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666A -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666A
KR20170115666A KR1020160043104A KR20160043104A KR20170115666A KR 20170115666 A KR20170115666 A KR 20170115666A KR 1020160043104 A KR1020160043104 A KR 1020160043104A KR 20160043104 A KR20160043104 A KR 20160043104A KR 20170115666 A KR20170115666 A KR 20170115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patient
charge
terminal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643B1 (ko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6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04L51/24
    • H04L67/2809
    • H04L67/2833
    • H04L67/28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6Grouping or aggregating service requests, e.g. for unifie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인들 간에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메시지 송수신 방법은,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단계, 지정된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환자의 담당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전송대상이 되는 담당자에게 상기 전송유형에 따라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통하여, 효율적인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고 환자에 대한 처방내역 확인이 용이하여 의료기관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CEIVING MESSAGE THROUGH CREATING VARIABLE GROUP IN MEDICAL INSTITUTION}
본 발명은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에 대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에 해당 환자를 담당하는 복수의 담당자들을 분류하여 가변그룹을 형성하고 각 가변그룹마다 전송유형을 다르게 하여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의료운영이 가능한,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사회로 인한 주변 환경의 오염이나 식음료의 변화, 인구의 노령화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입원하는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나 의사와 같은 의료인력은 하루에도 수많은 환자를 간호하거나 처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의료인력으로 수많은 환자를 관리하게 되면 여러가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대형병원 내에서 간호사의 근무 교대시 인수인계에 관한 내용파악, 의사들이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환자에 대하여 밤사이 발생했던 증상 및 그 처치에 관한 내용파악 등과 같이 동일 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인들 간에 해당 환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비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에 대한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에 해당 환자를 담당하는 복수의 담당자들을 분류하여 가변그룹을 형성하고 각 가변그룹마다 전송유형을 다르게 하여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의료운영이 가능한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는 담당자 단말기, 및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환자의 담당자를 조회하고,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여 상기 조회된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기로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은,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단계, 지정된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환자의 담당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전송대상이 되는 담당자에게 상기 전송유형에 따라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관 내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에 해당 환자를 담당하는 복수의 담당자들을 분류하여 가변그룹을 형성하고 각 가변그룹마다 전송유형을 다르게 하여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의료운영 및 환자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중계서버(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용 입력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역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용 입력 화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역 화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예컨대 병원과 같이 환자를 치료하고 관리하는 의료기관 등에서 채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중계서버(100)는 담당자 단말기(1,2,3,,N)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서버(100)는 복수의 담당자 단말기(1,2,3,,N) 간에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송수신하는 것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중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서버(100)의 통신부(110)는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통지내용을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통지내용을 환자를 관리하는 담당자의 단말기로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이라 함은, 예컨대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 어떠한 조치를 취할 것인지를 간호사가 담당의사에게 문의하는 내용이나 그에 대한 담당의사의 답변내용 등과 같이, 의료기관에서 환자에 관하여 각 담당자들 간에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메시지 내용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중계서버(100)의 저장부(130)는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환자의 담당자로는, 예컨대 간호사나 전공의, 담당교수, 당직의 등과 같은 의사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담당자의 정보로는, 담당자의 성명, 담당 역할(전공의, 담당교수, 당직의 등), 근무시간, 의료기관 내 근무위치, 부재중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종합병원에는 각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와 전공의, 그리고 전공의를 지도하는 담당교수, 심야시간에 근무하는 당직의 등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이들 담당자 중에 간호사나 당직의 등은 시간대나 날짜에 따라 수시로 변동할 수 있다. 중계서버(100)의 저장부(130)에는 이와 같이 각 환자마다 수시로 변동하는 담당자의 변동 정보 등 미리 설정된 스케쥴 데이터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변동 정보는 임의의 관리자가 중계서버(100)에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출퇴근 기록 시스템과 연동시켜서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중계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수신한 경우, 저장부(130)로부터 해당 환자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를 조회하고,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유형이라 함은, 각 그룹별 담당자에게 통지내용을 즉시 전송할 것인지 전송을 보류할 것인지 또는 수신자로서 받아보도록 전송할 것인지 참조자로서 받아보도록 전송할 것인지 등과 같은 유형을 의미하는 것이다.
중계서버의 제어부(120)에 의한 통지내용 송수신 중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환자A에 대한 통지내용을 임의의 간호사A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중계서버의 저장부(130)로부터 환자A의 담당자를 조회한다. 조회 결과 전공의A, 담당교수A, 당직의A가 조회되고, 현재 전공의A 및 담당교수A가 근무 중인 반면 당직의A는 근무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전공의A 및 담당교수A를 하나의 수신그룹으로 분류하고 당직의A를 다른 수신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그룹을 분류한 상태에서 전공의A 및 담당교수A의 각 단말기에는 상기 수신된 통지내용을 전송하고, 당직의A의 단말기에는 전송을 보류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하는 이유는, 현재 근무 중인 전공의A 및 담당교수A는 환자에 대한 간호사A의 통지내용을 당장에 받아볼 필요가 있어서 즉시 전송하는 것이지만, 아직 출근하지 않은 당직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통지내용을 추후에 참고하거나 아니면 추후에도 받아볼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전송을 보류하는 것이다.
중계서버의 제어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전송유형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통지내용을 각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담당자 단말기(1,2,3,,N)는 중계서버(100)를 통하여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담당자 단말기(1,2,3,,N)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가능한 단말기는 물론 데스크 탑 컴퓨터와 같이 특정 지점에 위치시켜서 사용하는 단말기라도 무방하다.
또한 담당자 단말기는 각 담당자 1명마다 개별로 소지할 수도 있고, 또는 상황에 따라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명이 공유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각자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시간대 별로 교대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하나의 퍼스널 컴퓨터를 담당자 단말기로서 비치하여 공유할 수 있고, 전공의나 당직의는 자신의 스마트 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담당자 단말기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병원 내 환자별 담당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0). 환자별 담당자 정보는 중계서버(100)에 구비된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의 담당자로는, 간호사나 전공의, 담당교수, 당직의 등과 같은 의사가 이에 해당될 수 있고, 저장되는 담당자의 정보로는, 담당자의 성명, 담당 역할(전공의, 담당교수 등), 근무시간, 의료기관 내 근무위치, 부재중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가 환자를 지정하여 통지내용을 발송하면 중계서버(100)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S20). 예컨대, 환자A의 담당자 중 한명인 간호사A가 환자A의 상태에 대한 통지내용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중계서버(100)로 발송하면, 중계서버(100)에서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S20). 전송된 통지내용을 어떤 담당자에게 전달할지는 중계서버(100)에서 결정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A가 통지내용을 중계서버(100)에 발송할 때에는 수신자를 별도로 특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수신하면, 중계서버(100)는 저장된 담당자 정보 중에서 상기 지정된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다(S30).
조회되는 담당자는 환자의 진료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든 의사나 간호사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환자가 입원환자인 경우 해당 환자를 최일선에서 진료하고 처방하는 전공의, 및 전공의를 감독하는 담당교수, 야간에 근무를 하는 당직의사나 당직간호사 등이 담당자로서 조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담당자가 조회된 경우, 중계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40). 분류기준으로서는, 예컨대 담당자가 현재 근무 중인지 여부, 담당자가 해당 환자의 처방에 대하여 일차적 권한을 가졌는지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회결과(S30), 환자A의 담당의사로서, 전공의A, 담당교수A, 당직의A가 조회된 경우, 만약 현재 시간대가 전공의A 및 담당교수A의 근무시간이고 당직의A의 근무시간이 아니라면, 전공의A 및 담당교수A를 수신그룹1로 분류하고, 당직의A를 수신그룹2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전공의A 및 담당교수A를 포함하는 수신그룹1 내에서도, 해당 환자의 처방에 대하여 일차적 권한을 가지는 전공의A를 또 다른 수신그룹1-1로 분류하고, 전공의A에 대한 지도 및 감독 역할을 수행하는 담당교수A를 또 다른 수신그룹1-2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면(S40), 중계서버는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S50). 그러고 나서, 전송대상이 되는 담당자에게 전송유형에 따라 통지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S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송유형이라 함은, 각 그룹별 담당자에게 통지내용을 즉시 전송할 것인지 추후 전송할 것인지 또는 수신자로서 받아보도록 전송할 것인지 참조자로서 받아보도록 전송할 것인지 등과 같은 유형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컨대, 현재시간에 근무 중인 것으로 조회된 수신그룹1의 전공의A 및 담당교수A에게는 해당 환자에 대한 간호사A의 통지내용을 즉시 전송하고, 현재시간에 근무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회된 수신그룹2의 당직의A에게는 추후 근무가 시작될 때 전송하거나 별도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그룹1의 담당자 중에서도 해당 환자의 처방에 대하여 일차적 권한을 가지는 전공의A에 대해서는 수신자 자격으로 전송하고, 전공의A에 대한 지도 및 감독 역할을 수행하는 담당교수A에 대해서는 참조자 자격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전공의A는 통지내용의 수신자가 되는 것이고 담당교수A는 통지내용의 참조자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환자에 대한 담당자 정보를 조회하고(S30),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S40), 분류된 그룹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는 것(S50)을 중계서버가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통지내용을 수신(S20)한 후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4의 실시예처럼 순서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당자 단말기에서 통지내용을 작성할 때 환자를 특정할 경우 해당 단말기 화면에서 곧바로 담당자 조회 및 전송유형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계서버(100)에 구비된 저장부(130)에 병원 내 환자별 담당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10). 담당자의 범위나 담당자 정보의 내용 등은 도 3의 저장단계(S10)에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담당자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가 중계서버(100)에 접속하여 통지내용 발송을 위해 환자의 성명과 같은 환자정보를 입력한 것을 확인하면(S120), 중계서버(100)는 입력된 환자의 담당자 정보를 조회하고(S130),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140). 그리고 분류된 그룹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유형 정보를 통지내용을 입력하는 담당자 단말기의 화면에 곧바로 표시되도록 한다(S150).
이러한 방식에 따를 경우,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발송하려는 담당자는 해당 통지내용의 수신자가 누구이고, 참조자가 누구이고, 발송보류된 담당자가 누구인지를 환자성명을 입력한 후에 곧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150 단계 이후 통지내용을 작성한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통지내용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으면, S150 단계에서 설정한 전송유형에 따라 통지내용을 전송한다(S1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황1]
병동A에 근무하는 간호사A는 병원에 출근하여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환자A(담당자: 교수A, 전공의A, 당직의A 등)에 대한 다음날 오더를 확인하는 중에 환자A에 대한 식이 처방이 없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담당교수나 담당전공의에게 응급으로 연락할 사안은 아니지만 금일 중에 확인이 되어야 다음날 환자 식이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이에 간호사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담당자 단말기에 환자A에 대한 통지내용을 입력하고 이를 발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용 입력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간호사A의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의 화면에서 간호사A가 환자의 성명(501)을 기재하여 환자를 특정하면, 해당 환자를 담당하는 전공의, 교수 및 당직의에 대한 정보(502, 503, 504)는 자동으로 조회되어 화면 상에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간호사A가 응급도 등급(505)을 '3'으로 선택하고 '내일 식이처방 없나요'라는 통지내용(506)을 기재한 후 전송이라고 기재된 아이콘(507)을 선택하면 담당교수 및 전공의의 단말기로 통지내용이 전송될 수 있다.
환자A의 담당자인 교수A와 전공의A가 근무 중인 경우, 환자A의 처방에 대하여 일차적 권한을 가지는 전공의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으로 정해지고 감독역할을 하는 담당교수A는 '참조'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근무하고 있지 않은 당직의A에게는 전송을 '보류'할 수 있다.
한편, 통지내용이 발송된 때 수신자인 전공의A가 마침 다른 응급업무를 처리하느라 즉시 확인하지 못하였고, 그 대신 3시간 정도 지난 후에 확인한 후 간호사A의 통지내용에 대하여 '죽으로 주세요'라는 내용으로 회신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참조자 담당교수A는 통신내용을 수신한지 4시간 후에 전공의A가 환자A에게 적절한 식이 오더(죽)를 처방하였음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확인하였음을 가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역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나 참조자가 통지내용을 확인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담당자 단말기 상에 확인여부(601)가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간호사A의 통지내용을 전공의A나 담당교수A가 확인하기 전에는 확인여부 항목에 N으로 표시되고, 확인한 후에는 Y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확인여부(601) 항목에서는 교수 및 전공의 모두 Y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들 담당자가 확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6의 화면에는 환자의 담당자들 간에 주고 받은 통지내용이 각 항목별로 기재되어 있어서, 추후 각 환자별 어떤 조치가 이루어졌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상황1을 검토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공의A는 응급업무 중에 중요도가 떨어지는 연락을 받지 않아도 되었고 담당교수A는 전공의A가 적절하게 처방하였음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간단하게 알 수 있었다.
한편, 만약에 전공의A의 식이 오더 처방이 잘못되었다면 담당교수A는 확인 즉시 수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전공의A가 담당교수A에게 식이 오더에 대하여 보고를 하여야 알 수 있었고 보고를 안 하면 다음날 회진을 할 때까지 이러한 보고가 간호사와 전공의 간에 오고 간 것을 알 수 없었다. 또한, 전공의A가 응급업무 중으로 전화를 못 받았을 경우 간호사A는 확인을 위하여 수 차례 전화를 했을 터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방법에 의하여 이러한 수고를 덜게 되었다.
[상황2]
간호사A의 다음 근무 인계자인 간호사B는 금일 간호사A가 환자A에 대하여 다음 날의 식이 오더를 문의하였고 이에 대해 전공의A가 죽으로 처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담당교수A가 이러한 통지 및 처방 내용을 확인하였음을 간호사B 역시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간호사B 역시 다음 날 오더를 확인 중에 환자B에 대한 항생제 오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호사B는 항생제 오더가 누락된 것인지 의료진이 항생제를 중단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 10시에 단말기를 통하여 '내일 항생제 처방이 없나요?'라는 통보내용(706)을 발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용 입력 화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간호사B가 환자B(701)를 특정하면, 환자B를 담당하는 담당의료진이 자동으로 조회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6에서는 담당의료진으로서, 전공의A(702), 담당교수A(703), 당직의A(704)가 표시되어 있다.
수신유형으로는 전공의 및 담당교수가 각각 '참조'이고, 당직의가 '수신'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현재 근무 중인 사람이 당직의로 확인되고 나머지 전공의 및 담당교수가 근무시간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설정된 것이다. 간호사B는 통지내용의 응급도 등급(705)을 설정하고 통지내용(706)을 기재한 후 전송이라고 기재된 아이콘(707)을 선택하면 당직의B의 단말기로 통지내용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자동으로 설정된 수신유형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컨대, 전공의의 근무시간이 아니고 당직의만 근무하는 시간이라 할지라도 전공의가 확인해야만 하는 통보내용이라면, 통보내용의 발신자는 자동 설정된 수신유형을 해제하고 수신자를 전공의로 특정하여 발송할 수 있다.
수신자를 전공의로 특정하여 발송한 경우, 전공의A는 간호사B로부터 환자B에 대한 항생제 오더와 관련된 문의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회신하여 전공의A가 "내일부터 항생제 처방을 중단합니다" 라는 내용의 회신을 하면 중계서버(100)는 간호사B의 단말기로 회신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보내역 화면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간호사B의 발송에 의한 통보내역 외에도 그 전에 도 5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간호사A의 발송에 의한 통보내역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당자 단말기에서는 환자에 대한 처방내역이 간편하게 정리되어 담당 간호사나 의사 등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통보내용을 전송하는 시간이나 해당 환자를 담당하는 의료인의 담당역할에 따라 수신대상 그룹이 가변됨으로써 효율적인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담당자의 근무시간을 조회하여 현재 근무 중인 담당자에게만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이 전송되도록 설정하거나, 수신 대상인 담당자 중에서도 환자의 처방에 대해 일차적인 권한을 가진 담당자만을 수신자 자격으로 하고 나머지 담당자는 참조자 자격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통보내용의 수신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변그룹을 생성함으로써 의료기관의 더욱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읽기전용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 및 기타 다양한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컴퓨터라 함은 그 크기나 휴대가능성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모든 전산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실시간 메시지 전송과 더불어 콜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간호사가 응급도가 높은 메시지를 송신했을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전공의 또는 교수가 정해진 시간 내에 메시지 창을 확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중계서버가 통신라인을 통하여 해당 전공의 또는 교수를 착신지로 하는 전화 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전공의 또는 교수의 단말기에는 상술한 긴급도가 높은 메시지가 함께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해당 전공의 또는 교수가 전화를 받는 경우 중계서버에서 해당 응급도가 높은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
종래에는 메시지 자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으며, 비교적 중요하거나 긴급성이 있는 상황하에서 간호사가 당직의 등에 전화를 하는 경우에도 통화시까지 지속적으로 전화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전화를 전송하고 이의 확인여부를 처리함으로써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선택시 응급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가변적인 메시지 수신 그룹에 포함될 권한이 있는 사람들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자의 선택에 따라 아래와 같은 추가 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1)

  1.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는 담당자 단말기; 및
    상기 담당자 단말기에서 환자를 특정하면 상기 환자의 담당자를 조회하고,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여 상기 조회된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기로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2.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특정 환자에 대응하여 근무시간, 환자 진료와 관련한 권한 및 미리 설정된 스케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환자에 관한 메시지가 전송될 수신인 그룹을 가변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중계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발송하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환자를 특정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환자의 담당자를 조회하고, 조회된 담당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여 상기 전송유형에 따라 전송 대상이 되는 담당자에게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거나 조회가능하도록 저장하는, 메시지 송수신 중계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회된 담당자가 현재 근무 중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되, 현재 근무 중인 담당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통지내용을 즉시 전송하고, 현재 근무하지 않은 담당자의 단말기에는 전송을 보류하는, 메시지 송수신 중계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되, 현재 근무 중인 담당자 중에서 상기 환자의 처방에 대하여 일차적 권한을 가지는 담당자를 수신자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외의 담당자를 참조자 그룹으로 분류하는, 메시지 송수신 중계서버.
  6.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서버가,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단계;
    송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환자에 대한 통지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환자의 담당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대상이 되는 담당자에게 상기 전송유형에 따라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7.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서버가,
    환자의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단계;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환자 정보이 입력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환자의 담당자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전송대상이 되는 담당자에게 통지 내용을 입력받아 상기 전송유형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조회된 담당자가 현재 근무 중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 별로 전송유형을 설정하는 단계는, 현재 근무 중인 담당자의 단말기로 상기 통지내용을 즉시 전송하고, 현재 근무하지 않은 담당자의 단말기에는 전송을 보류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된 담당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현재 근무 중인 담당자 중에서 상기 환자의 처방에 대하여 일차적 권한을 가지는 담당자를 수신자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외의 담당자를 참조자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내용이 전송 된 후 전송대상이 되는 담당자 중 특정 수신인에 대하여 미수신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수신인을 수신 목적지로하는 전화 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호의 발생과 함께 상기 통지내용을 전송하는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20160043104A 2016-04-08 2016-04-08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81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04A KR101817643B1 (ko) 2016-04-08 2016-04-08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04A KR101817643B1 (ko) 2016-04-08 2016-04-08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66A true KR20170115666A (ko) 2017-10-18
KR101817643B1 KR101817643B1 (ko) 2018-01-11

Family

ID=6029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04A KR101817643B1 (ko) 2016-04-08 2016-04-08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6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916A1 (en) * 2020-08-06 2022-02-10 Vocera Communications, Inc. Prioritizing communications on a communication device
WO2023282401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병원 정보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메신저를 이용한 의료 정보 관리 방법
KR20230137028A (ko) * 2022-03-21 2023-10-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기반의 허들 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5711B2 (ja) * 2012-11-29 2017-08-23 セコム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916A1 (en) * 2020-08-06 2022-02-10 Vocera Communications, Inc. Prioritizing communications on a communication device
GB2613728A (en) * 2020-08-06 2023-06-14 Stryker Corp Prioritizing communications on a communication device
WO2023282401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병원 정보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메신저를 이용한 의료 정보 관리 방법
KR20230137028A (ko) * 2022-03-21 2023-10-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기반의 허들 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643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17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cal alarm monitoring, reporting and normalization
RU260536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значимых клинических оповещений
US10157536B2 (en) Dispatch management platform for nurse call system
US1182378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coordination
England et al. Advice on how to establish a remote ‘total triage’model in general practice using online consultations
US85891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mmunication requests in an institutional setting such as a healthcare facility
EP15780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triggered tasks notificationion
US20120315867A1 (en) Interactive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94045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f a message in a health care environment
US10770177B2 (en) Dispatch management platform for nurse call system
Vassell et al. Intelligent Dashboard for augmented reality based incident command response co-ordination
CN105787846A (zh) 一种基于物理位置特性的诊疗数据处理系统及处理方法
Bardram et al. A context-aware patient safety system for the operating room
KR101817643B1 (ko) 가변그룹 생성을 통한 의료기관 내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23788A1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2019140428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2015030215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846630B2 (en) Prioritization system for multiple displays
CA2885539A1 (en) Central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arrier status updates via sms in a multi-carrier environment
US201100474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ding, receiving and managing electronic messages
US20170357774A1 (en) Automated prescrip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Bradley et al. Smartphone application for transmission of ECG images in pre-hospital STEMI treatment
JP2018165898A (ja) 救急搬送支援装置、救急搬送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6657B1 (ja) 予約通知装置、通知装置、通知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32404B2 (ja) 人員配置調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