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383A -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383A
KR20170109383A KR1020160033433A KR20160033433A KR20170109383A KR 20170109383 A KR20170109383 A KR 20170109383A KR 1020160033433 A KR1020160033433 A KR 1020160033433A KR 20160033433 A KR20160033433 A KR 20160033433A KR 20170109383 A KR20170109383 A KR 2017010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ly water
drying
receiv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032B1 (ko
Inventor
김진중
Original Assignee
김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중 filed Critical 김진중
Priority to KR102016003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0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는, 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외부의 환경정보, 물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온도의 열풍 또는 복사열을 발생하는 발열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급수를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발열부로 배출하는 공급수 관리부와, 상기 수용부 내외부의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환경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상기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상기 공급수 관리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식물의 환경에 따라 온도, 습도를 관리하면서,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발열 건조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SMART DRYER WITH FLOWERPOT}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식재되면서 건조기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꽃은 선물용 또는 실내장식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꽃의 수명은 관리자의 관리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통상 꽃은 물이 담겨진 화병에 꽃아서 실내분위기에 맞도록 장식되어지며, 물의 교환 및 공급시기에 따라 꽃의 수명이 결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꽃의 장식은 물이 담겨진 꽃병에 꽃을 꽂아 장식하게 되므로, 부주의로 꽃병이 넘어질 경우 담겨진 물이 한 번에 쏟아지는 불편함을 가지고 또한 꽃가지가 직접 물에 담겨짐으로써 물의 부패가 빠르게 진행되어 물의 교환주기를 단축시킨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1491호(2011년 06년 17일 공고)는 조명 및 방범 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엘이디에 의해 조명을 수행하고, 방범을 위한 경광 및 경고음을 출력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및 방범 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화분을 이용한 방법 기능만 함으로써 식물의 환경을 고려하여 관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식물의 환경에 따라 관리할 수 있으며,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발열 건조를 할 수 있으며, 실내 환경에 따라 가습 또는 발열을 하여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 침입자를 감지하여 퇴치액을 분사할 수 있는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는, 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외부의 환경정보, 물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온도의 열풍 또는 복사열을 발생하는 발열부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급수를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발열부로 배출하는 공급수 관리부와, 상기 수용부 내외부의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환경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상기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상기 공급수 관리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 인입된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공급수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인출된 경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발열체를 통과시켜 열풍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수 관리부는 상기 수용부 내측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미만이면 상기 공급수를 상기 식물로 공급하고, 상기 수용부 외측의 습도가 기설정된 습도 미만이면 상기 공급수를 기체 상태로 공기중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수용하고, 하부측에 형성된 건조대의 무게가 감지되면 상기 건조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유출수와 함께 상기 공급수 관리부로 공급하는 제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물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와, 퇴치액을 분사하는 퇴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퇴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퇴치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물의 환경에 따라 온도, 습도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발열 건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환경에 따라 가습 또는 발열을 하여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침입자를 감지하여 퇴치액을 분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건조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100)는 수용부(110), 감지부(120), 발열부(130), 공급수 관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수용부(110)는 내측에 식물 및 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부(110)는 식물을 수용하는 화분 및 건조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한다. 수용부(110)의 일측에는 수용부(110)의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20)가 형성된다. 이는 수용부(110)에 수용된 식물이 생육되는 흙의 온도 또는 수분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수용부(110)에 수용된 식물은 후술하는 공급수 관리부(140)를 통해 수분이 공급된다. 수용부(110)는 일측이 벽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수용부(110)의 일측에는 엘이디(11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근접시에는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수용부(110)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수용부(110) 내측의 식물의 생육환경을 감지하기 위해 흙의 온도, 습도를 감지하고 이를 후술하는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러한 생육환경에 필요한 정보는 수용부(11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지, 수용부(1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해야하는지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감지부(120)는 후술하는 발열부(13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물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한다. 이 경우, 조도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물체는 사람의 손, 발, 머리 등 신체부위가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열부(130)는 수용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온도의 열풍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발열부(130)는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발열체를 통과시켜 기 설정된 풍속으로 열풍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부(130)는 팬과 발열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발열부(130)는 기 설정된 풍속으로 열풍을 출력할 수 있다. 발열부(130)의 동작시간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하거나, 물체가 접근하는 동안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체가 이탈한 경우에도 감지부(120)를 통해 실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열부(130)는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열풍이 지나가도록 하거나, 전열선을 수용부(110)의 외주면에 형성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공급수가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지나가도록 하여 복사열를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열풍의 일부를 복사열로 활용하거나, 온수의 열에너지를 복사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수용부(110)에 복사열을 발생시켜 수용부(110)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수용부(110) 외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급수 관리부(1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고, 공급수를 수용부(110)로 배출한다. 이 경우, 공급수는 외부의 수도와 연결되어 냉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급수 관리부(140)는 수용부(110) 내 흙 속의 수분이 감소하면 저장된 공급수를 수용부(110)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수 관리부(140)는 공급수가 온수인 경우에는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복사열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급수 관리부(140)는 수용부(110) 외측인 실내에 습도가 감소하면 발열부(130)를 통해 공급수를 가열시켜 기체 상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가습으로 실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된 공급수를 초음파 진동을 통해 기화시켜 수증기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용부(110) 내외부의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환경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공급수 관리부(140) 및 발열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수용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130)를 동작시켜 열풍이나 가열된 공급수를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시켜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수용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냉각된 공급수를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시켜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수용부(110) 외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130)를 구동시켜 열풍 또는 복사열을 통해 실내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건조장치(100)에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 발열부(130)를 구동시켜 물체에 열풍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100)는 수용부(110)의 하부 일측에는 살균램프(160)가 형성될 수 있다. 살균램프(160)는 사람의 손을 건조시키는 경우 자외선을 이용하여 소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100)는 사람의 손을 발열부(130)를 통해 건조시키는 경우 손에 묻은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부(170)는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300)는 수용부(310), 감지부(320), 발열부(330), 공급수 관리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수용부(310), 감지부(320) 및 공급수 관리부(340)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화분 겸용 건조장치(100)의 수용부(110), 감지부(120) 및 공급수 관리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열부(330)는 수용부(310)의 하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열부(330)는 수용부(310)의 하부로 인입된 경우 수용부(310)로부터 유출되는 공급수를 물받이부(335)에 수용한다. 다시 말해, 수용부(310)에 수용된 식물에 공급수가 공급된 후, 투수성에 의해 유출되는 공급수를 물받이부(335)에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유출된 공급수는 공급수 관리부(340)를 통해 수용부(3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330)는 수용부(310)의 하부로부터 인출된 경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발열체를 통과시켜 열풍으로 배출한다. 이 경우, 발열부(330)는 물체의 근접여부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외부로 노출되거나, 작동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키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 (a)는 발열부(330)가 수용부(310)의 하부로 인입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발열부(330)가 수용부(310)의 하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부(350)는 감지부(320)로부터 물체가 근접함을 감지하면 발열부(330)를 수용부(310)의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여 열풍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발열부(330)를 수용부(310)의 하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건조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건조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500)는 수용부(510), 감지부(520), 발열부(530), 공급수 관리부(540), 제어부(550) 및 제습부(56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수용부(510), 감지부(520), 발열부(530) 및 공급수 관리부(540)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화분 겸용 건조장치(100)의 수용부(110), 감지부(120), 발열부(130) 및 공급수 관리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습부(560)는 물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물받이부(565)에 수용한다. 제습부(560)는 물체를 발열부(530)를 통해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를 저장하고, 이를 후술하는 공급수 관리부(540)로 공급한다. 이는 물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로 인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출수를 공급수에 공급하여 재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습부(560)는 하부측에 형성된 건조대(570)의 무게가 감지되면 건조대(57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한다. 제습부(560)의 하부에는 건조대(570)가 형성되고, 건조대(570)에는 수건이나 걸레 등이 걸쳐질 수 있다. 건조대(570)에 피건조물이 걸려지면 무게센서를 통해 제습부(560)가 구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습부(560)의 열교환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는 유출수와 함께 공급수 관리부(54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습부(560)는 하부의 건조대(570) 측으로 열풍을 기 설정된 풍속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습부(56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것 외에 자체적으로 열풍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발열부(530)와는 열풍의 풍속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습부(560)는 건조대(570)에 피건조물의 무게가 감지된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50)는 건조대(570)를 통해 피건조물의 무게가 감지되면 제습부(560)를 구동시킨다. 제습부(560)의 구동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실내의 습도 및 온도를 이용하여 제습부(560)를 공기 흡입모드로 동작시키거나 공기 배출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 흡입모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을 통해 습도를 낮추는 방식이고, 공기 배출모드는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배출하여 기온을 높이는 방식이다.
건조대(570)는 제습부(560)의 하부에 고정형으로 설치되거나, 접이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건조대(570)가 접철구조를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발열부(530)를 이용하면 건조대(570)를 접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열부(5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펼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대(570)를 구성하는 방법은 피건조물을 거취시키기 위한 어떠한 구조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형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700)는 수용부(710), 감지부(720), 발열부(730), 공급수 관리부(740), 제어부(750), 통신부(760), 영상 획득부(770) 및 퇴치부(78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700)는 각 구성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710)는 내측에 식물 및 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부(710)는 공중에 부양될 수 있도록 상부측이 천장이나 고정구에 거치될 수 있다. 수용부(710)는 식물을 수용하는 화분 및 건조장치(700)의 몸체를 구성한다. 수용부(710)에 수용된 흙에는 수용부(710)의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7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수용부(710)에 수용된 식물이 생육되는 흙의 온도 또는 수분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감지부(720)는 수용부(710)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720)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72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수용부(710)에 수용된 흙속에 기 설정된 깊이로 식립될 수 있다. 감지부(720)는 수용부(710) 내측의 식물의 생육환경을 감지하기 위해 흙의 온도, 습도를 감지하고 이를 후술하는 제어부(750)로 출력한다. 이러한 생육환경에 필요한 정보는 수용부(71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지, 수용부(7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해야하는지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감지부(720)는 후술하는 발열부(73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물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한다. 이 경우, 조도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물체는 사람의 손, 발, 머리 등 신체부위가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열부(730)는 수용부(71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온도의 열풍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발열부(730)는 물체가 접근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발열체를 통과시켜 기 설정된 풍속으로 열풍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부(730)는 팬과 발열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발열부(730)는 기 설정된 풍속으로 열풍을 출력할 수 있다. 발열부(730)의 동작시간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하거나, 물체가 접근하는 동안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체가 이탈한 경우에도 감지부(720)를 통해 실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수 관리부(740)는 공급수를 저장하고, 공급수를 수용부(710)로 배출한다. 이 경우, 공급수 관리부(740)는 막대형 감지부(720)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의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100)와 달리 공급수 관리부(740)는 수용부(710)와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공급수 관리부(740)는 수용부(710) 내 흙 속의 수분이 감소하면 저장된 공급수를 수용부(710)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수 관리부(740)는 감지부(720)를 통해 실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공급수를 하방으로 스프링쿨러 방식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급수 관리부(740)는 메르스와 같은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감지부(720)를 통해 사람의 열화상을 감지하여 메르스 의심환자로 판단되는 경우 공급수에 의약품을 혼합하여 분사함으로써 방역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급수 관리부(740)는 유색 페인트를 수용하여 실내에 침입자 침범시 유색 페인트를 분사할 수 있다. 이는 침입자에 대한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영상 획득부(770)에 의해 침입자를 감지하면 유색 페이트를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수용부(710) 내외부의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환경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공급수 관리부(740) 및 발열부(7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수용부(7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730)를 동작시켜 열풍이나 가열된 공급수를 수용부(71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시켜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수용부(7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냉각된 공급수를 수용부(71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시켜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수용부(710) 외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730)를 구동시켜 열풍 또는 복사열을 통해 실내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건조장치(700)에 물체가 근접하는 경우 발열부(730)를 구동시켜 물체에 열풍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760)는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한다. 외부의 단말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실내의 온도, 습도, 수용부(710) 내부의 온도, 습도 정보 및 물체의 근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실내에 침입자가 있는 경우 외부의 단말로 침입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60)는 감지부(720)를 통해 실내에 화재가 발생시 기 지정된 사용자의 단말로 화재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수 관리부(740)를 통해 화재지점에 공급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명령을 수신한다. 이 경우, 제어부(750)는 공급수 관리부(740)를 구동시켜 발화지점에 공급수를 분사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에서 실내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770)는 반구형의 회전형 카메라 모듈로, 외부의 침입자를 감지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770)는 획득한 영상을 통신부(760)를 통해 외부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퇴치부(780)는 캡사이신, 최루액 등을 포함하는 퇴치액을 침입자에게 분사한다. 퇴치부(780)는 외부의 단말로부터 침입자 퇴치신호가 수신되면 침입자에게 퇴치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50)는 영상 획득부(770)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퇴치신호를 수신하면 퇴치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실내에 침입자가 감지된 경우 원격으로 침입자를 퇴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건조장치 110 : 수용부
115 : 엘이디 120 : 감지부
130 : 발열부 140 : 공급수 관리부
150 : 제어부 160 : 살균램프
170 : 물받이부
300 : 건조장치 310 : 수용부
315 : 엘이디 320 : 감지부
330 : 발열부 335 : 물받이부
340 : 공급수 관리부 350 : 제어부
500 : 건조장치 510 : 수용부
515 : 엘이디 520 : 감지부
530 : 발열부 540 : 공급수 관리부
550 : 제어부 560 : 제습부
565 : 물받이부 570 : 건조대
700 : 건조장치 710 : 수용부
715 : 엘이디 720 : 감지부
730 : 발열부 740 : 공급수 관리부
750 : 제어부 760 : 통신부
770 : 영상 획득부 780 : 퇴치부

Claims (5)

  1. 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외부의 환경정보, 물체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온도의 열풍 또는 복사열을 발생하는 발열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급수를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발열부로 배출하는 공급수 관리부; 및
    상기 수용부 내외부의 환경정보가 기 설정된 환경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및 상기 물체의 접근여부에 따라 상기 공급수 관리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 인입된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공급수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인출된 경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발열체를 통과시켜 열풍으로 배출하는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 관리부는,
    상기 수용부 내측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미만이면 상기 공급수를 상기 식물로 공급하고, 상기 수용부 외측의 습도가 기설정된 습도 미만이면 상기 공급수를 기체 상태로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수용하고, 하부측에 형성된 건조대의 무게가 감지되면 상기 건조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을 통해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유출수와 함께 상기 공급수 관리부로 공급하는 제습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하는 통신부;
    상기 물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퇴치액을 분사하는 퇴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퇴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퇴치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KR1020160033433A 2016-03-21 2016-03-21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KR10187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433A KR101879032B1 (ko) 2016-03-21 2016-03-21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433A KR101879032B1 (ko) 2016-03-21 2016-03-21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383A true KR20170109383A (ko) 2017-09-29
KR101879032B1 KR101879032B1 (ko) 2018-07-16

Family

ID=6003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433A KR101879032B1 (ko) 2016-03-21 2016-03-21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702B1 (ko) * 2017-12-14 2019-05-20 현대로오텍(주) 외기와 실내 온도차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자동온도제어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811U (ko)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침입자 자동 퇴치 장치
JP2000331251A (ja) * 1999-05-20 2000-11-30 Fujitsu General Ltd 侵入者検出装置
KR200320363Y1 (ko) * 2003-02-17 2003-07-25 강은석 건조장치가 내장된 수건걸이
KR20040034789A (ko) * 2002-10-17 2004-04-29 손복수 식물 재배장치
KR100559084B1 (ko) * 2003-11-14 2006-03-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0742704B1 (ko) * 2006-02-01 2007-07-25 한상준 화분
KR20100028177A (ko) * 2008-09-04 2010-03-12 김진중 조명 및 방범 기능을 구비한 화분
KR20100028178A (ko) * 2008-09-04 2010-03-12 김진중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손건조장치
KR101273781B1 (ko) * 2012-10-15 2013-06-12 안요환 제습기능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0473150Y1 (ko) * 2012-09-27 2014-06-1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핸드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811U (ko)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침입자 자동 퇴치 장치
JP2000331251A (ja) * 1999-05-20 2000-11-30 Fujitsu General Ltd 侵入者検出装置
KR20040034789A (ko) * 2002-10-17 2004-04-29 손복수 식물 재배장치
KR200320363Y1 (ko) * 2003-02-17 2003-07-25 강은석 건조장치가 내장된 수건걸이
KR100559084B1 (ko) * 2003-11-14 2006-03-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0742704B1 (ko) * 2006-02-01 2007-07-25 한상준 화분
KR20100028177A (ko) * 2008-09-04 2010-03-12 김진중 조명 및 방범 기능을 구비한 화분
KR20100028178A (ko) * 2008-09-04 2010-03-12 김진중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손건조장치
KR200473150Y1 (ko) * 2012-09-27 2014-06-1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핸드 드라이어
KR101273781B1 (ko) * 2012-10-15 2013-06-12 안요환 제습기능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702B1 (ko) * 2017-12-14 2019-05-20 현대로오텍(주) 외기와 실내 온도차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자동온도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032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13997Y (zh) 智能自动多功能干衣柜
KR20210158772A (ko)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CN106930077B (zh) 智能烘衣柜
CN102317697A (zh) 具有灭火系统的空气调节器
KR101565953B1 (ko) 자외선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의류 소독장치
KR20150145995A (ko) 에어 스피드 건조대
KR101879032B1 (ko) 스마트 화분 겸용 건조장치
KR102045456B1 (ko) 복합 의류 관리기
WO2019059436A1 (ko) 엘이디 스마트 화분장치
CN208821318U (zh) 植物培育装置
KR20110065607A (ko) 전기온풍기
JP2018143642A (ja) ミスト処理装置
KR20190139092A (ko) 수납 가구의 핸디형 옷장 클리너
KR102377567B1 (ko) 옷걸이형 스마트 의류관리장치
KR101879927B1 (ko) 다기능 화분
KR101846618B1 (ko) 피톤치드 방출을 위한 화분 거치 시스템
JP2012528580A (ja) 植物用ボックス
CN209975188U (zh) 一种便携式杀菌烘干装置
CN203709578U (zh) 一种多功能衣柜
KR20210158743A (ko) 신발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12658A (ko) 다기능 빨래건조장치
CN216688753U (zh) 组合式物品烘干装置
KR102183531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 방역시스템의 사육장
CN109837721A (zh) 一种便携式杀菌烘干装置
CN221987168U (en) Temperature control storage bin based on melamine spong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