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947A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 Google Patents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947A
KR20170114947A KR1020170041344A KR20170041344A KR20170114947A KR 20170114947 A KR20170114947 A KR 20170114947A KR 1020170041344 A KR1020170041344 A KR 1020170041344A KR 20170041344 A KR20170041344 A KR 20170041344A KR 20170114947 A KR20170114947 A KR 20170114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yarn
stitches
knitting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4741B1 (en
Inventor
히데키 나카
도요히로 오노다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11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사 여단부를 풀림방지 할 때에 편사가 끊어지기 어렵고, 편사 여단부를 확실하게 풀림방지 할 수 있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각 니들베드(FB, BB)의 편성폭방향 중에 있어서, 편침의 날개가 배치되는 쪽을 날개측(D1)으로 하고, 날개가 배치되지 않는 쪽을 역날개측(D2)으로 규정하였을 때에, 이하의 공정A∼공정C를 구비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제1니들베드(FB) 또는 제2니들베드(BB)에 결합되는 기존 편성포부의 스티치 중의 하나인 특정 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1)를 편성하는 공정A. 역날개측(D2)으로부터 날개측(D1)을 향하여 급사구(9)를 이동시키고, 제1스티치(1)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제1스티치(1)로부터 인출된 제2스티치(2)를 편성하는 공정B. 제2스티치(2)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1스티치(1)에 고정시킴으로써 편사 여단부(5)를 풀림방지하는 공정C.
(assignment)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ing yarn in which the knitting yarn is less likely to be broken when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is loosened and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Solution)
When the blade side D1 in which the wings of the knitting needles are arranged and the reverse blade side D2 in which the blades are not arranged are define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needle beds FB and BB, Of the knitting yarn. A step of knitting a first stitch 1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a specific stitch 11 which is one of the stitches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coupled to the first needle bed FB or the second needle bed BB. The yarn feeder 9 is moved from the reverse blade side D2 toward the blade side D1 and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stitches 1 so that the second stitches 2 pulled out of the first stitches 1, . A step of fixing the second stitches 2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irst stitches 1 to thereby prevent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bricks 5;

Description

편사의 풀림방지방법{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yarn,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할 때에, 편성포의 편성 도중에 편사를 절체(切替)함으로써 생기는 편사 여단부(編絲 余端部)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knitting a knitted fabric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the knitting yarn remaining end portion generated by switching the knitting yarn during knitting of the knitted fabric is loosened, To prevent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이나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 등을 구비하는 편성포에서는, 편성포의 편성 도중에 편사의 절체가 이루어진다. 이 편사가 절체되는 부분에는, 절체 전의 편사로 편성된 편성포부에 절체 후의 편사를 유입시키는 실 넣기부(yarn-in部)와, 절체 전의 편사로 편성된 편성포부의 종단(終端)으로부터 그 편사를 인출하는 실 빼기부(yarn-out部)가 있고, 이 실 넣기부, 실 빼기부에서 편사가 풀리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 풀림방지가 횡편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In a knitted fabric having a stripe pattern or an intarsia pattern, the knitting yarn is switched during the knitting of the knitted fabric. In the portion where the knitting yarn is transferred, a yarn introduction portion for introducing the knitting yarn after the transfer into a knitting fabric portion knitted before the transfer is provided, and a yarn introduction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knitting yarn from the end of the knitting yarn portion, Out portion for pulling out the yarn, a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knitting yarn from being loosened in the yarn inserting portion and yarn extracting portion.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ing yarn such that the loosening prevention is performed in a flat knitting machin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는,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의 일방(一方)의 측면에 코이동용의 날개가 있는 편침(編針)을 갖춘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편사를 절체할 때에 생기는 편사 여단부를 풀림방지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각 니들베드(needle bed)의 편성폭방향 중에 있어서, 편침의 날개가 배치되는 쪽을 날개측, 날개가 배치되지 않는 쪽을 역날개측으로 규정하고, 하기의 [1]∼[3]을 한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knitting machine in which when a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itting needle having a wing for nose movement on one side of one side of a needle body having a hook, A knot yarn break preventing method for preventing a knot yarn bridle portion from being loosened. More specifically,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each needle bed, the side on which the wing of the knitting needle is disposed is defined as the blade side, and the side on which the blade is not disposed is defined as the reverse blade side. 3].

[1] 급사구(給絲口)를 날개측으로부터 역날개측으로 이동시키고,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기존 편성포부의 스티치 중의 하나인 특정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하여, 특정 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1신규 스티치를 편성한다.[1] A yarn feeder is moved from a blade side to a reverse blade side, and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a specific stitch, which is one of the stitches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coupled to the needle bed, The first new stitch is knitted.

[2] 상기 [1]에서와 같은 급사구를 사용하여, 특정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신규 스티치를 편성한다.[2] A second new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a specific stitch is knitted using the yarn feeder as in [1] above.

[3] 제1신규 스티치와 제2신규 스티치를 포갠다.[3] The first new stitch and the second new stitch are overlapped.

여기에서 스플릿 편성은, 니들베드(X)의 편침(XX)에 결합되는 스티치(P)를, 니들베드(X)에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Y)의 편침(YY)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티치(P)로부터 인출된 스티치(Q)를 편침(XX)에 편성하는 공지의 편성기술이다.
Here, the split knitting is carried out by moving the stitch P, which is to be engaged with the knitting needle XX of the needle bed X, to the knitting needle YY of the needle bed Y facing the needle bed X , And knitting the stitches (Q) drawn out from the stitches (P) with the knitting needles (XX).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156669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156669

특허문헌1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편사 여단부를 확실하게 풀림방지 할 수 있지만, 풀림방지를 하는 편사의 강도(强度)가 낮으면, 풀림방지의 편성을 하는 도중에 편사가 끊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eventing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but if the strength of the knitting yarn to be loosened is low, the knitting yarn may be broken during the knitting prevention .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사 여단부를 풀림방지 할 때에 편사가 끊어지기 어렵고, 특허문헌1에서와 같이 편사 여단부를 확실하게 풀림방지 할 수 있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ircumstance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knot loosening preventing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break the knitting yarn when loosening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and can reliably prevent the knitting bristle portion from loosening as in Patent Document 1 .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1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있어서 편사가 끊어져 버리는 원인을 다양하게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제1신규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날개측으로부터 역날개측으로 급사구를 이동시켜 스플릿 편성을 하는 것이 그 원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날개측으로부터 역날개측으로 급사구를 이동시켜 스플릿 편성을 하면, 제1신규 스티치의 싱커 루프(sinker loop)(스티치와 스티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는 특정 스티치의 2개의 싱커 루프를 묶는 것처럼 휘감는다(특허문헌1에 있어서 도1의 S1 참조). 이 싱커 루프 상호 간이 얽힘으로써 편사가 확실하게 풀림방지되는 반면에 편사가 움직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스플릿 편성 후의 편성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편사에 큰 장력(張力)이 작용해 버린다. 상기와 같은 지견(知見)에 의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하에 나타내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을 완성시켰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variously investigated the cause of the breakage of the knitting yarn in the method of preventing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of Patent Document 1.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when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a specific stitch to form the first new stitch, the yarn feeder is moved from the wing side to the reverse blade side to perform split knitting. When the yarn feeder is moved from the blade side to the reverse blade side to perform the split knitting, the sinker loop of the first new stitch (the portion connecting the stitches to the stitch) is wound around the two sinker loops of the particular stitch (Refer to S1 in Fig. 1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knitting yarns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the knitting yarn is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while the knitting yarn becomes difficult to move. Therefore, when forming a new stitch after knitting after split knitting, a large tension is applied to the knitting yarn. Based on such knowledg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method for preventing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본 발명은, 전후로 대향하는 제1니들베드 및 제2니들베드와,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니들베드 및 상기 제2니들베드에 설치되는 편침이, 훅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의 일방의 측면에 코이동용의 날개를 갖는 편침인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편성 도중에 편사를 절체함으로써 생기는 편사 여단부를 풀림방지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은, 각 니들베드의 편성폭방향 중에 있어서, 상기 편침의 상기 날개가 배치되는 쪽을 날개측으로 하고, 상기 날개가 배치되지 않는 쪽을 역날개측으로 규정하였을 때에, 하기의 공정A∼공정C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itting needle comprising a first needle bed and a second needle bed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feeding opening for feeding the knitting yarn, the knitting needle provided on the first needle bed and the second needle b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ing yarn breakage caused by switching a knitting yarn during the knitting of a knitted fabric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nose transfer bladder on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ing side of the knitting needle is arranged on the blade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each needle bed and the side on which the wing is not arranged is defined on the reverse blade side, A to C are provided.

· 상기 제1니들베드 또는 상기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기존 편성포부의 스티치 중에서 편사의 절체위치에 있는 특정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A step of knitting a first stitch continuing in a wale direction of a specific stitch at a knitting position of the knitting yarn in a stitch of an existing knitting needles coupled to the first needle bed or the second needle bed;

· 상기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상기 제1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 여기에서 상기 공정B의 스플릿 편성은, 상기 역날개측으로부터 상기 날개측을 향하여 상기 급사구를 이동시켜 한다.A step of performing a split knitting on the first stitch and knitting a second stitch drawn out from the first stitch; Here, in the split knitting of the step B, the feed port is moved from the reverse blade side toward the blade side.

· 상기 제2스티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제1스티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편사 여단부를 풀림방지하는 공정C.A step of loosening the knitting yarn brick by fixing the second stitch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irst stitch;

본 발명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의 한 형태로서,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제1스티치에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제1스티치에 직접 고정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As one mode of the method for loosening the knitting yar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C, the second stitch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stitch, and the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double stitch is knitted, And directly fixed to the first stitch.

본 발명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의 한 형태로서,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제3스티치를 상기 제1스티치에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2스티치에 간접적으로 고정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As a form of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ing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C, a thir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is knitted, the third stitch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stitch, And the first stitch is indirectly fixed to the second stitch by knitting a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코이동용의 날개를 갖는 편침을 구비하는 횡편기에서는, 제1니들베드의 편침의 훅과 제2니들베드의 편침의 훅이 정면으로 대향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1니들베드의 편침에 대향하는 제2니들베드의 편침은, 제1니들베드의 편침에 대하여, 제1니들베드의 편침의 날개가 있는 쪽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제2스티치를 편성할 때에, 급사구를 날개측으로 이동시킬 것인지 역날개측으로 이동시킬 것인지에 따라, 제1스티치의 싱커 루프에 대한 제2스티치의 싱커 루프의 얽는 방식이 다르다. 본 발명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서는, 특허문헌1의 기술과는 반대로, 급사구를 역날개측으로부터 날개측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하고 있고, 제2스티치의 싱커 루프는 제1스티치의 2개의 싱커 루프를 묶는 것처럼 얽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플릿 편성 후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여도 편사에 국소적으로 큰 장력이 작용하기 어려우므로, 풀림방지의 도중에 편사가 끊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the knitting needles having nose-moving blades, the hooks of the knitting needles of the first needle bed and the knitting needles of the second needle bed are not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face. For example, The knitting needle of the second needle bed is arranged at a position shifted to the wing of the knitting needle of the first needle bed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of the first needle bed. Therefore, when the yarn feeder is to be moved to the wing side or the reverse wing side when the second stitch is knitted by performing the split knitting on the first stitch, the entanglement of the sinker loop of the second stitch to the sinker loop of the first stitch The method is different. In the knot loosening preven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feeder is moved from the reverse blade side to the blade side to perform the split knitting on the first stitch, and the sinker loop of the second stitch, It does not get entangled as it binds two sinker loops of one stitch. Therefore, even when a new stitch is formed after the split knitting, it is difficult for locally large tension to act on the knitting yarn, so that breakage of the knitting yarn during the loosening prevention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편사 여단부를 확실하게 풀림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을 실시함으로써,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사 여단부에 매듭이 형성되기 때문이다.Further, according to the loosening prevention method of the knitting yar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loosening of the knot bristl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knot is formed at the knot bristle end por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by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스티치를 직접 제1스티치에 고정시키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은, 특히 실 넣기를 할 때에 적합하기 때문에, 실 넣기부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that fixes the second stitches directly to the first stitch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the yarn loading is performed, and thus the yarn introduction portion can be neatly finished.

제2스티치를 간접적으로 제1스티치에 고정시키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은, 특히 실 빼기를 할 때에 적합하기 때문에, 실 빼기부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which indirectly fixes the second stitch to the first stit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reading, so that the yarn removing part can be neatly finished.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도1의 편성공정도에 따라 풀림방지된 편사 여단부의 근방의 루프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2에 관한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1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a knitting loosening preve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loop diagram in the vicinity of the knot brigade portion that is unlocked according to the knitting process diagram of Fig. 1. Fig.
Fig. 3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the knitting loosening preve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실시형태1〉≪ Embodiment 1 >

실시형태1에서는 도1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제1급사구(第一給絲口)(8)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第一編絲)(Y1)로 편성된 기존 편성포부(旣存 編成布部)(10)에 대하여, 제2급사구(9)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Y2)를 실 넣기(yarn-in) 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1편사(Y1)와 제2편사(Y2)는, 색이나 종류가 다른 편사를 이용할 수 있다. 도1 중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FB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를, BB는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를 나타낸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knitting process chart of Fig. 1, the knitt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knitting yarn (knitting yarn) Y1 knitted by the first knitting yarn (first knitting yarn) Y1 fed from the first feeding hole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second knitting yarn Y2 that is fed from the second feeding port 9 is yarn-in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knitting fabric portion 10 as shown in Fig. The first knitting yarn Y1 and the second knitting yarn Y2 may use knitting yarns different in color or type. In Fig. 1, " S + number " indicates the number of knitting steps, FB indicates a front needle bed, and BB indicates a back needle bed.

도1의 편침(編針)은, 바늘 본체의 선단(先端)에 형성되는 훅(hook)을 래치(latch)의 요동(搖動)에 의하여 개폐하는 래치 니들(latch needle)로서, 바늘 본체의 일방(一方)의 측면에 코이동용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FB, BB의 편성폭방향 중에 있어서, 래치 니들의 날개가 배치되는 쪽을 날개측(D1), 날개가 배치되지 않는 쪽을 역날개측(D2)으로 규정한다. 본 예의 횡편기의 경우에, FB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우측이 날개측(D1), 지면의 좌측이 역날개측(D2)이고, BB에 있어서는 지면의 좌측이 날개측(D1), 지면의 우측이 역날개측(D2)이다.The knitting needle shown in Fig. 1 is a latch needle which opens and closes a hook formed at a tip end of a needle body by swinging of a latch, And a nose-moving wing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FB and BB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the side on which the wings of the latch needles are arranged is defined as the wing side D1 and the side on which the wing is not arranged is defined as the reverse wing side D2. In the case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of this example, the right side of the paper surface of the FB is the blade side D1 and the left side of the paper is the reverse blade side D2. In BB, the left side of the paper is the blade side D1,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the reverse blade side (D2).

S0에는, 제1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Y1)에 의하여 FB에 기존 편성포부(10)가 편성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편사(Y2)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9)를 사용하여 실 넣기를 한다.S0 shows a state in which the knitting yarn 10 is knitted by FB by the first knitting yarn Y1 fed from the first class sharable yarn 8. From this state, the second yarn feeder 9 for feeding the second knitting yarn Y2 is used for threading.

S1에서는, 기존 편성포부(10)의 스티치 중에서 편사의 절체위치, 즉 제2편사(Y2)에 의한 편성을 시작하는 위치의 스티치(왼쪽에서 4번째 스티치)를 특정 스티치(11)로서 선택하고, 이 특정 스티치(11)에 계속하여, 기존 편성포부(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신규 편성포부의 편성을 시작한다. 먼저 제2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FB에 있어서의 날개측(D1))으로 이동시켜, 특정 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1)를 편성한다(공정A). 실 넣기를 하는 본 예의 경우에, 제1스티치(1)로부터 제2급사구(9)와는 역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이 편사 여단부(編絲 余端部)(5)이다.In S1, a stitch (a fourth stitch from the left) at a position where knitting by the knitting yarn, that is, knitting by the second knitting yarn Y2 starts, is selected as the specific stitch 11 from among the stitches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10, Following this specific stitch 11, the knitting of a new knitting pleat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10 is started. The first stitch 1 is first knitt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pecific stitch 11 by moving the second class shoe 9 to the right side (blade side D1 in the FB) of the ground (step A) . In the case of this example in which yarn is loaded,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itch 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is the knitting yarn end portion 5.

S2에서는, FB의 편침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를 대향(對向)하는 BB의 편침으로 이동시킨다. 이 S2는, 다음의 S3을 편성할 때에 제1스티치(1)에 대하여 제2급사구(9)를 역날개측(D2)으로부터 이동시켜 편성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다.In S2, the first stitches 1, which are engaged with the knitting needles of the FB, are moved to the knitting needles of the BB facing each other. This S2 is to move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from the reverse blade side (D2) to the first stitch (1) when knitting the next S3.

S3에서는, 제2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 즉 BB에 있어서의 역날개측(D2)으로부터 날개측(D1)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1스티치(1)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한다(공정B). 구체적으로는, BB의 편침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를 대향하는 FB의 편침으로 이동시키면서 제2편사(Y2)를 제1스티치(1)로부터 인출하고, 제1스티치(1)가 결합되어 있던 BB의 편침에 제2스티치(2)를 편성한다. 제2급사구(9)를 역날개측(D2)으로부터 날개측(D1)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도2의 루프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스티치(2)의 2개의 싱커 루프(sinker loop)(2a, 2b)는, 특정 스티치(11)의 지면의 우측부분인 일측부분(11A)과, 제1스티치(1)의 일측부분(1A)과 교차하지만, 특정 스티치(11)의 지면의 좌측부분인 타측부분(11B)과, 제1스티치(1)의 타측부분(1B)과는 교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2급사구(9)로부터 제1스티치(1)에 이르는 일련의 제2편사(Y2)가 움직이기 쉬워, 제2편사(Y2)에 국소적으로 큰 장력이 걸리기 어렵다. 여기에서 일측부분(11A(1A))은, 특정 스티치(11)(제1스티치(1))를 구성하는 니들 루프(needle loop) 중에서 도1의 S3에 있어서의 제2급사구(9)의 이동방향과 반대측의 부분이고, 타측부분(11B(1B))은, 특정 스티치(11)(제1스티치(1))를 구성하는 니들 루프 중에서 도1의 S3에 있어서의 제2급사구(9)의 이동방향측의 부분이다.In S3, the second class shaper 9 is moved from the left side of the paper, that is, from the reverse blade side D2 to the blade side D1 in the BB, and the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stitch 1, (Step B). Concretely, the first knitting yarn Y2 is drawn out from the first stitch 1 while the first stitch 1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of the BB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of the opposing FB, The second stitches 2 are knitted on the stitches of the BB which have been formed. By performing the split knitting while moving the second class shade 9 from the reverse blade side D2 to the blade side D1 as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2, two sinker loops of the second stitches 2 the sinker loops 2a and 2b intersect one side portion IA of the first stitch 1 and the one side portion 1A of the specific stitch 11, The other side portion 11B which is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paper and the other side portion 1B of the first stitch 1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a series of second knitting yarns Y2 running from the second grade yarn 9 to the first stitch 1 is easy to mov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rge tension locally to the second knitting yarn Y2. Here, the one side portion 11A (1A) is a part of the needle loop constituting the specific stitch 11 (first stitch 1) And the other portion 11B (1B) is a part of the needle loop constituting the specific stitch 11 (first stitch 1) ) On the moving direction side.

S4에서는, 제2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보다도 우측의 위치에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S5에서는, BB의 편침에 결합되는 제2스티치(2)를 FB의 제1스티치(1)와 포갠다(공정C의 일부). S4의 제2급사구(9)의 이동은, S5에서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포갤 때에 양 스티치(1, 2)의 사이에 제2급사구(9)로부터 신장되는 제2편사(Y2)의 일부가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다. 제2편사(Y2)의 일부가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의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티치의 외형이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또한 S4를 하지 않음으로써 제2편사(Y2)의 일부가 양 스티치(1, 2)의 사이에 끼인 경우에 있어서도 풀림방지는 할 수 있다.In S4, the second class shaper 9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paper, and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is stopped at a position to the right of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In S5, the second stitches 2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s of the BB are overlapped with the first stitches 1 of the FB (a part of the process C). The movement of the second class sharable yarn 9 of S4 extends from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between the two stitches 1 and 2 when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are folded in S5, In order to prevent a part of the second knitting yarn Y2 from being caught. A part of the second knitting yarn Y2 is not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stitches 1 and the second stitches 2,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stitches is neatly finished. In addition, even if a part of the second knitting yarn Y2 is sandwiched between the stitches 1 and 2 by not performing S4, the unwinding can be prevented.

S6에서는,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포갠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는 스티치(4)를 편성하고, 제2스티치(2)를 제1스티치(1)에 직접 고정시킴으로써, 편사 여단부(5)의 풀림방지를 한다(공정C의 잔부(殘部)). 스티치(4)를 편성할 때의 제2급사구(9)의 이동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S6에서 제2급사구(9)를 좌측(FB에 있어서의 역날개측(D2))으로 이동시켜 스티치(4)를 편성하고 있는 것은, S4를 한 결과, S5를 시작하는 시점에 더블 스티치보다도 우측에 제2급사구(9)가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S4를 하지 않는 경우라면, S6에서는 제2급사구(9)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스티치(4)를 편성하면 좋다.In step S6, the stitches 4 continuous in the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the double stitch including the first stitches 1 and the second stitches 2 are knitted and the second stitches 2 are knitted 1 stitch 1, thereby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brick 5 (the rest of the process C).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when the stitches 4 are knitt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reason why the second class shade 9 is moved to the left side (the reverse blade side D2 in the FB) in S6 and the stitch 4 is knitted is that as a result of S4, And the second-class shoe 9 is disposed on the right-hand side. If S4 is not performed, the second class shaper 9 may be moved to the right side to knit the stitches 4 in S6.

S6의 이후에는, 기존 편성포부(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신규 편성포부를 편성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제2급사구(9)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기존 편성포부(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신규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After S6, a new knitting asept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10 may be knitted. For example, the second class shade 9 is moved to the left side to knit a new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knitted fabric portion 10.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풀림방지를 한 실 넣기부의 루프도를 도2에 나타낸다. 편성종료 후에 편사 여단부(5)를 편성포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포갠 더블 스티치가 오그라들고, 이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에 매듭이 형성되어, 특정 스티치(11)와 스티치(4)의 사이에서 그 매듭이 고정된다. 매듭이 형성됨으로써, 편사 여단부(5)가 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스티치(2)의 2개의 싱커 루프(2a, 2b)는, 특정 스티치(11)의 일측부분(11A)과 제1스티치(1)의 일측부분(1A)과만 교차하기 때문에, 편사 여단부(5)를 당겨 매듭을 형성할 때에, 제1스티치(1)의 2개의 싱커 루프가 제2스티치(2)의 싱커 루프(2a, 2b)에 의하여 조여지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편사 여단부(5)로부터 스티치(4)에 걸쳐 제2편사(Y2)가 움직이기 쉬워, 제2편사(Y2)가 끊어지기 어렵다. 또한 특정 스티치(11)에는 매듭이 형성되지 않고,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포갠 더블 스티치가 매듭이 되기 때문에, 특정 스티치(11)의 외형이 흐트러지지 않고, 매듭에 의하여 편성포의 품질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Fig. 2 shows a loop diagram of the thread take-up unit that is prevented from being unwound by the above method. When the knitting yarn end portion 5 is pulled out from the knitted fabric after the knitting is finished, the double stitch cover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is folded, and a knot is formed at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two-dot chain line , The knot is fixed between the specific stitch 11 and the stitch 4. By forming the kno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5 from being unwound. Since the two sinker loops 2a and 2b of the second stitch 2 intersect only with the one side portion 11A of the specific stitch 11 and the one side portion 1A of the first stitch 1, The two sinker loops of the first stitches 1 are not tightened by the sinker loops 2a and 2b of the second stitches 2 when the knot is pulled by pulling the brim end portions 5. [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second knitting yarn Y2 to move from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5 to the stitches 4, making it difficult for the second knitting yarn Y2 to be broken. A knot is not formed on the specific stitch 11 and a double stitch cover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is knotted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particular stitch 11 is not disturbed, Thus, the quality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mpaired.

상기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은,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특히 실 넣기를 할 때에 적합하다.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포갠 더블 스티치가 오그라들기 때문에, 더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4)와, 스티치(4)에 연속하여 코스방향으로 편성되는 신규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거의 일치하는 스티치열이 되기 때문이다.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the yarn is to be loaded, as illustrated in Fig. The stitches 4 that continue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double stitch and the stitches 4 that continue in the course direction and are knitted in the course direction in succession to the stitches 4 because the double stitches covering the first stitches 1 and the second stitches 2 are broken, Is a stitch row in which the stitches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wale direction.

〈실시형태2〉≪ Embodiment 2 >

실시형태2에서는, 기존 편성포부(10)를 편성하는 제1편사(Y1)를 실 빼기(yarn-out) 하는 예를 도3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을 보는 방법은 도1에서와 같다.In the second embodiment, an example of yarn-out of the first knitting yarn Y1 knitting the existing knitting yarn 1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knitting process diagram of Fig. The method shown in Fig. 3 is the same as in Fig.

S1에서는, 제1급사구(8)를 지면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편사(Y1)로 기존 편성포부(10)의 최종코스를 편성한다(공정A). 이 경우에, S1에서 최후에 편성한 스티치가 제1스티치(1)이고, 그 밑의 기존 편성포부(10)의 스티치가 특정 스티치(11)이다.In S1, the first class shaper 8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paper, and the final course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10 is knitted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Y1 (step A). In this case, the stitch that is knitted last in S1 is the first stitch 1, and the stitch of the existing knitting cloth 10 under the stitch is the specific stitch 11.

S2에서는, FB의 편침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를 대향하는 BB의 편침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S3에서는, 제1급사구(8)를 지면의 좌측(BB에 있어서의 날개측(D1))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제1스티치(1)에 대하여 스플릿 편성을 하여, 제1스티치(1)로부터 인출된 제2스티치(2)를 편성한다(공정B). 이 경우에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제2스티치(2)의 2개의 싱커 루프는, 특정 스티치(11)의 일측부분(지면의 우측부분)과 제1스티치(1)의 일측부분과만 교차하기 때문에, 제1스티치(1)의 2개의 싱커 루프가 제2스티치(2)의 싱커 루프에 의하여 조여지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에 이르는 일련의 제1편사(Y1)가 움직이기 쉬워, 제1편사(Y1)에 국소적으로 큰 장력이 걸리기 어렵다.In S2, the first stitch 1, which is engaged with the knitting needle of the FB,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of the opposing BB. In S3, the first classifying table 8 is moved toward the left side (blade side D1 in BB) of the ground, and the first stitch 1 is split and knitted, The second stitch 2 drawn out from the second stitch 2 is knitted (step B). In this case also, the two sinker loops of the second stitch 2 intersect only one side portio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paper) of the specific stitch 11 and the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stitch 1 Therefore, the two sinker loops of the first stitches 1 are not tightened by the sinker loops of the second stitches 2. As a result, a series of first knitting yarns Y1 extending from the first-class yarn guide 8 to the first stitch 1 is easy to move, and it is difficult to locally apply a large tension locally to the first knitting yarn Y1.

S4에서는, 제1급사구(8)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2스티치(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3)를 편성한다(공정C의 일부). 제3스티치(3)는, 제1편사(Y1)로 편성되는 최후의 스티치로서, 그 결과 제3스티치(3)로부터 제1급사구(8)로 신장하는 부분이 편사 여단부(5)가 된다. 제3스티치(3)를 편성함으로써 제2스티치(2)를 확정시킨다.In S4, the first classifying slot 8 is moved to the right to knit the third stitches 3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es 2 (a part of the step C). The third stitch 3 is the last stitch knitted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Y1 so that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third stitch 3 to the first feeding mouth 8 is the knitting yarn end portion 5 do. The second stitch 2 is fixed by knitting the third stitch 3.

S5에서는, 제1급사구(8)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3스티치(3)를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로 하고 있다. 제3스티치(3)를 비틀림 스티치로 함으로써, 제3스티치(3)의 싱커 루프 상호 간이 교차하고, 양 싱커 루프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편사 여단부(5)가 풀리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제3스티치(3)를 비틀림 스티치로 하지 않더라도 편사 여단부(5)를 풀림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S5는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In S5, the first class shaper 8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third stitch 3 is made a twisted stitch. By making the third stitches 3 be twist stitches, the sinker loops of the third stitches 3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two sinker loops, so that the knitting yarn breakage part 5 becomes difficult to unravel. However, since the knitting yarn end portion 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even if the third stitches 3 are not made to be twist stitches, step S5 may be omitted.

S6에서는,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스티치(3)를 제1스티치(1)에 포갠다(공정C의 일부). S6을 한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2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를 사용하여, 제1편사(Y1)로 편성된 기존 편성포부(1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신규 편성포부를 편성한다. 그때에 S6에 나타내는 제1스티치(1)와 제3스티치(3)를 포갠 더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가 제2편사로 편성되어,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가 제3스티치(3)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된다(공정C의 잔부).In step S6, the third stitches 3 are superimposed on the first stitches 1 (part of step C) as indicated by a thick arrow. After the step S6, a new knitting pleat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10 knitted with the first knitting yarn Y1 is knitted using a second knitting yarn fed from a second feeding device (not shown) . The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double stitch embedd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third stitch 3 shown in S6 is knitted into the second knitting yarn so that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And indirectly fixed via the third stitches 3 (the remainder of the process C).

편성종료 후에 편사 여단부(5)를 편성포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2스티치(2)와 제3스티치(3), 및 특정 스티치(11)의 일측부분(지면의 우측부분)과 교차하고 있는 제2스티치(2)의 2개의 싱커 루프가 오그라든다. 그 결과, 본 예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해서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편사 여단부(5)에 매듭이 형성되고, 그 매듭에 의하여 편사 여단부(5)가 풀림방지된다.When the knitting yarn end portion 5 is pulled out from the knitted fabric after the knitting is finished, the second stitches 2 and the third stitches 3 intersect the one side portio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paper) of the specific stitch 11 The two sinker loops of the second stitches 2 that are in the middle of the second stitches 2 are broken. As a result, a knot is formed on the knitting yarn brim end 5 by the method of preventing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knot brim 5 is prevented from loosening by the knot.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제3스티치(3)를 통하여 제2스티치(2)를 간접적으로 제1스티치(1)에 고정시키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은,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특히 실 빼기를 할 때에 적합하다. S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를 표면에서 보았을 때, 즉 지면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편성포를 보았을 때에, 제1스티치(1)의 이면(裏面)에 제3스티치(3)를 포개고 있기 때문에 제3스티치(3)나 제2스티치(2)가 편성포의 표면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되기 때문이다.The method for preventing unwinding of the knitting yarn in which the second stitches 2 are indirectly fixed to the first stitches 1 through the third stitches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Since the third stitches 3 are superim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titch 1 when the knitted fabric i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knitted fabric as seen from the front side, This is because the third stitches 3 and the second stitches 2 are not easily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knitted fabric.

〈그 외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여 실 빼기부에 있어서의 편사 여단부의 풀림방지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2에서 설명한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여 실 넣기부에 있어서의 편사 여단부의 풀림방지를 할 수도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knot bristle portion in the yarn withdrawal portion by the loosening prevention method of the knitting yarn described in Embodiment 1. [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knot bristle portion in the yarn introduction section by the loosening prevention method of the knitting yar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서는,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할 때에, 제1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의 역날개측으로부터 날개측을 향하여 급사구를 이동시켜 스플릿 편성을 하면 좋고, 제1스티치를 편성할 때의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의 S1에 있어서, 제2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으로 이동시켜, FB의 편침에 제1스티치(1)를 편성한다. 그리고 그 FB의 편침의 제1스티치(1)를 대향하는 BB로 이동시키지 않고, 제2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스티치(1)에 스플릿 편성을 하고, 제2스티치(2)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FB에 있어서의 역날개측(D2)으로부터 날개측(D1)을 향하여 제2급사구(9)를 이동시켜, 제1스티치(1)에 스플릿 편성을 하게 된다.In the knitting loosening preven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stitch, the spinning knitting needles may be moved from the reverse wing side of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first stitch is engaged toward the wing side to perform the split knit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ing opening when stitch is knitted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S1 of Fig. 1,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is moved to the left side of the paper, and the first stitch 1 is knitted to the knitting needle of the FB. Then, without moving the first stitches 1 of the knitting needles of the FB to the opposed BBs,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paper to perform the split knitting on the first stitches 1, (2). In this case, the second feeding opening 9 is moved from the reverse blade side D2 of the FB toward the blade side D1 to perform the split knitting on the first stitch 1.

그 외에, 본 실시형태의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서는 래치 니들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은, 코이동용의 날개를 구비하는 편침, 예를 들면 콤파운드 니들(compound needle)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는 횡편기는,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of the present embodiment,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latch needle is used, but 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ing yarn is not limited to a knitting needle having a nose for moving the nose such as a compound needle ) May be used as the flat knitting machine. Further, the flat knitting machine to be used may be a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FB : 제1니들베드
BB : 제2니들베드
D1 : 날개측
D2 : 역날개측
10 : 기존 편성포부
11 : 특정 스티치
11A : 일측부분
11B : 타측부분
1 : 제1스티치
1A : 일측부분
1B : 타측부분
2 : 제2스티치
2a, 2b : 싱커 루프
3 : 제3스티치
4 : 스티치
5 : 편사 여단부
8 : 제1급사구
9 : 제2급사구
Y1 : 제1편사
Y2 : 제2편사
FB: 1st needle bed
BB: 2nd needle bed
D1: wing side
D2: reverse blade side
10: Existing knitting aspiration
11: Specific stitch
11A:
11B: the other side
1: 1st stitch
1A: one side
1B: the other side
2: Second stitch
2a, 2b: sinker loop
3: Third stitch
4: Stitch
5: Knitting Brigade Department
8: First class shore
9: Second class shore
Y1: The first knitting yarn
Y2: The second knife

Claims (3)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제1니들베드 및 제2니들베드와, 편사(編絲)를 급사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니들베드 및 상기 제2니들베드에 설치되는 편침(編針)이,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의 일방(一方)의 측면에 코이동용의 날개를 갖는 편침인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編成布)의 편성 도중에 편사를 절체(切替)함으로써 생기는 편사 여단부(編絲 余端部)를 풀림방지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needle bed)의 편성폭방향(編成幅方向) 중에 있어서, 상기 편침의 상기 날개가 배치되는 쪽을 날개측으로 하고, 상기 날개가 배치되지 않는 쪽을 역날개측으로 규정하였을 때에,
상기 제1니들베드 또는 상기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기존 편성포부의 스티치 중에서 편사의 절체위치에 있는 특정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하여, 상기 제1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제2스티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제1스티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편사 여단부를 풀림방지하는 공정C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B의 스플릿 편성은, 상기 역날개측으로부터 상기 날개측을 향하여 상기 급사구를 이동시켜 하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A first needle bed and a second needle bed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and a feeding port for feeding knitting yarn are provided and arranged in the first needle bed and the second needle bed The knitting needles are knitted by using a knitting machine which is a knitting needle having nose-moving blades on one side of one side of a needle body having hooks, A knot loosening prevention method for loosening a knot yarn end portion caused by switching knitting yarn during knitting,
When the side on which the wing of the knitting needle is arranged is defined as the blade side and the side on which the blade is not disposed is defined as the reverse blade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knitting width direction) of each needle bed,
A step A of knitting a first stitch continuing in a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a specific stitch at a knitting position of knitting yarn among the stitches of the existing knitting needles coupled to the first needle bed or the second needle bed,
A step B of performing a split knitting on the first stitch to knit a second stitch drawn out from the first stitch,
A step C for preventing the knitting yarn bridging portion from being loosened by fixing the second stitch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irst stitch
Respectively,
Wherein the split knitting of the step B moves the yarn feeder from the reverse blade side toward the blade side.
제1항에 있어서,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제1스티치에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제1스티치에 직접 고정시키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the second stitch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stitch, and a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double stitch is knitted. Thus, How to prevent loosening.
제1항에 있어서,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제3스티치를 상기 제1스티치에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2스티치에 간접적으로 고정시키는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C, a thir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is knitted, the stitch is knitt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double stitch by superimposing the third stitch on the first stitch, And the stitch is indirectly fixed to the second stitch.
KR1020170041344A 2016-04-04 2017-03-31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KR1018447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5393A JP6518619B2 (en) 2016-04-04 2016-04-04 How to prevent knitting yarn
JPJP-P-2016-075393 201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947A true KR20170114947A (en) 2017-10-16
KR101844741B1 KR101844741B1 (en) 2018-04-03

Family

ID=5988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344A KR101844741B1 (en) 2016-04-04 2017-03-31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18619B2 (en)
KR (1) KR101844741B1 (en)
CN (1) CN107268162B (en)
DE (1) DE10201720532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44972A (en) 2022-03-28 2023-10-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JP2024058469A (en) 2022-10-14 2024-04-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for knitting a tubular fabric
JP2024058470A (en) 2022-10-14 2024-04-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11053A1 (en) * 1968-11-26 1970-08-06 Texpatent S A R L Textile knitwear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ir production
US6539752B1 (en) * 2002-06-10 2003-04-01 Francesco Gavagnin Apollonio Fine gauge knitted fabric with open-work pattern
JP5955241B2 (en) 2013-02-15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How to stop knitting yarn
JP2015161053A (en)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for preventing raveling of knitte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05324A1 (en) 2017-10-05
JP6518619B2 (en) 2019-05-22
KR101844741B1 (en) 2018-04-03
CN107268162A (en) 2017-10-20
CN107268162B (en) 2019-05-14
JP2017186694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4696B2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KR101844741B1 (en)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KR101449502B1 (en)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KR101498446B1 (en)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of knitting yarn
EP2423362B1 (en) Set up method of knitted fabric
JP2008007907A (en) Cylindrical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on knitting end side, and its knitting method
JP4717457B2 (en) Yarn splic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including splicing
KR101648748B1 (en)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JP5307000B2 (en) Knitted fabric having yarn processing sec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design apparatus
CN114592268A (en) Knitting method
JP6292828B2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JP2016125162A (en) Knitting method
JP5567556B2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KR101414028B1 (en)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JP2010013763A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KR20240052690A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R20240031119A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R20240052674A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2023144972A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JP3036713U (en) Braided intarsia knitting yarn prevention net
CN109423752A (en) The weav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of knitt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