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028B1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4028B1 KR101414028B1 KR1020130057615A KR20130057615A KR101414028B1 KR 101414028 B1 KR101414028 B1 KR 101414028B1 KR 1020130057615 A KR1020130057615 A KR 1020130057615A KR 20130057615 A KR20130057615 A KR 20130057615A KR 101414028 B1 KR101414028 B1 KR 1014140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tting
- stitch
- stitches
- stopping
- nee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9)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10)에 풀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이다. 이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은, 다음의 공정α∼공정γ를 구비한다.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10)에 멈춤용 스티치(12)를 새롭게 편성하는 공정α. 멈춤용 스티치(12)로부터 급사구(9)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절단기구(5)에 의하여 절단하는 공정β.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멈춤용 스티치(12)의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내는 공정γ.(assig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which can be more simply and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the knitted fabric.
(Solution)
After knitting a knitted fabric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which cuts a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a knitted fabric knitted fabric in a needle bed to a yarn feeder 9 and using a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a loosening preventing process is applied to the end stitches 10 of the knitting fabric.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To?. A step of newly knitting the stopping stitches 12 on the end stitches 10 joined to the needle beds; A step of cutting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stopping stitches 12 toward the feed port 9 by the knitting-and-threading mechanism 5; Step of removing the cut end 12e of the stopping stitch 12 from the end stitch 20 by moving the stopping stitch 12 from the position at the time of knit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로부터 편성포가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in which knitted fabric is not loosened from a terminal stitch of a knitted fabric after a knitted fabric is knitted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종료한 후에, 그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횡편기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에는, 그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하는 횡편기가 개시되어 있다.
It is necessary to cut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feeding port of the horizontal knitting machine in order to take out the knitted fabric from the horizontal knitting machine after knitting the knitted fabric us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그런데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편사를 절단할 때에, 편성포의 종단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종단스티치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즉시 절단하는 것은 아니다. 편사의 절단 끝부를 잡아 당겼을 때에 종단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티치가 연쇄적으로 풀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종단스티치에 계속하여 10∼20 코스 정도 자루편성을 한 후에 편사를 절단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약 절단 끝부가 잡아 당겨지더라도 우선 자루편성부의 스티치가 풀어지기 때문에, 제품이 되는 편성포의 스티치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cutting the knitting yarn to take out the knitting fabric from the knitting machine,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to the yarn feeding knitting yarn is not immediately cut after knitting the longitudinal stitch of the knitting fabric. This is because when the cutting end portion of the knitting yarn is pulled, the stitches are successively unwound from the longitudinal stitches sequentially. Thus, conventionally, the knitting yarn is cut after 10 to 20 courses of knitting are continuously performed on the end stitches. By doing so, even if the cut end portion is pulled out, the stitch of the knitted fabric portion is loosened firstly, so that the stitches of the knitted fabric that is the produc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osened.
그러나 절단 끝부가 강하게 잡아 당겨졌을 경우에, 자루편성부의 스티치가 풀어져 버려서 편성포의 스티치도 풀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자루편성부를 더 많이 편성하면 자루편성부가 풀어져 버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자루편성부를 많이 편성하는 만큼 편성포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However, when the cut end portion is pulled strongly, the stitch of the knitted fabric portion is loosened, and the stitch of the knitted fabric may be loosened. If the knitted fabric portion is further knitted against such a problem, the possibility that the knitted fabric portion is loosened can be reduced. However,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of the knitted fabric is deteriorated by knitting a large amount of the knitted fabric portion.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which can be more simply and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와,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그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에 풀림방지처리를 실시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은, 다음의 공정α∼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comprising at least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 yarn feeder for feeding yarn to a knitting needle of the needle bed,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front and rear needle beds is used to knit a knitted fabric by knitting a knitting yarn, And then performing a loosening preventing process on the end stitch of the knitted fabric. The method for preventing unwind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To?.
[공정α] …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에 멈춤용 스티치를 새롭게 편성한다.[Process alpha] ... The stitching stitch is newly knitted on the end stitches coupled to the needle bed.
[공정β] … 멈춤용 스티치로부터 급사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절단기구에 의하여 절단한다.[Process beta] ...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stopping stitch toward the delivery port is cut by the knitting-and-threading mechanism.
[공정γ] …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낸다.[Process γ] ... By moving the stopping stitch from the position at the time of knitting, the cut end portion of the knitting yarn is pulled out from the end stitch.
여기에서 상기 공정γ에 있어서의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방향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아, 편성폭방향(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어느 쪽으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공정γ에 있어서의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은, 멈춤용 스티치를 일방(一方)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他方)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고, 타방의 니들베드를 좌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래킹(racking)한 후에, 멈춤용 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부터 일방의 니들베드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사를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이 이외에 멈춤용 스티치를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한 후에, 타방의 니들베드를 좌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단숨에 래킹시킴으로써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을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단시간에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opping stitch in the step 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may be moved in any one of the knitting widthwise directions (lengthwise direction of the needle bed). Further, the movement of the stopping stitch in the step y is carried out by transferring the stopping stitch from one (one) needle bed to the other (the other) needle bed, and racking the other needle bed in either direction racking, and then the stopping stitches are repeatedly returned from the other needle bed to one of the needle beds. By doing so, the cutting end portion of the knitting yarn can be reliably pulled out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without damaging the knitting yarn. The stopping stitch may be moved by moving the stopping stitches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needle bed and then raking the other needle bed in any one of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at once. In this case, the cut end portion of the knitting yarn can be pulled out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in a short time.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α에 있어서,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니들베드의 공침(空針)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스티치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공정γ의 후에, 지지용 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냄으로써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낼 수 있다.As a form of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 a ", a form for knitting a stitch for holding made of a hook loop in a needle needle of a needle bed is knitted . In this case, after step < RTI ID = 0.0 > y, < / RTI > the knitted fabric can be pulled out of the weft knitting machine by removing the stitches for support from the needle bed.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α에 있어서,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다음의 [1]∼[3]을 하고,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1] to [3] are performed before the knitting stitches are knitted in Step a, .
[1]종단스티치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그 종단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었던 편침에, 그 종단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제1신규스티치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한다.[1] A transfer stitch for knitting a first new stitch drawn from a stitch stitch is attached to a needle bed to which a stitch stitch is attached, do.
[2]제1신규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대하여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제1신규스티치를 편성할 때의 급사구의 이동방향)으로 근접하는 편침에, 상기 종단스티치를 트랜스퍼 한다.[2] The end stitch is transferred to a knitting needle that is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first new stitch is engaged in the knitting direction of the first new st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when knitting the first new stitch).
[3]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신규스티치를,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과 같은 편성방향으로 편성한다.[3] The second new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is knitted in the knitting direction same as the knitting direction of the first new stitch.
상기 [1]∼[3]을 하면, 편성공정에 있어서는, 서로 근접하는 일방의 편침에 제1신규스티치가, 타방의 편침에 제2신규스티치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실제에는 이들 제1신규스티치와 제2신규스티치는 니들베드 상에서 풀어져 있어, 종단스티치에 연결되어 버린다(후술하는 실시형태2의 도2에 있어서의 T3'를 참조). 그 결과 편성 시보다 한층 더 큰 종단스티치가 2개의 편침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With the above-described [1] to [3], in the knitting step, the first new stitch is engaged with one of the knitting needl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new stitch is engaged with the other knitting needle. However, in practice, these first new stitches and second new stitches are loosened on the needle beds and connected to the end stitches (refer to T3 'in Fig. 2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end stitches, which are larger than the knitting time, are joined to the two knitting needles.
공정α에서 상기 [1]∼[3]을 함으로써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면, 공정γ에서 종단스티치에 계속되는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더라도, 종단스티치는 아직 1개의 편침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공정γ의 후에 종단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낼 수 있다.
If the end stitches are joined to the two knitting needles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s [1] to [3] in the step?, Even if the stopping stitch subsequent to the ending stitch is knitted in the step?, The ending stitch is still joined to one knitting needle State. Here, after the process [gamma], the end stitch is pulled out from the needle bed. By doing so, the knitted fabric can be taken out of the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편성된 멈춤용 스티치로부터 연장되는 편사의 절단 끝부를, 멈춤용 스티치의 인출방향으로 뽑아냄으로써 종단스티치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을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A)는, 종단스티치(30)의 웨일방향으로 멈춤용 스티치(31)를 편성하고, 편사의 절단 끝부(30e)를 종단스티치(30)로부터 뽑아내지 않았을 때의 스티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의 스티치에 대하여 상측의 스티치가 지면(紙面)의 전방측으로부터 속측을 향하여 인출되어 있고, 하측에 있는 스티치의 형상이 상측에 있는 스티치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절단 끝부(30e)를 잡아 당기면, 멈춤용 스티치(31)는 그 형상을 지지할 수 없어 지면의 전방측으로 잡아 당겨져서 종단스티치(30)로부터 빠진다. 멈춤용 스티치(31)가 종단스티치(30)로부터 빠지면, 종단스티치(30)의 형상을 지지하는 멈춤용 스티치(31)가 없어지기 때문에, 종단스티치(30)는 그 하단(下段)의 스티치로부터 빠진다. 이러한 것이 반복됨으로써 편성포가 풀어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여 편사의 절단 끝부(30e)를 종단스티치(30)로부터 뽑아내면, 절단 끝부(30e)를 잡아 당기더라도 검은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편사가 얽혀 있기 때문에, 종단스티치(30)의 형상이 지지되어 종단스티치(30)가 그 하측의 스티치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절단 끝부(30e)를 종단스티치(30)로부터 인출방향으로 뽑아내면, 편성포가 풀어지기 쉬운 도3(A)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손을 사용하더라도 어렵게 되어, 따라서 도3(B)의 상태로부터 편성포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거의 없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eventing unwinding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 end portion of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stopping stitch knitted continuously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is pulled out i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stopping stitch, can do. This mechanis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기 전에 지지용 스티치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할 때에 편사의 절단 끝부가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기 쉽게 된다. 이것은, 지지용 스티치에 의하여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시켰을 때에 그 멈춤용 스티치의 이동에 종단스티치가 붙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unwinding prevention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knitting the support stitch before knitting the stop stitch, the cutting end of the knitting yarn can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vertical stitch when moving the stop stitch.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end stitches on the needle bed is fixed by the supporting stitches, so that when the stitching stitch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is moved, the stitches do not stick to the movement of the stitching stitches It is to be able to do.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irs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기 전에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하여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의하면,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할 때에 편사의 절단 끝부가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기 쉽게 된다. 이것은, 2개의 편침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하더라도 아직 1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2개의 편침에 결합된 종단스티치는 그 루프 지름이 보통 경우의 스티치보다 크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편사의 절단 끝부가 뽑히기 쉽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형태2에서 설명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itches are stitched to the two knitting needles by means of split stitching before knitting the stop stitches, It becomes easy to pull out from the end stitch. This is because even if the stopping stitch is continuously knitt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es coupled to the two knitting needles, the end stitches are still joined to one knitting need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nd stitches in the needle bed is fixed . Also, since the loop diameter of the longitudinal stitches coupled to the two knitting needles is larg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titch, the cut end of the knitting yarn is physically easy to be pulled ou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econd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1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2에 관한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에 있어서, (A)는 편사의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지 않고 그대로 하였을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 (B)는 절단 끝부를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었을 때의 스티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Fig. 2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3 (A) is a loop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titch when the cut end portion of the knitting yarn is left without being pulled out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B) is a state showing the state of the stitch when the cut end portion is pulled out from the longitudinal stitch Fig.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이하, BB) 및 FB와 BB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FB와 BB의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하고 또한 BB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하였다. 이 2베드 횡편기는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하는 편사절단기구(編絲切斷機構)를 구비한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퍼 전용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knitting described in the embodiment, the front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B), the back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B) and the yarns fed to the FB and the BB, which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ace each other in the front- A two bed transverse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the FB and the BB and racking the BB left and right, Knitting machine) was used. The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knitting-out mechanism for cutting a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knitted fabric to be coupled to the needle bed to the yarn feeder. Of course, the flat knitting machine to be used is not limited to the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but may be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needle bed dedicated to transfer or a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실시형태1>≪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도1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의 좌란(左欄)에 기재되는 『알파벳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우란(右欄)에 기재되는 좌우방향의 화살표는 편성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1의 중란(中欄)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실제의 편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A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S0에는, BB의 편침(2)에 편성포의 종단스티치(終端stitch)(10)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S0에서는, 종단스티치(10)의 편성에 사용하는 급사구(9)가 종단스티치(10)보다 지면(紙面)의 우측에 있다. 종단스티치(10)는 문자 그대로 편성포의 최후의 스티치이며, 이 종단스티치(10)가 결합되는 편침(2) 이외의 편침은 모두 공침(空針)이다.S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1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3)(공침)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스티치(11)를 편성한다. 또한 S1에서는, 지지용 스티치(11)의 편성에 계속하여 BB의 편침(2)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한다(본 발명의 공정α에 상당). 또 S1에 있어서의 지지용 스티치(11)의 편성은 필수가 아니어서 생략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용 스티치(11)를 형성함으로써 편성포의 풀림방지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지지용 스티치(11)를 편성하는 경우에 그 편성위치는 BB의 편침(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S1, the
S2에서는, 멈춤용 스티치(12)로부터 급사구(9)로 연장되는 편사를 편사절단기구(5)에 의하여 절단한다(본 발명의 공정β에 상당). 편사절단기구(5)는, 일본국 특허 제4015980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In S2,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stopping
S3에서는, S1에 있어서 편성한 멈춤용 스티치(12)를 BB의 편침(2)의 위치(즉 S1에서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한 위치)로부터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방향은, 도1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의 좌측방향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멈춤용 스티치(12)를 FB의 편침을 경유시켜서 BB의 편침(4)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멈춤용 스티치(12)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S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사의 절단 끝부(12e)가 종단스티치(10)를 뚫고 나가서, 지면의 속측(즉 멈춤용 스티치(12)가 종단스티치(10)로부터 인출되는 측)으로 뽑힌다(본 발명의 공정γ에 상당). 이 때에 S1에서 지지용 스티치(11)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내기 쉽게 할 수 있다. S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용 스티치(11)로부터 멈춤용 스티치(12)로 연장되는 편사가 종단스티치(10)에 걸려서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10)의 위치를 고정하기 때문에,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에 종단스티치(10)가 붙어 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In S3, the stopper stitches 12 knitted in S1 are move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여기에서 1회의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에 의하여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빼내지 못하면, 빠질 때까지 멈춤용 스티치(12)의 이동을 반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멈춤용 스티치(12)를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에 지나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실 끊어짐의 걱정 없이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또 편사의 절단 길이가 짧으면, 간단하게 멈춤용 스티치(12)를 BB로부터 FB로 트랜스퍼 하는 것만으로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빼내는 경우도 있다.Here, if the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의하여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냄으로써 도3(B)를 사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편성포가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횡편기로부터 편성포를 빼내는 경우에, BB의 편침(3) 상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지지용 스티치(11)를 빼내면 된다.By cutting out the
또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빼내는 방법으로서, 상기 멈춤용 스티치(12)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방법 이외에 멈춤용 스티치(12)를 FB에 보관하고, 지면의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BB(FB가 래킹 가능하다면 FB이더라도 좋다)를 단숨에 래킹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끊어지기 어려운 튼튼한 편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이 방법이라면 단시간에 절단 끝부(12e)를 종단스티치(1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As a method for pulling the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함으로써 종단스티치를 니들베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멈춤용 스티치를 이동시켰을 때에 편사의 절단 끝부가 종단스티치로부터 뽑히기 쉽게 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도2의 보는 방법은 도1과 같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end stitch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eedle bed by performing a split stitch, and when the stop stitch is moved, the cut end of the knitting yarn is easily pulled out from the end stitch. The unwinding preven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method of FIG. 2 is the same as that of FIG.
도2의 T0에는, FB의 편침(3)에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T1에서는, 종단스티치(20)를 대향하는 BB의 편침(3)으로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되어 있었던 FB의 편침(3)에, 그 종단스티치(20)로부터 인출된 제1신규스티치(21)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를 한다.2, a state in which the end stitches 20 are joined to the
T2에서는, 스플릿 스티치에 의하여 BB의 편침(3)으로 트랜스퍼 된 종단스티치(20)를 FB의 편침(2)으로 트랜스퍼 한다. 그리고 T3에서는, 급사구(9)를 일단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종단스티치(2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신규스티치(22)를 편성한다. 여기에서 T2에 있어서의 종단스티치(20)의 트랜스퍼 방향 및 T3에 있어서의 제2신규스티치(22)의 편성방향을, 제1신규스티치(21)의 편성방향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편성공정에 있어서 FB의 편침(3, 2)에 결합되는 스티치(21, 22)가 니들베드 상에서 풀어져서 종단스티치(20)와 1개로 연결된다. 그 결과 T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편침(2, 3)에 1개의 큰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At T2, the end stitches 20 transferred to the
T4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2개의 편침(2, 3)에 결합되는 종단스티치(2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침(2)에 의하여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편침(3)에는 아직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에 있다. 또 멈춤용 스티치(23)는, 편침(3)에 의하여 편성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도 편침(2)에는 아직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At T4, the
또한 T4에서는,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성한 후에, 편사절단기구(5)에 의하여 멈춤용 스티치(23)로부터 급사구(9)로 연장되는 편사를 절단한다. 이후에는, 실시형태1의 S2와 마찬가지로 멈춤용 스티치(23)를 편성폭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의 절단 끝부(23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이 때에 종단스티치(20)는 FB의 편침(3)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멈춤용 스티치(23)의 이동에 따라 종단스티치(20)가 붙어 가지 않아 절단 끝부(23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내기 쉽다. 또한 T3'일 때에 인접하는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20)가 결합됨으로써 종단스티치(20)의 루프 지름이 보통의 경우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절단 끝부(23e)를 종단스티치(20)로부터 뽑아내기 쉽다.At T4, after the stopping stitches 23 are knitted, the knitting yarn ending mechanism 5 cuts the knitting yarns extending from the stopping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의해서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편성포의 풀림방지를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편성포를 횡편기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FB의 편침(3) 상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종단스티치(20)를 빼내면 된다.According to the knitting proces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as in the first embodiment. Finally, when the knitted fabric is taken out of the weft knitting machine, the only remaining end stitches 20 on the
또 상기한 실시형태1,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하기 전에, 편성포의 종단스티치에 대하여 종래보다 적은 회수(예를 들면 1∼5회)의 자루편성을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자루편성부의 최후의 스티치를 종단스티치로 하여 본 발명의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을 실시한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knit stitches less frequently (for example, 1 to 5 times) than the conventional stitches of the knitted fabric before carrying out the method of preventing loosening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1∼4 : 편침
5 : 편사절단기구
9 : 급사구
10 : 종단스티치 11 : 지지용 스티치
12 : 멈춤용 스티치 12e : 절단 끝부
20 : 종단스티치 21 : 제1신규스티치 22 : 제2신규스티치
23 : 멈춤용 스티치 23e : 절단 끝부
30 : 종단스티치 31 : 멈춤용 스티치 30e : 절단 끝부1 to 4:
5: One-way mission organization
9: Feeding gear
10: Stitch stitch 11: Support stitch
12: Stitch for
20: Staple stitch 21: First new stitch 22: Second new stitch
23: stop
30: Stitch stitch 31: Stitch for stopping 30e: Cutting end
Claims (3)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종단스티치에 멈춤용 스티치를 새롭게 편성하는 공정α와,
상기 멈춤용 스티치로부터 급사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편사를 상기 편사절단기구에 의하여 절단하는 공정β와,
상기 멈춤용 스티치를 편성 시의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편사의 절단 끝부를 상기 종단스티치로부터 뽑아내는 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A yarn feeder for feeding a knitting yarn to a knitting needle of a needle bed at least at a pair of front and rear sides, a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knitting fabric knitted at the needle bed to the yarn feeder, After a knitting machine is knitted by using a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front and rear needle beds, a knitting machine having a knitting machine mechanism A method for preventing loosening of a knitted fabric which performs a loosening preventing process on a stitch (terminal stitch) of a knitted fabric,
A step of newly knitting a stopping stitch to the above-mentioned longitudinal stitches coupled to the needle bed,
A step of cutting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stopping stitch toward the feed opening by the knitting-and-threading mechanism;
By moving the stopping stitch from the position at the time of knitting, a step of removing the cut end of the knitting yarn from the end stitches
Wherein the knitting yarn is loosely knitted.
상기 공정α에 있어서, 상기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니들베드의 공침(空針)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γ의 후에, 상기 지지용 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 a ", a supporting stitch is formed by hooking loops on the needles of a needle bed before knitting of the stopping stitches,
And after the step &thetas;, the supporting stitch is taken out from the needle bed.
상기 공정α에 있어서, 상기 멈춤용 스티치의 편성 전에, 다음의 [1]∼[3]을 함으로써 근접하는 2개의 편침에 종단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하고,
상기 공정γ의 후에, 상기 종단스티치를 니들베드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1]상기 종단스티치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그 종단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었던 편침에, 상기 종단스티치로부터 인출된 제1신규스티치를 편성하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한다.
[2]상기 제1신규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으로 근접하는 편침에, 상기 종단스티치를 트랜스퍼 한다.
[3]상기 종단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신규스티치를, 상기 제1신규스티치의 편성방향과 같은 편성방향으로 편성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lpha], before the stopping stitch is knitted, the end stitches are joined to the two knitting needles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following [1] to [3]
And after the step < RTI ID = 0.0 > y, < / RTI > the end stitch is removed from the needle bed.
[1] A stitch sewing machine, comprising: a transfer box to a needle bed facing the end stitch, a split stitch for knitting a first new stitch drawn from the stitch stitch to a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stitch is attached, .
[2] The end stitch is transferred to a knitting needle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to which the first new stitch is engaged in the knitting direction of the first new stitch.
[3] The second new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is knitted in the knitting direction same as the knitting direction of the first new st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31509 | 2012-06-11 | ||
JP2012131509A JP5991858B2 (en) | 2012-06-11 | 2012-06-11 | How to stop knitt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8672A KR20130138672A (en) | 2013-12-19 |
KR101414028B1 true KR101414028B1 (en) | 2014-07-01 |
Family
ID=4948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615A KR101414028B1 (en) | 2012-06-11 | 2013-05-22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991858B2 (en) |
KR (1) | KR101414028B1 (en) |
CN (1) | CN103485047B (en) |
DE (1) | DE102013009709A1 (en) |
IT (1) | ITTO2013046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61053A (en) * | 2014-02-28 | 2015-09-0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Method for preventing raveling of knitted fabric |
JP6635988B2 (en) * | 2017-08-01 | 2020-01-29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8692A (en) * | 2006-07-05 | 2009-03-19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method for it, and knitting machine |
KR20110098715A (en) * | 2008-12-24 | 2011-09-0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Knitting prevention method and knitted fabric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54832A (en) * | 1955-01-17 | 1958-10-07 | Joseph L Morris | Method of forming an edge and knitting swiss ribs on knitted fabrics without racking |
JP2546907B2 (en) | 1990-05-09 | 1996-10-23 | ローム株式会社 | Semiconductor laser device |
EP0616064B1 (en) * | 1993-03-16 | 1997-08-27 | H. Stoll GmbH & Co. | Method for making a thread securing knot on a flat bed knitting machine, knitting including a securing knot and use of a flat knitting machine for making the knot |
JP3099304B2 (en) * | 1994-09-01 | 2000-10-16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Unleash method |
JP3541098B2 (en) * | 1996-02-29 | 2004-07-0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ed fabric binding method |
EP2226417B1 (en) * | 2007-12-28 | 2016-03-09 | Shima Seiki Mfg., Ltd | Fabric knitting method and fabric |
-
2012
- 2012-06-11 JP JP2012131509A patent/JP5991858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615A patent/KR10141402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06-06 IT IT000469A patent/ITTO20130469A1/en unknown
- 2013-06-07 CN CN201310224808.3A patent/CN103485047B/en active Active
- 2013-06-10 DE DE102013009709A patent/DE10201300970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8692A (en) * | 2006-07-05 | 2009-03-19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method for it, and knitting machine |
KR20110098715A (en) * | 2008-12-24 | 2011-09-0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Knitting prevention method and knitted fabri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91858B2 (en) | 2016-09-14 |
ITTO20130469A1 (en) | 2013-12-12 |
KR20130138672A (en) | 2013-12-19 |
JP2013256723A (en) | 2013-12-26 |
CN103485047A (en) | 2014-01-01 |
CN103485047B (en) | 2015-06-24 |
DE102013009709A1 (en) | 2013-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4696B2 (en) |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 |
KR101449502B1 (en) |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 |
JP5955212B2 (en) | How to stop knitting yarn | |
JP5695862B2 (en) | How to create a knitted fabric | |
JP5955241B2 (en) | How to stop knitting yarn | |
KR101347648B1 (en) |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 |
KR101648748B1 (en)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 |
KR101414028B1 (en)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fabric | |
JP5479048B2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JP3099304B2 (en) | Unleash method | |
JP6153551B2 (en) | How to create a knitted fabric | |
KR101844741B1 (en) |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ing yarn | |
KR101754144B1 (en) | Knitting method | |
JP2013019062A (en) | Flat-knitting machine comprising stitch-holding bar and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6292828B2 (en) |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 |
WO2006104062A1 (en) | Method of knitting fabric | |
KR101384189B1 (en) |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 |
JP7438011B2 (en) | How to knit pile fabric using flat knitting machine | |
WO2022191048A1 (en) |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 |
CN115074897B (en) | Method for knitting pile knit fabric knitted by flat knitting machine | |
JP2024034119A (en)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