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352A -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352A
KR20170114352A KR1020160040953A KR20160040953A KR20170114352A KR 20170114352 A KR20170114352 A KR 20170114352A KR 1020160040953 A KR1020160040953 A KR 1020160040953A KR 20160040953 A KR20160040953 A KR 20160040953A KR 20170114352 A KR20170114352 A KR 20170114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unit
camera module
moving
singula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576B1 (ko
Inventor
고국원
이상준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5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6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using microprocessors for control of a sequence of operations, e.g. test, powering, switching, processing
    • G01N2021/0168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using microprocessors for control of a sequence of operations, e.g. test, powering, switching, processing for the measurement cy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제1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IMAGE STABILIZER}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OIS(Optical Image Stablization) 성능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을 비롯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보급된다. 카메라 모듈은 점점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점에서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OIS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 모듈이 증가하면서, OIS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14266호에는 카메라 모듈의 초점 테스트 및 이물질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멀티테스트 장치가 기재되고 있으나, OIS 기능의 테스트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14266호
본 발명은 신속하게 카메라 모듈의 OIS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제1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방법은 촬영부를 이용해서 제1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단계;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촬영부에 촬영된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이동부에 제1 검사 특이점을 설정하고, 상기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고정부에 제2 검사 특이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사전에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에 표시된 제2 기준 특이점에 상기 제2 검사 특이점이 매칭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기준 영상에 표시된 제1 기준 특이점에 최대한 가깝게 상기 제1 검사 특이점이 배치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검사 영상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에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과 상기 제1 기준 특이점 간의 거리 차이를 검출하는 단계; 추척된 거리 차이에 따라 상기 검사 영상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 및 방법은 광학식으로 OIS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고, 촬영된 검사 영상을 이용해서 OIS 성능을 판별할 수 있다.
검출부는 촬영된 검사 영상에 표시된 카메라 모듈을 고정된 고정부에 대해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부의 움직임을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검출부는 파악된 이동부의 움직임을 룩업 테이블과 비교하거나, 기준 영상과 비교해서 해당 카메라 모듈의 OIS 성능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해당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이용하므로, 검사가 완료된 카메라 모듈을 신속하게 빼내고, 검사가 요구되는 카메라 모듈을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검출부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촬영부(110) 및 검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검사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렌즈(미도시)를 이용해서 광학식으로 해당 카메라 모듈(10)을 촬영할 수 있다.
검사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10)은 제1 렌즈(11)가 설치된 이동부(13), 제1 렌즈(11)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13)를 지지하는 고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에는 이동부(13)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액추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10)의 OIS(Optical Image Stablization) 성능은 고정부(15)에 대한 이동부(13)의 수평 방향 움직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축'이란 피사체에서 카메라 모듈(10) 또는 촬영부(110)로 입사되는 광 화상이 직진하는 가상의 축을 말하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z축이 광축이 된다.
고정부(15)에 대한 이동부(13)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촬영부(110)에 마련된 제2 렌즈의 광축은 제1 렌즈(11)의 광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렌즈(11)의 광축과 평행한 광축을 갖는 촬영부(110)는 카메라 모듈(10)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 형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검사 영상으로 정의할 때, 검사 영상은 검출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을 분석하고,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고정부(15)에 대한 이동부(13)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부(13)의 변위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검출부(130)는 제2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촬영부(110)를 이동시키거나 제2 렌즈의 광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촬영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출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검출부(130)는 검사 영상에 표시된 카메라 모듈(10)을 분석해서 해당 카메라 모듈(10)의 OIS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130)는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을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동부(13)의 정확한 변위를 파악하기 위해 검출부(130)는 이동부(13)의 변위를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구분해서 검출할 수 있다.
검사 영상에 표시된 카메라 모듈(10)에서 고정부(15)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구동 전력의 인가로 인해 이동부(13)가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전력이 인가되기 전의 이동부(13)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하고, 구동 전력에 의해 이동부(13)가 이동된 위치를 OIS 위치라 하기로 한다. 이때, 검출부(130)는 (제1 방향 위치, 제2 방향 위치)로 초기 위치와 OIS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향이 x축 방향이고, 제2 방향이 y축 방향일 때, 이동부(13)의 초기 위치는 고정부(15)를 기준으로 (x0, y0)이고, OIS 위치는 (x1, y1)일 수 있다.
검출부(130)는 제1 방향 위치 x1와 x0의 감산값을 이동부(13)의 제1 방향측 변위로 산출하고, 제2 방향 위치 y1와 y0의 감산값을 이동부(13)의 제2 방향측 변위로 산출할 수 있다.
검사 영상에는 이동부(13)와 고정부(15)가 점 단위가 아닌 면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용이하게 이동부(13)의 변위 파악을 위해 검출부(130)는 이동부(13)와 고정부(15)에 각각 특이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130)는 검사 영상에 표시된 이동부(13)에 제1 검사 특이점 ⓐ를 설정할 수 있다. 평면상으로 이동부(13)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홈 또는 돌기가 제1 검사 특이점 ⓐ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동부(1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의 입구 일측 꼭지점 또는 홈의 중심이 제1 검사 특이점 ⓐ로 설정되고 있다.
검출부(130)는 검사 영상에 표시된 고정부(15)에 제2 검사 특이점 ⓑ를 설정할 수 있다. 촬영부(110)에 대면되는 이동부(13)의 일면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홈 또는 돌기가 제2 검사 특이점 ⓑ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2 검사 특이점 ⓑ가 설정되면, 검출부(130)는 두 특이점간의 제1 방향 거리 차이 x0 또는 x1로 이동부(13)의 제1 방향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한 두 특이점 간의 제2 방향 거리 차이 y0 또는 y1으로 이동부(13)의 제2 방향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2 검사 특이점 ⓑ 간의 거리 변화를 검출하고,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2 검사 특이점 ⓑ 간의 거리 변화를 이용해서 고정부(15)에 대한 이동부(13)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이동부(13)의 변위를 유발하는 구동 전력, 구체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부(13)를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카메라 모듈(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130)는 구동 전력에 의해 유발된 이동부(13)의 변위를 촬영부(110)를 이용해서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로 제공된 전력당 이동부(13)의 변위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이 검출부(130) 또는 별도의 저장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검출된 이동부(13)의 변위를 룩업 테이블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카메라 모듈(10)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룩업 테이블은 표 1과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 1의 룩업 테이블에는 제1 방향상 변위에 해당되는 x축 변위만 나타내었다.
구동 전력 x축 변위 허용 범위
0.1mA 200㎛ ±10㎛
0.2mA 400㎛ ±30㎛
0.3mA 600㎛ ±50㎛
0.4mA 800㎛ ±70㎛
일 예로, 검출부(130)는 0.1mA의 구동 전력을 카메라 모듈(10)에 제공할 수 있다. 0.1mA의 구동 전력에 의해 이동부(13)는 x축으로 이동하고, 이때 검출부(130)는 이동부(13)의 x축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결과 x축 변위가 205㎛로 검출된 경우 검출부(130)는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x축 변위에 허용 범위를 추가한 190㎛~210㎛ 범위를 검출 결과가 만족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검출 결과가 해당 허용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해당 카메라 모듈(10)의 OIS 기능을 정상으로 판별하고,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파악되면 해당 카메라 모듈(10)의 OIS 기능을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검출부(130)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검출부(130)는 룩업 테이블 대신 기준 영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검출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 i와, 사전에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 j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검사 영상의 피촬영체에 해당되는 카메라 모듈(10)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검사 영상에 표시된 이동부(13)에 제1 검사 특이점 ⓐ가 설정되고 고정부(15)에 제2 검사 특이점 ⓑ가 설정될 수 있다.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2 검사 특이점 ⓑ에 대응하여 기준 영상에 표시된 기준 카메라 모듈에도 특이점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영상에 표시된 기준 카메라 모듈의 이동부에는 제1 기준 특이점 a0가 설정되고 기준 카메라 모듈의 고정부에는 제2 기준 특이점 b0가 설정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저장부 등으로부터 추출된 기준 영상에 포함된 제2 기준 특이점 b0에 제2 검사 특이점 ⓑ가 매칭되도록 촬영부(11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c1을 생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 기준 특이점 b0와 제2 검사 특이점 ⓑ가 도 3과 같이 서로 겹쳐지도록 촬영부(110)는 광축 방향,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광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제2 검사 특이점 ⓑ가 제2 기준 특이점 b0에 매칭된 상태, 다시 말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제1 검사 특이점 ⓐ가 기준 영상에 포함된 제1 기준 특이점 a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도록 촬영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검사 특이점 ⓑ와 제2 기준 특이점 b0가 서로 겹쳐지는 동시에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1 기준 특이점 a0가 서로 겹쳐지면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나, 촬영부(110)의 촬영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10)과 기준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독립적인 부재이므로, 공차 등에 의해 각 특이점의 초기 위치, 각 특이점의 초기 거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1 기준 특이점 a0 간의 위치 오차는 설정 범위 내에서 허용될 수 있다. 물론, 두 특이점 ⓐ, a0 간의 위치 오차가 설정 범위를 넘으면 검출부(130)는 해당 카메라 모듈(10)이 조립 불량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OIS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식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의 조립 불량 여부도 판별될 수 있다.
제2 검사 특이점 ⓑ와 제2 기준 특이점 b0 간의 매칭 동작과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1 기준 특이점 a0 간의 매칭 동작이 완료되면, 검출부(13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부(13)를 구동시키는 구동 전력 c2를 카메라 모듈(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검사 특이점 ⓐ의 좌표는 제1 기준 특이점 a0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과 같이 제1 검사 특이점 ⓐ와 제1 기준 특이점 a0가 정확하게 겹쳐진 상태라면, 제1 검사 특이점 ⓐ의 초기 좌표, 다시 말해 이동부(13)의 초기 좌표는 검출부(130)에 의해 (0, 0)으로 파악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구동 전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의 검사 영상 i0와 기준 영상 j0를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 c2가 제공되면 촬영부(110)를 통해 새롭게 촬영된 검사 영상 i1를 획득하고, 사전에 동일한 구동 전력 c2가 제공되었을 때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 j1에 검사 영상 i1을 매칭시킬 수 있다.
검사 영상 i0와 i1는 제2 검사 특이점 ⓑ가 동일하고, 구동 전력에 의해 제1 검사 특이점 ⓐ가 이동된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검출부(130)는 구동 전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새롭게 촬영된 검사 영상 i1에 포함된 제1 검사 특이점 ⓐ와 구동 전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기촬영된 기준 영상 j1에 포함된 제1 기준 특이점 a0 간의 거리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검출된 거리 차이에 따라 상기 검사 영상의 피촬영체에 해당되는 카메라 모듈(10)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30)는 구동 전력에 기인한 제1 기준 특이점 a1의 변위량을 구동 전력의 제공 전에 파악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 ⓐ에 가산하고, 가산 결과를 구동 전력의 제공 후에 파악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 ⓐ와 비교해서 카메라 모듈(10)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130)는 가산 결과에 해당되는 좌표로부터 허용 범위 내에, 구동 전력 제공 후의 제1 검사 특이점 ⓐ가 존재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이용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촬영부(110)를 이용해서 제1 렌즈(11)가 설치된 이동부(13), 제1 렌즈(11)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13)를 지지하는 고정부(15)가 마련된 카메라 모듈(10)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 검출부(130)를 이용해서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에 표시된 이동부(13)에 제1 검사 특이점을 설정하고, 검사 영상에 표시된 고정부(15)에 제2 검사 특이점을 설정할 수 있다.
검출부(130)를 이용해서 사전에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에 표시된 제2 기준 특이점에 제2 검사 특이점이 매칭되도록 촬영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검출부(130)를 이용해서 기준 영상에 표시된 제1 기준 특이점에 최대한 가깝게 제1 검사 특이점이 배치되도록 촬영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검출부(130)를 이용해서 검사 영상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10)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부(13)를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전력이 제공된 검출부(130)를 이용해서 구동 전력의 제공 후에 새롭게 파악된 제1 검사 특이점과 제1 기준 특이점 간의 거리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기준 특이점은 검사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10)에 제공된 구동 전력과 동일한 구동 전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기촬영된 기준 영상에 포함된 제1 기준 특이점일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거리 차이에 따라 검사 영상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10)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광학식으로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이용해서 OIS 성능이 검사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과 촬영부를 연결시키는 구성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검사 대상이 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검사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카메라 모듈 11...제1 렌즈
13...이동부 15...고정부
110...촬영부 130...검출부

Claims (9)

  1. 제1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제2 렌즈를 이용해서 광학식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고,
    상기 제2 렌즈의 광축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과 평행하며,
    상기 검출부는 제2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영부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 렌즈의 광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촬영부를 회전시키는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을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구분해서 검출하는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이동부에 설정된 제1 검사 특이점과 상기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고정부에 설정된 제2 검사 특이점 간의 거리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검사 특이점과 상기 제2 검사 특이점 간의 거리 변화를 이용해서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구동 전력에 의해 유발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제공된 전력당 상기 이동부의 변위가 기록된 룩업 테이블이 마련될 때,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사 영상의 분석을 통해 검출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상기 룩업 테이블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검사 영상과 사전에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영상의 피촬영체에 해당되는 카메라 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이동부에 제1 검사 특이점이 설정되고, 상기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고정부에 제2 검사 특이점이 설정되며, 사전에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이 마련될 때,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사 특이점이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제2 기준 특이점에 매칭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검사 특이점이 상기 제2 기준 특이점에 매칭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이 상기 기준 영상에 포함된 제1 기준 특이점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구동 전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새롭게 촬영된 검사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과 상기 구동 전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기촬영된 기준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제1 기준 특이점 간의 거리 차이를 검출하며, 검출된 거리 차이에 따라 상기 검사 영상의 피촬영체에 해당되는 카메라 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구동 전력에 기인한 상기 제1 기준 특이점의 변위량을 상기 구동 전력의 제공 전에 파악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에 가산하고, 가산 결과를 상기 구동 전력의 제공 후에 파악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과 비교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 장치.
  9. 촬영부를 이용해서 제1 렌즈가 설치된 이동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카메라 모듈을 촬영하는 단계;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이동부에 제1 검사 특이점을 설정하고, 상기 검사 영상에 표시된 상기 고정부에 제2 검사 특이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사전에 기준 카메라 모듈을 촬영한 기준 영상에 표시된 제2 기준 특이점에 상기 제2 검사 특이점이 매칭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기준 영상에 표시된 제1 기준 특이점에 최대한 가깝게 상기 제1 검사 특이점이 배치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검사 영상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에 상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를 이용해서 상기 구동 전력의 제공 후에 새롭게 파악된 상기 제1 검사 특이점과 상기 제1 기준 특이점 간의 거리 차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리 차이에 따라 상기 검사 영상의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 방법.
KR1020160040953A 2016-04-04 2016-04-04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81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953A KR101819576B1 (ko) 2016-04-04 2016-04-04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953A KR101819576B1 (ko) 2016-04-04 2016-04-04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52A true KR20170114352A (ko) 2017-10-16
KR101819576B1 KR101819576B1 (ko) 2018-01-18

Family

ID=6029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953A KR101819576B1 (ko) 2016-04-04 2016-04-04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187B1 (ko) * 2020-07-03 2021-09-17 주식회사 액트로 카메라 모듈의 이동렌즈별 변위오차 검사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303188B1 (ko) * 2020-07-03 2021-09-17 주식회사 액트로 카메라 모듈의 이동렌즈별 변위오차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0056B2 (ja) * 2008-11-04 2013-12-18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101580595B1 (ko) 2014-04-24 2015-12-28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렌즈모듈 내의 스페이서 유무 검사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187B1 (ko) * 2020-07-03 2021-09-17 주식회사 액트로 카메라 모듈의 이동렌즈별 변위오차 검사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303188B1 (ko) * 2020-07-03 2021-09-17 주식회사 액트로 카메라 모듈의 이동렌즈별 변위오차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576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1275B2 (en) Estimat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camera component using sharpness sweep data
US9156168B2 (en) Active alignment using continuous motion sweeps and temporal interpolation
US8619144B1 (en) Automatic camera calibration
US10095046B2 (en) Automated UV calibration, motorized optical target and automatic surface finder for optical alignment and assembly robot
JP5997989B2 (ja) 画像測定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測定装置用のプログラム
US103793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refractive power distribution and centering
US20090196527A1 (en) Calibration method of image planar coordinate system for high-precision image measurement system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US2015019275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US2011021621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range determination system
CN109995996B (zh) 包括聚焦状态参考子系统的可变焦距透镜系统
CN110612427A (zh) 表面高度测量系统
KR101591939B1 (ko)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US8786713B1 (en) Fixture for aligning auto-focus lens assembly to camera sensor
KR101819576B1 (ko)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07063644B (zh) 有限物距畸变测量方法及系统
US10539412B2 (en) Measuring and correcting optical misalignment
CN111044262A (zh) 近眼显示光机模组检测装置
Le et al. In situ calibration of galvanometric scanning head for laser powder bed fusion machines based on a vision system
JP5531883B2 (ja) 調整方法
DiVerdi et al. Geometric calibration for mobile, stereo, autofocus cameras
KR101549139B1 (ko) 카메라 모듈 조립 방법 및 장치
KR101415942B1 (ko) 카메라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Braunreuther et al. Welding joint detection by calibrated mosaicking with laser scanner systems
KR10144210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