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764A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764A
KR20170113764A KR1020160035547A KR20160035547A KR20170113764A KR 20170113764 A KR20170113764 A KR 20170113764A KR 1020160035547 A KR1020160035547 A KR 1020160035547A KR 20160035547 A KR20160035547 A KR 20160035547A KR 20170113764 A KR20170113764 A KR 2017011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ayer
electrode
reg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849B1 (ko
Inventor
김상기
김득종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849B1/ko
Priority to US15/402,290 priority patent/US9966565B2/en
Priority to TW106108411A priority patent/TWI736594B/zh
Priority to CN201710168776.8A priority patent/CN107230694B/zh
Publication of KR2017011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01L27/326
    • H01L27/3246
    • H01L27/3258
    • H01L27/3276
    • H01L51/5237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걸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를 갖는 제1절연층, 상기 제1절연층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걸쳐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1절연층의 상기 제1개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개구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과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부, 상기 제3개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조공정 또는 사용 중 화상이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정공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 속도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전(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힐 수 있는(foldable) 표시 장치 또는 말 수 있는(rollable)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유기물 등에서 발생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이 유기발광소자에 침투되어 제조공정 또는 사용 중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현되는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걸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를 갖는 제1절연층, 상기 제1절연층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걸쳐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1개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개구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과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부, 상기 제3개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절연층 상의 상기 주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를 덮는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제4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4개구들을 통해 상기 도전층과 콘택할 수 있다.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복수의 제4개구들에 의해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제1개구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제5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개구의 내부에서 상기 도전층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제1개구에 의해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3개구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개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의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기준으로 제1개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의 단부와 제1개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2전극의 단부와 제1개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폐루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방향으로 함몰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의 너비는 상기 제1개구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2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 상에 배치되며, 제1개구를 덮는 캐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핑층은 상기 제3개구의 내부에서 상기 제2전극에 의해 상기 화소정의막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 상기 화소정의막, 및 상기 캐핑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핑층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개구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3개구 및 상기 제1개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공정 또는 사용 중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킨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영역(DA)과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비디스플레이영역인 주변영역(PA)을 갖는 기판(110)을 구비한다. 기판(110)은 글라스재,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 및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1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130)들이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복수개의 제1전극(131)들이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기판(110)의 주변영역(PA)에도 박막트랜지스터(TFT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FT2)는 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FT1)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22), 게이트전극(124),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D)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22)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24)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124)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D)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전극(124)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2)과 게이트전극(124)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절연막(113)이 반도체층(122)과 게이트전극(12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전극(124)의 상부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2절연층(11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D)은 제2절연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D)은 제2절연층(115)과 게이트절연막(113)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12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D)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을 포함하는 절연막은 CVD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기판(110) 사이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층(111)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111)은 기판(110)의 상면의 평활성을 높이거나 기판(110) 등으로부터의 불순물이 박막트랜지스터(TFT1)의 반도체층(122)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1) 상에는 제1절연층(118)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박막트랜지스터(TFT1) 상부에 유기발광소자(130)가 배치될 경우, 제1절연층(118)은 제1전극(131)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절연층(118)은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절연층(118)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절연층(118)은 디스플레이영역(DA)과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에 걸쳐 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서 제1개구(118h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118)은 제1개구(118h1)를 중심으로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 침투한 불순물, 제1개구(119h1) 외측에 배치된 제1절연층(118) 등에서 발생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이 제1절연층(118) 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영역(DA) 내부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기판(110)의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있어서, 제1절연층(118) 상에는, 제1전극(131), 제2전극(135)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33)을 갖는 유기발광소자(130)가 배치된다.
제1절연층(118)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1)의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D)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존재하며, 제1전극(131)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소스전극(126S) 및 드레인전극(1262D)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전극(131)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131)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도전층 이외에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투과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투과층은 수 내지 수십 nm의 박막으로 형성된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Yb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반사막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된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 IZO, ZnO, In2O3: indium oxide, IGO, 및 AZO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전극(131)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절연층(118) 상에는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화소정의막(119)이 배치될 수 있으며, 화소정의막(119)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 즉 적어도 제1전극(131)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2개구(119h2)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소정의막(119)은 제1전극(131)의 가장자리와 제1전극(131) 상부의 제2전극(135)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전극(131)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소정의막(119)은 예컨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은 주변영역(PA)에 제1절연층(118)의 제1개구(118h1)를 노출하는 제3개구(119h3)를 포함하며, 제3개구(119h3)는 제1개구(118h1)와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침투한 불순물, 제1개구(118h1)의 외측에 배치된 화소정의막(119)에서 발생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이 화소정의막(119) 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영역(DA) 내부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118)과 화소정의막(119)은 동일한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발광소자(130)의 중간층(13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133)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또는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33)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133)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간층(133)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중간층(133)은 복수개의 제1전극(131)들에 걸쳐서 일체인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제1전극(131)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전극(135)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중간층(133)과 화소정의막(119)의 상부, 화소정의막(119)의 제3개구(119h3)의 내부, 및 제1절연층(118)의 제1개구(118h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135)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130)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1전극(131)들에 대응할 수 있다.
제2전극(135)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135)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Al, Mg, Li, Ca, Cu, LiF/Ca, LiF/Al, MgAg 및 CaAg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 내지 수십 nm의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135)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Al, Mg, Li, Ca, Cu, LiF/Ca, LiF/Al, MgAg 및 CaAg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전극(135)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절연층(118) 및 화소정의막(119)은 디스플레이영역(DA)및 주변영역(PA)에 걸쳐 기판(110) 상에 배치되고, 각각 주변영역(PA)에 제1개구(118h1) 및 제3개구(119h3)를 포함하며, 제1절연층(118)에 포함된 제1개구(118h1)에 의해 제2절연층(115)이 노출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에 포함된 제3개구(119h3)의 너비(W2)는 제1절연층(118)에 포함된 제1개구(118h1)의 너비(W1)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제1개구(118h1)의 내부에는 화소정의막(119)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주변영역(PA)에 배치된 제1절연층(118)의 상부 및 제1개구(118h1)의 내부에는 도전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전층(150)은 제1전극(131)과 동일층에 배치되며, 도전층(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절연층(118)과 화소정의막(1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층(150)은 제1전극(131)과 동일물질로 형성되며, 제1개구(118h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층(150)은 제1개구(118h1)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제5개구(150h5)들을 포함하며 화소정의막(119)은 도전층(15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개구(119h4)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는 제4개구(119h4)에 의해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될 수 있다. 도전층(150)에 포함된 제5개구(150h5)들은 도전층(15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기물로 구성된 제1절연층(118)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절연층(118)으로부터 발생한 가스가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하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의 제4개구(119h4)는 도전층(150)을 노출시키며, 화소정의막(119) 상에 배치된 제2전극(135)은 제4개구(119h4)를 통해 도전층(150)과 콘택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150)은 제2전극(135)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과 제2전극(135)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절연층(118)에 포함된 제1개구(118h1)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개구(118h1)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완전히 둘러싸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절연층(118)은 제1개구(118h1)를 중심으로 분리된 제1영역(118a) 및 제2영역(118b)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정의막(119)은 제1개구(118h1)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3개구(119h3)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전층(150) 또한 주변영역(PA)에 디스플레이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1개구(118h1)를 덮을 수 있다. 도전층(150)은 제1개구(118h1) 주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5개구(150h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135)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제1개구(118h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즉, 제2전극(135)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중심으로 사방에 배치된 제1개구(118h1)뿐만 아니라,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제1개구(118h1) 또한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제2전극(135)은 제1개구(118h1)의 내부에서 도전층(150)과 직접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전층(150)은 제1개구(118h1)을 완전히 덮으면서 제3개구(119h3)의 일부만을 덮거나, 제1개구(118h1)의 일부 및 제3개구(119h3)의 일부만을 덮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도전층(150)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둘러싸는 전 영역에 걸쳐 제1개구(118h1)의 적어도 일부 및 제3개구(119h3)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야 한다.
제2전극(135) 상에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캐핑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캐핑층(140)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제1개구(118h1)의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캐핑층(140)은 유기물로 형성되며,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캐핑층(14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하는 봉지층(260, 도 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는 주변영역(PA')에 배치된 제2절연층(115'), 제2절연층(115') 상에 배치되며 제1개구(118h1')를 포함하는 제1절연층(118')을 포함한다. 제1개구(118h1')의 내부에는 도전층(150')이 배치되며 도전층(150')은 제1개구(118h1') 주변에 형성된 제5개구(150h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연층(118') 상에는 도전층(150')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제1개구(118h1')를 노출하는 제3개구(119h3')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119')이 배치되며, 화소정의막(119') 상에는 제2전극(135')과 캐핑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제2전극(135')은 제1개구(118h1')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으며, 캐핑층(140')은 제2전극(135')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개구(118h1')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절연층(118'), 화소정의막(119') 및 캐핑층(140')은 모두 유기물로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화소정의막(119')에서 발생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G')이 도 3에 도시된 경로(P')을 따라 투습되어 제1절연층(118')을 따라 디스플레이영역(DA)까지 침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G')은 결과적으로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33)에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개구(118h1)의 내부에는 제2전극(135)이 배치되며, 제1개구(118h1) 및 제3개구(119h3) 내부에서 제2전극(135)에 의해 화소정의막(119)과 캐핑층(140)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제1절연층(118) 또는 화소정의막(119)을 통해 유입되거나 화소정의막(119)에서 발생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G)은 제2전극(135)에 막혀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할 수 없다. 또한, 캐핑층(140)을 통해 유입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 또한 제2전극(135)에 막혀 중간층(133)에 침투될 수 없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와 도 5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는 디스플레이영역(DA)과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을 갖는 기판(210),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 위치하는 제1개구(218h1)를 갖는 제1절연층(218), 제1절연층(218) 상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 배치된 제1전극(231),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제1절연층(218) 상에 배치되며 제1전극(231)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제2개구(219h2) 및 제1개구(218h1)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개구(219h3)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219), 제1전극(231) 상에 배치된 중간층(233) 및 중간층(233)과 화소정의막(219)의 상부, 제3개구(219h3), 및 제1개구(218h1)를 덮는 제2전극(235)을 포함한다.
기판(210) 상에는 버퍼층(211)이 배치되며, 버퍼층(211) 상의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1) 및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전극(231),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 및 제2전극(235)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230)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1)는 반도체층(222), 게이트전극(224), 소스전극(226S) 및 드레인전극(226D)을 포함하며, 반도체층(222)과 게이트전극(224)의 사이에는 게이트절연막(213)이 배치되고 게이트전극(224) 상에는 제2절연층(215)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막(213) 및 제2절연층(215)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1) 상에는 제1절연층(218)이 배치되며, 제1절연층(218)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 위치하며 제2절연층(215)을 노출하는 제1개구(218h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218h1)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개구(218h1)에 의해 제1절연층(218)은 제1영역(218a) 및 제2영역(218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절연층(218)은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절연층(218) 상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제1전극(231)이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는 도전층(2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도전층(150)과 달리, 도 5의 도전층(250)은 제1개구(218h1) 주변에 형성된 개구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절연층(218) 상에는 제1전극(231)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제2개구(219h2) 및 제1개구(218h1)를 노출하는 제3개구(219h3)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219)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9)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제1전극(231)의 일부 및 도전층(25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개구(218h1)를 노출하는 제3개구(219h3)는 제1개구(218h1)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1개구(218h1)를 완전히 노출할 수 있다.
제1전극(231) 상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이 배치되고, 중간층(233) 상에는 제2전극(23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235)은 중간층(233)의 상부 및 화소정의막(219)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개구(218h1)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개구(218h1)에는 화소정의막(219)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1개구(219h1) 내에서 도전층(250)과 제2전극(235)은 콘택할 수 있다. 도전층(250)은 제2전극(235)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과 제2전극(235)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일 수 있다. 제2전극(235)은 제1개구(218h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즉, 제2전극(235)은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1개구(218h1)의 전 영역을 완전히 덮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화소정의막(219) 등의 유기물에서 발생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이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전극(235)의 단부(edge)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기준으로 제1개구(218h1)의 외측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영역(DA)의 모서리(corner)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235)의 단부와 제1개구(218h1) 사이의 거리(d2)는 나머지 영역에서 제2전극(235)의 단부와 제1개구(218h1) 사이의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2전극(235) 상에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며 유기물을 포함하는 캐핑층(240)이 배치되고, 캐핑층(24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30)를 덮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230)를 보호하는 봉지층(26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260)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으며 주변영역(P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26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무기층(261), 유기층(263) 및 제2무기층(2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층(261)은 캐핑층(240)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무기층(261)과 캐핑층(240) 사이에 LiF층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무기층(261)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 유기층(263)은 이러한 제1무기층(261)을 덮으며, 유기층(263)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층(26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무기층(265)은 유기층(263)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2무기층(265)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1무기층(261)과 컨택함으로써, 유기층(26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층(260)은 제1무기층(261), 유기층(263) 및 제2무기층(265)을 포함하는바, 이와 같은 다층 구조를 통해 봉지층(260) 내에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1무기층(261)과 유기층(263) 사이에서 또는 유기층(263)과 제2무기층(265) 사이에서 그러한 크랙이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이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하게 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의 다른 구성은 도 2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 또는 도 5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절연층(318) 및 제2전극(335)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3)는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배치된 제1절연층(318)을 포함하며, 제1절연층(318)은 주변영역(PA)에 위치하는 제1개구(318h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318h1)는 디스플레이영역(PA)을 둘러싸며, 제1개구(318h1)는 평면에서 봤을 때 모서리 영역에서 움푹 파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개구(318h1)는 디스플레이영역(PA)을 둘러싸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폐루프는 디스플레이영역(PA) 방향으로 함몰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개구(318h1)는 모서리 영역에서 "L"자 형태로 파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335)은 제1개구(318h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즉, 제2전극(335)의 단부(edge)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기준으로 제1개구(318h1)의 외측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영역(DA)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335)의 단부와 제1개구(318h1) 사이의 거리(d4)는 나머지 영역, 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DA)의 일 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335)의 단부와 제1개구(318h1) 사이의 거리(d3)보다 클 수 있다.
제1개구(318h1)의 모서리 영역을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6의 모서리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2전극(335)의 단부와 제1개구(318h1) 사이의 거리(d3)는 도 4의 모서에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2전극(235)의 단부와 제1개구(218h1) 사이의 거리(d1)보다 작도록 제2전극(33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전극(335)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4)의 다른 구성은 도 2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 또는 도 5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절연층(418) 및 제2전극(435)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4)는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배치된 제1절연층(418)을 포함하며, 제1절연층(418)은 주변영역(PA)에 위치하는 제1개구(418h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418h1)는 디스플레이영역(PA)을 둘러싸며, 제2전극(435)은 제1개구(418h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즉, 제2전극(435)의 단부(edge)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기준으로 제1개구(418h1)의 외측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영역(DA)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435)은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DA)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435)의 단부와 제1개구(418h1) 사이의 거리(d6)는 나머지 영역, 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DA)의 일 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435)의 단부와 제1개구(418h1) 사이의 거리(d5)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435)의 단부와 제1개구(418h1) 사이의 거리(d6)는 나머지 영역에서 제2전극(435)의 단부와 제1개구(418h1) 사이의 거리(d5)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와 도 8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5)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5)는 디스플레이영역(DA)과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을 갖는 기판(510),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기판(510) 상에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 위치하는 제1개구(518h1)를 갖는 제1절연층(518), 제1절연층(518) 상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 배치된 제1전극(531), 디스플레이영역(DA)과 주변영역(PA)에 걸쳐 제1절연층(518) 상에 배치되며 제1전극(531)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제2개구(519h2) 및 제1개구(518h1)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개구(519h3)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519), 제1전극(531) 상에 배치된 중간층(533) 및 중간층(533)과 화소정의막(519)의 상부, 제3개구(519h3), 및 제1개구(518h1)를 덮는 제2전극(535)을 포함한다.
기판(510) 상에는 버퍼층(511)이 배치되며, 버퍼층(511) 상의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1) 및 박막트랜지스터(TF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전극(531),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533) 및 제2전극(535)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530)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1)는 반도체층(522), 게이트전극(524), 소스전극(526S) 및 드레인전극(526D)을 포함하며, 반도체층(522)과 게이트전극(524)의 사이에는 게이트절연막(513)이 배치되고 게이트전극(524) 상에는 제2절연층(515)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막(513) 및 제2절연층(515)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1) 상에는 제1절연층(518)이 배치되며, 제1절연층(518)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 위치하며 제2절연층(515)을 노출하는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은 하나의 개구가 분기된 복수의 개구들일 수도 있고,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개구들일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에 의해 제1절연층(518)은 제1영역(518a), 제2영역(518b) 및 제3영역(518c)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이 하나의 개구가 분기된 복수의 개구들인 경우 제3영역(518c)은 직사각 형태일 수 있고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개구들인 경우 제3영역(518c)은 테두리(frame) 형태일 수 있다. 제1절연층(518)은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절연층(518) 상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제1전극(531)이 배치되며, 주변영역(PA)에는 도전층(5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전층(550)은 복수의 제5개구(550h5)들을 포함하며, 제5개구(550h5)는 제1절연층(518)의 제1영역(518a) 및 제2영역(518b)뿐만 아니라 제3영역(518c)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제1절연층(518) 상에는 화소정의막(519)이 배치되며, 화소정의막(519)은 도전층(55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개구(519h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531) 상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533)이 배치되고, 중간층(533) 상에는 제2전극(53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535)은 중간층(533)의 상부 및 화소정의막(519)의 상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에는 화소정의막(519)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 내에서 도전층(550)과 제2전극(535)은 콘택할 수 있다. 도전층(550)은 제2전극(535)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과 제2전극(535)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일 수 있다. 제2전극(535)은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도 8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5)는 제1절연층(518)이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을 포함하며, 제2전극(535)이 복수의 제1개구(518h1a, 518h1b)들을 모두 덮으므로 화소정의막(519)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화소정의막(519)에서 발생한 가스 또는 수분 등의 불순물이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하는 경로를 제1개구가 하나인 경우보다 더욱 확실히 차단함으로써, 제조공정이나 사용 중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 2, 3, 4, 5)는 주변 영역(PA)에 제1개구(118h1, 218h1, 318h1, 418h1, 518h1a, 518h1b)를 포함하는 제1절연층(118, 218, 318, 418, 518)이 배치되며, 제1개구(118h1, 218h1, 318h1, 418h1, 518h1a, 518h1b)의 외측으로부터 제1개구(118h1, 218h1, 318h1, 418h1, 518h1a, 518h1b)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불순물의 유입 경로를 확실히 차단함으로써,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 2, 3, 4, 5)에서 구현되는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를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4, 5: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A: 디스플레이영역 PA: 주변영역
TFT1, TFT2: 박막트랜지스터 110, 210, 510: 기판
115, 215, 515: 제2절연층 118, 218, 318, 418, 518: 제1절연층
118h1, 218h1, 318h1, 418h1, 518h1a, 518h1b: 제1개구
119, 219, 519: 화소정의막 119h2, 219h2, 519h2: 제2개구
119h3, 219h3, 519h3: 제3개구 119h4, 519h4: 제4개구
130, 230, 530: 유기발광소자 131, 231, 531: 제1전극
133, 233, 533: 중간층 135, 235, 335, 435, 535: 제2전극
140, 240, 540: 캐핑층 150, 250, 550: 도전층
150h5, 550h5: 제5개구 260: 봉지층

Claims (23)

  1.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걸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를 갖는 제1절연층;
    상기 제1절연층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걸쳐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1개구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3개구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과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부, 상기 제3개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 상의 상기 주변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를 덮는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복수의 제4개구들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4개구들을 통해 상기 도전층과 콘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복수의 제4개구들에 의해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제1개구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제5개구들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개구의 내부에서 상기 도전층과 직접 접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제1개구에 의해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리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3개구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개구를 완전히 덮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의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기준으로 제1개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2전극의 단부와 제1개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제2전극의 단부와 제1개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폐루프는 상기 디스플레이영역 방향으로 함몰된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구의 너비는 상기 제1개구의 너비보다 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2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2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 상에 배치되며, 제1개구를 덮는 캐핑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핑층은 상기 제3개구의 내부에서 상기 제2전극에 의해 상기 화소정의막과 분리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 상기 화소정의막, 및 상기 캐핑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핑층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봉지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개구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개구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3개구 및 상기 제1개구를 완전히 덮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35547A 2016-03-24 2016-03-24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47A KR102628849B1 (ko) 2016-03-24 2016-03-24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5/402,290 US9966565B2 (en) 2016-03-24 2017-01-10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TW106108411A TWI736594B (zh) 2016-03-24 2017-03-14 有機發光顯示裝置
CN201710168776.8A CN107230694B (zh) 2016-03-24 2017-03-21 有机发光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47A KR102628849B1 (ko) 2016-03-24 2016-03-24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764A true KR20170113764A (ko) 2017-10-13
KR102628849B1 KR102628849B1 (ko) 2024-01-25

Family

ID=5989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547A KR102628849B1 (ko) 2016-03-24 2016-03-24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6565B2 (ko)
KR (1) KR102628849B1 (ko)
CN (1) CN107230694B (ko)
TW (1) TWI73659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45A (ko) * 2018-07-31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10770681B2 (en) 2017-03-31 2020-09-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950450B2 (en) * 2019-08-27 2024-04-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2042B (zh) * 2017-08-18 2020-04-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oled显示装置
CN107393939B (zh) * 2017-08-30 2020-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界定层及制造方法、显示面板及制造方法、显示装置
US10707282B1 (en) 2017-09-08 2020-07-07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s
JP6935915B2 (ja) * 2017-10-27 2021-09-15 株式会社Joled 電子デバイス
KR102431788B1 (ko) 2017-12-13 2022-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671928B (zh) * 2018-06-19 2019-09-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TWI678009B (zh) * 2018-06-22 2019-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CN112912947B (zh) * 2018-10-18 2022-12-06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607212B1 (ko) * 2018-11-22 2023-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818912B2 (en) 2019-01-04 2023-11-14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s with moisture blocking structures
KR20200094885A (ko) * 2019-01-30 2020-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357869A1 (en) * 2019-05-10 2020-1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085772A (zh) * 2019-06-04 2019-08-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210083917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127945B (zh) * 2020-04-29 2023-07-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有机发光显示装置
TWI729862B (zh) * 2020-06-22 2021-06-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面板及其製作方法
CN116782709A (zh) * 2022-03-07 2023-09-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260A (ko) * 2004-02-18 2005-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47978A (ko) * 2005-11-03 2007-05-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0129A (ko) * 2011-11-29 2013-06-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의 제작 방법 및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20150016784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4950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8654B2 (en) * 2003-08-29 2011-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619258B2 (en) * 2004-03-16 2009-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4655942B2 (ja) * 2006-01-16 2011-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017584B2 (ja) * 2007-08-02 2012-09-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有機el表示装置
KR100875103B1 (ko) * 2007-11-16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4210B1 (ko) 2008-09-25 2015-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3438A (ko) * 2010-10-26 2012-05-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55537B1 (ko) 2010-11-26 2013-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884B1 (ko) 2010-12-23 201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789B1 (ko) * 2012-12-27 2019-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EP2808917B1 (en) * 2013-05-30 2018-12-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114316B1 (ko) * 2013-10-02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99216B1 (ko) 2014-06-09 2021-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2078B1 (ko) * 2014-08-05 2021-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260A (ko) * 2004-02-18 2005-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47978A (ko) * 2005-11-03 2007-05-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0129A (ko) * 2011-11-29 2013-06-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의 제작 방법 및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20150016784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4950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0681B2 (en) 2017-03-31 2020-09-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309524B2 (en) 2017-03-31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00014045A (ko) * 2018-07-31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11950450B2 (en) * 2019-08-27 2024-04-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36594B (zh) 2021-08-21
CN107230694A (zh) 2017-10-03
US20170279079A1 (en) 2017-09-28
KR102628849B1 (ko) 2024-01-25
TW201735417A (zh) 2017-10-01
CN107230694B (zh) 2023-06-13
US9966565B2 (en)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310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protected emission layer
KR102628849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1174410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82587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64587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larger display region and moisture impermeability
US1034770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shield layer
US1093088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369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85833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anti-crack projection
US100328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52735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