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709A -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709A
KR20170111709A KR1020160037676A KR20160037676A KR20170111709A KR 20170111709 A KR20170111709 A KR 20170111709A KR 1020160037676 A KR1020160037676 A KR 1020160037676A KR 20160037676 A KR20160037676 A KR 20160037676A KR 20170111709 A KR20170111709 A KR 20170111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frequency
storage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644B1 (ko
Inventor
임주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644B1/ko
Priority to CN201610999584.7A priority patent/CN107240960B/zh
Priority to JP2016221898A priority patent/JP6393729B2/ja
Priority to US15/360,160 priority patent/US10340701B2/en
Publication of KR2017011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5/00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7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계통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제1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및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포함된 전력의 크기 또는 전력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Hybrid power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에서 수신한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기초로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전력계통에 따른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저장 장치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 장치이다.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을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관련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 생산자에게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전력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전력 소비를 가능하게 한다.
주요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사용은 기후변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면서 그 사용에 대한 제약이 심화되고 있고 최근에는 석탄 및 석유의 고갈에 따라 신재생에너지가 각광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 생산 및 소비가 가능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저장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력 저장 장치는 크게 배터리, 배터리의 전력을 변환하는 장치(이하 전력 변환 장치) 및 배터리와 전력을 변환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하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배터리는 전력을 변환하는 장치를 거쳐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력 변환 장치는 발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전력계통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전력의 특성을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어 장치는 배터리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 저장 장치의 구동 방식은 크게 전력 크기 조절 방식과 주파수 조절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력 크기 조절 방식은 전력 사용이 최대인 시간대를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써 전력 요금이 비교적 저렴한 시간대에 전력을 충전하고 전기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조절 방식은 발전기의 주파수를 일정 기준으로 유지하는 용도로써 주파수가 일정할수록 전력 품질이 좋아지는 특성을 이용한다. 전력의 주파수는 전력의 공급량보다 사용량이 많은 경우 감소하고 반대로 전력의 공급량보다 사용량이 적은 경우 증가한다. 이 때, 주파수가 규정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을 충전하고 주파수가 규정 주파수 미만인 경우 전력을 방전하여 공급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 저장 장치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장치 자체의 성능 개선도 중요하지만 전력 사용자의 전력 사용 패턴 및 전력 생산자의 전력 생산 패턴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크기 조절 전력 저장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전력 주파수 조절 전력 저장 장치(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력 저장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10)와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장치(20)가 별개의 장치에서 운용되었다. 이에 따라 전력 크기를 조정하는 방식에서는 측정 지연으로 인한 계측값의 불확실성을 해소하지 못하고, 전력 주파수를 조절하는 방식에서는 주파수의 변동이 심한 경우 충방전 동작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력 저장 장치(10, 20)는 실시간 무선통신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외부 요인들에 의해 갱신되는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또는 전력 주파수 조절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전력계통에 따른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를 통해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갱신되는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을 저장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에 있어서, 전력계통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제1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및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포함된 전력의 크기 또는 전력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또는 전력 주파수 조절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전력계통에 따른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를 통해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갱신되는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작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크기 조절 전력 저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력 주파수 조절 전력 저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가 전력계통 및 서버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시간에 따른 전력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시간에 따른 전력의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시간에 따른 전력의 요금을 도시한 그래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100)가 전력계통(310) 및 서버(32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100)는 배터리(110), 전력변환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배터리(110), 전력변환부(120) 및 제어부(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10)는 전력계통(310)에 공급되는 제1 전력을 저장할 수 있고, 전력계통(3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계통(310)은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 및 부하가 일체로 되어 전력의 발생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계통(310)은 전력을 사용하는 일반 가정으로부터 공장과 같은 산업시설을 포함할 수 있고,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 태양력 및 원자력 발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계통(310)은 IOT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버(320)로 전력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계통(310)에 속하는 발전소, 변전소 및 산업시설 등이 IOT를 기반으로 하는 하나의 서버(320)를 공유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전력 정보는 전력의 사용량, 전력의 생산량, 전력의 요금, 전력의 크기 및 전력의 주파수 등 전력계통(310)에서 생산되거나 사용되는 전력의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320)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하는 모든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을 통칭하는 것으로 웹,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IOT(Internet Of Things)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320)는 전력계통(310)의 전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IOT를 기반으로 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320)는 전력계통(310)의 인터넷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과 일체일 수 있다.
배터리(110)가 저장하는 제1 전력은 배터리(110)에 기 저장된 전력으로써 전력계통(310) 중 전력을 사용하는 산업시설 등에 공급되는 전력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은 전력계통(310) 중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등으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하는 전력일 수 있다.
배터리(110)는 전력계통(310)과 전력을 주고 받기 위하여 산업시설 및 발전기 등의 전력계통(31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10)는 리튬이온 방식, 리튬폴리머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고 납축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부(120)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제1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제2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변환부(120)는 발전소 등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10)에 저장하거나 전력계통(310)으로 전력을 방출하기 위하여 전력의 특성(AC/DC, 전압 및 주파수)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부(120)는 전력을 저장할 때의 특성과 전력을 사용할 때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경우, 전력의 이용 상태에 맞춰 전력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배터리(110)에 저장되는 전력은 전극의 방향성을 가진 직류 형태일 수 있고 가정 및 산업시설 등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교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10)에 저장하는 경우 전력계통(310)에서 공급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계통(31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배터리(110)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태양력,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에서는 직류 전력을 생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전력계통(310)에서 공급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110)에 저장 가능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시간에 따른 전력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시간에 따른 전력의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시간에 따른 전력의 요금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부(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서버(320)로부터 전력계통(310)의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직접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직접 전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력계통(310), 서버(320), 제어부(130) 및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의 인터넷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를 공유할 수도 있다.
전력 정보는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기준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설정 값은 제어부(130)가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함에 있어서, 후술하는 기준 크기, 기준 주파수, 미리 설정된 개수, 미리 설정된 최대, 최소값, 미리 설정된 최대, 최소 주파수 및 미리 설정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력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력 정보를 기초로 전력계통(31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서버(320)로부터 주파수의 개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주파수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하고, 주파수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의 개수는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계통(310)에서 발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주파수의 전력을 생산하는 하나 이상의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발전기에서 발전되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력의 주파수 개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정과 같은 소비 전력계통(310)의 경우 일반적으로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측정되는 전력의 주파수의 개수가 60Hz로 한 개일 수 있다. 반면 태양광 발전기, 풍력 발전기와 같은 전력계통(310)의 경우 측정되는 전력의 주파수는 일사량, 풍량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발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개수가 여러 개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측정되는 전력 주파수의 개수를 서버(3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해당 주파수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해당 주파수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주파수의 변동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및 산업시설 등의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기, 풍력 발전기 등의 생산 전력에 대해서는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서버(110)로부터 산업시설과 같은 전력계통(310)의 소비 전력의 크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소비 전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110)가 제1 전력을 전력계통(310)에 공급하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서버(320)로부터 전력 정보인 소비 전력의 크기(410)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소비 전력의 크기(410)가 미리 설정된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110)에 저장된 제1 전력을 직류 전력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1 전력을 전력을 소비하는 해당 전력계통(310)에 공급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제어부(130)는 해당 소비 전력의 크기(410)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미만인 경우 배터리(110)가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제2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소비 전력의 크기(410)와 가용 전력의 크기(420)를 나타내었다. 가용 전력의 크기(420)는 미리 설정된 전력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소비 전력의 크기(410)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미만인 경우 발전소 등의 전력계통(310)에서 생산된 제2 전력을 교류 전력에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2 전력을 저장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전력 크기의 최대값 및 최소값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서버(320)로부터 전력의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전력의 주파수를 기초로 전력계통(31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정보는 발전기와 같은 전력계통(310)의 생산 전력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생산 전력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110)가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제2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서버(320)로부터 발전소와 같은 전력계통(310)의 전력 정보인 생산 전력의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생산 전력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같은 전력계통(310)에서 공급되는 제2 전력을 교류 전력에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2 전력을 저장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제어부(130)는 전력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주파수 미만인 경우 배터리(110)가 제1 전력을 전력계통(310)에 공급하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생산 전력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주파수 미만인 경우 배터리(110)에 저장된 제1 전력을 직류 전력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1 전력을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계통(310)에 공급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최대 주파수 및 최소 주파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기준 크기 및 기준 주파수를 설정하고, 기준 크기에 대한 전력의 크기의 오차 비율인 제1 오차 비율 및 기준 주파수에 대한 전력의 주파수의 오차 비율인 제2 오차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오차 비율이 제2 오차 비율 이상인 경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제1 오차 비율이 제2 오차 비율 미만인 경우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 전력의 크기와 주파수가 각각 100W 및 80Hz이고 기준 크기와 주파수가 각각 50W 및 60Hz일 경우 제1 오차 비율은
Figure 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오차 비율은
Figure pat00002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제1 오차 비율이 제2 오차 비율 이상이므로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정보는 전력의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전력의 요금이 미리 설정된 금액 미만인 경우 배터리(110)가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제2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배터리(110) 및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서버(320)로부터 시간대별 전력의 요금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당 전력의 요금이 미리 설정된 금액 미만인 경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같은 전력계통(310)에서 공급되는 제2 전력을 교류 전력에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 제2 전력을 저장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시간대에는 전력의 요금이 미리 설정된 금액보다 높으므로 제2 전력을 공급받지 않지만, (b)시간대에는 전력의 요금이 미리 설정된 금액보다 낮으므로 전력계통(310)으로부터 제2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금액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또는 전력 주파수 조절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전력계통에 따른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를 통해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갱신되는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작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전력을 저장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에 있어서,
    전력계통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제1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및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계통의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전력의 사용량, 전력의 생산량, 전력의 요금, 전력의 크기, 전력의 주파수 및 전력 주파수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주파수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하고, 상기 전력 주파수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의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주파수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 전력을 상기 전력계통에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 크기 및 기준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크기에 대한 상기 전력의 크기의 오차 비율인 제1 오차 비율 및 상기 기준 주파수에 대한 상기 전력의 주파수의 오차 비율인 제2 오차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오차 비율이 상기 제2 오차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오차 비율이 상기 제2 오차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의 요금이 미리 설정된 금액 미만인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력변환부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KR1020160037676A 2016-03-29 2016-03-29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KR10254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76A KR102546644B1 (ko) 2016-03-29 2016-03-29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CN201610999584.7A CN107240960B (zh) 2016-03-29 2016-11-14 混合式功率储存设备
JP2016221898A JP6393729B2 (ja) 2016-03-29 2016-11-14 ハイブリッド電力貯蔵装置
US15/360,160 US10340701B2 (en) 2016-03-29 2016-11-23 Hybrid power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76A KR102546644B1 (ko) 2016-03-29 2016-03-29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09A true KR20170111709A (ko) 2017-10-12
KR102546644B1 KR102546644B1 (ko) 2023-06-21

Family

ID=5996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676A KR102546644B1 (ko) 2016-03-29 2016-03-29 하이브리드 전력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0701B2 (ko)
JP (1) JP6393729B2 (ko)
KR (1) KR102546644B1 (ko)
CN (1) CN1072409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59A (ko) * 2018-05-15 2019-11-25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ms일체형 pcs가 구비되는 ess 및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5794A1 (de) * 2018-06-29 2020-01-02 Wobben Properties Gmbh BOD Converter
KR102575039B1 (ko) * 2021-10-15 2023-09-06 주식회사 시너지 Fast dr을 위한 통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162A (ja) * 2000-07-14 2002-01-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電源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2011188559A (ja) * 2010-03-04 2011-09-2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蓄電システム並びに蓄電システムの運用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77680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전기요금 관리 방법
KR20150002916A (ko) * 2013-06-26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6780A (ja) * 1986-01-17 1987-07-23 Sharp Corp 交流入力フリ−電源
US20070100506A1 (en) * 2005-10-31 2007-05-03 Ralph Teichman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flow of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CN102280898B (zh) * 2006-06-30 2014-11-12 Abb技术有限公司 控制高压直流系统中的电压源变换器的方法和变换器站
CN101179255B (zh) * 2006-11-08 2010-05-26 Ls产电株式会社 用于交流电动机的h桥逆变器
KR100825323B1 (ko) * 2007-03-05 2008-04-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단위 셀 역률 동일 제어 장치를 가지는 캐스케이드 방식을이용한 멀티레벨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CA2896747A1 (en) * 2012-12-28 2014-07-03 Huaxin GONG Mana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KR101477648B1 (ko) 2013-06-28 2014-12-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계통 주파수 변화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를 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030B1 (ko) 2013-09-30 2019-11-08 한국전력공사 장주기 및 단주기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력저장시스템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57388B2 (ja) 2014-03-11 2018-01-10 大阪瓦斯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5177628A (ja) * 2014-03-14 2015-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蓄電池制御システム
KR20150115063A (ko) 2014-04-02 2015-10-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준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에너지 운영 장치 및 그 방법
JP2015213409A (ja) 2014-05-07 2015-11-26 関西電力株式会社 負荷平準化装置
JP6479367B2 (ja) 2014-08-11 2019-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電力システム、及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162A (ja) * 2000-07-14 2002-01-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電源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2011188559A (ja) * 2010-03-04 2011-09-2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蓄電システム並びに蓄電システムの運用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77680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전기요금 관리 방법
KR20150002916A (ko) * 2013-06-26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전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59A (ko) * 2018-05-15 2019-11-25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Pms일체형 pcs가 구비되는 ess 및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0701B2 (en) 2019-07-02
KR102546644B1 (ko) 2023-06-21
US20170288405A1 (en) 2017-10-05
CN107240960A (zh) 2017-10-10
CN107240960B (zh) 2020-08-07
JP6393729B2 (ja) 2018-09-19
JP2017184595A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4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flow in a hybrid power system
EP2325716B1 (en) Reactive power regulation and voltage support for renewable energy plants
US92525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ctive power compensation in power networks
WO2011111475A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給電システム
RU2014101451A (ru) Гибрид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уется комбинирование генерирующих средств и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KR20160109273A (ko) 배터리 전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CN105493372A (zh) 太阳能发电系统
JP6701201B2 (ja) グリッドに結合された実時間適応分散間欠電力
US91123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r injection at a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ource
US11368025B2 (en) Hybrid power plan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power plant
JP2015192566A (ja) 電力システム及び直流送電方法
KR102167279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출력 안정화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11555366B (zh) 一种基于多时间尺度的微网三层能量优化管理方法
JP6393729B2 (ja) ハイブリッド電力貯蔵装置
JP2023138478A (ja) 高い動的負荷を有する電力システムのバッテリ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JP2013038966A (ja) 電源装置
WO2017082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grid voltage regulation by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KR20180066438A (ko) 배터리 충전상태에 기반한 전력수용가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5192549A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JP2018014775A (ja) 統括制御装置、統括制御システム、統括制御方法および統括制御プログラム
JP7117546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
JP7108876B2 (ja) 群管理システム、電力制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
Ghosh et al. Energy management techniques to enhance DC-bus voltage transient stability and power balancing issues for islanded DC microgrids
KR102648156B1 (ko) 동시 다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산전원 장치 및 시스템
KR102333046B1 (ko)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충방전량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