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354A - 드론 - Google Patents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354A
KR20170114354A KR1020160040958A KR20160040958A KR20170114354A KR 20170114354 A KR20170114354 A KR 20170114354A KR 1020160040958 A KR1020160040958 A KR 1020160040958A KR 20160040958 A KR20160040958 A KR 20160040958A KR 20170114354 A KR20170114354 A KR 2017011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main propeller
sub
fram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354B1 (ko
Inventor
고국원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46Arrangements of, or constructional features peculiar to, multiple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64C27/10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arranged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64D35/02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1Propulsion using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04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론은 공중 부양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공중에 상기 프레임을 부양시키는 양력을 생성하는 메인 프로펠러;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로펠러에 의해 부양된 상기 프레임의 자세 또는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서브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각 서브 프로펠러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drone}
본 발명은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공중에 뜰 수 있으며,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될 수 있다.
드론은 원거리에서 원격 조정되므로, 제어가 용이하도록 설계된다. 일 예로, 드론에는 복수의 프로펠러 및 복수의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된 모터로 인해 전력의 소비가 크므로, 일반적으로 드론의 비행 시간은 매우 짧은 편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59898호에는 근접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드론이 개시되고 있으나, 비행 시간을 개선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59898호
본 발명은 장시간 비행할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론은 공중 부양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공중에 상기 프레임을 부양시키는 양력을 생성하는 메인 프로펠러;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로펠러에 의해 부양된 상기 프레임의 자세 또는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서브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각 서브 프로펠러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은 양력을 생성하는 메인 프로펠러, 자세/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서브 프로펠러가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세 또는 방향 전환이 필요없는 상황에서 메인 프로펠러만 회전시키면 되므로, 서브 프로펠러에서 낭비되는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론은 비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으로 모터 대신 내연 기관을 이용할 수 있다.
내연 기관을 적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드론은 기존 드론과 비교하여 특수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드론(drone)은 프레임(110), 메인 프로펠러(130), 서브 프로펠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공중 부양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10)은 메인 프로펠러(130)와 서브 프로펠러(150)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에는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드론은 보통 4개의 프로펠러를 가진 쿼드콥터(quad-copter)로 만들어질 수 있다.
쿼드콥터의 장점은 동작 원리가 기존의 헬리콥터 형태에 비해 매우 간단하므로, 제어가 매우 용이하다는 점이다.
쿼드콥터는 4개의 프로펠러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프로펠러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2개의 프로펠러가 반대 반향으로 회전되면서 중심을 잡는다. 또한, 쿼드콥터는 각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상승, 하강, 좌우 방향 전환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쿼드콥터는 외부에 마련된 리모컨의 무선 전파에 의해 제어되는 드론에 적합할 수 있다.
하나의 동력 장치로 4개의 프로펠러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기 어려우므로, 각 프로펠러마다 해당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쿼드콥터는 4개의 모터(160)를 이용해서 양력을 생성하면서, 방향 전환도 수행하므로 전력 소모가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제한된 무게의 배터리(190)만으로는 충분한 비행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드론에 따르면, 비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인 프로펠러(130)와 서브 프로펠러(150)가 분리될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는 프레임(110)의 가운데에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는 회전에 의해 공중에 프레임(110)을 부양시키는 양력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드론은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공중에 뜨고, 고도가 제어될 수 있다. 대신, 메인 프로펠러(130)만으로는 프레임(110)의 자세 또는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어렵다.
서브 프로펠러(150)는 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 복수로 설치되고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부양된 프레임(110)의 자세 또는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프로펠러(150)는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 전환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서브 프로펠러(150)는 쿼드콥터와 마찬가지로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서브 프로펠러(150)는 4개 이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10)의 중앙에 배치된 1개의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공중 부양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메인 프로펠러(130)만 구동시키고, 서브 프로펠러(150)는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만 서브 프로펠러(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방향 전환의 경우에도 일부 서브 프로펠러(150)만 동작되면 되므로, 서브 프로펠러(150)에서 소모하는 배터리(190)의 전력은 쿼드콥터와 비교하여 매우 적다.
메인 프로펠러(130)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으로 서브 프로펠러(150)와 마찬가지로 모터(160)가 적용된다 하더라도, 평소 메인 프로펠러(130)를 회전시키는 1개의 주 모터(160)에서만 전력을 소모하므로, 쿼드콥터와 비교하여 전력의 소모가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인 프로펠러(130) 및 서브 프로펠러(150)에 따르면 장시간의 비행이 가능하다.
특히, 메인 프로펠러(130)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으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 기관(140)이 적용되면 프레임(110) 또는 드론의 비행 시간은 비약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4개의 서브 프로펠러(150)에 각각 내연 기관(140)을 설치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프로펠러(150)에 모터(160)를 설치하고, 1개의 메인 프로펠러(130)에만 내연 기관(140)을 설치하면 충분하므로, 생산성 및 소형화 측면에서 별다른 무리가 없다. 또한, 서브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는 모터(160)는 방향 전환시에만 구동되면 충분하므로, 배터리(190)의 소모 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쿼드콥터와 다르게 프레임(110)의 가운데에 메인 프로펠러(130)가 추가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드론은 특수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과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서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과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축은 모두 z축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1개의 메인 프로펠러(130)를 이용해서 프레임(110)을 부양시키기 위해 메인 프로펠러(130)의 전체 길이는 서브 프로펠러(150)의 전체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길이의 차로 인해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 반경 r1은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 반경 r2보다 클 수 있다. 회전되는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하측으로 밀린 공기의 양은 서브 프로펠러(150)와 비교하여 클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가 서브 프로펠러(150)보다 높게 설치되는 경우,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난 공기가 서브 프로펠러(150)에 영향을 주면 서브 프로펠러(150)의 정상적인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가 서브 프로펠러(15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경우, 양자 간의 간섭이 문제될 수 있다.
서브 프로펠러(15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고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평면상으로 서브 프로펠러(150)는 메인 프로펠러(1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 반경 r1을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제1 원 k1,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 반경 r2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제2 원 k2를 정의한다. 이때, 각 서브 프로펠러(150)는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제3 원 k3의 원호 상에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상으로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의 위치를 p0,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축(151) 4개의 각 위치를 p1, p2, p3, p4로 할 때, p0는 제1 원 k1과 제3 원 k3의 중심이 되고, p1, p2, p3, p4는 제3 원 k3의 원호 상에 등각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원 k3의 반지름 r3는 제1 원 k1의 반지름 r1과 제2 원 k2의 반지름 r2의 합보다 클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메인 프로펠러(130)가 설치되는 중심부(111), 중심부(11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중심부(111)는 프레임(110)의 무게 중심 또는 전체 드론의 무게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 또는 드론의 무게 중심에는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메인 프로펠러(1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서브 프로펠러(150)를 배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와 서브 프로펠러(150)를 충분하게 이격시키기 위해 연결부(113)의 연장 길이는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 반경 r1보다 클 수 있다.
중심부(111)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연결부(113)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10)에는 지지부(115)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5)는 중심부(1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각 연결부(11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프로펠러(150)는 연결부(113)의 단부에 연결되거나, 연결부(113)에 연결된 지지부(11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5)는 메인 프로펠러(130) 또는 서브 프로펠러(150)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난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프로펠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주로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데, 해당 바람이 지지부(115)에 맞부딪치면 지지부(115)가 중력 방향로 밀리기 때문이다. 바람에 의해 지지부(115)가 중력 방향으로 밀린 힘만큼 프로펠러의 양력이 감소될 수 있다.
프로펠러에 의해 밀려난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지지부(115)는 제1 원 k1의 외측에 제1 원 k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5)는 제2 원 k2의 외측에 제2 원 k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원 k1과 제2 원 k2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115)는 각 프로펠러로부터 밀려난 바람에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메인 프로펠러(130)로부터 밀려난 바람은 중심부(111)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에서 생성된 양력이 메인 프로펠러(130)로부터 밀려난 바람이 중심부(111)를 밀어내는 힘보다 크도록, 중심부(111)의 직경 L은 메인 프로펠러(130)의 전체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프로펠러(130)의 전체 길이와 비교해서 중심부(111)의 직경 L이 작을수록, 메인 프로펠러(130)에 밀린 바람이 중심부(111)에 맞부딪치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는 소통 공간(90)이 커질 수 있다. 소통 공간(90)이 클수록 프레임(110)의 공중 부양에 유리하다.
소통 공간(90)의 면적을 최대로 늘이기 위해 중심부(111)에 설치되는 회전 수단의 직경 역시 중심부(111)의 직경 L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제한된 직경을 가지면서, 해당 직경보다 훨씬 긴 메인 프로펠러(13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 수단은 모터(160)와 비교하여 강한 힘을 생성할 수 있는 내연 기관(140)인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프레임(110)의 중심부(111)에는 메인 프로펠러(130)를 회전시키는 내연 기관(140)이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서브 프로펠러(150)는 공중 부양을 위해 항상 회전되어야 하는 메인 프로펠러(130)와 달리 방향 전환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 수단은 모터(160)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13)의 단부에 서브 프로펠러(150)에 직결된 모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에 따르면, 메인 프로펠러(130)의 동력원으로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내연 기관(140)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은 내연 기관(140)으로 공급되는 화석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된 연료는 액체 상태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 등에 의해 유동되면서 프레임(11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된 연료로 인해 무게 중심이 변화되지 않도록 내연 기관(140)과 저장부(120)는 중심부(111)에 설치되고,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심부(111)의 하면에 내연 기관(140)이 장착되고, 내연 기관(140)의 하면에 저장부(120)가 장착될 수 있다. 연료가 소통되는 연결관(10)이 저장부(120)와 내연 기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된 연료는 연결관(10)을 통해 내연 기관(140)으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드론은 관리부(180, 19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에는 메인 프로펠러(130) 또는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180)와, 서브 프로펠러(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9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180)에는 외부에 마련된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리모컨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처리 모듈은 제어 신호에 따라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 수단을 구동시키거나, 선택된 서브 프로펠러(150)의 회전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다.
관리부가 중심부(111)에 설치되면, 중심부(111)의 직경 L이 커지므로,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밀려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소통 공간(90)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중심부(111)의 직경 L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리부는 연결부(113)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113)의 하면에 설치된 관리부에 의해 소통 공간(90)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부의 두께는 연결부(113)의 두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대신, 관리부는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연결부(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쉽게 말해, 관리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 세워진 상태로 연결부(113)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113)의 하면에 장착된 관리부는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밀린 공기에 맞부딪치지 않게 된다.
한편, 메인 프로펠러(130)의 회전 반력에 의해 프레임(110)이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프로펠러(130)에는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1 프로펠러(131)와 제2 프로펠러(132)가 마련될 수 있다.
중심부(111)의 상측에는 제1 프로펠러(131)에 연결된 제1 회전축(171)과 제2 프로펠러(132)에 연결된 제2 회전축(172)이 설치될 수 있다. 중심부(111)의 하측에는 메인 프로펠러(130)를 회전시키는 내연 기관(14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71)과 제2 회전축(172)은 동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중심부(111)에는 내연 기관(140)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축(17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회전축(17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축 반전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축(17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연 기관(140)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72)은 제1 회전축(17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연 기관(140)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프로펠러(131)의 회전 반력과 제2 프로펠러(132)의 회전 반력은 서로 상쇄되므로, 메인 프로펠러(130)에 의해 프레임(110)이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드론에 따르면, 공중 부양용 메인 프로펠러(130)와 방향 전환용 서브 프로펠러(150)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비행시 항상 회전되는 메인 프로펠러(130)는 내연 기관(140)에 의해 구동되며, 필요한 경우에만 회전되는 서브 프로펠러(150)는 모터(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90)에 의해 공중 부양과 방향 전환이 동시에 수행되던 쿼드콥터와 비교하여 배터리(190)에 의한 비행 시간의 제약이 완화되므로, 비행 시간이 대폭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1개만 배치 가능한 내연 기관(140)을 프레임(110)의 중앙에 배치하기 위해 각종 관리부를 가장자리로 옮기고, 메인 프로펠러(130)에 밀린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통 공간(90)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는 방안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연결관 90...소통 공간
110...프레임 111...중심부
113...연결부 115...지지부
120...저장부 130...메인 프로펠러
131...제1 프로펠러 132...제2 프로펠러
140...내연 기관 150...서브 프로펠러
151...서브 프로펠러의 회전축
160...모터 171...제1 회전축
172...제2 회전축 180...제어기
190...배터리

Claims (7)

  1. 공중 부양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공중에 상기 프레임을 부양시키는 양력을 생성하는 메인 프로펠러;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로펠러에 의해 부양된 상기 프레임의 자세 또는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서브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각 서브 프로펠러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서브 프로펠러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제1 원, 상기 서브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을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제2 원이 정의될 때,
    각 서브 프로펠러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제3 원 상에 등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원의 반지름은 상기 제1 원의 반지름과 상기 제2 원의 반지름의 합보다 큰 드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각 연결부를 연결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원의 외측에 상기 제1 원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원의 외측에 상기 제2 원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드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보다 크며,
    상기 서브 프로펠러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부의 직경은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전체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내연 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서브 프로펠러에 직결된 모터가 설치되는 드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연 기관과 상기 저장부는 상기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드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펠러 또는 상기 보조 프로펠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보조 프로펠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 프로펠러와 상기 서브 프로펠러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밀린 공기가 상기 관리부에 맞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관리부의 두께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메인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드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펠러에는 동축상에 설치되는 제1 프로펠러와 제2 프로펠러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측에 상기 제1 프로펠러에 연결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프로펠러에 연결된 제2 회전축이 설치되고 하측에 상기 메인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내연 기관이 설치된 중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동축 상에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회전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축 반전 모듈이 마련되는 드론.
KR1020160040958A 2016-04-04 2016-04-04 드론 KR10185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958A KR101853354B1 (ko) 2016-04-04 2016-04-04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958A KR101853354B1 (ko) 2016-04-04 2016-04-04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54A true KR20170114354A (ko) 2017-10-16
KR101853354B1 KR101853354B1 (ko) 2018-05-02

Family

ID=6029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958A KR101853354B1 (ko) 2016-04-04 2016-04-04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9792A (zh) * 2018-04-24 2018-11-20 江苏理工学院 一种多旋翼无人机
KR20190059588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효율 장거리용 드론
KR20190097609A (ko) 2018-02-12 2019-08-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범죄자 무력화 드론
KR20190113042A (ko) * 2018-03-27 2019-10-08 주식회사 윌템스 동축반전 로터 구조를 구비하는 드론
WO2020034137A1 (zh) * 2018-08-15 2020-02-20 东北大学 一种基于无人机的四轴倾转旋翼机构及倾转方法
KR20210133901A (ko) * 2020-04-29 2021-11-08 박경희 장거리 이동용 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3877A1 (en) * 2018-09-11 2020-03-19 Srinath MALLIKARJUNAN Apparatus for aerial transportation of payloa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56B1 (ko) * 2006-11-13 2008-03-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요잉제어가 용이한 쿼드로콥터
JP2015137092A (ja) * 2014-01-20 2015-07-30 憲太 安田 パラレルハイブリット方式によるマルチローター航空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88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효율 장거리용 드론
US11220334B2 (en) 2017-11-23 2022-01-11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High efficiency long range drone
KR20190097609A (ko) 2018-02-12 2019-08-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범죄자 무력화 드론
KR20190113042A (ko) * 2018-03-27 2019-10-08 주식회사 윌템스 동축반전 로터 구조를 구비하는 드론
CN108839792A (zh) * 2018-04-24 2018-11-20 江苏理工学院 一种多旋翼无人机
WO2020034137A1 (zh) * 2018-08-15 2020-02-20 东北大学 一种基于无人机的四轴倾转旋翼机构及倾转方法
KR20210133901A (ko) * 2020-04-29 2021-11-08 박경희 장거리 이동용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354B1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354B1 (ko) 드론
JP6158459B2 (ja) マルチコプター
JP6351006B2 (ja) 回転翼機
KR101767943B1 (ko) 추력의 방향 설정이 가능한 멀티로터 타입의 무인 비행체
CN101990452B (zh) 方向可控的飞行器和用于实现其的螺旋桨结构
US8302901B2 (en) Craft having a rotatable fluid propulsion device
KR101716430B1 (ko) 비행체
WO2006006311A1 (ja) 急速風量発生風向変更装置及びそれを機体側面に取り付けた航空機
JP7076873B1 (ja) Focパワーシステムに基づいたティルト回転可能な6つのローター付きの水陸両用無人機
KR102032243B1 (ko) 틸트프롭 비행체
CN107021218A (zh) 一种抗风扰的非平面飞行器及控制方法
KR101607995B1 (ko) 리프팅 장치
KR20240007898A (ko) 드론
CN106428552A (zh) 一种可倾转的多旋翼装置
KR102134746B1 (ko) 착탈식 동축 반전 드론
JP2017190091A (ja) トレイ型マルチコプター
EP3530567A1 (en) Aerial vehicle
WO2021078204A1 (zh) 共轴双桨的无人机
KR102677229B1 (ko) 방향전환과 추진력이 개선된 드론
KR101210591B1 (ko) 자립 메커니즘을 갖는 로봇
KR101835621B1 (ko) 교차 회전 블레이드를 장착한 멀티콥터
JP2006089010A (ja) 4ローター型ヘリコプターの構造と姿勢制御方法
KR102287049B1 (ko) 추력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체
KR20130067583A (ko) 수직 이착륙기
CN210133281U (zh) 一种倾转双旋翼自动悬停t型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