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852A -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852A
KR20170110852A KR1020160035150A KR20160035150A KR20170110852A KR 20170110852 A KR20170110852 A KR 20170110852A KR 1020160035150 A KR1020160035150 A KR 1020160035150A KR 20160035150 A KR20160035150 A KR 20160035150A KR 20170110852 A KR20170110852 A KR 2017011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creen
work
sub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967B1 (ko
Inventor
윤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디스플레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별 세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선택 화면으로부터,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조합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메모리에 저장된 유닛별 세부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IGHT INFORMATION OF POWER DEVICE THEREBY}
본 발명은 작업용 동력 기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여러 유닛이 결합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중량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업용 동력 기기는 농업, 임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작업용 동력 기기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작업용 동력 기기는 일반적으로 동력 기관과 바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본체 및, 본체의 전방이나 후방에 연결되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를 포함한다.
도 1은 작업용 동력 기기로서 트랙터(10)를 도시하고 있는데, 트랙터(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바퀴(14, 15) 등으로 구성된 본체(11), 전방 작업기(12) 및 후방 작업기(13)를 포함한다. 또한, 트랙터(10)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트랙터(10)에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추가 중량(또는, 전방 추가 매스)과 후방 추가 중량(또는, 후방 추가 매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에 전방 작업기(12), 후방 작업기(13),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을 결합할 때, 본체(11)의 전륜(14)에 가해지는 중량(이하, '전방 중량')과 후륜(15)에 가해지는 중량(이하, '후방 중량')을 고려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차이가 크다면, 작업용 동력 기기가 작업을 하는 동안 전복이 발생할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작업장은 대지가 울퉁불퉁하거나 장애물이 많이 존재하는데, 중량이 적절히 분배되지 않은 동력 기기가 장애물에 의해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게 된다면, 중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전복될 수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사용자가 경험에 의해 중량의 균형을 맞추는 실정이므로, 그 안전이 보장되고 않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배분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은 작업용 동력 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은 작업용 동력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별 세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선택 화면으로부터,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조합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유닛별 세부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각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은,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서브 화면, 제 2 서브 화면, 제 3 서브 화면 및 제 4 서브 화면 각각을 통해 본체의 기종, 전방 작업기의 종류, 후방 작업기의 종류 및 전방 추가 중량과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본체의 정보가 기종 별로 표시된 제 1 서브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서브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본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방 작업기의 정보가 종류 별로 표시된 제 2 서브 화면 또는 후방 작업기의 정보가 종류 별로 표시된 제 3 서브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서브 화면 및 제 3 서브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 및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입력을 위한 제 4 서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기종 및 전방 작업기의 종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본체와 전방 작업기가 결합되었을 때의 전방 중량 및 후방 중량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방 작업기 중 상기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의 정보와, 상기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후방 작업기의 정보를 구별하여 상기 제 3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기종 및 전방 작업기의 종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본체와 전방 작업기가 결합되었을 때의 전방 중량 및 후방 중량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의 정보만을 상기 제 3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서브 화면, 제 2 서브 화면, 제 3 서브 화면 및 제 4 서브 화면의 전환을 위한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서브 화면을 상기 선택 화면의 제 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서브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본체를 선택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2 서브 화면, 제 3 서브 화면 및 제 4 서브 화면에 대응하는 선택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더라도, 상기 제 1 서브 화면을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유닛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추천 전방 작업기의 정보, 추천 후방 작업기의 정보, 전방 추가 중량의 추천 개수 및 후방 추가 중량의 추천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과 기 설정된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알람(alarm)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별 세부 정보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작업용 동력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과, 기 설정된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은,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들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들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 별 세부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일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i) 사용자가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배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ii)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iii) 전복 등으로 인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랙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3 서브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최근 기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체,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의 세부 정보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동력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중량의 배분이 적절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알람 메시지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20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컴퓨터,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 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소정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작업용 동력 기기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중량 측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말 장치는 도 2와 같이, 메인 화면(20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화면(200)에는 중량 측정을 위한 제 1 아이콘(210), 최근 기록의 조회를 위한 제 2 아이콘(230) 및 세부 정보의 설정을 위한 제 3 아이콘(25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아이콘(210), 제 2 아이콘(230) 및 제 3 아이콘(250)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 1 아이콘(210), 제 2 아이콘(230) 및 제 3 아이콘(250)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아이콘이 메인 화면(2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도 2의 제 1 아이콘(21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중량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g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아이콘(210)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조합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300)이 표시된다. 작업용 동력 기기는 여러 유닛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은 작업용 동력 기기의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 화면(300)을 통해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의 다양한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에 따라 형성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21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단말 장치는 선택 화면(300)의 제 1 영역(310)에는 제 1 선택 아이콘 내지 제 4 선택 아이콘(310a, 310b, 310c, 310d)을 표시하고, 제 2 영역(330)에는 제 1 선택 아이콘(310a)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화면(34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 화면(300)의 상단에는 최근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제 2 아이콘(230) 및 세부 정보의 설정을 위한 제 3 아이콘(250)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선택 아이콘(310a)은 작업용 동력 기기의 본체의 기종을 선택받기 위한 아이콘이며, 제 2 선택 아이콘(310b)은 전방 작업기의 종류를 선택받기 위한 아이콘이다. 또한, 제 3 선택 아이콘(310c)은 후방 작업기의 종류를 선택받기 위한 아이콘이며, 제 4 선택 아이콘(310d)은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선택받기 위한 아이콘이다.
제 1 서브 화면(340)은 본체의 기종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화면으로서, 제 1 서브 화면(3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의 정보가 기종 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a를 보면, P-series에 대응하는 본체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좌 방향 플립 아이콘(343a) 및 우 방향 플립 아이콘(343b)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기종의 본체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제 1 서브 화면(340)을 선택(또는, 터치)하고 좌 또는 우로 스크롤링하는 플리킹(flicking) 입력을 함으로써, 다른 기종의 본체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기종의 본체가 제 1 서브 화면(34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345)을 선택하면, 제 1 서브 화면(340)에 표시된 기종의 본체의 선택이 완료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아이콘(210)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 장치가 최초로 선택 화면(300)의 제 2 영역(330)에 제 1 서브 화면(340)을 표시하는 이유는, 다른 유닛에 비해 본체가 먼저 선택되어야만 그에 대응하는 전방 작업기와 후방 작업기의 선택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 화면(300)에 제 1 서브 화면(3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선택 아이콘(310b), 제 3 선택 아이콘(310c) 또는 제 4 선택 아이콘(310d)을 선택하더라도, 단말 장치는 제 2 선택 아이콘(310b), 제 3 선택 아이콘(310c) 또는 제 4 선택 아이콘(310d)에 대응하는 서브 화면을 제 2 영역(330)에 표시하지 않고, 제 1 서브 화면(340)을 계속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 의해 본체의 기종이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제 1 서브 화면(340)에는 하나의 본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플립 아이콘(343a, 343b)을 선택하여 다른 기종의 본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여러 기종에 대응하는 본체의 정보, 예를 들어, 각 기종의 명칭이 리스트 형태로 제 1 서브 화면(34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본체의 선택이 완료되면, 단말 장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330)에 전방 작업기의 선택을 위한 제 2 서브 화면(350)을 표시한다. 구현예에 따라서, 본체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 2 영역(330)에 후방 작업기의 선택을 위한 제 3 서브 화면을 먼저 표시할 수도 있다.
제 2 서브 화면(350)은 전방 작업기의 종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화면으로서, 제 2 서브 화면(3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작업기의 정보가 종류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도 3b를 보면, Disc Harrow에 대응하는 전방 작업기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좌 방향 플립 아이콘(353a) 및 우 방향 아이콘(353b)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전방 작업기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종류의 전방 작업기가 제 2 서브 화면(35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355)을 선택하면, 제 2 서브 화면(350)에 표시된 종류의 전방 작업기의 선택이 완료된다. 전방 작업기가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는 제 3 선택 아이콘(310c)을 선택하여, 전방 작업기의 선택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는 전방 작업기의 이미지를 제 2 서브 화면(350)에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본체에 호환되지 않는 전방 작업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본체에 호환되지 않는 전방 작업기의 이미지가 제 2 서브 화면(350)에 표시되었을 때는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355)을 선택하더라도 해당 전방 작업기가 선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제 2 서브 화면(350)에는 하나의 전방 작업기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플립 아이콘(353a, 353b)의 선택하여 다른 종류의 전방 작업기의 확인을 할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여러 종류에 대응하는 전방 작업기의 정보, 예를 들어, 각 전방 작업기의 명칭이 리스트 형태로 제 2 서브 화면(35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전방 작업기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제 3 선택 아이콘(310c)을 선택한 경우, 단말 장치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화면(300)의 제 2 영역(330)에 후방 작업기의 선택을 위한 제 3 서브 화면(360)을 표시한다.
제 3 서브 화면(360)은 후방 작업기의 종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화면으로서, 제 3 서브 화면(360)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작업기의 정보가 종류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도 3c를 보면, Rotary에 대응하는 후방 작업기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좌 방향 플립 아이콘(363a) 및 우 방향 플립 아이콘(363b)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후방 작업기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종류의 후방 작업기가 제 3 서브 화면(36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365)을 선택하면, 제 3 서브 화면(360)에 표시된 후방 작업기의 선택이 완료된다. 후방 작업기가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는 제 4 선택 아이콘(310d)를 선택하여, 후방 작업기의 선택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는 후방 작업기의 이미지를 제 3 서브 화면(360)에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본체에 호환되지 않는 후방 작업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본체에 호환되지 않는 후방 작업기의 이미지가 제 3 서브 화면(360)에 표시되었을 때는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365)을 선택하더라도 해당 후방 작업기가 선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제 3 서브 화면(360)에는 하나의 후방 작업기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플립 아이콘(363a, 363b)을 선택하여 다른 종류의 후방 작업기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여러 종류에 대응하는 후방 작업기의 정보, 예를 들어, 각 후방 작업기의 명칭이 리스트 형태로 제 3 서브 화면(36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후방 작업기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제 4 선택 아이콘(310d)을 선택한 경우, 단말 장치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화면(300)의 제 2 영역(330)에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 및/또는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선택을 위한 제 4 서브 화면(370)을 표시한다.
제 4 서브 화면(370)은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개수 입력란(371),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개수 입력란(373) 및 확인 아이콘(37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는 제 4 서브 화면(370)이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입력을 위한 제 1 개수 입력란(371)과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입력을 위한 제 2 개수 입력란(373)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제 1 개수 입력란(371)과 제 2 개수 입력란(373) 중 어느 하나만 제 4 서브 화면(37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개수 입력란(371) 또는 제 2 개수 입력란(373)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중량의 개수의 선택을 위한 개수 선택 화면(380)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따라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 및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개수 입력란(371)이 선택되고, 개수 선택 화면(380)에서 8 Masses에 해당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단말 장치는 전방 추가 중량이 8개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제 1 개수 입력란(371)에 8을 표시한다.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와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가 모두 결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 아이콘(375)이 선택되면,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유닛들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계산하고, 이를 도 3f에 도시된 결과 화면(380)에 표시한다.
단말 장치는 각 유닛의 기종별, 종류별, 개수별 세부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의 기종에 따른 캐빈(cabin) 무게, 프레임(frame) 무게, 캐빈 길이, 프레임 길이, 전륜의 크기, 후륜의 크기 등의 세부 정보,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의 종류에 따른 무게, 길이, 부착 위치 등의 세부 정보,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에 따른 무게 등의 세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각각의 유닛이 전륜에 가하는 중량과 후륜에 가하는 중량을 고려하여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전방 작업기의 무게가 100kg이고, 전륜의 무게 중심과 전방 작업기의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를 d1, 후륜의 무게 중심과 전방 작업기의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를 d2라 하고, d1:d2를 3:7로 가정하였을 때, 단말 장치는 전방 작업기에 의해 전륜에 70kg의 중량이 가해지고, 후륜에는 30kg의 중량이 가해지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는 각 유닛이 전륜의 무게 중심과 후륜의 무게 중심에 가하는 중량을 합산하여,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만, 단말 장치가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위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자명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이 계산될 수 있다.
도 3f에 도시된 결과 화면(380)의 제 1 영역(382)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각 유닛의 정보가 포함되고, 제 2 영역(384)에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장치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됨 범위를 벗어나면,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알람(alarm)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는 내장된 진동 모터를 통해 단말 장치를 진동시킴으로써,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g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났을 때, 단말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알람 메시지(390)를 도시하고 있다.
기 설정된 범위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서,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범위는 4:6 내지 6:4가 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4:6 내지 6:4를 벗어나면, 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것이다.
구현예에 따라서, 단말 장치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됨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유닛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중량이 후방 중량에 비해 매우 무겁다면, 단말 장치는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하거나,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하거나, 더 무거운 후방 작업기 또는 더 가벼운 전방 작업기를 선택하게 하는 추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후방 중량이 전방 중량에 비해 매우 무겁다면, 단말 장치는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하거나,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하거나, 더 무거운 전방 작업기 또는 더 가벼운 전방 작업기를 선택하게 하는 추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3 서브 화면(46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수 선택 화면(49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본체와 전방 작업기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단말 장치는 본체와 전방 작업기가 결합되었을 때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미리 계산하고,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사이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후방 작업기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후방 작업기의 정보를 제 3 서브 화면(460)에 표시할 때,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사이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후방 작업기, 즉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후방 작업기(464a, 464b, 464c, 464d)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선택이 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의 제 3 서브 화면(460)에는 후방 작업기의 명칭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표시되는데, 단말 장치는 리스트에 포함된 후방 작업기의 항목 중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후방 작업기(464a, 464b, 464c, 464d)와,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462a, 462b)를 구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4(a)를 보면,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후방 작업기(464a, 464b, 464c, 464d)에 대해서는 음영 처리를 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단말 장치는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후방 작업기(464a, 464b, 464c, 464d)의 정보는 제 3 서브 영역(460)에 표시하지 않고,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462a, 462b)의 정보만을 제 3 서브 영역(46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본체,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의 선택이 완료된 경우, 단말 장치는 본체,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가 결합되었을 때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미리 계산하고,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사이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추가 중량의 개수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전방 추가 중량 또는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선택을 위한 개수 선택 화면(490)을 표시할 때,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사이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추가 중량의 개수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선택이 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개수 선택 화면(490)에 포함된 추가 중량의 개수들 중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추가 중량의 개수(494a, 494b, 494c)와, 본체에 결합 가능한 추가 중량의 개수(492a, 492b, 492c)를 구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체에 결합 가능한 추가 중량의 개수(492a, 492b, 492c)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4(b)를 보면,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개수(494a, 494b, 494c)에 대해서는 음영 처리를 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단말 장치는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개수(494a, 494b, 494c)는 개수 선택 화면(490)에 표시하지 않고, 본체에 결합 가능한 개수(492a, 492b, 492c)만을 개수 선택 화면(49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최근 기록 화면(500a)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g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 2 아이콘(230)이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각 유닛의 조합에 따라 계산된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히스토리를 최근 기록 화면(500a)에 표시하되,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500b)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날짜순으로 각 항목을 정렬하되, 항목들의 개수가 소정 개수를 초과하면, 가장 오래된 항목부터 차례대로 삭제하여 최근 기록 화면(500a)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사이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항목만을 최근 기록 화면(500a)에 포함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유닛을 선택하게끔 유도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체,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의 세부 정보의 편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g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 3 아이콘(250)이 선택되었을 때의 설정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설정 화면(600)에는, 해당 세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본체의 정보(630a), 전방 작업기의 정보(630b) 및 후방 작업기의 정보(630c)가 표시된다 또한, 설정 화면(600)에는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의 세부 정보의 신규 생성을 위한 추가 아이콘(610a, 610b, 610c)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 전방 작업기 또는 후방 작업기의 추가 아이콘(610a, 610b, 610c)을 선택하여, 신규 유닛의 세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b는 사용자가 본체의 정보(630a)를 선택하였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편집 화면(6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본체의 세부 정보들을 수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도 6b의 편집 화면(640)에는 본체의 기종명(610), 기종 이미지(642), 해당 기종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들(644)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기종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하기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본체의 기종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등록을 위한 메뉴 화면(643)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앞 타이어의 크기 항목 또는 뒤 타이어의 크기 항목을 선택한 경우, 여러 크기 항목들을 나타내는 리스트 화면(645)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삭제하기 아이콘(646)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본체의 세부 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으며, 저장하기 아이콘(647)을 선택하여, 본체의 세부 정보들을 단말 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c는 도 6a에서 후방 작업기의 정보(630c)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편집 화면(6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후방 작업기의 세부 정보들을 수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방 작업기의 정보(630a)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에도 도 6c에 도시된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편집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c의 편집 화면(650)에는 후방 작업기의 명칭(651), 작업기 이미지(652), 해당 작업기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들(654)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작업기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하기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이미지의 등록을 위한 메뉴 화면(65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삭제하기 아이콘(656)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후방 작업기의 세부 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으며, 저장하기 아이콘(657)을 선택하여, 후방 작업기의 세부 정보들을 단말 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 2 아이콘(230)을 선택하여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각 유닛의 세부 정보를 수정하거나, 신규 유닛의 세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지만, 구현예에 따라서는,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유닛의 세부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각 유닛의 세부 정보를 수정하거나,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던 유닛의 세부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동력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작업용 동력 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상태, 예를 들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속도, 연료량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업용 동력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영역(701)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관련 정보를 제 2 영역(702)에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영역(70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존재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부에 물리적 버튼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중량 측정을 위한 제 1 아이콘(7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 1 아이콘(703)을 선택하면, 제 2 영역(702)에 선택 화면(71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 화면(710)을 통해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의 다양한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에 따라 형성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 화면(710)은 제 1 선택 아이콘(710a) 내지 제 4 선택 아이콘(710d)을 포함하는데, 사용자에 의해 제 1 선택 아이콘 내지 제 4 선택 아이콘(710a, 710b, 710c, 710d)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서브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제 1 선택 아이콘(710a)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선택 화면은 본체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며, 제 2 선택 아이콘(710b)에 대응하는 제 2 서브 선택 화면은 전방 작업기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며, 제 3 선택 아이콘(710c)에 대응하는 제 3 서브 선택 화면은 후방 작업기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고, 제 4 선택 아이콘(710d)에 대응하는 제 4 서브 선택 화면은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로부터 본체의 기종,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의 종류, 전방 추가 중량과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선택받아 전방 중량 및 후방 중량을 계산하여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중량의 배분이 적절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표시되는 알람 메시지(8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됨 범위를 벗어나면,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내장된 진동 모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진동시킴으로써,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경우, 작업용 동력 기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됨 범위를 벗어났을 때, 알람을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예를 들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이동, 전방 작업기와 후방 작업기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을 모두 결합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통해 중량 배분을 확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중량 배분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알람 메시지(80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메시지(800)는 '트랙터의 기능을 중단합니다'라는 문구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트랙터의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900)은 통신부(910), A/V(Audio/Video) 입력부(920), 사용자 입력부(930), 출력부(940), 메모리(950), 인터페이스부(960), 제어부(970) 및 전원 공급부(9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모바일 단말(900)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모바일 단말(9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모바일 단말(900)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9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9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950)에 저장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별 세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10)는 방송 수신 모듈(911), 이동통신 모듈(912), 무선 인터넷 모듈(913), 근거리 통신 모듈(914) 및 위치정보 모듈(9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9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모바일 단말(900)로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9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9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9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9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9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915)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9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부(921)와 마이크(9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9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94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부(9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9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9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9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9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9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9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960)는 모바일 단말(9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예를 들어, USIM)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9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단말(900)의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단말(9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9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941), 스피커부(9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1)는 모바일 단말(9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량 측정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200), 사용자로부터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300), 최근 기록 화면(500a) 및 설정 화면(600)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4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9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부(94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9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9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부(94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들의 조합에 따라 계산되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배분이 적절하지 않을 때, 알람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950)는 제어부(9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중량 측정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중량의 계산을 위한 각 유닛별 세부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7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970)는 사용자에 의해 중량 측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들이 결합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94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계산된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에 기초하여, 중량의 배분이 적절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980)는 제어부(9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각 단계는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010 단계에서, 단말 장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한다.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은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S1020 단계에서,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들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서브 선택 화면, 제 2 서브 선택 화면, 제 3 서브 선택 화면 및 제 4 서브 선택 화면을 통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들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S1030 단계에서, 단말 장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 별 세부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들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계산한다.
단말 장치는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계산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계산된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사이의 비율이 기 설정됨 범위 밖에 존재하면, 단말 장치는 중량의 배분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트랙터 11: 본체
12: 전방 작업기 13: 후방 작업기
14: 전륜 15: 후륜
700: 디스플레이 장치 900: 모바일 단말
910: 통신부 920: A/V 입력부
930: 사용자 입력부 940: 출력부
950: 메모리 960: 인터페이스부
970: 제어부 980: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별 세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선택 화면으로부터,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조합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유닛별 세부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 각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은,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본체, 전방 작업기, 후방 작업기, 전방 추가 중량 및 후방 추가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서브 화면, 제 2 서브 화면, 제 3 서브 화면 및 제 4 서브 화면 각각을 통해 본체의 기종, 전방 작업기의 종류, 후방 작업기의 종류 및 전방 추가 중량과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체의 정보가 기종 별로 표시된 제 1 서브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서브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본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방 작업기의 정보가 종류 별로 표시된 제 2 서브 화면 또는 후방 작업기의 정보가 종류 별로 표시된 제 3 서브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서브 화면 및 제 3 서브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방 작업기 및 후방 작업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전방 추가 중량의 개수 및 후방 추가 중량의 개수의 입력을 위한 제 4 서브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기종 및 전방 작업기의 종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본체와 전방 작업기가 결합되었을 때의 전방 중량 및 후방 중량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방 작업기 중 상기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의 정보와, 상기 본체에 결합 불가능한 후방 작업기의 정보를 구별하여 상기 제 3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기종 및 전방 작업기의 종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본체와 전방 작업기가 결합되었을 때의 전방 중량 및 후방 중량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 가능한 후방 작업기의 정보만을 상기 제 3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서브 화면, 제 2 서브 화면, 제 3 서브 화면 및 제 4 서브 화면의 전환을 위한 선택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서브 화면을 상기 선택 화면의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서브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본체를 선택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 2 서브 화면, 제 3 서브 화면 및 제 4 서브 화면에 대응하는 선택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더라도, 상기 제 1 서브 화면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유닛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추천 전방 작업기의 정보, 추천 후방 작업기의 정보, 전방 추가 중량의 추천 개수 및 후방 추가 중량의 추천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과 기 설정된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알람(alarm)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별 세부 정보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작업용 동력 기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의 비율과, 기 설정된 범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작업용 동력 기기의 각 유닛을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들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닛들의 조합에 따라 결합되는 작업용 동력 기기의 전방 중량과 후방 중량을 상기 작업용 동력 기기의 유닛 별 세부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 의한 중량 정보 제공 방법.
KR1020160035150A 2016-03-24 2016-03-24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KR10256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50A KR102568967B1 (ko) 2016-03-24 2016-03-24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50A KR102568967B1 (ko) 2016-03-24 2016-03-24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52A true KR20170110852A (ko) 2017-10-12
KR102568967B1 KR102568967B1 (ko) 2023-08-22

Family

ID=6014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50A KR102568967B1 (ko) 2016-03-24 2016-03-24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767A (ja) * 1998-06-04 1999-12-14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重量バランス表示装置
JP2002242233A (ja) * 2000-12-18 2002-08-28 Caterpillar Inc 関節型作業機械のための機械安定化装置及び方法
KR101504573B1 (ko) * 2014-09-04 2015-03-23 주식회사 유디코 차량의 축 중량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767A (ja) * 1998-06-04 1999-12-14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重量バランス表示装置
JP2002242233A (ja) * 2000-12-18 2002-08-28 Caterpillar Inc 関節型作業機械のための機械安定化装置及び方法
KR101504573B1 (ko) * 2014-09-04 2015-03-23 주식회사 유디코 차량의 축 중량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967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445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01373139B (zh) 具有用于管理位置信息的功能的终端和程序记录介质
JP5774810B2 (ja) 車両および保有車両操縦者プロファイルの自動化および展開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5247388B2 (ja) 車載システムおよび車載システムの操作制御方法
CN103493464B (zh) 信息终端、车载信息系统、车载装置
JP6074150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プログラム
KR20180014642A (ko) 자체균형차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3329085A (zh) 信息显示装置及其方法
EP2980746A1 (en) Robot service coordination system, platform, and method
KR20100077981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네비게이팅 방법
CN104822091A (zh) 视频播放进度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7291099A (zh) 无人机返航方法及装置
CN103487060B (zh) 用于设定目的地及提供信息的终端装置和方法
JP6370193B2 (ja) 電子装置、システムおよび動作モード選択プログラム
CN104346047A (zh) 图标排列处理方法、装置以及终端
CN104751517A (zh) 图形处理方法及装置
US10754501B2 (en) Map presentation system and navigation system
CN107255827A (zh) 一种无人机的景点导航方法及装置
KR20080078300A (ko)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E202017103388U1 (de) Erzeugung und Steuerung von Kanälen, die Zugriff auf Inhalte von unterschiedlichen Audioanbieterdiensten bereitstellen
CN104914998A (zh) 移动终端及其多手势的桌面操作方法和装置
US828040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ocation-triggered tasks
US20130219309A1 (en)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4731506A (zh) 数据发送操作撤销方法和装置
KR20170110852A (ko)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작업용 동력 기기의 중량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