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577A -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577A
KR20170118577A KR1020160129721A KR20160129721A KR20170118577A KR 20170118577 A KR20170118577 A KR 20170118577A KR 1020160129721 A KR1020160129721 A KR 1020160129721A KR 20160129721 A KR20160129721 A KR 20160129721A KR 20170118577 A KR20170118577 A KR 2017011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il
voltage
conducto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901B1 (ko
Inventor
강형주
권성두
지석만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23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076149B/zh
Priority to EP17782560.1A priority patent/EP3443734B1/en
Priority to PCT/KR2017/000736 priority patent/WO2017179803A1/en
Priority to US15/442,389 priority patent/US10142527B2/en
Publication of KR2017011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577A/ko
Priority to US16/168,042 priority patent/US105877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 G01D5/204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by a movable ferromagnetic element, e.g. a co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H04N5/33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제2 코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된 도체; 및 상기 제2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변위센서는 2개의 코일을 하나의 프레임에 구현하여 공정의 횟수를 줄이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DISPLAYCMENT SENSOR AND CAMERA MODULE HAVING IT}
본 발명은 2개의 코일을 이용한 변위센서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능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부품이 실장되어 각 부품의 크기는 줄어들고 성능은 더 우수해진 고밀도로 집약시킨 부품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보다 정확한 제어를 위해 부품 내부에도 센서를 구비한다. 센서의 크기는 부품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더 작아지게 된다.
특히 카메라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더 박형화 되어가고 있어 렌즈와 이미지 센서와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센서를 구비하여 고품질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은 2개의 코일을 이용한 변위센서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제2 코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된 도체; 및 상기 제2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변위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대적 위치변화에 따라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의 직경은 상기 제1 코일의 직경과 크기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도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제2 전압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은 소정주기로 진동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의 파형에 상응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제1 전압의 크기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광투과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실장되어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입사된 빛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빛을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패턴의 전압에 상응하여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제2 코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된 도체; 상기 제2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의 직경은 상기 제1 코일의 직경과 크기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도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제2 전압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은 소정주기로 진동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의 파형에 상응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전압의 크기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직경이 작은 측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직경이 작은 측의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감기며, 상기 제2 프레임에 위치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에 흐르는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의 이동량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제2 코일보다 상기 제1 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코일보다 상기 제2 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감기며, 상기 제1 프레임에 위치하는 자석;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감겨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 프레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지름이 커지는 나선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지름이 커지는 나선형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감겨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 프레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코일의 중앙 개방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평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위센서 및 카메라 모듈은, 2개의 코일을 하나의 프레임에 구현하여 공정의 횟수를 줄이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기판 위에 2개의 코일을 구현하는 경우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변위센서에 이용되는 코일 중 하나는 렌즈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로 겸용할 수 있어, 1개의 코일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단자의 개수가 줄고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위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변위센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위센서의 제1 코일과 제2 코일 및 도체의 배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200)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위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변위센서는 상대적으로 위치가 가변 가능한 제1 프레임(211), 제2 프레임(212), 제1 프레임(211)에 위치하는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그리고 제2 프레임(212)에 위치하는 도체(230)로 구성된다.
제1 프레임(211)은 기둥 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그 측면 둘레에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을 감을 수 있다. 도면상으로는 사각형의 파이프 형상의 제1 프레임(211)이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은 제1 프레임(211)의 기둥 또는 파이프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상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을 제1 프레임(211)에 동시에 형성하면 2개의 프레임에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을 각각 형성하는 경우 보다 제조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위치는 제1 프레임(211)에 고정되어 있어,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간격은 고정된다. 제1 코일(221)에 제1 전압(V1)이 인가되면 제2 코일(222)에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제2 전압(V2)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1 코일(221)에서 형성된 와전류(eddy current)의 영향을 받아 제2 코일(222)에서 전류가 흐르며 에너지가 전달된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거리에 따라 제2 코일(222)에 흐르는 제2 전압의 세기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달되는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도 커진다.
본 발명의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은 제1 프레임(211)에 고정되어 있어,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사이의 간격은 고정되어 제1 코일(221)에 흐르는 제1 전압이 일정하면 제2 전압도 일정하게 나타난다.
제2 프레임(212)에 위치하는 도체(230)는 제1코일(221)과 제2 코일(222)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과의 거리가 가변된다. 도체(230)가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에 인접하게 위치하면 제1 코일(221)에서 제2 코일(222)로 전달되는 에너지가 일부 도체(2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 전압이 일정한 경우에도,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이 도체(230)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230)가 제2 코일(222)에 가까워지면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은 점점 작아지고, 반대로 도체(230)가 제2 코일(222)에서 멀어지면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은 점점 커진다.
검출부(280)은 상기 제2 전압의 크기를 모니터링하여 도체(230)와 제2 코일(222) 사이의 간격(또는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의 간격)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221) 근처에 자석(214)이 배치되는 경우 제1 코일(221)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자석(214)의 자기장 내에서는 제1 코일(221)은 로렌쯔 힘에 의해 코일의 중심축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 프레임(211)이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프레임(211)의 위치가 변화하면 제2 프레임(212)에 위치하는 도체(230)와 제2 코일(222) 사이의 거리도 변화하는 바, 제2 전압의 크기도 달라지게 되어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의 간격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2)이 고정된 경우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의 간격의 변화는 제1 프레임(211)의 이동 거리에 상응한다.
상기 변위센서 이외의 부품이 주변에 배치되는 경우 다른 부품의 영향으로 제2 코일(222)에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제1 코일(221)의 제1 전압에 의해 전송된 전력 성분을 보다 정확히 추출하기 위해 제1 전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패턴(사인파, 삼각파, 구형파 등)의 펄스파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전압 패턴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중 상기 제1 전압 패턴에 상응하는 패턴만을 추출하여 보다 정확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1)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경우, 제1 프레임(211)의 위치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탄성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240)는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부(240)에 의해 제1 프레임(211)은 제2 프레임(212)에 대해 특정 방향(코일의 중심축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한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변위센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1 프레임(211)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기판과 같이 편평한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1 프레임(211)에 형성된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은 지름이 점점 커지는 나선형의 코일을 기판형상의 제1 프레임(211)에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반경(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인 경우를 가정하여 볼 때 코일이 1바퀴 감겼을 때의 길이를 의미함)이 같으나,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반경이 다르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이 중첩하여 형성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221)의 바깥쪽에 제2 코일(222)이 위치할 수 있다. 와전류는 바깥쪽으로 퍼지기 때문에 제1 코일(221)의 지름보다 제2 코일(222)의 지름이 더 커야 전력이 제2 코일(222)로 전력 전달이 용이하므로, 제1 코일(221)의 외측에 제2 코일(222)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2)은 상기 제1 프레임(211)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도체(230)가 제1 프레임(211)에 가까워지면 제2 코일(222)에 흐르는 제2 전압의 크기는 작아진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그리고 도체(23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위센서의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및 도체(230)의 배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및 도체(230)의 배치를 간략하게 표시한 것이다. 도체(230)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같은 거리를 이동하더라도 제2 전압의 변화량이 다르다. 따라서, 정확한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 프레임(211)(또는 제2 프레임(212))은 특정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코일의 감긴 중심축 방향으로 도체(230)가 제1 코일(221) 및 제2 코일(222)에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도 4의 (b)와 같이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사이에서 도체(230)가 위치할 수 있고, 도 4의 (c)와 같이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은 반드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위 센서는 코일 2개와 도체(230) 하나만을 이용하여 거리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해 다양한 전자부품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와 같이 소형화된 제품에 다양한 부품이 들어가는 경우, 본 발명의 변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200)은 피사체가 되는 대상 물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오토 포커스 기능은, 렌즈모듈(260)을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카메라 모듈(200)의 오토 포커스의 성능은, 렌즈모듈(260)을 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액츄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액츄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액츄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스(MEMS) 액츄에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액츄에이터는, 카메라 모듈(200)의 고정부에 영구 자석(214)을 위치시키고, 구동할 렌즈모듈(260)에 코일을 부착하여, 자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코일에 흐르는 로렌쯔 힘에 의해, 렌즈모듈(260)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 방식의 액츄에이터는, 렌즈모듈(260)에 센서를 부착하여, 렌즈모듈(26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렌즈모듈(260)의 오토 포커스 최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 방식의 액츄에이터에서, 렌즈모듈(260)에 센서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센서에 3개 이상의 전원을 연결해야 하고, 보이스 코일의 구동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2개의 커넥터가 필요하므로 최소 5개의 커넥터가 렌즈모듈(260)의 구동과 변위를 감지하는데 필요하다. 커넥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설계가 어렵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 불량률이 높아지는 제가 있다.
또한, 센서가 부착된 렌즈모듈(260)을 이용한 보이스 코일 방식의 액츄에이터는, 렌즈모듈(260)을 오토 포커스의 최적 위치로 이동시키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 및 구조적 마찰 특성 등에 의한, 렌즈모듈(260)의 오토 포커스 위치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단순한 카메라 모듈(20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20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200)은, 하우징(215), 렌즈모듈(260), 이미지 센서(250), 제1 프레임(211), 제2 프레임(212), 제1 코일(221), 제2 코일(222), 제1 탄성부(240)재, 자석(214), 제2 탄성부(245)재 등을 구비한다.
하우징(215)은 카메라 모듈(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투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투광부(216)의 내측에 렌즈모듈(260)을 배치하여 렌즈모듈(260)을 배치하여 하우징(215)의 일측의 광투광부(216)로 입사된 빛을 하우징(215)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250)로 전달한다.
렌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250)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이미지 센서(250)로 도달하는 이미지의 크기 및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215)에 고정된 이미지 센서(250)에 상대적으로 상기 렌즈모듈(260)을 이동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을 렌즈모듈(260)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재로 이용하는 동시에 렌즈모듈(260)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변위센서를 포함한다. 파이프 형상의 제1 프레임(211), 제1 프레임(211)과의 거리가 가변되는 제2 프레임(212), 제1 프레임(211)에 형성된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 제2 프레임(212)에 결합된 도체(230) 및 제2 코일(222)에 흐르는 제2 전압의 크기를 모니터링하는 검출부(2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211)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프레임(212)은 제1 프레임(21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260)은 제1 프레임(211)에 고정되고, 제1 프레임(211)은 렌즈모듈(260)을 수용하기 위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이프의 내측 공간에 렌즈모듈(26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1 코일(221)은 변위센서의 구성이 될 뿐만 아니라 렌즈모듈(26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서 역할을 한다. 제1 프레임(211)과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214)(본 실시예에서, 자석(214)은 제2 프레임(212)에 고정된다.)이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서 제1 코일(221)에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제1 프레임(211)은 로렌쯔 힘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제2 코일(222)에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고 이를 검출부(280)가 제2 전압의 크기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제2 프레임(212)은 이동하지 않으므로, 도체(230)와 제2 코일(222)의 거리가 달라지는 바, 제2 전압의 크기도 변화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체(230)가 제2 코일(222)의 위쪽에 위치하므로, 검출광투광부(216)부는 제2 전압의 크기가 커지면 제1 프레임(211)은 하측(이미지 센서(250)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면 제1 프레임(211)은 상측(광투광부(216)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1 프레임(211)이 제2 프레임(212)에 대해 복수개의 렌즈가 배치된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1 프레임(211)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에 제1 탄성부(240)재를 개재할 수 있다. 도체(230)는 제2 코일(222)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도체(230)가 제1 코일(221)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제1 코일(221)보다 제2 코일(22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렌즈모듈(260)이 렌즈의 배치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경우 제2 프레임(212)은 하우징(215)에 고정되거나 하우징(215) 자체가 제2 모듈이 될 수 있다. 다만,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필요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12)은 하우징(215)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제2 프레임(21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프레임(211)은 제2 프레임(21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므로 제1 프레임(211) 및 그 내부에 수용된 렌즈모듈(260)도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화가 없으므로 제2 프레임(21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검출부(280)에서 판단한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 사이의 거리 변화(이미지 센서(250)와 렌즈모듈(260)의 수직거리 변화)는 정확하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2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의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의 배치와 본 실시예의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의 배치는 반대가 된다. 즉,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이 결합된 제1 프레임(211)이 외측에 위치하고, 도체(230)가 결합된 제2 프레임(212)이 제1 프레임(211)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2 프레임(212)에 렌즈모듈(260)과 자석(214)이 배치되고, 제1 프레임(211)은 하우징(215)에 대해 수직방향은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프레임(21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하며, 상기 렌즈모듈(260)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제2 프레임(212)이 이동하는 원리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단지 전술한 실시예는 제2 프레임(212)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프레임(211)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고, 본 실시예는 제1 프레임(211)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프레임(212)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인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2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변위센서의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과 별도로 렌즈모듈(260)을 구동하는 보이스 코일(이하 제3 코일(223))은 별도로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변위센서 및 렌즈모듈(260) 이미지 센서(250)의 배치는 동일하다. 다만, 자석(214)이 제1 프레임(211)에 결합하고 제3 코일(223)이 제2 프레임(212)에 결합하여, 제3 코일(223)이 제2 프레임(212)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은 자석(214)과 같이 제1 프레임(211)에 고정되므로 자석(214)에 의해 위치가 변화할 수 없다. 제2 프레임(212)에 결합된 제3 코일(223)에 제3 전압이 인가되면 로렌쯔 힘에 의해 제1 프레임(211)에 상대적으로 제2 프레임(212)이 이동한다.
이때, 제1 코일(221)에도 제1 전압을 인가하면 제2 코일(222)에도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고, 제2 프레임(212)이 이동하면 도체(230)와 제2 코일(222)의 거리가 변화하므로,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의 변화를 통해 제2 프레임(212)의 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221)에 인가되는 제1 전압은 상기 제3 코일(223)에 인가되는 제3 전압과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20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변위센서는 도 3과 같이 평면의 제1 프레임(211)에 구현된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을 이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코일(223)과 자석(214)의 배치는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위치가 도 7과 달리 배치되므로, 자석(214)이 결합되고 하우징(215)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프레임을 제3 프레임(213)이라 한다.
본 실시예의 제1 프레임(211)은 판 형상의 프레임이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215)의 표면에 결합할 수 있다. 제3 프레임(213)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212)은 제3 코일(223)에 제3 전압이 인가되면 로렌쯔 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렌즈의 수직방향 위치를 변화시킨다.
제2 프레임(212)에 위치하는 도체(230)는 하우징(215)에 고정된 제1 프레임(211)에 대해 위치가 가변하므로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은 렌즈모듈(260)의 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여, 검출부(280)는 렌즈모듈(260)의 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내지 도 7의 실시예는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제1 프레임(211)과 제2 프레임(212)이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는 제1 프레임(211)이 하우징(215)에 고정되어 이미지 센서(250)(또는 하우징(215))에 대해 제3 프레임(213)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프레임(212)과 제1 프레임(211)의 수평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도면상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 도체(230)가 상기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과 중첩되면 도체(230)의 수평방향의 변화에 의한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이 영향을 받으나, 중첩되지 않으면 도체(230)의 수평방향의 변화에 의한 제2 코일(222)의 제2 전압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도체(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하여 제2 프레임(212)과 제3 프레임(213)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 코일(221)과 제2 코일(222)과 중첩되지 않고, 링 형상의 가운데 개방된 부분에 위치시켜 수평방향의 움직임으로 인해 변위센서가 오작동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위센서 및 카메라 모듈(200)은, 2개의 코일을 하나의 프레임에 구현하여 공정의 횟수를 줄이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기판 위에 2개의 코일을 구현하는 경우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변위센서에 이용되는 코일 중 하나는 렌즈모듈(260)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로 겸용할 수 있어, 1개의 코일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단자의 개수가 줄고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00: 카메라 모듈 211: 제1 프레임
212: 제2 프레임 213: 제3 프레임
214: 자석 215: 하우징
221: 제1 코일 222: 제2 코일
223: 제3 코일 230: 도체
240: 제1 탄성부 245: 제2 탄성부
250: 이미지 센서 260: 렌즈모듈

Claims (19)

  1.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제2 코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된 도체; 및
    상기 제2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대적 위치변화에 따라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변위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의 직경은 상기 제1 코일의 직경과 크기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도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제2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소정주기로 진동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의 파형에 상응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제1 전압의 크기와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센서.
  7. 일측에 광투과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실장되어 상기 광투과부를 통해 입사된 빛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빛을 디지털신호로 전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제1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코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상기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패턴의 전압에 상응하여 제2 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제2 코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된 도체;
    상기 제2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의 직경은 상기 제1 코일의 직경과 크기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도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제2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소정주기로 진동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제1 전압의 파형에 상응하는 파형을 가지고 상기제1 전압의 크기와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직경이 작은 측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직경이 작은 측의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감기며,
    상기 제2 프레임에 위치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에 흐르는 제1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의 이동량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제2 코일보다 상기 제1 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코일보다 상기 제2 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감기며,
    상기 제1 프레임에 위치하는 자석;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감겨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 프레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지름이 커지는 나선형을 가지며,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지름이 커지는 나선형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은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감겨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 프레임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상기 제1 코일의 중앙 개방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탄성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평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29721A 2016-04-15 2016-10-07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55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23337.6A CN109076149B (zh) 2016-04-15 2017-01-20 位移传感器和具有位移传感器的相机模块
EP17782560.1A EP3443734B1 (en) 2016-04-15 2017-01-20 Camera module with displacement sensor
PCT/KR2017/000736 WO2017179803A1 (en) 2016-04-15 2017-01-20 Displacement sens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15/442,389 US10142527B2 (en) 2016-04-15 2017-02-24 Displacement sens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16/168,042 US10587787B2 (en) 2016-04-15 2018-10-23 Displacement sens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2809P 2016-04-15 2016-04-15
US62/322,809 2016-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77A true KR20170118577A (ko) 2017-10-25
KR102552901B1 KR102552901B1 (ko) 2023-07-07

Family

ID=602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721A KR102552901B1 (ko) 2016-04-15 2016-10-07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443734B1 (ko)
KR (1) KR102552901B1 (ko)
CN (1) CN1090761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1076B2 (en) 2018-04-25 2024-06-04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Lens module,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lens drive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511A (en) * 1981-02-09 1984-01-10 Amnon Brosh Planar coil apparatus employing a stationary and a movable board
KR20140128906A (ko) * 2014-09-24 2014-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50207983A1 (en) * 2014-01-22 2015-07-23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9925B2 (en) * 2002-01-30 2005-09-27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Llc Proximity sensor device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physical characteristic of an item
US7443159B2 (en) * 2004-12-17 2008-10-28 Cherry Gmbh Sensor unit with staggered actuation faces
JP4958535B2 (ja) * 2006-12-21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ャッタ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511A (en) * 1981-02-09 1984-01-10 Amnon Brosh Planar coil apparatus employing a stationary and a movable board
US20150207983A1 (en) * 2014-01-22 2015-07-23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KR20140128906A (ko) * 2014-09-24 2014-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1076B2 (en) 2018-04-25 2024-06-04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Lens module,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lens driv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6149A (zh) 2018-12-21
EP3443734A4 (en) 2020-01-01
EP3443734A1 (en) 2019-02-20
KR102552901B1 (ko) 2023-07-07
EP3443734B1 (en) 2021-10-27
CN109076149B (zh)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787B2 (en) Displacement sens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708320B1 (ko) 이동 단말기
US9807312B1 (en) Mobile terminal
KR102640659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US9813628B2 (en)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073617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US11212619B2 (en) Electric device having sound output module
US10928607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69115A (ko) 이동단말기
US20230251455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40275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900172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9280A (ko) 이동 단말기
US20210063762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9900495B2 (en)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KR102552901B1 (ko) 변위센서 및 상기 변위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10911652B2 (en) Image acquiring device
KR10257558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00079056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2021029400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11914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160036312A (ko) 렌즈 조립체
KR20210155643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광학 기기
KR20180113302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