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869A -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869A
KR20170112869A KR1020160079112A KR20160079112A KR20170112869A KR 20170112869 A KR20170112869 A KR 20170112869A KR 1020160079112 A KR1020160079112 A KR 1020160079112A KR 20160079112 A KR20160079112 A KR 20160079112A KR 20170112869 A KR20170112869 A KR 2017011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light
uni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348B1 (ko
Inventor
강욱
신일형
Original Assignee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35,46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94012B2/en
Priority to CN201621333895.1U priority patent/CN206792374U/zh
Priority to CN201611113516.2A priority patent/CN107260111B/zh
Publication of KR2017011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55Control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69Endoscope light sources at proximal end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28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endoscopes, ophthalmoscopes, attachments to conventional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기판 상에 설치된 제1 광원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시스템{ENDOSCOPY SYSTEM}
본 발명은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시스템은 의료용나 내부 확인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고도의 안정성을 요한다. 내시경 시스템은 대상체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된 빛을 센싱하여 대상체 내부의 해당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광원이 안정적으로 작동하지 못하여 빛을 방출하지 못하면 이미지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의료행위나 검사 행위를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원의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7-0071556 (공개일 :2007년07월04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광원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에 설치된 제1 광원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광원부의 빛이 방출되지 않을 때 상기 기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상기 광학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중심축을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센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원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여 스위칭부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원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상기 제1 광원부는 제1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제2 저항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2 저항에 비하여 작은 저항값을 지니고,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전원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원부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에 설치된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상기 광학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기판을 움직이는 구동부; 및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을 상기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할 때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부가 기판과, 상기 부가 기판에 설치된 제3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부가 기판을 움직여 상기 제4 광원부의 빛이 상기 광학부를 통과하도록 하며, 상기 제3 광원부 또는 상기 제4 광원부의 빛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홈 또는 홀을 통하여 상기 광학부를 통과할 수 있다.
빛을 방출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3 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2 광원부 및 제4 광원부에 비하여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하고,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제1 광원부에 비하여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부가 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4 광원부가 상기 제3 광원부에 비하여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는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4 광원부가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할 때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판을 직선이동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원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부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경우, 상기 제2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3 광원부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경우, 상기 제4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상기 제3 광원부는 제1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는 제2 저항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2 저항에 비하여 작은 저항값을 지니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전원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4 광원부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할 때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판을 직선이동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기판 상에 설치되며, 제1 단자부를 구비하는 제1 광원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광원부와의 경계 영역이 아닌 비경계 영역에 제2 단자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전체 n 개의 부분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가 m 개(m<n, m과 n은 자연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2 광원부는 1 개 이상 n-m 개 이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중심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기판에 장착된 광원을 덮는 부가 광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광학부의 단면 형상은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굴곡지거나 평평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기판에 장착된 광원을 덮는 부가 광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광학부는 프레넬 렌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1 광원부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제2 광원부가 빛을 공급함으로써 안정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기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9 부가 광학부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광 방출부(10), 광 가이드부(20), 이미지 센싱부(3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방출부(10)는 가시광선, 자외선 또는 적외선과 같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 방출부(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 가이드부(20)는 광 방출부(10)에서 생성된 빛을 대상체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대상체는 사람, 동물, 물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센싱부(30)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센싱부(30)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40)는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 방출부(10)를 중심으로 도시하도록 한다. 광 방출부(10)는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를 포함하고,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1 광원부(100), 제2 광원부(200), 광학부(collimator)(300) 및 광 가이드부(20)를 포함한다.
제1 광원부(100)는 기판(400) 상에 설치된다.
제2 광원부(200)는 기판(400) 상에 설치되며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한다. 이 때 제2 광원부(200)는 제1 광원부(100) 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제2 광원부(200)의 개수는 4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 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는 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가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의 도면들에서도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가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는 백색광과 같이 가시광선이나 자외선, 적외선과 같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학부(300)는 제1 광원부(100) 또는 제2 광원부(200)의 빛은 광학부(300)를 통과한다. 상기 중심축은 광학부(300)의 중심축일 수 있다.
이 때 광학부(300)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300)의 설치 위치는 광 방출부(10)와 광 파이버(15)가 연결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파이버(15)는 광학부(300)를 통과한 빛이 광 가이드부(20)로 향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 파이버(15)는 핸들(25)에 연결되고, 핸들(25)는 광 가이드부(2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사나 작업자 등은 핸들(25)을 통하여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는 광학부(300)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의 빛이 방출되지 않을 때 기판(400)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제2 광원부(200)의 빛이 광학부(3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다 고장 등의 원인으로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제2 광원부(200)가 빛을 방출함으로써 안정적인 내시경 시스템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가 일반적인 내시경 시스템을 통하여 시술 또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빛이 방출되지 않으면 시술 또는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1 광원부(100)가 고장 등으로 인하여 빛을 방출하지 못하더라도 제2 광원부(200)가 빛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의사는 보다 안정적으로 시술 또는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판(400)의 움직임이 없으므로 기판(400)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계가 필요없으므로 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는 광학부(300)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제2 광원부(200)는 중심축을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중분한 광량을 광가이드부(20)로 보내기 위하여 제1 광원부(100)는 광학부(300)의 중심축과 정렬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기판(400)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제2 광원부(200)는 광학부(300)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있으나 내시경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00)은 제1 부분 기판(410) 및 제2 부분 기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기판(410)에는 제1 광원부(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부분 기판(430)은 제2 광원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내시경 시스템의 유지/보수 과정에서 제1 부분 기판(410)을 제2 부분 기판(430)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제1 부분 기판(41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제1 부분 기판(410)은 제2 부분 기판(430)의 홀에 압입될 수 있으나, 제1 부분 기판(410)과 제2 부분 기판(430)의 결합 및 분리는 다양한 구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 광학부(300), 구동부(500) 및 광 가이드부(20)를 포함한다.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는 기판(400) 상에 설치된다.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는 백색광과 같이 가시광선이나 자외선, 적외선과 같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학부(300)를 통하여 제1 광원부(100)의 빛이 통과한다. 광학부(300)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구동부(500)는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제2 광원부(200)의 빛이 광학부(300)를 통과하도록 기판(400)을 움직인다. 구동부(500)는 구동축과 연결되고, 구동축은 기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0)는 구동축을 통하여 기판(4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는 광학부(300)를 통과한 제1 광원부(100) 또는 제2 광원부(200)의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1 광원부(100)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할 때 구동부(500)는 기판(400)을 움직여 제2 광원부(200)의 빛이 광학부(30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400)을 움직이는 방법은 회전 방식과 슬라이딩 방식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도 4의 내시경 시스템은 회전 방식에 따라 구동부(500)가 동작하는 것이고, 도 7의 내시경 시스템은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구동부(500)가 동작하는 것이다.
먼저 회전 방식에 대해 설명한 후 슬라이딩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할 때 제1 광원부(100)는 광학부(300)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심축은 광학부(300)의 중심축일 수 있다.
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구동부(500)는 기판(400)을 회전시켜 제2 광원부(200)가 광학부(300)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부가 기판(600)과, 부가 기판(600)에 설치된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원부(700)와 제4 광원부(800)는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와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가 백색광을 방출할 경우,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도 5에서 구동부(500)는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부가 기판(600)을 움직여 제4 광원부(800)의 빛이 광학부(300)를 통과하도록 하며, 제3 광원부(700) 또는 제4 광원부(800)의 빛은 기판(400)에 형성된 홈 또는 홀을 통하여 광학부(300)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는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가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원부(100)와 제3 광원부(700)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동시에 방출하거나 제2 광원부(200)와 제4 광원부(800)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동시에 방출할 경우, 각 파장에 해당되는 영상이 합성된 복합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내시경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회전축이 기판(400)과 부가 기판(600)에 연결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기판(400)의 회전축과 부가 기판(600)의 회전축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내시경 시스템 역시 부가 기판(600)과, 부가 기판(600)에 설치된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빛을 방출하는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는 각각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400)에 비하여 광학부(300)의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500)는,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기판(400)을 회전시켜 제2 광원부(200)가 제1 광원부(100)에 비하여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500)는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부가 기판(600)을 회전시켜 제4 광원부(800)가 제3 광원부(700)에 비하여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부(100) 내지 제4 광원부(800)가 광학부(300)의 중심축에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한 빛이 광학부(30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00)의 빛의 파장은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의 빛의 파장과 다를 수 있고, 제2 광원부(200)의 빛의 파장 역시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의 빛의 파장과 다를 수 있다.
도 6의 내시경 시스템 역시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는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가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기판(400) 및 부가 기판(60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기판(400) 및 부가 기판(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 방식과는 다른 슬라이딩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할 때 제1 광원부(100)는 광학부(300)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구동부(500)는 기판(400)을 직선이동시켜 제2 광원부(200)가 광학부(300)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방식의 경우 구동부(500)는 기판(400)이나 부가 기판(600)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구동부(500)는 피스톤을 직선 운동시켜 기판(400)을 움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기판(400)의 직선 운동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PWR)은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에 전원(PWR)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어부(900)는 제1 광원부(100) 에 전원(PWR)이 공급되는 지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00) 가 LED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900)는 제1 광원부(100) 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제1 광원부(100) 가 빛을 방출하지 못하면, 제1 광원부(100) 에 전원(PWR)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900)는 전원(PWR)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여 스위칭부(S)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S)의 일단은 제2 광원부(200)와 연결되고, 스위칭부(S)의 타단은 전원(PWR)과 연결될 수 있으나, 스위칭부(S)의 연결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원부(200) 가 전원(PWR)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 할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PWR)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제1 광원부(100)는 제1 저항 R1에 연결되고, 제2 광원부(200)는 제2 저항 R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저항 R1은 제2 저항 R2에 비하여 저항값이 작을 수 있다.
제1 저항 R1은 제2 저항 R2에 비하여 저항값이 작으므로 제1 광원부(100) 에 흐르는 전류가 제2 광원부(200에 흐르는 전류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이 때 제1 저항 R1과 제2 저항 R2의 저항값의 비율은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00) 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제1 광원부(100) 가 빛을 방출하지 못하면 제1 광원부(100) 의 저항이 크게 증가하므로 제1 저항 R1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흐르지 않고 제2 저항 R2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전원(PWR)이 제2 저항 R2를 통하여 제2 광원부(20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광원부(200) 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 중 적어도 하나가 빛을 방출하지 못하면,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PWR)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900)는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원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고, 스위칭부(S)를 제어하여 제1 광원부(200)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경우, 제2 광원부(200)에 전원(PWR)을 공급하고, 제3 광원부(700)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경우, 제4 광원부(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PWR)은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에 전원(PWR)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어부(900)는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에 전원(PWR)이 공급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는 하나의 도선을 통하여 전원(PWR)을 공급받고, 도 11의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는 별도의 도선을 통하여 전원(PWR)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LED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900)는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못하면,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 에 전원(PWR)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900)는 전원(PWR)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여 스위칭부(S)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S)의 일단은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와 연결되고, 스위칭부(S)의 타단은 전원(PWR)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S)가 턴온됨으로써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가 전원(PWR)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900)는 기판(400)이나 부가 기판(600)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5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S)는 제1 스위치(sw1)과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제2 광원부(200) 및 전원(PWR)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제4 광원부(800) 및 전원(PWR)과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S)의 연결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의 개수에 따라 스위칭부(S)가 포함하는 스위치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 중 적어도 하나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900)는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PWR)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900)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시킴으로써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PWR)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900)는 기판(400)이나 부가 기판(600)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50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및 제3 광원부(700)는 제1 저항 R1에 연결되고,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는 제2 저항 R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저항 R1은 제2 저항 R2에 비하여 저항값이 작을 수 있다. 이 때 기판(400)에는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가 하나씩 설치되고, 제3 광원부(700) 및 제4 광원부(800)가 부가 기판(600)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제1 저항 R1은 제2 저항 R2에 비하여 저항값이 작으므로 제1 광원부(100) 또는 제3 광원부(700)에 흐르는 전류가 제2 광원부(200) 또는 제4 광원부(800)에 흐르는 전류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이 때 제1 저항 R1과 제2 저항 R2의 저항값의 비율은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제1 광원부(100) 또는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고, 제2 광원부(200) 또는 제4 광원부(8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못하면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의 저항이 크게 증가하므로 제1 저항 R1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줄어들고 제2 저항 R2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가 빛을 방출 할 수 있다. 즉, 제1 광원부(100) 및 제3 광원부(700)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전원(PWR)이 제2 저항(R2)을 통하여 제2 광원부(200) 및 제4 광원부(800)에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1 저항 R1과 제2 저항 R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센싱하여 구동제어신호를 구동부(500)로 출력함으로써 기판(400) 또는 부가 기판(60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기판(400)의 단면 형상은 광학부(300)에 대하여 오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원부(200)가 중심축에 정렬되어 있지 않더라도 빛이 광학부(300)에 가능한 많이 입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학부(3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제1 광원부(100), 제2 광원부(200), 광학부(300) 및 광 가이드부(20)를 포함한다.
제1 광원부(100)는 기판(400) 상에 설치되며, 제1 단자부(150)를 구비한다.
제2 광원부(200)는 기판(400) 상에 설치되며 제1 광원부(100)와의 경계 영역이 아닌 비경계 영역에 제2 단자부(250)를 구비하여 제1 광원부(100)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한다.
이 때, 제1 단자부(150) 및 제2 단자부(250)는 + 전극과 -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다른 도 17의 비교예와 같이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의 경계 영역에 제1 단자부(150)와 제2 단자부(250)가 있을 경우,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의 간격(G)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비하여 커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와 다르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의 경계 영역에 제1 단자부(150)와 제2 단자부(250)가 없음으로써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400)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고 광 방출부(10) 역시 작아질 수 있다.
광학부(300)를 통하여 제1 광원부(100) 또는 제2 광원부(200)의 빛이 통과한다. 광 가이드부(20)는 광학부(300)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한다. 광학부(300) 및 광 가이드부(20)에 대해서는 앞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는 전체 n 개의 부분 광원을 포함하고, 제1 광원부(100)가 m 개(m<n, m과 n은 자연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할 경우, 제2 광원부(200)는 1 개 이상 n-m 개 이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의 내시경 시스템은 각각 2개(=n), 3개(=n), 4개(=n)의 전체 부분 광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5, 도 16 및 도 17의 제1 광원부(100)는 각각 1개(=m), 2개(=m), 2개(=m)의 부분 광원을 가지고 있다.
만약 n=3이고 m=1인 경우 제2 광원부(200)의 부분 광원은 1개 또는 2개일 수 있다.
또한 n=4이고 m=1인 경우, 제2 광원부(200)의 부분 광원은 1개, 2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m=3인 경우 제2 광원부(200)의 부분 광원은 1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원부(100)와 제2 광원부(200)의 부분 광원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1 광원부(100)가 광학부(300)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고, 제2 광원부(200)는 중심축에서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가 각각 하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할 경우, 제1광원부의 부분 광원이 중심축에 정렬되면 제2 광원부(200)의 부분 광원은 제1 광원부(100)의 부분 광원과 다른 위치에 기판(400)에 배치되므로 중심축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광원부(200)가 중심축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광 가이드부(20)에 전달되는 광량이 줄어들더라도 수술자가 시술자가 제1 광원부(100)의 고장과 같은 내시경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따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부(200)의 부분 광원의 개수를 제1 광원부(100)의 부분 광원의 개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중심축에서 벗어난 배치로 인한 광량 감소를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부(100) 및 제2 광원부(200)는 기판(400)에 장착된 광원을 덮는 부가 광학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 광학부(350)는 레진(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과 기판(400) 사이에는 방열부(HR)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부가 광학부(350)의 단면 형상은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굴곡지거나 평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a)와 같이 볼록하거나 이와 반대로 오목할 수 있으며, 도 19의 (b)와 같이 평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가 광학부(350)는 도 19의 (c)와 같이 프레넬 렌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 광학부(350)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내시경 시스템의 설계 방향에 맞게 빛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특정 파장의 빛을 관찰할 수 있는 내시경(50), 내시경(50)을 구동하고 내시경(50)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신호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40) 및 촬상된 대상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시경(50)은 빛이 거의 도달하지 않은 대상체 내에 삽입되는 플렉서블(flexible) 혹은 리지드(rigid)한 삽입부(50a), 삽입부(50a)에 제공되는 핸들(25), 핸들(25)의 측부에서 연장된 유니버셜코드부(50c)을 포함하고, 유니버셜코드부(50c)를 통해 이미지 신호 처리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내시경(50)의 메인 바디부는 주로 삽입부(50a)와 핸들(25)로 구성되고, 촬상 이미지 신호와 제어 신호들은 케이블(1a, 3a)을 통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40)에 전파된다.
CMOS 혹은 CCD와 같은 이미지 센싱부(30)와, 자이로센서나 가속도 센서와 같은 모션 감지 센서(1) 및 포셉 홀(forceps hole)은 삽입부(50a)의 끝단에 제공된다. 포셉 홀은 이미 널리 잘 알려져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미지 센싱부(30)는 복수의 신호 와이어(3a)가 번들로 이뤄진 케이블(3a)을 통하여 이미지 센서 구동부와 연결되고, 모션 감지 센서(1) 역시 케이블(1a)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
광 가이드(20)는 삽입부(30a)에서 유니버셜코드부(50c)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40)에 연결된다. 광 가이드(20)는 광 방출부(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삽입부(50a)의 끝단으로 출력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40)는 이미지 촬상과 관련된 부품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구동하기 위해 필요로하는 다른 일반적인 구성부품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40)는 적어도 이미지센서 구동부(image sensor driver), 이득 증폭부(Gain Amplifier),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부(AD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부(DAC), CPU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방출부(10)는 드라이버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구동될 수 있으며, 드라이버는 CPU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광 방출부(10)
광 가이드부(20)
이미지 센싱부(30)
이미지 신호 처리부(40)
내시경(50)
디스플레이부(60)
제1 광원부(100)
제1 단자부(150)
제2 광원부(200)
제2 단자부(250)
광학부(300)
부가 광학부(350)
기판(400)
제1 부분 기판(410)
제2 부분 기판(430)
구동부(500)
부가 기판(600)
제3 광원부(700)
제4 광원부(800)
제어부(900)
전원(PWR)

Claims (19)

  1. 기판 상에 설치된 제1 광원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의 빛이 방출되지 않을 때 상기 기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상기 광학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중심축을 벗어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센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원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여 스위칭부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제2 전원부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상기 제1 광원부는 제1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제2 저항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2 저항에 비하여 작은 저항값을 지니고,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전원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원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6. 기판 상에 설치된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상기 광학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기판을 움직이는 구동부;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을 상기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할 때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부가 기판과, 상기 부가 기판에 설치된 제3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부가 기판을 움직여 상기 제4 광원부의 빛이 상기 광학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원부 또는 상기 제4 광원부의 빛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홈 또는 홀을 통하여 상기 광학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3 광원부는 각각 상기 제2 광원부 및 제4 광원부에 비하여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제1 광원부에 비하여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부가 기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4 광원부가 상기 제3 광원부에 비하여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는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4 광원부가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할 때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광학부와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판을 직선이동시켜 상기 제2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원의 공급 중지를 센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부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경우, 상기 제2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3 광원부의 전원 공급이 중지될 경우, 상기 제4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는 제1 저항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원부 및 제4 광원부는 제2 저항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2 저항에 비하여 작은 저항값을 지니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3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전원이 상기 제2 저항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4 광원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5. 기판 상에 설치되며, 제1 단자부를 구비하는 제1 광원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광원부와의 경계 영역이 아닌 비경계 영역에 제2 단자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광원부가 빛을 방출하지 않을 때 빛을 방출하는 제2 광원부;
    상기 제1 광원부 또는 상기 제2 광원부의 빛이 통과하는 광학부;
    상기 광학부를 통과한 빛을 대상체 내부로 유도하는 광 가이드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한 빛을 센싱하여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전체 n 개의 부분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부가 m 개(m<n, m과 n은 자연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2 광원부는 1 개 이상 n-m 개 이하의 부분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가 상기 광학부의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기판에 장착된 광원을 덮는 부가 광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광학부의 단면 형상은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굴곡지거나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기판에 장착된 광원을 덮는 부가 광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광학부는 프레넬 렌즈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KR1020160079112A 2016-04-01 2016-06-24 내시경 시스템 KR10182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5,462 US10394012B2 (en) 2016-04-01 2016-10-27 Endoscopy system
CN201621333895.1U CN206792374U (zh) 2016-04-01 2016-12-06 内窥镜系统
CN201611113516.2A CN107260111B (zh) 2016-04-01 2016-12-06 内窥镜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0028 2016-04-01
KR1020160040028 2016-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69A true KR20170112869A (ko) 2017-10-12
KR101828348B1 KR101828348B1 (ko) 2018-03-22

Family

ID=6014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112A KR101828348B1 (ko) 2016-04-01 2016-06-24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348B1 (ko)
CN (1) CN20679237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4012B2 (en) * 2016-04-01 2019-08-27 INTHESMART Inc. Endoscopy system
KR101828351B1 (ko) * 2016-06-24 2018-03-22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내시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542A (ja) * 2003-03-17 2004-10-07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JP4584624B2 (ja) * 2004-05-18 2010-11-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2006136519A (ja) * 2004-11-12 2006-06-01 Pentax Corp 内視鏡用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348B1 (ko) 2018-03-22
CN206792374U (zh)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431B2 (en) Endoscopic system with a solid-state light source
US8002697B2 (en) Dual endoscope system with display unit
JP4235677B2 (ja) 内視鏡のための差込みユニット
JP2022089196A (ja) パン撮り可能なカメラ付き内視鏡及び関連する方法
US20080300456A1 (en) Video Endoscope
EP1834573A1 (en) Insertion section for endoscope
EP1859723A1 (en) Insertion section for endoscope
EP1834575A1 (en) Endoscope-use insertion unit
EP2977150B1 (en) Manipulator
US20110270035A1 (en) Endoscope apparatus
KR101828348B1 (ko) 내시경 시스템
US9259141B2 (en) Endoscope
JP2012517309A (ja) モジュール式の内視鏡
US20220095896A1 (e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illumination device
CN107536596B (zh) 内窥镜系统
US10394012B2 (en) Endoscopy system
US10877260B2 (en) Electrostatic touch assembly of light source device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394013B2 (en) Optic assembly and light source device for endoscope including the same
WO2021085289A1 (ja) 内視鏡の押釦機構
US20160353975A1 (en) Bending operation mechanism for endoscope
US20220378284A1 (en) Endoscop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quantity adjusting method
CN108873309B (zh) 光学组件及包括其的内窥镜用光源装置
US10905319B2 (en) Endoscope apparatus
US20210152786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assembly
JPH01257910A (ja) 内視鏡用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