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02A -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02A
KR20170112402A KR1020160039419A KR20160039419A KR20170112402A KR 20170112402 A KR20170112402 A KR 20170112402A KR 1020160039419 A KR1020160039419 A KR 1020160039419A KR 20160039419 A KR20160039419 A KR 20160039419A KR 20170112402 A KR20170112402 A KR 20170112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signal
underwater photographing
depth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Original Assignee
아티슨앤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티슨앤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티슨앤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402A/ko
Publication of KR2017011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multiple sensors
    • H04N23/15Image signal generation with circuitry for avoiding or correcting image misregistration
    • H04N9/09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H04N5/2257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Abstract

수중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수중 촬영 장치는, 수중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센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수신된 GPS 신호를 기초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필터 선택 신호를 기초로 촬영 영상 신호의 색을 보정하여 필터링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An underwater camera and a color corr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 촬영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수중 환경의 색감에 맞게 수중 촬영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IT 기기, 특히,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의 크기 대비 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 촬영 장치들이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는 단순히 인물이나 주변 환경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서, 사용자가 보고 듣고 경험한 모든 것을 SNS를 통해 주변인들과 공유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치 사용자의 시야에 비치는 모습을 그대로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소위 액션캠이 유행하고 있으며, 나아가, 수중의 사물 및 수중 환경을 촬영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수중의 사물이나 수중 환경에 제공되는 조명(태양광)의 색이 바다 또는 강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왜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중 촬영 장치가 촬영한 영상은 전체적으로 바다 또는 강의 전체적인 색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바다 또는 강의 전체적인 색감은, 지역, 시기 및 수온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어 색감이 왜곡되지 않은 수중 사물 또는 수중 환경에 대한 명확한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특별한 인식을 기초로 본 발명은 안출되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감이 왜곡되지 않은 수중 사물 또는 수중 환경에 대한 촬영을 실현할 수 있는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의 색 보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는, 수중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센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수신된 GPS 신호를 기초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 선택 신호를 기초로 상기 촬영 영상 신호의 색을 보정하여 필터링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수중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신호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신호 및 상기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수심을 측정하여 수심 .신호를 생성하는 수심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 신호 및 상기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의 색 보정 시스템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며 수중을 촬영하는 수중 촬영 장치; 및 수중 촬영 지역별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수중 필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운영 서버는 수중 촬영 장치의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GPS 신호에 상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중 촬영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중을 촬영한 영상의 색을 보정한다.
또한,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수심을 측정하여 측정된 수심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중 필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 별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수신된 GPS 신호 및 수심 신호에 대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수중 촬영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중을 촬영한 영상의 색을 보정한다.
또한,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수온을 측정하여 측정된 수심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중 필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온 별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수신된 GPS 신호 및 수온 신호에 대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수중 촬영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중을 촬영한 영상의 색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로 수중 사물 및 수중 환경을 촬영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에서 수중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측과 운영 서버의 정보 교환 내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필터링되지 않은 수중 촬영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된 수중 촬영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GPS 신호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8은 GPS 신호 및 수심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9는 GPS 신호 및 시기(월)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0는 GPS 신호 및 시간(hour)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1은 GPS 신호 및 수온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로 수중 사물 및 수중 환경을 촬영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는 수중(20)에서 수중의 사물 또는 그 주변 수중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수중 환경에서 사물에 제공되는 빛 또는 조명은, 수중 촬영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플래시 또는 태양광과 같은 주변광일 수 있다.
다만, 수중 환경에서 사물에 제공되는 빛 및 사물에 반사되어 수중 촬영 장치(100)로 입사되는 반사광은 바다 또는 강의 전체적인 색감에 상응하여 색이 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심이 깊을수록, 태양광이 수중 사물 및 수중 환경에 도달하기 위하여 바다 또는 강을 관통하는 거리가 길어질 것이며, 이는 수중 환경에 제공되는 빛의 전체적인 조도의 감소를 비롯하여 색감을 더욱 어둡게 또는 파랗게 변색시킬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수심이 깊을수록 촬영 대상인 수중 사물 또는 수중 환경에 더욱 파란색에 가까운 조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수심에 따른 색 왜곡은 수심이 깊어 질수록 바다 또는 강을 관통하는 빛 중 상대적으로 장 파장이어서 관통력이 약한 빛(주황, 노랑 및 초록 순)들이 먼저 필터링되며, 상대적으로 단 파장이어서 관통력이 강한 파랑 색 계열의 빛들이 더 깊은 바다로 잘 침투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바다 또는 강(20)의 수온 역시 바다 또는 강의 전체적인 색감을 변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온이 차가울수록 바다 또는 강의 전체적인 색감이 초록색에 가까운 색을 띠고, 수온이 따뜻할수록 파랑색에 가까운 색을 띨 수 있다.
위와 같은 바다 또는 강의 수심 및 수온은 해당 수중 촬영 지역인 바다 또는 강의 근방에서 대개 유사할 것이다.
즉, 수중 촬영 대상인 지역, 예를 들어, 제주도 A 해수욕장 인근 바다가 특정되면, 그 지역의 대략의 해저면 수심은 유사할 것이며, 그 지역의 수온을 결정하는 위도 역시 대체로 유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는 촬영 대상인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의 전체적인 색감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게 촬영된 영상을 색 보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의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는, 촬상 센서(120), 컬러 필터부(130), 제어부(110), 정보 표시부(140), 통신 모듈(150), GPS 수신부(160), 온도 센서(170), 수심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들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기능적인 블록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적인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도시된 두 개 이상의 기능적인 블록들이 하나의 반도체 칩 또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촬상 센서(120)는 수중 사물 또는 수중 환경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촬상 센서(120)는, 수중에서 수중 사물 또는 수중 환경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촬상 및 취득할 수 있고, 해당 수중 사물 및 수중 환경의 모습을 나타내는 촬영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촬상 센서(120)는 입사된 빛의 색 및 강도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며, 렌즈와 주변 구성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GPS 수신부(160)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S 신호는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성에서 나오는 위성의 궤도 정보 및 위성 신호 발신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GPS 수신부(160)는 복수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즉,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GPS 수신부(160)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GPS 신호를 기초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컬러 필터부(130)는 제어부(110)로부터 필터 선택 신호(FSS)를 수신할 수 있고, 촬상 센서(120)로부터 수중 영상 신호(SIS)를 수신할 수 있다. 컬러 필터부(130)는 수신된 필터 선택 신호(FSS)를 기초로 수신된 촬영 영상 신호의 색을 보정하여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FIS)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FIS)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정보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또는 저장 매체(미도시)에 기록할 수 있다.
정보 표시부(140)는 수중 촬영 장치(100)의 외면에 부착된 표시 수단, 예를 들어, LED, OLED, 액정 디스플레이, AMOLED 등일 수 있고, 제어부(110)에 의해 제공된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FIS)를 기초로 해당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또는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표시 수단으로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FIS)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수중 촬영 카메라의 정보 표시부(140)는 생략될 수 있고, 이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저장 매체(미도시)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는 SD 카드, USB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일 수 있다. 저장 매체(미도시)는 수중 촬영 기기(100) 내부에 탑재되거나, 수중 촬영 기기(100)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심 센서(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가 위치해 있는 수심을 측정하여 수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심 센서(180)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일 수 있고, 수심 센서(18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수중 촬영 장치(100)가 위치한 수심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심 센서(180)로부터 수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수심 신호를 추가로 반영하여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GPS 신호에 의해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 신호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온도 센서(1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가 위치해 있는 수중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온도 센서(17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인 특성이 변하는 전자 소자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온도 센서(170)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온도 신호를 추가로 반영하여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GPS 신호에 의해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 및 온도 신호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GPS 신호에 의해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 수심 신호 및 온도 신호 모두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선택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5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 등으로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5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 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TCP/IP와 같은 유선 인터넷 프로토콜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모듈(150)의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신 모듈(150)은 표준으로서 공개되는 또는 독자 개발된 다양한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150)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50)을 통해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FIS)를 외부의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또는 운영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수신된 GPS 신호, 수심 신호 및 온도 신호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150)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는, 제어부(110)가 기본적으로 GPS 신호만으로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하거나, 추가적으로 GPS 신호에 더하여 수심 신호 및 온도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였다.
제어부(110)는 각각의 수중 촬영 지역과 수심 신호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거나 또는 이에 상응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에서, 제어부(110)는 각각의 수중 촬영 지역과 수심 신호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외부의 운영 서버를 통해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은, 수중 촬영 장치(100), 사용자 단말, 유무선 통신망, 운영 서버 및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운영 서버(400)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경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된 앱(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설치하여 상기 앱을 통해 운영 서버(400)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는 수중 촬영 지역, 수심 및 수온 등에 상응하는 바다 또는 강의 전체적인 색감과 이에 대응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필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일 수 있다. 또한,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는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된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FIS) 및 이 때의 필터 선택 신호(FSS)를 누적적으로 기록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로써,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에 저장된 수중 촬영 지역, 수심 및 수온 등에 상응하는 필터에 관한 정보들을 시간에 따라 누적적으로 기록 및 갱신될 수 있다. 이에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에 저장된 수중 촬영 지역, 수심 및 수온에 상응하는 필터에 관한 정보는 그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에서 수중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측과 운영 서버의 정보 교환 내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중 촬영 장치(100)는 통신 모듈(150)을 통해 직접 또는 통신 모듈(150) 및 사용자 단말(2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운영 서버(400)로 GPS 신호, 수심 신호 및 수온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0)는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에 저장된 수중 촬영 지역, 수심 및 수온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필터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할 필터 종류 또는 해당 수중의 특성에 관한 정보, 즉, 필터 선택 참조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영상 촬영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필터 선택 참조 신호를 참조하여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어부(110)에 저장된 필터 선택 신호(FSS)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식 또는 룩업 테이블을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410)에서 취합하여 제공된 수중 촬영 지역, 수심 및 수온 등에 상응하는 필터에 관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영상에 대한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확보된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필터 선택 신호(FSS)로서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필터링되지 않은 수중 촬영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된 수중 촬영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을 비교하면, 도 5의 수중 촬영 영상은 전체적인 색감이 도 6의 필터링된 수중 촬영 영상에 비하여 파란색에 가깝게 왜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수중 촬영 장치(100)는 GPS 신호로부터 수중 촬영 지역을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로 수중 촬영 영상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도 5의 수중 촬영 영상이 촬영된 수중 촬영 지역이, 예를 들어, 해운대 앞바다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여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컬러 필터부(130)는, 수중 촬영 영상의 영상 신호들에서, 상대적으로 붉은 색 계열의 색은 투과(물리적으로 볼 때) 또는 보존(소프트웨어적으로 볼 때)하고, 상대적으로 파란 색 계열의 색은 차단(물리적으로 볼 때) 또는 제거(소프트웨어적으로 볼 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수중 촬영 영상에 비하여 색 왜곡이 줄어든 수중 촬영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만일, 도 5의 그림과 무관하게, 해운대 앞바다의 수온이 크게 떨어질 경우, 예를 들어, 추운 겨울의 기온 강하로 수온이 내려간 경우에, 수중 촬영 영상은, 예를 들어, 초록색에 가까운 색감을 띨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영상의 영상 신호들에서, 상대적으로 보라색 계열의 색은 보존하고, 초록색 계열의 색은 제거하여 필터링된 수중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도 6의 그림과 무관하게, 해운대 앞바다에서 특이하게 유독 수심이 깊은 지역 촬영하는 경우에, 수중 촬영 영상은, 예를 들어, 더 어두운(파란) 색감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영상의 영상 신호들에서, 상대적으로 붉은색 계열의 색은 보존하고, 파란색 계열의 색은 제거하여 필터링된 수중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GPS 신호를 기초로 결정되는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되, 수온 및 수심에 의한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이들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GPS 신호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 각각에 대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수중 촬영 지역에 대하여, 그 전체적인 수중의 색감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은 유사한 경향을 보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GPS 신호가 A 또는 이에 근사한 범위일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지역을 부산 해운대 앞바다라고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부산 해운대 앞바다의 색감에 대응하는 필터 특성(a)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여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대표적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대응하는 GPS 신호와 필터 특성이 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GPS 신호를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GPS 신호 및 수심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 및 수심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을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을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수중 촬영 지역(A~F)의 수심 별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GPS 신호가 A 또는 이에 근사한 범위일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지역을 부산 해운대 앞바다라고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심이 10~20m일 때, 해당 수중 촬영 지역의 색감에 대응하는 필터 특성(a4)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여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대표적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대응하는 GPS 신호와 수심 별 필터 특성이 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GPS 신호 및 수심 신호를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GPS 신호 및 시기(월)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 및 시기(월 단위)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다 또는 강의 색감은 해당 촬영 지역의 수온에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당 촬영 지역의 바다 또는 강의 색감의 수온에 따른 변화는 월 단위 시기별 대표 값 또는 평균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을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을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수중 촬영 지역(A~F)의 월 단위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GPS 신호가 A 또는 이에 근사한 범위일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지역을 부산 해운대 앞바다라고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기가 1월 내지 2월일 때, 해당 수중 촬영 지역의 색감에 대응하는 필터 특성(a'1)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여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대표적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대응하는 GPS 신호와 시기별(수온 별) 필터 특성이 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GPS 신호 및 수심 신호를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는 GPS 신호 및 시간(hour)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 및 시간(hour 단위)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다 또는 강의 색감은 해당 촬영 지역의 수온에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당 촬영 지역의 바다 또는 강의 색감의 수온에 따른 변화는 하루의 시간 단위로 대표 값 또는 평균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을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을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수중 촬영 지역(A~F)의 시간 단위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GPS 신호가 A 또는 이에 근사한 범위일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지역을 부산 해운대 앞바다라고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촬영 시간이 13시 내지 15시일 때, 해당 수중 촬영 지역의 색감에 대응하는 필터 특성(a"5)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여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대표적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대응하는 GPS 신호와 시간 별(수온 별) 필터 특성이 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GPS 신호 및 수심 신호를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GPS 신호 및 수온에 따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을 함께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 및 온도 센서(170)에 의해 측정된 수온에 상응하는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다 또는 강의 색감은 해당 촬영 지역의 수온에 변화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GPS 신호들(A~F)을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을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수중 촬영 지역(A~F)의 수온 별(℃ 단위) 필터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GPS 신호가 A 또는 이에 근사한 범위일 때, 제어부(110)는 수중 촬영 지역을 부산 해운대 앞바다라고 특정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온이 11~15℃일 때, 해당 수중 촬영 지역의 색감에 대응하는 필터 특성(a'"3)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하여 컬러 필터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대표적인 수중 촬영 지역 및 이에 대응하는 GPS 신호와 수온 별 필터 특성이 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GPS 신호 및 수심 신호를 기초로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FSS)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수중 촬영 장치 110: 제어부
120: 촬상 센서 130: 컬러 필터부
140: 정보 표시부 150: 통신 모듈
160: GPS 수신부 170: 온도 센서
180: 수심 센서

Claims (8)

  1. 수중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센서;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수신된 GPS 신호를 기초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수중 촬영 지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 선택 신호를 기초로 상기 촬영 영상 신호의 색을 보정하여 필터링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수중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신호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신호 및 상기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수중 촬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수심을 측정하여 수심 .신호를 생성하는 수심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 신호 및 상기 결정된 수중 촬영 지역에 상응하는 필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수중 촬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수중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수중 촬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중 촬영 장치.
  6.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며 수중을 촬영하는 수중 촬영 장치; 및
    수중 촬영 지역별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수중 필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운영 서버는 수중 촬영 장치의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중 필터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GPS 신호에 상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중 촬영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중을 촬영한 영상의 색을 보정하는 수중 촬영 장치의 색 보정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수심을 측정하여 측정된 수심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중 필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 별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수신된 GPS 신호 및 수심 신호에 대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수중 촬영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중을 촬영한 영상의 색을 보정하는 수중 촬영 장치의 색 보정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수온을 측정하여 측정된 수심을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중 필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온 별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수신된 GPS 신호 및 수온 신호에 대응하는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심의 필터링에 관한 정보를 수중 촬영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중 촬영 장치는 상기 수중 촬영 지역 및 수온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중을 촬영한 영상의 색을 보정하는 수중 촬영 장치의 색 보정 시스템.
KR1020160039419A 2016-03-31 2016-03-31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KR20170112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19A KR20170112402A (ko) 2016-03-31 2016-03-31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19A KR20170112402A (ko) 2016-03-31 2016-03-31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02A true KR20170112402A (ko) 2017-10-12

Family

ID=6014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19A KR20170112402A (ko) 2016-03-31 2016-03-31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4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616B1 (ko) 2019-11-11 2021-02-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선저검사용 수중 카메라 영상보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616B1 (ko) 2019-11-11 2021-02-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선저검사용 수중 카메라 영상보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010B2 (en) Imaging system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same object using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77463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position information into image
CN109544618B (zh) 一种获取深度信息的方法及电子设备
US200901352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position information into image
JP4984044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撮影条件の設定方法と、それに用いられる端末及びサーバ
CN104243810B (zh) 摄像装置、摄影条件设定方法
US20080218612A1 (en) Camera using multiple lenses and image sensors in a rangefinder configuration to provide a range map
WO2006028108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それに用いられる端末及びサーバ
KR20080113698A (ko) 영상에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070237505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underwater image compensation and underwater flash compensation
EP3522528A1 (en) Image white balance corr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4635201B2 (ja) 端末装置
KR20170112402A (ko) 수중 촬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촬영 영상의 색 보정 시스템
KR100609670B1 (ko) 개선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1150663B (zh) 摄像装置
JP5889690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管理サーバ
KR20090061962A (ko) 역광 자동 검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819931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920058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色補正撮影方法
JP2009008842A (ja)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90734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1095008A (ja) 撮像装置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
US10666839B2 (en) Correcting for optical distortion in a liquid environment
JP201013059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4216685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