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887A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887A
KR20170113887A KR1020160037189A KR20160037189A KR20170113887A KR 20170113887 A KR20170113887 A KR 20170113887A KR 1020160037189 A KR1020160037189 A KR 1020160037189A KR 20160037189 A KR20160037189 A KR 20160037189A KR 20170113887 A KR20170113887 A KR 20170113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ing
ring pattern
substrate
reg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080B1 (ko
Inventor
최명욱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80B1/ko
Priority to US15/471,190 priority patent/US10318031B2/en
Publication of KR2017011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둘레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1 기판의 표시 영역의 둘레에 위치한 제1 가드링 패턴, 제1 가드링 패턴의 둘레를 따라,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 절연막, 제1 가드링 패턴에 대응하여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에 직접 접촉하는 제2 가드링 패턴 그리고 절연막 둘레를 따라, 제1 기판 및 절연막 위에 걸쳐 위치한 제3 가드링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의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표시 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 EM), 및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별도로 제작되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표시 패널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별도로 제작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표시 패널을 서로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고, 제조 원가를 증가시킬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 중, 제품 운송 시, 또는 사용 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내부 회로가 손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오동작의 가능성도 있다.
실시예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의 영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는 두께가 감소되고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터치 영역의 둘레에 위치한 제1 가드링 패턴, 제1 가드링 패턴의 둘레를 따라,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 절연막, 그리고 제1 기판 및 절연막 위에 걸쳐 위치한 제2 가드링 패턴을 포함한다.
터치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센싱 패턴, 터치 영역의 주변 영역 중 제1 영역에 위치하고, 복수의 센싱 패턴을 구동하는 외부 구동 회로와 연결되는 본딩 패드부, 그리고 복수의 센싱 패턴과 본딩 패드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센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드링 패턴에 대응하여 절연막에 위치한 컨택홀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에 직접 접촉하는 제3 가드링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은 제3 가드링 패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 및 제3 가드링 패턴은 저저항의 금속 재질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은 제1 영역에서 제3 가드링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은 절연막 둘레를 따라, 본딩 패드부가 위치한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제1 가드링 패턴은 저저항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딩 패드부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고, 제1 가드링 패턴은 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각 행 별로 연결되도록 위치한 복수의 제1 센싱 셀, 복수의 제1 센싱 셀을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라인,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각 열 별로 연결되도록 위치한 복수의 제2 센싱 셀, 그리고 복수의 제2 센싱셀을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은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거리 보다 작은 제2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제1 기판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기판, 그리고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밀봉하고, 복수의 표시 소자를 둘러싸는 밀봉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 절연막, 그리고 제1 기판 및 절연막 위에 위치하고, 절연막의 단부를 감싸는 제1 가드링 패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의 영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 장치 전체 두께를 저감하고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포함된 센싱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4의 Ⅱ-Ⅱ'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6의 Ⅲ-Ⅲ'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실시예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포함된 센싱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실시예는 표시 패널과 터치 스크린 패널이 일체화된 표시 장치(1)를 그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 표시 패널의 제1 기판(210)의 일면에 직접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패널 또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제1 기판(21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1 기판(210) 즉, 봉지 기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투명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센싱 패턴(200)들과, 센싱 패턴(200)들을 본딩 패드부(2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센싱 라인(245)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센싱 패턴(200)들이 형성된 영역은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영역(TA)이며, 센싱 패턴(20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 라인(245)들 및 본딩 패드부(20)가 형성된 영역은 터치 영역(TA) 외곽에 구비되는 주변 영역(PA)이다. 주변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점선(DTL)으로 정의되는 영역 중 터치 영역(TA)을 제외한 영역이다.
최근에는 터치 인식이 수행되는 터치 영역(TA)을 최대로 확장시키는 추세에 따라, 터치 영역(TA)의 외곽측에 위치한 주변 영역(PA)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한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표시 패널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제1 기판(210)의 내측면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싱 패턴(200)을 구현하는 센싱 셀들 중 일부는 제1 기판(210)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일부의 센싱 셀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른 일부의 센싱 셀들은 제1 기판(21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기판(210)은 표시 패널의 봉지 기판이며, 이는 투명 재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경우, 제1 기판(21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필름(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가요성을 가진 공지의 다른 재료로 구현된 필름)으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박막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가드링(guard ring) 패턴(250)은 센싱 라인(245)들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드링 패턴(250)은 터치 영역(TA)의 둘레로 위치하고, 본딩 패드부(20)의 접지 단자(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드링 패턴(250)은 센싱 라인(245)들과 동일한 재질로서 저항이 낮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 (electrostatic)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오동작 또는 센싱 패턴과 내부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1 가드링 패턴(250)의 폭을 충분히 넓게 형성하여야 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 영역(PA)의 폭이 좁아지는 추세에 따라 제1 가드링 패턴(250)의 폭 역시 좁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제2 가드링 패턴(270) 및 제3 가드링 패턴(2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0)은 투명 도전성 재질을 가지고, 제1 가드링 패턴(250) 위에 위치하며 제1 가드링 패턴(25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0)은 제1 가드링 패턴(250)과 서로 다른 층으로 위치하므로, 결과적으로 제1 가드링 패턴(250)의 배선 두께를 증가시켜 제1 가드링 패턴(250)의 저항 값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제2 가드링 패턴(27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고, 제1 가드링 패턴(250)의 외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제2 가드링 패턴(270)과 평면 상 소정 간격(g)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제1 기판(210)의 본딩 패드부(20)가 위치한 일 가장자리 영역(EA)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제1 기판(210)의 가장자리에, 일부가 개방된 형태(예를 들어, 'ㄷ'자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0)이 제1 기판(210)의 최외각 가장자리에 배치되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는 제3 가드링 패턴(280)으로 먼저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측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0)으로 유도되지 않은 나머지 정전기는 제1 가드링 패턴(250) 및 제2 가드링 패턴(270)으로 유도되어, 제1 가드링 패턴(250)에 연결된 본딩 패드부(20)의 접지 단자(20')로 싱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측으로는 정전기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싱 패턴(2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각 행 별로 연결되도록 위치한 복수의 제1 센싱 셀들(221, 222), 제1 센싱 셀들(221, 222)을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220),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각 열 별로 연결되도록 위치한 제2 센싱 셀(241)들, 제2 센싱 셀(241)들을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 라인(240), 그리고 제1 연결 라인(220)들과 제2 연결 라인(240)들 사이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위치한 절연막(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센싱 셀들(221, 222) 및 제2 센싱 셀(241)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1 연결 라인(220)과 제2 연결 라인(240)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제1 센싱 셀들(221, 222) 및 제2 센싱 셀(241)들은 인듐-틴-옥사이드(이하,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을 이용하여 각각 제1 연결 라인(220) 및 제2 연결 라인(24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이들과 별도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싱 셀(241)들은 제2 연결 라인(240)과 일체로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센싱 셀들(221, 222)은 제2 센싱 셀(241)들의 사이에 각각 패터닝되고, 패터닝된 제1 센싱 셀들(221, 2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라인(220)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 라인(220)은 제1 센싱 셀들(221, 222)과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거나, 제1 센싱 셀들(221, 222)과 컨택홀 등을 통해 직접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라인(220)들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혹은 불투명한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센싱 라인(245)들은 각각 행 라인 단위 및 열 라인 단위의 제1 센싱 셀들(221, 222) 및 제2 센싱 셀(241)들과 연결될 수 있다. 센싱 라인(245)들은 제1 센싱 셀들(221, 222) 및 제2 센싱 셀(241)들을 본딩 패드부(20)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센싱 라인(245)들은 주변 영역(PA)에 배치되고, ITO,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물체가 접촉되면, 센싱 패턴(200)으로부터 센싱 라인(245)들 및 본딩 패드부(20)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 위치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가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의 절단선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은 제2 기판(110), 제2 기판(110)을 커버하는 제1 기판(210), 제2 기판(110)과 제1 기판(210) 사이에 배치된 밀봉재(310) 및 접합층(390)을 포함한다.
제2 기판(110) 위에는 터치 영역(T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기발광소자 및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3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판(210)은 외부 수분, 공기 등을 표시 소자(370)로부터 차단한다. 제1 기판(210)에는 편광 필름 또는 컬러필터 등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310) 및 접합층(390)은 제2 기판(110)의 표시 소자(370)를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310)의 재료는 무기물 또는 유기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프릿(frit) 또는 에폭시일 수 있다. 밀봉재(310)는 디스펜서 또는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접합층(390)은 제2 기판(110)과 밀봉재(310)의 접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접합층(390)은 외부 충격에 의한 밀봉재(310)와 제2 기판(110) 사이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정전기가 밀봉재(310) 및 접합층(390)으로 유입되면, 정전기에 의해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정전기에 의해 발생된 열은, 제1 기판(210)과 밀봉재(310) 사이, 밀봉재(310)와 접합층(390) 사이 및 접합층(390)과 제2 기판(11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박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밀봉재(310) 및 접합층(390)으로의 정전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기판(210)의 주변 영역(PA)에는 제1 가드링 패턴(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센싱 라인(245), 제1 가드링 패턴(250) 및 제1 기판(210) 상에 절연막(260)이 위치한다. 이때, 절연막(260)은 센싱 패턴(200)에 포함된 절연막(230)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260a)은 제1 기판(210)의 외각 가장자리(Ⅰ)로부터 제1 거리(d1)로 이격된 영역으로부터 제1 가드링 패턴(250)까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260b)은 제1 가드링 패턴(250) 위의 영역으로부터 센싱 라인(245) 상의 영역까지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0)은 절연막(260)에 형성된 컨택홀(264a)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250)과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드링 패턴(250) 및 제2 가드링 패턴(270)의 결합에 의한 저항 값이 제1 가드링 패턴(250)의 저항 값 보다 더 작다. 따라서, 제1 가드링 패턴(250)만이 제1 기판(210)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제2 가드링 패턴(270)이 결합된 제1 가드링 패턴(250)이 제1 기판(210)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가드링 패턴(250)이 정전기를 유도하는 능력이 개선된다.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제2 가드링 패턴(270)과 이격되어 절연막(260a) 및 제1 기판(210)의 외측면 위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외각 가장자리(Ⅰ)로부터 제1 거리(d1)로 이격된 영역에 위치한 절연막(260a)의 일 단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제1 기판(210)의 외각 가장자리(Ⅰ)까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에서 가장자리(Ⅰ)를 통해 제1 기판(210)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가 제3 가드링 패턴(280)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제3 가드링 패턴(280)은 제1 기판(210)으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가드링 패턴(250, 270, 280)에 의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측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편광판(360)은 터치 스크린 패널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판(360)은 제2 접착층(380)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기구 강도 향상을 위해, 윈도우 기판(330)이 편광판(36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 기판(330)은 제1 접착층(350)에 의해 편광판(36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층(350, 380)은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점착재료로서, SVR(Super View Resin) 또는 OCA(Optical Cleared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영역(PA)에 대응하는 중첩되는 윈도우 기판(330)의 영역에는 블랙 매트릭스층(340)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주변 영역(PA)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센싱 라인(245) 등의 패턴이 가시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터치 영역(TA)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4의 Ⅱ-Ⅱ'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가드링 패턴(271)과 제3 가드링 패턴(281)이 직접 연결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으며, 그 외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제2 가드링 패턴(271)에 직접 연결된 제3 가드링 패턴(2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1)은 투명 도전성 재질을 가지고, 제1 가드링 패턴(251) 위에 위치하며 제1 가드링 패턴(251)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1)은 제1 가드링 패턴(251)과 서로 다른 층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2 가드링 패턴(271)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고, 제1 가드링 패턴(251)의 외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1 기판(211)의 본딩 패드부(21)가 위치한 일 가장자리 영역(EA)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1)이 제1 기판(211)의 최외각 가장자리에 배치되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는 제3 가드링 패턴(281)으로 먼저 유도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2 가드링 패턴(271)과 일체로 형성되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드링 패턴(271)과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1 기판(211)의 본딩 패드부(21)가 위치한 일 가장자리 영역(EA) 주변에서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서로 소정 간격(g)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가드링 패턴(271)과 제3 가드링 패턴(281)은 본딩 패드부(21)의 접지 단자(21')와 인접한 가장자리 영역에서만 서로 연결된다. 제3 가드링 패턴(281)이, 제2 가드링 패턴(271)과 터치 영역(TA)에 인접한 영역에서 연결되지 않고, 접지 단자(21')와 인접한 영역에서 연결되므로, 정전기는 제2 가드링 패턴(271) 및 제1 가드링 패턴(251)을 통해 접지 단자(21')로 신속하게 싱크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1)으로 유도된 정전기가 제2 가드링 패턴(271)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251)으로 전달되고, 본딩 패드부(21)의 접지 단자(21')로 싱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측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1)으로 유도되지 않은 나머지 정전기는 제1 가드링 패턴(251) 및 제2 가드링 패턴(271)으로 유도되어, 제1 가드링 패턴(251)에 연결된 본딩 패드부(21)의 접지 단자(21')로 싱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측으로는 정전기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드링 패턴(271)은 절연막(261)에 형성된 컨택홀(264b)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251)과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드링 패턴(251) 및 제2 가드링 패턴(271)의 결합에 의한 저항 값이 제1 가드링 패턴(251)의 저항 값 보다 더 작다.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2 가드링 패턴(271)과 연결되어 절연막(261) 및 제1 기판(211)의 외측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1 기판(211)의 외각 가장자리(Ⅱ)까지 위치할 수 있다.
외부에서 가장자리(Ⅱ)를 통해 제1 기판(211)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가 제3 가드링 패턴(281)으로를 유도될 수 있다. 즉, 제3 가드링 패턴(281)은 제1 기판(211)으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가드링 패턴(251, 271, 281)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측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6의 Ⅲ-Ⅲ'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제2 가드링 패턴(272)에 직접 연결되고, 제1 기판(212)의 외각 가장자리(Ⅲ)로부터 이격된 제3 가드링 패턴(2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2)은 투명 도전성 재질을 가지고, 제1 가드링 패턴(252) 위에 위치하며 제1 가드링 패턴(25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2)은 제1 가드링 패턴(252)과 서로 다른 층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2 가드링 패턴(272)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고, 제1 가드링 패턴(252)의 외각에 위치하며, 제2 가드링 패턴(272) 및 제1 기판(212)의 외각 가장자리(Ⅲ)와 이격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1 기판(212)의 외각 가장자리(Ⅲ)와 제2 거리(d2)로 이격된 영역에 위치한다.
제1 기판(212)의 외각 가장자리(Ⅲ)는 표시 패널이 복수로 형성된 기판에서 각각의 표시 패널을 절단하기 위한 경계선일 수 있다. 제1 기판(212)의 외각 가장자리(Ⅲ)까지 제3 가드링 패턴(282)이 형성되는 경우, 표시 패널을 외각 가장자리(Ⅲ)를 따라 절단할 때, 제3 가드링 패턴(282)의 파편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이 외각 가장자리(Ⅲ)로부터 제2 거리(d2)로 이격하여 위치하므로, 표시 패널의 절단 공정 시에도 제3 가드링 패턴(282)의 파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1 기판(212)의 본딩 패드부(22)가 위치한 일 가장자리 영역(EA)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이 제1 기판(212)의 최외각 가장자리에 배치되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는 제3 가드링 패턴(282)으로 먼저 유도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2 가드링 패턴(272)과 일체로 형성되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드링 패턴(272)과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1 기판(212)의 본딩 패드부(22)가 위치한 일 가장자리 영역(EA) 주변에서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서로 소정 간격(g)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가드링 패턴(272)과 제3 가드링 패턴(282)은 본딩 패드부(22)의 접지 단자(22')와 인접한 가장자리 영역에서만 서로 연결된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이, 제2 가드링 패턴(271)과 터치 영역(TA)에 인접한 영역에서 연결되지 않고, 접지 단자(22')와 인접한 영역에서 연결되므로, 정전기는 제2 가드링 패턴(272) 및 제1 가드링 패턴(252)을 통해 접지 단자(22')로 신속하게 싱크될 수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으로 유도된 정전기가 제2 가드링 패턴(272)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252)으로 전달되고, 본딩 패드부(22)의 접지 단자(22')로 싱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측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 가드링 패턴(282)으로 유도되지 않은 나머지 정전기는 제1 가드링 패턴(252) 및 제2 가드링 패턴(272)으로 유도되어, 제1 가드링 패턴(252)에 연결된 본딩 패드부(22)의 접지 단자(22')로 싱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측으로는 정전기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드링 패턴(272)은 절연막(262)에 형성된 컨택홀(264c)을 통해 제1 가드링 패턴(252)과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드링 패턴(252) 및 제2 가드링 패턴(272)의 결합에 의한 저항 값이 제1 가드링 패턴(252)의 저항 값 보다 더 작다.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2 가드링 패턴(272)과 연결되어 절연막(262) 및 제1 기판(212)의 외측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1 기판(212)의 외각 가장자리(Ⅲ)까지 위치할 수 있다.
외부에서 가장자리(Ⅲ)를 통해 제1 기판(212)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가 제3 가드링 패턴(282)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제3 가드링 패턴(282)은 제1 기판(212)으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가드링 패턴(252, 272, 282)에 의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 측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고, 표시 패널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의 바람직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실시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제2 기판
210, 211, 212: 제1 기판
250, 251, 252: 제1 가드링 패턴
270, 271, 272: 제2 가드링 패턴
280, 281, 282: 제3 가드링 패턴

Claims (13)

  1.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에 위치한 제1 가드링 패턴,
    상기 제1 가드링 패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 절연막, 그리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절연막 위에 걸쳐 위치한 제2 가드링 패턴,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센싱 패턴,
    상기 터치 영역의 주변 영역 중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패턴을 구동하는 외부 구동 회로와 연결되는 본딩 패드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센싱 패턴과 상기 본딩 패드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센싱 라인,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링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절연막에 위치한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가드링 패턴에 직접 접촉하는 제3 가드링 패턴,
    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링 패턴은 상기 제3 가드링 패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링 패턴 및 상기 제3 가드링 패턴은 저저항의 금속 재질로 함께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링 패턴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3 가드링 패턴과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링 패턴은 상기 절연막 둘레를 따라, 상기 본딩 패드부가 위치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 및 상기 제1 가드링 패턴은 저저항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패드부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드링 패턴은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각 행 별로 연결되도록 위치한 복수의 제1 센싱 셀,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셀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라인,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각 열 별로 연결되도록 위치한 복수의 제2 센싱 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센싱셀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라인,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드링 패턴은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거리 보다 작은 제2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기판, 그리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밀봉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소자를 둘러싸는 밀봉재,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13.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 절연막, 그리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절연막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막의 단부를 감싸는 제1 가드링 패턴,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20160037189A 2016-03-28 2016-03-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252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89A KR102521080B1 (ko) 2016-03-28 2016-03-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US15/471,190 US10318031B2 (en) 2016-03-28 2017-03-28 Display apparatus integrated with a touch screen panel and including a guard ring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89A KR102521080B1 (ko) 2016-03-28 2016-03-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887A true KR20170113887A (ko) 2017-10-13
KR102521080B1 KR102521080B1 (ko) 2023-04-12

Family

ID=5989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89A KR102521080B1 (ko) 2016-03-28 2016-03-28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18031B2 (ko)
KR (1) KR102521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0340B2 (en) 2018-05-31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309367B2 (en) 2020-03-20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7816B (zh) * 2016-12-01 2019-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TWI626573B (zh) * 2017-03-13 2018-06-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WO2019067806A1 (en) * 2017-09-29 2019-04-04 Apple Inc. MULTI-INTERCONNECT HOLE STRUCTURES FOR TOUCH SCREENS
CN108170324B (zh) * 2018-01-03 2021-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组件和显示装置
CN108319085B (zh) * 2018-02-28 2020-02-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3970984A (zh) * 2019-11-15 2022-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基板以及触控显示装置
CN111477666B (zh) * 2020-04-29 2023-05-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144168B1 (en) * 2020-06-19 2021-10-12 Hannstouch Solution Incorporated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85741B2 (en) * 2020-08-31 2022-07-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to reduce blanking area for palm rejection in low cost in-cell display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31B1 (ko) * 2007-07-23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13482A (ko) * 2012-07-24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3566B2 (ja) 2010-10-29 2014-06-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一体型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多面付けワーク基板の製造方法
KR102147964B1 (ko) 2014-01-03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N105097785A (zh) 2014-05-09 2015-11-2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多重静电放电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31B1 (ko) * 2007-07-23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13482A (ko) * 2012-07-24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0340B2 (en) 2018-05-31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58684B2 (en) 2018-05-31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309367B2 (en) 2020-03-20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96482B2 (en) 2020-03-20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080B1 (ko) 2023-04-12
US20170277320A1 (en) 2017-09-28
US10318031B2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388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07321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KR10197608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80292936A1 (en)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KR10210188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088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69161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50085205A1 (en) Touch panel
KR101669538B1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653382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KR10214408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US20130141380A1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JP2010020749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9225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51239A (zh) 觸控裝置及觸控顯示裝置
KR20130086875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1448102B1 (ko) 절연층 없이 감지 패턴을 이용한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4820B1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882962B2 (ja) 入力装置
KR20150019130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20067029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평판 표시 장치
KR101241469B1 (ko) 터치 패널
KR1023351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21057B2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overlapping sensing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14215B (zh) 觸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