. [

가령 타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겹쳐 버리는 경우에도, 각각의 제1 주파수로서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상이하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조 및 수신할 수 있다.Even if the timing at which the other vehicle transmits the polling signal overlaps the timing at which the own vehicle transmits the polling signal, if the frequency employed as the first frequency is different, the signal from the vehicle is normally demodulated and received can do.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타차량과 자차량 각각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겹쳐 버리는 경우이더라도, 타차량으로부터의 폴링 신호에 의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polling signal is overlapped with that of the other vehic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lling signal from the other vehicle can not normally receive the signal from the vehicle. Can be reduced.

또한, 휴대기(200)에 있어서의 노이즈란, 타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뿐만은 아니다. 다양한 기기로부터 발해지는 전파가, 제1 사용 주파수와 일치하고 있으며, 그 신호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전파(즉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차량이나 타차량, 다른 기계에 탑재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나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발하는 전파가 노이즈가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The noise in the portable device 200 is not only a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When the radio waves emitted from various devices coincide with the first use frequency and the signal strength thereof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is received by the radio waves (i.e., noise) It may become impossible to normally receive data. For example, radio waves emitted from an actuator or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or another vehicle, another machine, or the like may become noise.

또한, 그와 같이 액추에이터나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의 노이즈가 정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폴링 주기가 어떤 값이어도, 휴대기(200)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Further, in a situation where noise from the actuator o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normally occurs as such, even if the polling period is any value, the portable device 200 can not normally receive signals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

그러나, 어떤 주파수에 있어서 노이즈가 있는 경우이더라도,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의 모든 주파수에 있어서, 노이즈가 존재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However, even if there is noise at a certain frequency, there is a relatively small possibility that noise exists at all frequencies of plural kinds of frequencies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어떤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상황에 있어서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1 사용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운용한다. 그로 인해, 다양한 기기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 강도를 갖는 전파가 발해지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그 전파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ise by the noise determining unit G11 in a situation where a certain frequency is set to the first use frequency, the first use frequency is dynamically changed and operated. Therefore, even when a radio wave having a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issued from various devic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a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can not be received by the radio wave .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mobile device 200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due to noise.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의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구성의 일부만 언급하고 있을 경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제2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only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mentioned,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이다. 즉,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 변조 방식의 변경, 또는, 제1 사용 주파수의 변경, 그리고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한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통신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의 저감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The electronic key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n electronic key system for a vehicl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reduces the influence of noise by changing the modulation scheme, changing the first use frequency, and a combination thereof when noise of the first use frequency exists. That is, the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ttempts to reduce the influence of noise by changing the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the mobile device 200. [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부(113)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변조 방식에 준하여 기저 대역 신호를 변조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113)는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주파수를 반송주파수(즉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in the third embodiment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and modulates the baseband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modulation scheme indicated by the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 Further,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of frequencies among the frequencies belong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the frequency instructed from the vehicle-side control section 111 is referred to as a carrier frequency 1 used frequency).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11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PSK, FSK, ASK의 3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또한, 22㎑, 25㎑, 28㎑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corresponds to three types of modulation schemes of PSK, FSK, and ASK, and corresponds to three different frequencies of 22 kHz, 25 kHz, and 28 kHz .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11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방식 변경부 F4A, 및 주파수 변경부 F4B의 양쪽을 구비하는 통신 방식 변경부 F4를 구비하고 있다. 변조 방식 변경부 F4A나 주파수 변경부 F4B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통신 방식 변경부 F4는, 송신 제어부(113)로부터 송신시키는 신호의 반송 주파수 및 변조 방식(즉 통신 방식)을,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As shown in Fig. 6, the vehicle-side control unit 111 in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e changing unit F4 including both a modulation mode changing unit F4A and a frequency changing unit F4B. The operation of the modulation method changing section F4A and the frequency changing section F4B i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F4 plays a role of changing the carrier frequency and the modulation method (that is,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on the basis of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I am responsibl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과,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가 나타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변경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원의 휴대기(200)를 수신측[대조 ECU(110)]이 인식하기 위한 ID 코드와, 주파수 지정 커맨드와,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주파수 지정 커맨드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를 나타내는 비트 열이며,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비트 열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dulation scheme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and the frequency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may be indicated in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changing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ncludes an ID code for recognizing the transmitting side portable device 200 on the receiving side (the control ECU 110), a frequency specifying comm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signated command. The frequency assignment command is a bit string indicating the frequency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and the modulation mode designation command is a bit string indicating the modulation scheme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

또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반드시 주파수 지정 커맨드와,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변경의 필요가 없는 요소(주파수 또는 변조 방식)에 관한 커맨드는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Also,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both the frequency assignment command and the modulation method designation command, and even if the configuration change command signal does not include a command related to an element (frequency or modulation method) do.

다시 도 6으로 되돌아가서,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측 제어부(2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방식 선택부 G2A 및 주파수 선택부 G2B의 양쪽을 구비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 G2를 구비하고 있다. 변조 방식 선택부 G2A나 주파수 선택부 G2B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통신 방식 선택부 G2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반송 주파수 및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Returning to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unit side control unit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next. As shown in FIG. 6, the portable device side control unit 21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G2 including both a modulation mode selection unit G2A and a frequency selection unit G2B. The operation of the modulation scheme selection unit G2A and the frequency selection unit G2B i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G2 plays a role of selecting a carrier frequency and a modulation mode to be adop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의, 변조 방식 및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규칙은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우선은 변조 방식을 PSK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주파수를 22㎑, 25㎑, 28㎑의 순서로 한바퀴 돌게 한다. 어느 설정 상태여도 통신이 성공하지 않았거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었거나 했을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FSK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다시 주파수를 한바퀴 돌게 한다. 그리고, 어느 설정 상태여도 통신이 성공하지 않았거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되거나 했을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FSK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다시 주파수를 한바퀴 돌게 한다. 또한, 각 설정 상태는,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이더라도, 그 설정 상태로 되고 나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폴링 주기) 경과할 때까지는, 그 설정 상태를 유지해도 된다.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되어도,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ule for changing the modulation method and the frequenc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that noise exists is appropriately designed. Here, as an example, first, in the state where the modulation method is fixed by PSK, the frequency is turned by one turn in the order of 22 kHz, 25 kHz, and 28 kHz. If communication is not successful or noise is determined to be present in any setting state, the frequency is turned once again in a state where the modulation method is fixed to FSK. If the communication is not successful or noise is determined to be present in any setting state, the frequency is rotated once again in a state where the modulation method is fixed to FSK. In addition,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noise exists, each setting state may be maintain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 polling period) elapses after the setting state is entered. This is because,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ise, a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may be normally received.

또한, 여기에서 예시한 통신 방식의 변경 수순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변조 방식 및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규칙은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대적으로 노이즈 레벨이 작은 주파수를 특정할 수 있을 경우에는, 그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을 한바퀴 돌게 하는 처리를 우선적으로 실시시켜도 된다.In addition, the procedure for changing the communication method exemplified her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rule for changing the modulation method and the frequency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it is possible to specify a frequency having a relatively small noise level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a process of turning a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schemes around the frequency may be preferentially performed.

송신 처리부 G3은, 통신 방식 선택부 G2가 결정한 주파수 및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The transmission processing section G3 generates and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for instructing transmission of the signal by the frequency and modulation method determined by the communication method selection section G2.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기(200)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통신 방식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할 때의 형태를,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할 때의 통신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that there is noise, the portable device 200 transmits a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o instruct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to change the communication method. Upon receiving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changes the form when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communication method indicated by the received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dynamically changes the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20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200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ise.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ikelihood that the mobile device 200 will not be able to receive signals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due to nois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변형예 1)(Modified Example 1)

휴대기(200)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조건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는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로 해도 된다. 이것은, 휴대기(200)가 불필요하게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The condition for the portable device 200 to transmit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may be a case where noise having a certain similarity with the patter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unted system 100 is received. This is to prevent the portable device 200 from unnecessarily transmitting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자차량으로부터 이격된 장면이라도 휴대기(200)가 노이즈를 수신하는 것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자차량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일은 없고,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한편,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는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에는, 휴대기(200)가 자차량의 근처에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이며, 또한, 그 노이즈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는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형태로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t is sufficient that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noise even in a scene separated from the subject vehicle. It is not necessary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and transmit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noise having a certain similarity with the patter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is received, it is suggested that the portable device 200 may exist near the vehicle. Therefore, when the noise exists and the noise has a certain similarity with the patter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by transmitting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t is unnecessary to transmit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ransmission of a signal.

이 변형예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현되면 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그 선두에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수밀리초)의 버스트 신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기(200)는 그 규정된 길이 이상의 버스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이며, 또한, 그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펄스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is modification may be realized, for example, as follow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burst signal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several milliseconds) is provided at the head thereof. In such a configuration, the portable device 200 transmit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data is not normal data, in the case where the burst signal having the specified length or longer is receiv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ransmission of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can be suppressed when pulse noise is received.

또한, 일반적으로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선두에는,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프리앰블 부분은 데이터 전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프리앰블 부분이 노이즈의 영향에 의해 데이터 깨짐되어 버릴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프리앰블을 인식할 수 있는 정상적이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란, 노이즈의 영향에 의해 부분적으로 데이터 깨짐이 발생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즉, 휴대기(200)가 자차량 부근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인식할 수 있는 정상적이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In general, predefined preambles are arranged at the head of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Since the preamble portion is relatively short with respect to the entire data, the possibility that the preamble portion is broken due to the influence of noise is relatively small. Incidentally, the case where non-normal data capable of recognizing the preamble is received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in which data corruption partially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noise is received. That i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ortable device 200 is present near the vehicle. 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when the non-normal data capable of recognizing the preamble is received.

(변형예 2)(Modified example 2)

또한, 제2,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주파수의 수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수신 처리부 G1은,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미사용 주파수라고 함)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강도를 평가해도 된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when the number of frequencies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is three or more,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selects, from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13, The strength of the noise at a frequency (referred to as unused frequency) not adopt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may be evaluated.

예를 들어, 휴대기(200)의 수신 처리부 G1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로부터, 미사용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의 수신 신호 강도를 취득하고, 미사용 주파수마다의 수신 신호 강도를, 미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정보로서 주파수 선택부 G2B에 제공한다. 또한, 미사용 주파수의 주파수 성분은, 수신 신호로부터 주지의 필터 회로 등에 의해 추출되면 된다.For example,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of the portable device 200 acquires the reception signal strength of the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unused frequency from the reception signal received by the portable device-side reception antenna 220, And supplies the intensity to the frequency selecting section G2B as nois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tensity of the noise at the unused frequency.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unused frequency may be extracted from a received signal by a well-known filter circuit or the like.

그리고, 주파수 선택부 G2B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복수의 미사용 주파수 중, 가장 노이즈 레벨이 작은 주파수를, 변경처의 주파수로서 채용한다.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that there is noise at the first use frequency, the frequency selection section G2B employs a frequency having the smallest noise level among the plurality of unused frequencies as the frequency of the change destination.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의 변경처의 주파수로서, 더욱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 2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 frequency that is less influenced by noise as a frequency to be changed when noise is determined to exist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G11.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modified exampl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that signals from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can not be received due to noise.

(변형예 3)(Modification 3)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주파수 지정 커맨드나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와 같은, 통신 방식을 지정하는 커맨드뿐만 아니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소정의 제어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시키고 있어도 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커맨드인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 커맨드에 의한 제어 대상은, 대조 ECU(11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전장 부품이다.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command designat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frequency designation command or a modulation method designation command but also a command for instructing execution of predetermined control processing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8, the system change instruction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command, which is a command for instructing execution of predetermined control processing, to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 An object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command is an electrical component connect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verification ECU 110 in a communicable manner.

제어 커맨드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실시시키는 제어 처리란, 웰컴 조명의 점등이나, 사이드미러의 각도 조정 등이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웰컴 조명을 점등시키도록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대조 ECU(110)가 바디 ECU(160)나 도시하지 않은 전원 ECU 등과 협동하여, 소정의 조명 기구를 점등시킨다. 또한, 전원 ECU는, 차내의 각종 전장 부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ECU이다.The control processing to be performed o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by the control command is lighting of the welcome light, angle adjustment of the side mirror,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receives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ncluding the control command instructing to turn on the welcome illumination, the control ECU 110 controls the body ECU 160, And cooperates with an ECU or the like to light a predetermined lighting device. Further, the power supply ECU is an ECU that controls power supply to various electric components in the vehicle.

또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대조 ECU(110)는 바디 ECU(160)와 협동하여,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변경하는 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변경한다.When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instructing the user to change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control ECU 110 controls the body ECU 160 And changes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to a predetermined angle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또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른 처리의 완료(또는 개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경과해도, 휴대기(200)와의 대조가 성립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차량의 상태를 원상태로 돌리면 된다. 즉, 웰컴 조명으로서 점등시키고 있었던 조명 기구를 소등하거나,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주차 상태의 각도로 복귀시키거나 한다.If the comparison with the portable device 200 is not establish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inute) has elapse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You can restore the state. That is, the lighting apparatus that was turned on as the welcome illumination is turned off, or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is returned to the angle of the parking state.

또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실행시키는 제어의 내용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제어 내용은, 조명 점등의 ON/OFF와 같은 시큐리티상 문제없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ntrol executed by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by the method change instruc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control is such that there is no security problem such as ON / OFF of illumination lighting.

이러한 유저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에 기인하여 실시되는 처리(웰컴 처리라고 함)는, 종래 휴대기(200)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대조가 성립되고 나서 실시되고 있었다. 이 변형예 3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200)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대조가 성립되기 전의 상태에서, 웰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The process (referred to as a welcome process) that is performed due to the approach of the user to the vehicle has been performed since the match between the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200 and the vehicle-mounted system 100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dified example 3, the welcome process can be performed in a state before the matching between the portable device 200 and the in-vehicle system 100 is established.

또한, 본 출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혹은,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스텝(혹은 섹션이라고도 언급됨)으로 구성되고, 각 스텝은, 예를 들어 S101로 표현된다. 또한, 각 스텝은, 복수의 서브 스텝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스텝이 합쳐져서 하나의 스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flowcharts or flowchart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teps (also referred to as sections), and each step is represented by, for example, S101. In addition, each step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steps, while a plurality of steps can be combined into one step.

이상, 본 개시에 의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의 실시 형태 및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 및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이한 실시 형태 및 구성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 및 구성에 대해서도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 및 구성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Th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obtained by suitably combining the technical elements disclosed in the different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6)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기(110)와, 상기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지고, 상기 차량의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0)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탑재기는,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소정의 통신 방식에 준한 신호를 상기 휴대기에 송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113)와,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변경하는 통신 방식 변경부(F4, F4A, F4B)와,
상기 휴대기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차량 탑재기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G2, G2A, G2B)와,
상기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220)와,
상기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통신 방식에 준하여 수신 처리하는 수신 처리부(G1)와,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 송신하는 휴대기측 송신부(G3)와,
상기 수신 처리부에 의한 수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차량 탑재기로부터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인 제1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유무를 판정하는 노이즈 판정부(G11)를 구비하고,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새롭게 선택한 통신 방식을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A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comprising a vehicle-mounted device (110) mounted on a vehicle, and a portable device (200) associated with the vehicle-mounted device and carried by a user of the vehicle,
The vehicle-
A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unit (113) tha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systems using radio waves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systems to the portable device,
A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F4, F4A, F4B) for changing a communication mode used by the vehicle-mounted-device-side transmitting section to transmit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out of a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modes supported by the vehicle-
And a vehicle-mounted-apparatus-side receiving unit (112) for receiving a signal in a second frequency band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portable device to the vehicle-mounted device,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G2, G2A, G2B)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ethod to be employ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 out of a plurality of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supported by the vehicle-mounted-
A first frequency antenna 220 for receiving the first frequency band signal,
A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G1)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for the first frequency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selected by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A portable-unit-side transmitter (G3)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he vehicle-mounted device as a radio wave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a result of the reception processing by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noise at a first use frequency which is a frequency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from at least the vehicle-mounted device to the portable device among frequencies belong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noise determination section G11,
When the noise determining section determines that the noise is present,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selects a communication mod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mode currently employed as a communication mode to be adopt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 side transmission section, The transmission transmitter transmits a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structing the vehicle-mounted device to employ the newly selected communication mode by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or,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changes the communication mode used by the vehicle-mounted-device-side transmitting section to transmit signals to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vehicle-mounted device-side receiving section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 which the electronic key system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대는 30㎑ 이하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는 30㎑ 이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equency band includes a frequency of 30 kHz or less,
Wherein the first use frequency includes a frequency of 30 kHz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변조 방식을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상기 차량 탑재기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는,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서,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변조 방식을, 상기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의해 지시된 변조 방식으로 변경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section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of modulation schemes,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has a function of changing a modulation mode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device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modes supported by the vehicle-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selects a modulation mode to be adopt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 from a plurality of types of modulation modes that can be employ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side transmiss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unit,
Wherein the portable-unit-sid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a signal to the vehicle-mounted device instructing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to transmit a signal using the selected modulation scheme,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change section changes the modulation mode used by the vehicle-mounted-device-side transmitting section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vehicle-mounted device-side receiving section receive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To the modulation scheme indicated by the modulation schem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는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는,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서,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상기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를 채용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section is capable of dynamically changing a frequency adopt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out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of frequencies,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unit has a function of changing a frequency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ortable unit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supported by the vehicle-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selects a frequency to be adopted by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ssion section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that can be employed by the vehicle-mounted device-side transmission sec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noise is present by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The portable unit transmitter transmits to the vehicle-mounted device a signal instructing to transmit a signal using the frequency selected by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unit as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changing s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automobile electronic key system, which adopts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received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as the first use frequency when the vehicl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미리 정해진 3개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 처리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인 미사용 주파수마다의 수신 신호 강도를, 상기 미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레벨로서 취득하고,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복수의 상기 미사용 주파수 중 상기 노이즈 레벨이 가장 작은 주파수를,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로서 선택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section corresponds to three or more predetermined frequencies,
Wherein the reception processing section sets the reception signal strength for each unused frequency which is a frequency not adopted as the first use frequency out of a plurality of types of frequencies supported by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tting section as the intensity of the noise at the unused frequency As a noise level indicating &lt; RTI ID = 0.0 &gt;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ection selects, as a frequency to be adopted by the vehicle-mounted-apparatus-side transmission section, a frequency having the smallest noise level among a plurality of the unused frequencies when the noise determination section determines that the noise exists, Automotive electronic key system.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상기 차량 탑재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전장 부품에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ode change instruction signal includes a control command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an electric component connected to be communicable with the vehicle-mounted device.
KR1020177026050A 2015-03-31 2016-02-22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KR1019451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1640 2015-03-31
JP2015071640A JP6387880B2 (en) 2015-03-31 2015-03-31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PCT/JP2016/000911 WO2016157699A1 (en) 2015-03-31 2016-02-22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04A true KR20170118804A (en) 2017-10-25
KR101945143B1 KR101945143B1 (en) 2019-02-01

Family

ID=570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050A KR101945143B1 (en) 2015-03-31 2016-02-22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87880B2 (en)
KR (1) KR101945143B1 (en)
WO (1) WO201615769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3259B2 (en) * 2018-04-16 2021-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JP2022030951A (en) * 2020-08-07 2022-02-18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pr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134B1 (en) * 2000-03-02 2004-10-05 Trw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function operation with controlled distance communication having vehicle-based frequency selection
JP2006205838A (en) * 2005-01-26 2006-08-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On-vehicle receiver
JP2009278452A (en) * 2008-05-15 2009-11-26 Tokai Rika Co Ltd Noise monitoring communication system
JP5218572B2 (en) 2011-01-07 2013-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6773A (en) * 1997-06-02 1998-12-18 Omron Corp Transmitter and remote control device
JP2008252462A (en) * 2007-03-30 2008-10-16 Mitsubishi Materials Corp Keyless entry system
JP5991068B2 (en) * 2012-08-07 2016-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Wireless key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JP6032743B2 (en) * 2013-01-30 2016-11-3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134B1 (en) * 2000-03-02 2004-10-05 Trw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function operation with controlled distance communication having vehicle-based frequency selection
JP2006205838A (en) * 2005-01-26 2006-08-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On-vehicle receiver
JP2009278452A (en) * 2008-05-15 2009-11-26 Tokai Rika Co Ltd Noise monitoring communication system
JP5218572B2 (en) 2011-01-07 2013-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143B1 (en) 2019-02-01
JP2016191248A (en) 2016-11-10
JP6387880B2 (en) 2018-09-12
WO2016157699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271B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component devices
US8532576B2 (en) System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JP572175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6477589B2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US9430890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6430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6111935B2 (en) Vehicle system, in-vehic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US1044239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9889819B2 (en) Smart key system
US9473879B2 (en) Portable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200309941A1 (en) Distance-measuring system, distance-measuring device and distance-measuring method
US9472035B2 (en) Remote convenience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signal nulls
KR101945143B1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s
JP6693208B2 (en) Smart key system
JP6235321B2 (en) In-vehicle repeater for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JP2008202228A (en) Electronic key system, and in-vehicle device for electronic key system
JP4714085B2 (en) Receiver and remote control device
JPWO2005098177A1 (en) In-vehicle wireless device
JP6116513B2 (en) Portable devic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6040127B2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in-vehicle repeater, and portable repeater
JP2018152776A (en) Modulated wave transmission device
JP5768728B2 (en) Communication device
JP2020071199A (en) Portable appliance position determining device
JP5270517B2 (en) Keyless entry system
JP2005264461A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