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882A -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882A
KR20170116882A KR1020160045113A KR20160045113A KR20170116882A KR 20170116882 A KR20170116882 A KR 20170116882A KR 1020160045113 A KR1020160045113 A KR 1020160045113A KR 20160045113 A KR20160045113 A KR 20160045113A KR 20170116882 A KR20170116882 A KR 2017011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node
communication node
mobile
relativ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725B1 (ko
Inventor
이재준
임재성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7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은 이동통신 노드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노드가,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타 이동통신 노드의 상대적 이동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가 판단된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AUTONOMIC NETWORK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N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드론, 무인 자동차 등의 이동형 무인 장치들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무인 장치들은 데이터 손실과 단절을 줄이고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자율 운행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자율 운행에서는 이동형 무인 장치들 간의 통신, 이동형 무인 장치와 고정형 무인 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통신 안정성이 상당히 중요하다. 즉,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끊김없는 통신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네트워크 연결 유지가 담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은 이동통신 노드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노드가,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타 이동통신 노드의 상대적 이동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가 판단된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노드는 선택된 상기 통신 중계 경로에 대한 보상값에 기초하여 Q-러닝(learning)을 수행하며, Q-러닝의 수행을 통해 도출된 Q 값에 따라 상기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링크(link)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의 이동성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는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 간의 거리 변화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이동통신 노드의 일정 반경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평균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링크 상태는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시 패킷 손실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위치 관계는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 내의 타 이동통신 노드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가장 근접한 타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의 거리,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 상기 통신 링크 상태, 상기 Q 값의 최대값,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이동통신 노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인접하여,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2이동통신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는,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의 상대적 이동 관계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는 선택된 상기 통신 중계 경로에 대한 보상값에 기초하여 Q-러닝(learning)을 수행하며, Q-러닝의 수행을 통해 도출된 Q 값에 따라 상기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및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링크(link)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는, 상기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의 이동성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는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 간의 거리 변화 및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의 일정 반경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평균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링크 상태는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시 패킷 손실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위치 관계는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 중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가장 근접한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의 거리,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 상기 통신 링크 상태, 상기 Q 값의 최대값,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최적의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이동통신 노드들로 구성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품질 향상, QoS(Quality of Service) 보장, 및 효과적인 자원 할당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 반경 이내의 인접하는 이동통신 노드들 간에 강화학습(예컨대, Q-러닝(learning))을 수행하도록하여,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전체에서의 데이터 처리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10)은 복수의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 200-6)과 고정형 통신 노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200-6) 각각은 스마트폰 또는 드론(drone)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 200-6)은 위치를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단말을 폭 넓게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200-6) 각각은 통신 모듈을 가진 무인 자동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고정형 통신 노드(300)는 기지국 등의 위치가 고정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단말을 폭 넓게 의미할 수 있다.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200-6) 간의 통신 또는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200-6)과 고정형 통신 노드(300) 간의 통신에 있어서, 이동통신 노드들(100, 200-1 ~200-6)은 통신 중계 경로에 포함되어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통신 중계 경로의 선택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이동통신 노드(200-1)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
실시 예에 따라, 제1이동통신 노드(200-1)는 제1이동통신 노드(200-1)로부터 일정 반경(R1) 이내의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200-4)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위치 정보(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 간의 통신 링크 상태, 통신 중계 경로에 대하여 Q-러닝(learning)을 수행하는 경우 Q 값의 최대값, 및 통신 간섭 발생지역(R2)과의 거리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간섭 발생지역(R2)은 의도적인 재밍(jamming) 공격 또는 인접 주파수 사용 등으로 인하여 통신 간섭이 발생하는 지역을 의미하며, 통신 간섭 발생지역(R2)에 대한 정보는 인접한 이동통신 노드들(200-1 ~ 200-5) 간에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제1이동통신 노드(200-1)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200-4)의 통신 링크(link) 상태,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상대적 이동 관계, 및 제1이동통신 노드(200-1)의 통신 간섭 발생지역(R2)과의 위치 관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S12).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200-4)의 통신 링크(link) 상태가 통신 중계에 미치는 영향(CE)은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CE=PER
이상의 [수학식 1]에서 CE는 통신 링크 상태에 의한 영향을 의미하고, PER는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 간의 통신에 있어서의 패킷 손실률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킷 손실은 인접한 이동통신 노드에 의한 영향, 의도적인 재밍 공격에 의한 영향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상대적 이동 관계가 통신 중계에 미치는 영향(CM)은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CM=
Figure pat00001
이상의 [수학식 2]에서 CM은 이동통신 노드 간의 상대적 이동 관계에 의한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d(t)는 t시점에서의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거리를 의미하며, d(t-δ)는 t-δ시점에서의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δ는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거리를 측정한 시간 간격이며, 분자인 d(t)-d(t-δ)는 δ동안의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 200-4)의 거리 변화를 의미한다.
α는 가중치 파라미터이며, dn은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인접한 타 이동통신 노드(예컨대, 200-2 ~200-4) 간의 평균 거리를 의미한다.
제1이동통신 노드(200-1)가 제2이동통신 노드(200-2)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2이동통신 노드(200-2)는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의 거리가 줄어들고 있으므로, CM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이동통신 노드(200-1)가 제3이동통신 노드(200-3)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3이동통신 노드(200-3)는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의 거리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CM은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CM은 S14 단계에서 결정되는 보상값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제2이동통신 노드(200-2)는 제3이동통신 노드(200-3) 보다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함께 통신 중계 경로에 선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제1이동통신 노드(200-1)의 통신 간섭 발생지역(R2)과의 위치 관계가 통신 중계에 미치는 영향(CI)은 다음의 [수학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CI=(min v(t))- β1+(v(t-δ) - v(t))/(β2·v(t))
이상의 [수학식 3]에서 CI는 제1이동통신 노드(200-1)의 통신 간섭 발생지역(R2)과의 위치 관계에 의해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v는 통신 간섭 발생지역(R2)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200-4, 200-5) 중에서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의 최소 거리를 갖는, 즉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가장 근접한 이동통신 노드(200-4)와의 거리를 의미한다. β1, β2 각각은 1 이상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즉, 제1이동통신 노드(200-1)의 통신 간섭 발생지역(R2)과의 위치 관계가 통신 중계에 미치는 영향은 통신 간섭 발생지역(R2) 내의 이동통신 노드(200-4, 200-5) 중에서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 가장 근접한 이동통신 노드(200-4)와 제1이동통신 노드(200-1)와의 거리, 및 통신 간섭 발생지역(R2)과의 거리 변화(v(t-δ) - v(t))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강화학습, 예컨대 Q-러닝을 적용하여 선택된 통신 중계 경로에 대한 보상값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보상값은 위의 [수학식 1]을 통해 도출된 CE, [수학식 2]를 통해 도출된 CM, [수학식 3]을 통해 도출된 CI에 따라 이하의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S14).
[수학식 4]
r= -w1·CE - w2·CM - w3·CI
이상의 [수학식 4]에서 r은 Q-러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보상값을 의미하며, w1, w2, w3는 가중치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가중치 파라미터 w1, w2, w3는 이동통신 노드(200-1 ~ 200-6)의 이동성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노드(200-1 ~ 200-6)의 전반적인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이동통신 노드 간의 상대적 이동 관계에 의해 통신에 미치는 영향인 CM에 연관된 가중치 파라미터 w2의 값을 w1와 w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4 단계를 통하여 보상값이 결정되면, 아래의 기존의 Q 값과 결정된 보상값에 따라 [수학식 5]에 의해 Q 값을 갱신할 수 있다(S16).
[수학식 5]
Qt+1(s,a) =(1-α)Qt(s,a) +α(r+γQt(s',a'))
이상의 [수학식 5]에서 Qt+ 1(s,a)는 갱신된 Q 값을 의미하며, α는 학습비(learning rate)를 의미하고, r은 [수학식 4]를 통해 얻어진 보상값, γ는 할인 계수(discount factor)를 의미한다.
제1이동통신 노드(200-1)는 갱신된 Q 값을 이용하여 최대의 Q 값을 가지는 최적의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S18).
제1이동통신 노드(200-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타 이동통신 노드(200-2 ~ 200-6)에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최적의 통신 중계 경로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경우 정해진 반경의 인접한 이동통신 노드 간에만 상태 정보가 공유되어 강화학습이 수행되므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10) 전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적응적으로(adaptively) 최적의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00, 200-1 ~200-6 : 이동통신 노드
300 : 고정형 통신 노드

Claims (18)

  1. 이동통신 노드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노드가,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타 이동통신 노드의 상대적 이동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가 판단된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노드는,
    선택된 상기 통신 중계 경로에 대한 보상값에 기초하여 Q-러닝(learning)을 수행하며, Q-러닝의 수행을 통해 도출된 Q 값에 따라 상기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링크(link)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의 이동성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는,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 간의 거리 변화 및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이동통신 노드의 일정 반경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평균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상태는,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시 패킷 손실률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위치 관계는,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 내의 타 이동통신 노드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 가장 근접한 타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이동통신 노드와의 거리,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 이동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 상기 통신 링크 상태, 상기 Q 값의 최대값,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노드의 자율 네트워크 운영 방법.
  10. 제1이동통신 노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인접하여,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2이동통신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는,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의 상대적 이동 관계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는,
    선택된 상기 통신 중계 경로에 대한 보상값에 기초하여 Q-러닝(learning)을 수행하며, Q-러닝의 수행을 통해 도출된 Q 값에 따라 상기 통신 중계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및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링크(link)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 상기 통신 링크 상태,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 지역과의 위치 관계에는, 상기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의 이동성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이동 관계는,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 간의 거리 변화 및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의 일정 반경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 간의 평균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상태는,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 간의 통신 시 패킷 손실률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위치 관계는,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 내의 이동통신 노드들 중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 가장 근접한 이동통신 노드와 상기 제1이동통신 노드와의 거리,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2이동통신 노드의 위치 정보, 상기 통신 링크 상태, 상기 Q 값의 최대값, 및 상기 통신 간섭 발생지역과의 거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60045113A 2016-04-12 2016-04-12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81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13A KR101811725B1 (ko) 2016-04-12 2016-04-12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13A KR101811725B1 (ko) 2016-04-12 2016-04-12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882A true KR20170116882A (ko) 2017-10-20
KR101811725B1 KR101811725B1 (ko) 2017-12-22

Family

ID=6029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113A KR101811725B1 (ko) 2016-04-12 2016-04-12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7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778B1 (ja) * 2018-11-29 2020-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KR20200031895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관제 서버,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경로 설정방법 및 그를 위한 비행경로 안내 시스템
KR20200086592A (ko) * 2019-01-09 2020-07-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큐-러닝을 이용한 적응형 패킷 스케쥴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패킷 스케줄링 장치
US10904162B2 (en) 2018-12-17 2021-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mal path in multi-media multi-path network
KR20210066732A (ko) * 2019-11-28 2021-06-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 기반 통신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무인 항공기 자동 배치 장치 및 방법
KR102305159B1 (ko) * 2020-11-18 2021-09-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을 이용한 드론 기지국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46886A (ko) * 2021-04-26 2022-11-02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센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496B1 (ko) * 2012-10-11 2014-03-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95A (ko) *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관제 서버, 그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경로 설정방법 및 그를 위한 비행경로 안내 시스템
JP6632778B1 (ja) * 2018-11-29 2020-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US10904162B2 (en) 2018-12-17 2021-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mal path in multi-media multi-path network
KR20200086592A (ko) * 2019-01-09 2020-07-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큐-러닝을 이용한 적응형 패킷 스케쥴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패킷 스케줄링 장치
KR20210066732A (ko) * 2019-11-28 2021-06-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 기반 통신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무인 항공기 자동 배치 장치 및 방법
KR102305159B1 (ko) * 2020-11-18 2021-09-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을 이용한 드론 기지국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46886A (ko) * 2021-04-26 2022-11-02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센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725B1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725B1 (ko) 이동통신 노드를 이용한 자율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EP3487088B1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to enable continuous communication coverage across the multiple networks
US9713014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terminal apparatus
Sepulcre et al. Heterogeneous V2V communications in multi-link and multi-RAT vehicular networks
US11516634B2 (en) Methods and system for robust service architecture for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s
US11838993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speed low-latency wireless connectivity in mobility application
US10341891B2 (en) User equipment adaptation of reporting triggers based on active set size
CN111464933B (zh) 一种驾驶参数配置方法及服务器
US20220394498A1 (en) Central cloud server and edge devices assisted high speed low-latency wireless connectivity
US92475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F/EHF band wireless transmission on multi-level cell configuration
US8649788B1 (en) Dynamic wireless transceiver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21006798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KR201600504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경로 다중화 방법
US1161047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peration between edge devices arranged in vehicle
US9307502B1 (en) Managing inter-cell interference
US8868093B1 (en) Carrier frequency assignment based on transmit power differentials
Sheikh et al. Quality-aware trajectory planning of cellular connected UAVs
JP57489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端末局
EP4213126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9314874A (zh) 用于网络控制端和网络节点的电子设备和方法
EP4213475A1 (en) Vehicula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872187B1 (en) Transmission mode selecti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KR101666610B1 (ko)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망 시스템, 액세스 포인트와, 액세스 포인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umino et al. On the usefulness of flying base stations in 5G and beyond scenarios
Amad et al. A moving direction and historical information assisted fast handover in LT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