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973A -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973A
KR20170114973A KR1020170043700A KR20170043700A KR20170114973A KR 20170114973 A KR20170114973 A KR 20170114973A KR 1020170043700 A KR1020170043700 A KR 1020170043700A KR 20170043700 A KR20170043700 A KR 20170043700A KR 20170114973 A KR20170114973 A KR 20170114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sease
unit
body tissu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144B1 (ko
Inventor
변성현
민완기
Original Assignee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1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057Light
    • A61B2017/00061Light spec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79Power or energy
    • A61B2018/00785Reflected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가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분광기; 상기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비교하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질병 진단부;를 포함하는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Disease diagnosis system based on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 토닝 장치, 피부 필링 장치, 또는 레이저 수술기 같은 장치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미용 또는 의료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의료 또는 미용 목적을 제외한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나이 측정도 가능한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가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분광기; 상기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비교하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질병 진단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부 토닝이나 필링 또는 레이저 수술과 같이 미용 또는 의료용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질병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부 토닝 장치, 피부 필링 장치, 또는 레이저 수술기와 같이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질병 진단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부 토닝 장치, 피부 필링 장치, 또는 레이저 수술기와 같이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질병 진단은 물론이고 피부 나이 측정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레이저 조사 장치의 구성의 변경이 없이도 간단한 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의료 또는 미용 처리는 물론 질병 진단과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수신', '제공', 또는 '전달'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구성요소 a')에서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로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c)를 경유하여 구성요소 b로 전달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구성요소 a')와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가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 되어 있다는 명시적인 표현이 없더라도,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a)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구성요소 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구성요소 b가 수신하여 자신(구성요소 b)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면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는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음성망 또는 그러한 것들의 2 이상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레이저'는 펄스 레이저, 연속광 레이저, 촛점화된 레이저(focused laser), 또는 콜리메이트 레이저(collimated laser)를 의미한다. 또한 '레이저'의 주파수 대역은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UV(Ultra violet) 대역, 가시광(Visible light) 대역, 또는 IR(Infra-red)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발생 광'은 레이저가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광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발생 광'은 예를 들면 플라즈마 광, 반사광, 산란광, 및/또는 형광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 조사 장치'라고 함은 레이저를 조사하여 미용 또는 의료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이하, “질병 진단 시스템”)은 신체 조직에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미용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신체 조직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 시스템은 분석 장치(20)와 레이저 조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장치(3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신체 조직에 대하여 의료 또는 미용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피부 토닝 장치, 피부 필링 장치, 또는 레이저 수술기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장치(30)는, 의료 또는 미용을 목적으로 신체 조직(1)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장치(30)는 핸드피스(33)와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본체(31)는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발생원(미도시)을 포함하며, 레이저 발생원(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는 핸드피스(33)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장치(30)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는 핸드피스(33)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조사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는 핸드피스(33)의 말단부와 결합되며, 원형의 링과 지지부(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가이드부에 포함된 원형의 링과 지지부(35)는, 도 4의 가이드부의 원형의 링(137)과 지지부(13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 4의 가이드부를 참조하기 바란다.
분석 장치(20)는 신체 조직(1)에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신체 조직(1)로부터 발생되는 광(이하, '발생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발광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신체 조직(1)에 존재하는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분석 장치(20)는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US7,092,087(2006. 8. 15)(이하, '087'특허)에는,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적인 개념이 개시되어 있다. '087' 특허에 개시된 내용은 본원 발명의 개념과 상충되지 않는 한도에서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 결합된다. 이 특허에 기재된 기술은, 레이저가 시료에 조사되었을 때 특정 원소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분석 장치(20)는, 또한,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피부의 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
신체 조직(1)이 피부인 경우에, 분석 장치(20)는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질병의 존재여부에 대한 진단과 피부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분석 장치(20)의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모니터가 구비된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나, 스마트폰 또는 PDA과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분석 장치(20)는 분석부(21)와 프로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브(23)는 신체 조직(1)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분석부(21)는 프로브(23)가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피부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분석부(21)는 예를 들면 프로브(23)가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분석한 스펙트럼과 질병 판단을 위한 DB(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특정 질병과 발광 스펙트럼을 관련시킨 DB - 를 비교함으로써 질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체 조직(1)이 피부인 경우에는, 분석부(21)는 피부의 나이도 또한 측정할 수 있다. 즉, 분석부(21)는 프로브(23)가 수집한 발생 광을 분석하여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피부의 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 피부의 나이를 측정할 때, 분석부(21)는, 피부의 나이를 측정하기 위한 DB(피부 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피부의 나이와 발광 스펙트럼을 관련시킨 DB-를 비교함으로써 피부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피부 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는 콜라겐의 스펙트럼과 피부 나이를 관련시킨 DB일 수 있다.
피부 내 콜라겐 성분 변화 등의 화학 구성 성분 변화에 의해 발생 광의 분광 스펙트럼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분석부(21)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피부 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석부(21)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21)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109), 분광기(Spectrometer)(111), 컴퓨터 프로세서(112), 질병 진단부(113),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114),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115), 피부나이 측정부(117),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114)은 분석부(21)가 자신(21)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들을 의미한다.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114)은 예를 들면 메모리(미도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미도시)와 하드웨어(미도시), 음성처리 소프트웨어(미도시)와 하드웨어(미도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들(미도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세서(112)는 분석부(2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109), 분광기(Spectrometer)(111), 질병 진단부(113),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114),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115), 피부나이 측정부(117), 및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119)가 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분광기(111)는 프로브(23)가 수집한 발생 광을 수신하여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109)는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와 분광기(111)에 의해 측정된 분광 데이터를 비교한다.
질병 진단부(113)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109)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병 진단부(113)는 분광기(111)에 의해 측정된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비교한 결과,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데이터가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에 존재하면 신체 조직(1)에 질병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는 콜라겐의 양과 피부나이가 대응된 데이터가 포함된 DB일 수 있다.
피부나이 측정부(117)는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와 분광기(111)에 의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 함으로써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나이 측정부(117)는 분광기(111)에 의해 측정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통해서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예를 들면,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은 예를 들면 콜라겐일 수 있다)을 알 수 있고, 이렇게 알아낸 콜라겐의 양에 대응되는 피부나이는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11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질병 진단부(113)의 진단 결과와 피부나이 측정부(117)에 의한 측정 결과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221)는 진단 서버(222)와 진단 단말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 서버(222)와 진단 단말기(224)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진단 서버(222)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209), 질병 진단부(213),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215), 피부나이 측정부(217),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219), HW/SW 자원들(216), 및 컴퓨터 프로세서(218)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24)는 분광기(211), 컴퓨터 프로세서(212), 및 HW/SW 자원들(214)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단말기(224)는 프로브(23)가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진단 서버(222)에게 송신하고, 진단 서버(222)로부터 진단 및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수신된 진단 및 측정 결과는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HW/SW 자원(214)은 진단 단말기(224)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들을 의미한다. HW/SW 자원(214)은 예를 들면 메모리(미도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미도시)와 하드웨어(미도시), 음성처리 소프트웨어(미도시)와 하드웨어(미도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들(미도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HW/SW 자원(216)은 진단 서버(222)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들을 의미한다. HW/SW 자원(214)은 예를 들면 메모리(미도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들(미도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세서(212)는 진단 단말기(224)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분광기(Spectrometer)(211) 및 HW/SW 자원들(214)이 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컴퓨터 프로세서(218)는 진단 서버(222)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209), 질병 진단부(213),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215), 피부나이 측정부(217),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219), HW/SW 자원들(216)이 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분광기(211)는 프로브(223)가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분광기(211)에 의해 측정된 스펙트럼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진단 서버(222)로 송신한다.
진단 서버(222)는 진단 단말기(224)로부터 수신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피부나이를 측정한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진단 단말기(224)에게 전송한다. 진단 단말기(224)가 수신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표시된다.
진단 서버(222)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진단 서버(222)는 분광기(211)에 의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수신한다.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209)는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와 분광기(211)에 의해 측정된 분광 데이터를 비교한다.
질병 진단부(213)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209)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질병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피부나이 측정부(217)는 수신한 스펙트럼과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진단 서버(222)는 질병 진단부(213)의 진단결과와 피부나이 측정부(217)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진단 단말기(224)에게 전송한다. 이후, 진단 단말기(224)에게 전송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석부를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예들은, 피부나이 측정부(117, 217)과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피부나이 측정부(117, 217)와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는 피부나이를 측정하는 동작은 수행하지 않고 질병을 진단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브(23)가 수집하는 발생 광은, 레이저가 신체 조직(1)에 조사되었을 때 신체 조직(1)로부터 발생된 광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 조사 장치(130)와 분석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장치(120)는 분석부(121)와 프로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부(12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분석부 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프로브(123)와 레이저 조사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프로브(123)는 레이저 조사 장치(130)에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로브(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레이저 조사 장치(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나사 결합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임의의 결합 방법에 의해서도 프로브(123)와 레이저 조사 장치(130)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장치(130)는 핸드피스(133)와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본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브(123)의 형상은 중앙이 비어 있는 대략 원통형이고, 중앙의 빈 곳으로 레이저 조사 장치(130)의 핸드피스(133)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방법은 핸드피스(133)를 통해서 신체 조직(1)에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발생된 발생 광을 프로브(123)가 수광 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핸드피스(133)의 말단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구조와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는 핸드피스(133)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적절한 위치에 조사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는 링(137)과 지지부(135)를 포함한다. 지지부(135)는 링(137)을 핸드피스(133)의 본체와 이격 시켜 유지시킨다. 지지부(135)는 링(137)과 핸드피스(133)의 말단부를 연결시키되, 링(137)과 핸드피스(133)의 말단부가 소정 거리 이격 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지지부(135)는 철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 장치(130)는 프로브(123)와 결합되었다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레이저 조사 장치(30)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
분석 장치(120)는 신체 조직(1)에 레이저가 조사되었을 때 신체 조직(1)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고,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신체 조직(1)에 존재하는 질병을 진단하고, 신체 조직(1)이 피부인 경우에는 피부의 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
분석 장치(120)는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며, 예를 들면 LIBS(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LIBS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방식의 분광 기술도 적용이 가능하다.
분석 장치(120), 피부의 나이를 측정할 때, 피부의 나이를 측정하기 위한 DB(미도시)- 피부의 나이와 발광 스펙트럼을 관련시킨 DB-를 비교함으로써 피부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브(123)는 신체 조직(1)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을 수집하고, 분석부(121)는 프로브(123)가 수집한 발생 광을 분석하여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신체 조직(1)이 피부인 경우에는 피부의 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123)가 실제로 수집한 발생 광은, 레이저가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신체 조직(1)로부터 발생되는 광이다.
도 4와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프로브(123)는 발생 광을 수집하기 위한 렌즈(125: 125a, 125b), 렌즈(125: 125a, 125b)에 의해 수집된 발생 광에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127: 127a, 127b), 및 필터링 된 발생 광이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광섬유(129: 129a, 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섬유(129: 129a, 129b)를 통해서 이동되는 발생 광은 분석부(121)의 분광기에게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125)는 제1렌즈(125a)와 제2렌즈(125b)를 포함하고, 필터(127)는 제1필터(127a)와 제2필터(127b)를 포함하고, 광섬유(129)는 제1광섬유(129a)와 제2광섬유(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렌즈(125a)와 제2렌즈(125b)의 기능은 서로 동일하고, 제1필터(127a)와 제2필터(127b)의 기능도 서로 동일하고, 그리고 제1광섬유(129a)와 제2광섬유(129b)의 기능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렌즈, 필터, 및 광섬유를 2개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렌즈, 필터 및 광섬유를 1개씩 포함하도록 구성(즉, 제1렌즈, 제1필터, 제1광섬유를 포함하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3개 이상씩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서, 프로브(123)는 레이저 조사 장치(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프로브(123)와 레이저 조사 장치(130)가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프로브(123)에 포함된 구성요소들(125, 127, 129)은 핸드피스(133)의 내부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는 핸드피스(33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핸드피스 탈부착 기기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프로브(330b)는 레이저 조사 장치에 구비된 핸드피스(33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레이저 조사 장치는 레이저를 신체 조직에 조사하는 장치로서 핸드피스(330a)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330b)와 레이저 조사 장치에 구비된 핸드피스(330a)는 서로 결합되어 원 피스(One piece) 형태의 핸드피스(330)를 구성한다. 원 피스(One piece) 형태의 핸드피스(330)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330b)와 레이저 조사 장치에 구비된 핸드피스(330a)가 결합된 원 피스(One piece) 형태의 핸드피스(3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핸드피스(30)와 프로브(23)를 대치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원 피스(One piece) 형태로 구현된 핸드피스(330)의 광섬유는 분석부(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분석부(21))로 연결되고, 레이저 본체(예를 들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레이저 본체(31))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원 피스(One piece) 형태로 구현된 핸드피스(330)로 입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330b)는, 내부에 광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S2, S3)을 가진 바디부(396)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부(396)의 내부에 이동되는 광들은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저와 신체조직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일 수 있다.
바디부(396)는 결합부(395),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 레이저를 유입 받을 수 있는 레이저 유입부(397a), 레이저 유입부(397a)를 통해서 유입된 레이저가 신체 조직으로 출사되는 레이저 출사부(397b), 및 발생 광이 외부로 출력되는 발생 광 출구부(397c)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이저 유입부(397a)와 레이저 출사부(397b)는 레이저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폭과 모양을 가지고, 그리고 레이저 유입부(397a)와 레이저 출사부(397b)는 레이저가 지나갈 수 있도록 서로 정렬되어 있다. 한편, 발생 광이 광섬유로 제공되도록, 발생 광 출구부(397c)와 광섬유는 결합되어 있다.
바디부(396)는 내부에 광이 이동될 수 있는 통 형상을 가지며, 그러한 통 형상의 일 단부에 결합부(395)가 형성되어 있고, 통 형상의 나머지 단부에 레이저 출사부(397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95)는 핸드피스(330a)의 결합부(393)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395)와 결합부(393)에는 서로 체결 가능한 나사 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신체 조직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은 레이저 출사부(397b)를 통해서 바디부(396)의 내부 공간(S3)로 입사된다. 즉,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저는 레이저 출사부(397b)를 통해서 조사되고, 신체 조직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도 레이저 출사부(397b)를 통해서 바디부(396)의 내부로 입사된다.
바디부(396)의 내부에 위치된 광학부는 레이저 출사부(397b)를 통해서 입사되는 발생 광의 적어도 일부를 분석부(예를 들면 분석부(21) 또는 분석부(121))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부는 레이저 출사부(397b)를 통해서 입사된 발생 광의 방향을 전환하는 광학모듈(OP1), 광학모듈(OP1)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발생 광의 방향을 재 전환하는 광학모듈(OP2), 광학모듈(OP2)에 의해 방향이 재 전환된 발생 광을 분석부(예를 들면 분석부(21) 또는 분석부(121))와 연결된 광섬유에게 제공하는 광학모듈(OP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모듈(OP1)은 레이저 출사부(397b)를 통해서 입사된 발생 광의 방향을 90도 전환시키는 광학 디바이스이고, 광학 모듈(OP2)도 광학모듈(OP1)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발생 광의 방향을 90도 전환시키는 광학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광학모듈(OP3)은 광학모듈(OP2)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발생 광을 광섬유에 제공하는 렌즈와 같은 광학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396)는 제1파트, 제2파트, 및 제3파트를 포함하며, 이들 파트는 각각 광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제1파트에는 제1광학모듈(OP1)이 위치된 부분이고, 제2파트에는 광학모듈(OP2, OP3)이 위치된 부분이고, 제3파트는 가이드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파트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저를 입사 받아서 신체 조직에 그대로 출사할 수 있도록 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파트의 일 단부에는 결합부(395)와 레이저 유입부(397a)가 형성되어 있고, 제1파트의 타 단부에는 레이저 출사부(397b)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 실시예에서, 도면 번호 397번이 부여된 곳은 본원 명세서에서 '입사부’ 또는 '레이저 출사부'로 혼용하여 호칭하기로 한다. 이는, 신체 조직으로부터 발생된 발생 광이 도면 번호 397번이 부여된 곳으로 입사되기도 하고,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저가 도면 번호 397번이 부여된 곳을 통해서 신체 조직으로 출사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는 입사부와 레이저 출사부가 서로 동일한 곳에 위치한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입사부와 레이저 출사부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 도 있음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 유입부(397a)가 형성되어 있는 제1파트로 레이저 조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저가 입사되고, 입사된 레이저는 신체 조직으로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파트는 바디부(396)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고, 제2파트가 제1파트를 둘러싸도록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330b)는, 또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파트를 구성하며, 바디부(396)의 입사부(397)와 연결된다. 가이드부는 링(337)과 지지부(335)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입사부(397)를 통해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부위에 조사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신체 조직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미용 또는 의료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신체 조직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고 레이저가 조사된 부분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며,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수집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분석 장치, 및 레이저 조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4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분석 장치는 분석부(421), 제1프로브(471), 제2프로브(472), 및 CCD(480)을 포함하고, 레이저 조사 장치는 레이저 본체(431)과 핸드피스(4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석부(421)는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407),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409), 분광기(Spectrometer)(411), 컴퓨터 프로세서(412), 질병 진단부(413),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414),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415), 질병 진단용 기준 이미지 DB 저장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본체(431)가 레이저를 생성하고, 핸드피스(433)는 그 레이저를 신체 조직(1)으로 조사한다. 한편, 신체 조직(1)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면 신체 조직(1)으로부터 발생 광이 생성된다.
제1프로브(471)는 신체 조직(1)으로부터 생성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기 용이하도록 위치되고 구성된다. 제1프로브(471)는 예를 들면 핸드피스(433)에 영구적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핸드피스(433)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프로브(471)는 신체 조직(1)으로부터 생성된 발생 광을 수집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광학적 소자(예를 들면, 렌즈나 광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로브(471)에 의해 수집된 발생 광은 분광기(411)로 제공된다.
제2프로브(472)와 CCD(고체 촬상 소자)(이하, “CCD”)(480)는 신체 조직(1)에 대한 영상(이하, “분석대상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제2프로브(472)는 CCD(480)가 분석대상 영상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학적 소자들로 구성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2프로브(472)와 CCD(480)를 “영상 수집부”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영상 수집부는 분석대상 영상을 수집하기 용이하도록 위치되고 구성된다. 영상 수집부는 핸드피스(433)에 영구적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핸드피스(433)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수집부는 제1프로브(471)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영상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분석대상 영상은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407)에게 제공된다.
제2프로브(472)는 분석대상 영상을 CCD(480)가 용이하게 수집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광학적 소자(예를 들면, 렌즈나 광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수집부는 CCD(480)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를 반드시 포함하지만, 제2프로브(472)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CCD(480)가 분석대상 영상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면, 제2프로브(472)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프로브와 제2프로브에 대한 예시 적인 구성 및 동작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40202(2016. 7. 11)에는 발생 광의 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40202(2016. 7. 11)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40202(2016. 7. 11)에 개시된 내용은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 결합된다.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409), 분광기(Spectrometer)(411), 컴퓨터 프로세서(412),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414),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415)의 각각의 동작은 각각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109), 분광기(Spectrometer)(111), 컴퓨터 프로세서(112),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114),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115)의 동작과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407)는 영상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분석대상 영상과 저장부(421)에 저장된 질병 진단용 기준 이미지 DB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는 질병 진단부(413)에 제공된다.
질병 진단부(413)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409)의 비교결과와,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407)의 비교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신체 조직(1)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방법의 일 예를 들면, 질병 진단부(413)는, i)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에 발생 광의 스펙트럼 데이터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거나 또는 ii) 질병 진단용 이미지 DB에 분석대상 영상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면, 신체 조직(1)에 질병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 방법의 다른 예를 들면, 질병 진단부(413)는, i)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에 발생 광의 스펙트럼 데이터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고 그리고 ii) 질병 진단용 이미지 DB에 분석대상 영상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면, 신체 조직(1)에 질병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은 도 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신체 조직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미용 또는 의료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신체 조직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고 레이저가 조사된 부분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며, 수집한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수집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진단하며, 신체 조직의 나이까지 측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분석 장치, 및 레이저 조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5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분석 장치는 분석부(521), 프로브(572), 및 CCD(580)을 포함하고, 레이저 조사 장치는 레이저 본체(531)과 핸드피스(5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석부(521)는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507),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509), 분광기(Spectrometer)(511), 컴퓨터 프로세서(512), 질병 진단부(513), HW/SW 자원들(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s)(514),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 저장부(515), 피부나이 측정부(517),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DB(519), 및 질병 진단용 기준 이미지 DB 저장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차이점은, 도 9의 실시예는 피부나이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본체(531)가 레이저를 생성하고, 핸드피스(533)는 레이저 본체(531)가 생성한 레이저를 신체 조직(1)으로 조사한다. 한편, 신체 조직(1)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면 신체 조직(1)으로부터 발생 광이 생성된다.
프로브(572)는 신체 조직(1)으로부터 생성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고, 분석대상 영상을 CCD(580)에게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광학적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광학적 소자는 광 및/또는 이미지를 전부 또는 일부 반사, 전부 또는 일부 굴절, 전부 또는 일부 투과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브(572)는 핸드피스(533)에 영구적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핸드피스(533)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브(572)에 의해 수집된 발생 광은 분광기(511)로 제공되고, 분석대상 영상은 CCD(580)의해 영상으로 변환되어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507)로 제공된다.
질병 진단부(513)의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질병 진단부(413)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는 콜라겐의 양과 피부나이가 대응된 데이터가 포함된 DB일 수 있다.
피부나이 측정부(517)는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519)를 참조하여 분광기(511)에 의해 측정된 스펙트럼으로부터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나이 측정부(517)는 분광기(511)에 의해 측정된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통해서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예를 들면, 피부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성분은 예를 들면 콜라겐일 수 있다)을 알 수 있고, 이렇게 알아낸 콜라겐의 양에 대응되는 피부나이는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51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피부나이 측정부(517)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피부나이 측정부(117)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신체 조직
20, 120: 분석 장치
30, 130; 레이저 조사 장치
21, 121, 221, 421, 521: 분석부
222: 진단 서버
224: 진단 단말기
23: 프로브
31: 레이저 본체
33: 핸드피스
40, 440, 540: 디스플레이부
111, 211, 421, 521: 분광기
112, 212, 218, 412, 512: 컴퓨터 프로세서
114, 214, 216, 414, 514: HW/SW 자원들
113, 213, 413, 513: 질병 진단부
115, 215, 415, 515: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DB 저장부
117, 217, 517: 피부나이 측정부
119, 219, 519: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DB 저장부
407, 507: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
405, 505: 질병 진단용 기준 이미지 DB 저장부
125: 렌즈
127: 필터
129: 광섬유
235: 지지부
237: 링

Claims (11)

  1. 미용 또는 의료용 레이저가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발생 광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분광기;
    상기 분광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비교하는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질병 진단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진단부는,
    상기 비교결과가 상기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에 상기 발생 광의 스펙트럼 데이터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가 신체 조직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되는 발생 광을 수집하는 프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브에 의해 수집된 발생 광은 상기 분광기에게 제공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광의 스펙트럼과 피부나이 측정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를 비교 및 분석하여 피부 나이를 측정하는 피부나이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레이저를 생성하여 신체 조직에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상기 신체 조직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본체와 상기 레이저 본체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를 상기 신체 조직으로 조사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브의 형상은 중앙이 비어 있는 원통형이고, 상기 중앙의 빈 곳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삽입되어 결합된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조직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 및
    상기 영상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과 질병 진단용 기준 이미지 DB를 비교하는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병 진단부는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 조직에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진단부는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에 발생 광의 스펙트럼 데이터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거나 또는
    질병 진단용 이미지 DB에 분석대상 영상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면 상기 신체 조직에 질병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진단부는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질병 진단용 기준 스펙트럼 데이터 DB에 발생 광의 스펙트럼 데이터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고 그리고 질병 진단용 이미지 DB에 분석대상 영상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하면, 신체 조직에 질병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를 생성하여 신체 조직에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피부 토닝 장치, 피부 필링 장치, 또는 레이저 수술기인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광은 플라즈마 광, 반사광, 산란광, 및 형광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진단 서버와 진단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단 서버와 상기 진단 단말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광기는 상기 진단 진말기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스펙트럼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질병 진단부는 상기 진단 서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KR1020170043700A 2016-04-04 2017-04-04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KR102049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1316 2016-04-04
KR1020160041316 2016-04-04
KR1020160041993 2016-04-06
KR20160041993 2016-04-06
KR1020160115675A KR20170114229A (ko) 2016-04-04 2016-09-08 질병 진단과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60115675 201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973A true KR20170114973A (ko) 2017-10-16
KR102049144B1 KR102049144B1 (ko) 2019-11-26

Family

ID=5996749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75A KR20170114229A (ko) 2016-04-04 2016-09-08 질병 진단과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60115669A KR101778047B1 (ko) 2016-04-04 2016-09-08 질병 진단과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60158195A KR101816240B1 (ko) 2016-04-04 2016-11-25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70043700A KR102049144B1 (ko) 2016-04-04 2017-04-04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75A KR20170114229A (ko) 2016-04-04 2016-09-08 질병 진단과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60115669A KR101778047B1 (ko) 2016-04-04 2016-09-08 질병 진단과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60158195A KR101816240B1 (ko) 2016-04-04 2016-11-25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98726A1 (ko)
EP (1) EP3281578B1 (ko)
KR (4) KR201701142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00A1 (ko) * 2018-02-15 2019-08-22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인-비보 병변 조직 검출을 위한 레이저 분광 기반의 독립 장치 및 방법
WO2019160201A1 (ko) * 2018-02-15 2019-08-22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분광 기반의 인-비보 병변 조직 검출을 위한 넌-디스크리트 스펙트럼 분석 알고리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27597B1 (ko) * 2019-03-22 2020-06-29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유도 붕괴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는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진단 장치
US11672425B2 (en) 2018-02-15 2023-06-13 Speclipse, Inc. Stand-alone apparatus and methods for in vivo detection of tissue malignancy using laser spectroscopy
WO2024101531A1 (ko) * 2022-11-07 2024-05-16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프로브에 카메라가 탑재된 레이저 진단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70B1 (ko) * 2018-03-13 2020-08-05 주식회사 지씨에스 피부관리장치, 피부관리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9730636A (zh) * 2018-12-25 2019-05-10 武汉时代珍传医疗器械有限公司 耳穴诊断治疗仪
US11747205B2 (en) 2019-02-27 2023-09-05 Deep Smart Light Ltd. Noninvasive, multispectral-fluorescence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tissues with machine/deep learning
CN115272297B (zh) * 2022-09-19 2022-12-16 南京诺源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医疗动态拉曼光谱成像检测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904A (ko) * 2007-01-05 2009-09-16 마이스킨 인크 피부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50036345A (ko) * 2012-07-02 2015-04-07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광섬유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는 내시경검사로 실시간 암 진단과 관련된 방법
KR20160007170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기계연구원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 내시경 장치 및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788A (en) * 1991-02-26 1994-01-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vices and methods for optical diagnosis of tissue
US5720894A (en) * 1996-01-11 1998-02-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ltrashort pulse high repetition rate laser system for biological tissue processing
FR2792650B1 (fr) * 1999-04-20 2003-02-28 Oreal Equivalent de peau age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US7092087B2 (en) * 2003-09-16 2006-08-15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for specimen analysis
EP1673007B1 (en) * 2003-10-03 2016-06-01 Academisch Medisch Centrum bij de Universiteit van Amsterdam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the reflectance of a substrate
GB0426993D0 (en) * 2004-12-09 2005-01-12 Council Cent Lab Res Councils Apparatus for depth-selective raman spectroscopy
US20120302892A1 (en) * 2005-07-25 2012-11-29 Niyom Lue Portable optical fiber probe-based spectroscopic scanner for rapid cancer diagnosis
US7903338B1 (en) * 2006-07-08 2011-03-08 Cirrex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ight at an optical interface
WO2009137740A1 (en) * 2008-05-09 2009-11-12 Hugh Beckman Medical devic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nomalous tissue and method for doing the same
US9117133B2 (en) * 2008-06-18 2015-08-25 Spectral Imag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perspectral imaging
US20120057145A1 (en) * 2008-08-18 2012-03-08 Tunnell James W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s of epithelial lesions
DE102008053964A1 (de) * 2008-10-30 2010-05-06 Kasenbacher, Anton, Dr.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Gewebe und Laserbearbeitungsgerät zur Bearbeitung von Gewebe
CN103096813B (zh) * 2010-07-16 2015-01-07 株式会社岛津制作所 支架以及使用该支架的光测量装置
US20150157253A1 (en) * 2013-12-06 2015-06-11 National Taiwa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human age estimation based on in vivo skin imaging
WO2015126988A1 (en) * 2014-02-18 2015-08-27 Tria Beauty, Inc. Internet connected dermatological devices and systems
KR101506978B1 (ko) * 2014-03-19 2015-04-07 한철 피부 나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904A (ko) * 2007-01-05 2009-09-16 마이스킨 인크 피부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50036345A (ko) * 2012-07-02 2015-04-07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광섬유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는 내시경검사로 실시간 암 진단과 관련된 방법
KR20160007170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기계연구원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 내시경 장치 및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00A1 (ko) * 2018-02-15 2019-08-22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인-비보 병변 조직 검출을 위한 레이저 분광 기반의 독립 장치 및 방법
WO2019160201A1 (ko) * 2018-02-15 2019-08-22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분광 기반의 인-비보 병변 조직 검출을 위한 넌-디스크리트 스펙트럼 분석 알고리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90098898A (ko) * 2018-02-15 2019-08-23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인-비보 병변 조직 검출을 위한 레이저 분광 기반의 독립 장치 및 방법
KR20190098899A (ko) * 2018-02-15 2019-08-23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분광 기반의 인-비보 병변 조직 검출을 위한 넌-디스크리트 스펙트럼 분석 알고리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672425B2 (en) 2018-02-15 2023-06-13 Speclipse, Inc. Stand-alone apparatus and methods for in vivo detection of tissue malignancy using laser spectroscopy
KR102127597B1 (ko) * 2019-03-22 2020-06-29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유도 붕괴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는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진단 장치
WO2020197005A1 (ko) * 2019-03-22 2020-10-01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유도 붕괴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는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진단 장치
US11079279B2 (en) 2019-03-22 2021-08-03 Speclipse, Inc. Diagnosis method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and diagnosis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1326949B2 (en) 2019-03-22 2022-05-10 Speclipse, Inc. Diagnosis method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and diagnosis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1422033B2 (en) 2019-03-22 2022-08-23 Speclipse, Inc. Diagnosis method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and diagnosis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1892353B2 (en) 2019-03-22 2024-02-06 Speclipse, Inc. Diagnosis method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and diagnosis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24101531A1 (ko) * 2022-11-07 2024-05-16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프로브에 카메라가 탑재된 레이저 진단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237A (ko) 2017-10-13
EP3281578A2 (en) 2018-02-14
EP3281578B1 (en) 2024-05-22
US20180098726A1 (en) 2018-04-12
KR101816240B1 (ko) 2018-01-08
KR102049144B1 (ko) 2019-11-26
KR101778047B1 (ko) 2017-09-13
KR20170114229A (ko) 2017-10-13
EP3281578A4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144B1 (ko)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시스템
KR102498119B1 (ko) 생체 조직 시료에서 흡수 및 투과 스펙트럼의 비침습적 측정을 위한 소형 분광기 시스템
US9804092B2 (en) Integrated spectral probe for raman, reflectance and fluorescence spectral measurements
CN105377134B (zh) 用于通过拉曼光谱进行无创伤性活体测量的设备
US9907472B2 (en) Disease diagnosis and skin age measurement apparatus using laser irradiation device and detachable handpiece used in the same
CN106604677A (zh) 用于通过拉曼光谱进行透皮体内测量的方法和装置
US20170281077A1 (en) System with disease diagnosis and skin age measurement functions and handpiece used therewith
KR20160106378A (ko) 생체 센서 및 이를 이를 포함하는 생체 분석 시스템
US20090253990A1 (en) Optical diagnosis of hemophilic joint effusion
US10478106B2 (en) Probe,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analytes
KR101260291B1 (ko) 구강질환 진단을 위한 광 특성 기반의 치과용 복합 진단장치
US10568506B2 (en) Optical fiber-based spectroreflectometric system
KR101871313B1 (ko) 펄스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 및 피부 나이 측정이 가능한 의료 및 미용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KR20190031776A (ko) 타겟에 조사되는 레이저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는 진단용 레이저 핸드피스용 팁
CN115120233A (zh) 一种无创生物特征信号探测装置、系统及方法
CN115137298B (zh) 一种皮下生物标志物的信号收集装置、系统及方法
KR102083063B1 (ko) 레이저 핸드피스용 팁
CN115120186A (zh) 一种基于锥形镜结构的皮下探测装置、系统及方法
KR101853434B1 (ko) 펄스 레이저 기반의 질병 진단이 가능한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핸드피스
EP4363830A1 (en) Optical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190012617A (ko) 레이저 핸드피스용 팁
KR20180053861A (ko)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광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프로브
KR20190031779A (ko) 타겟에 조사되는 레이저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는 진단용 레이저 핸드피스용 팁
KR20170114225A (ko) 레이저 시스템에서의 발생 광의 세기를 증강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