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720A -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720A
KR20170108720A KR1020160033048A KR20160033048A KR20170108720A KR 20170108720 A KR20170108720 A KR 20170108720A KR 1020160033048 A KR1020160033048 A KR 1020160033048A KR 20160033048 A KR20160033048 A KR 20160033048A KR 20170108720 A KR20170108720 A KR 2017010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bstacle
lane
vehicle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인주
최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6003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720A/en
Publication of KR2017010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7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45Corn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B60W2420/62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n obstacle of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apparatus comprises: an obstacle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bstacle during driving of a vehicle; a control portion for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based 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obstacle sensor, calculating a degree of collision risk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distance, and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lative speed, distance, and the degree of risk; and a communication portion for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ntrol portion to an interface apparatus connected in a wire and wireless method.

Description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인 차량의 측,후방 및 사각지대 영역을 감시하여 지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해 오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monitoring a side, a rear and a dead zone region of a vehicle under runn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최근 차량의 안전성 및 운전자의 편의성을 위한 운전자 지원 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운전자 지원 장치는 차량의 안정성을 위해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을 사전에 경고하거나 사고를 회피하기 위한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고를 예방하거나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Recently, vehicles equipped with driver assistance devices for the safety of the vehic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re increasing.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utomatically warns the driver of an accident risk or avoids an accident for the sake of stability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or avoiding an accident.

상기 운전자 지원 장치에는 특정 상황에서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차량의 속도 및 조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도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is also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and steering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under certain circumstances.

또한 상기 운전자 지원 장치에는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측방에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주변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차선, 장애물의 위치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Also,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detection sensors on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surrounding vehicle, the lan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d provide the detection informa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운전자 지원 장치가 차량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운전자 지원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알림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오히려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알림정보가 계기판, 사이드미러, 룸미러, 알람LED 등에 표시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주시가 소홀해지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various driver assistance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to support safe driving of the driver, so that the driver's gaze may be dispersed to check various aler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For example, since the aler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the side mirrors, the room mirrors, the alarm LEDs, and the like, the front view of the driver is neglected, which may cause an accid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2420호(2013.09.23.등록, 레이더를 이용한 타겟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12420 (Registered Target Rada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주행중인 차량의 측,후방 및 사각지대 영역을 감시하여 지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해 오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n obstacle approaching within a specified distance by monitoring a side, a rear and a dead zone region of a running vehicl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nable intuitive display through a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는, 차량 주행 중 장애물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 및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와 거리에 기초한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대속도와 거리 및 위험도에 기초한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알림정보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bstacle monitor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obsta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calculating a collision risk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the distan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isk;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an interface device connected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는, 장애물이 있는 방향, 장애물까지의 거리, 및 장애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는, 레이더 센서, 카메라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dar sensor, a camera sensor, a lase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기준 룰은,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lert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reference rule, and the first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alert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generation of alert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driver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며, 상기 제2 기준 룰은 자차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기준 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or chang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rule, and the second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or chang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is included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자차 정보, 장애물 정보,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및 진동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고, 운전자에게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상기 알림정보에 포함된 세부 정보마다 각기 다른 크기, 색상, 및 특수 효과가 적용되며, 상기 세부 정보에는 자차 아이콘, 장애물 아이콘, 절대속도 정보, 거리 정보, 차종 정보, 상대속도 정보, 및 위험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image, text, sound, and vibr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lativ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r icon, an obstacle icon, an absolute speed information, a distance information, a vehicle type information, a relative speed information, and a risk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tailed information Is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차량진단모듈(OBD : 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에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detachably detachable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interface device by connecting to a vehicle diagnostic module (OBD: On-Board Diagnostic Terminal) of the vehicle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하며, 상기 차선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차선 검출을 위한 센서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통해 미리 검출하거나, 지피에스나 내비게이션을 통해 수신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synthesiz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previously calculated or detected lane information, and the lane information may be detected in advance through a sensor or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map information received via a GPS or navig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함에 있어서,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모든 차선 중 자차가 있는 차선에 자차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며, 장애물이 있는 차선에 장애물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자차와 장애물 간의 위험도 정보를 각 장애물마다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synthesiz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all of the lanes at the present position are displayed, and the lane with the lane of the lane of all the lanes is displayed by composing the lane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lane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and the risk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displayed for each obstac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장애물 감지센서로부터 장애물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 및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와 거리에 기초한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대속도와 거리 및 위험도에 기초한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알림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bstacle-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from an obstacle-detecting senso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lative spe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calculates a collision risk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the distance,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 risk; And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wire / wireless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는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선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차선 검출을 위한 센서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통해 미리 검출하거나, 지피에스나 내비게이션을 통해 수신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enera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synthesiz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that is calculated or detected in advance, wherein the lan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etecting lane detection And is calculated based on map information previously detected by a sensor or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r received via a GPS or navig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모든 차선 중 자차가 있는 차선에 자차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며, 장애물이 있는 차선에 장애물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자차와 장애물 간의 위험도 정보를 각 장애물마다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synthesiz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displays all the lanes at the current position, composites and displays the lane information on the lane with the lane of the lane, The obstacle information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lane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and the risk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is displayed for each obstac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를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2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자차 이벤트가 종료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1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로 복원하거나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self-event occurs; When the self-car event occurs,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rule; And restoring or modify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rule when the self-event is termina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차 이벤트는, 운전자가 자차의 차선을 변경하거나 코너링을 위해서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입력하거나, 스티어링 휠이 일정 각도 이상 조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ld car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river turning a lane of a vehicle, entering a turn signal switch for cornering, or steering the steering wheel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룰은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이고, 상기 제2 기준 룰은 자차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기준 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gener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car, and the second reference rule includes, when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ar is included And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or chang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자차 정보, 장애물 정보,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및 진동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고, 운전자에게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상기 알림정보에 포함된 세부 정보마다 각기 다른 크기, 색상, 및 특수 효과가 적용되며, 상기 세부 정보에는 자차 아이콘, 장애물 아이콘, 절대속도 정보, 거리 정보, 차종 정보, 상대속도 정보, 및 위험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image, text, sound, and vibration information, including relativ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r icon, an obstacle icon, an absolute speed information, a distance information, a vehicle type information, a relative speed information, and a risk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tailed information Is inclu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측,후방 및 사각지대 영역을 감시하여 지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해 오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intruder, rear, and dead zone areas of a running vehicle and displays information about obstacles approaching within a specified distance intuitively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에서 위험도에 따라 장애물을 표시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장애물을 표시하는 화면을 보다 상세하게 보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 vehicle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bstacle-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for display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risk in the obstacle monitor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displaying an obstacle in more detail in Fig. 4;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는, 장애물 감지센서(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1, the vehicle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110, a control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

그리고 상기 도 1에서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운전자에게 알림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와 유무선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된다.1, the interface device 200 is a means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is interfaced with the obstacle monitor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미도시),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 진동 모터(미도시)(예 : 스티어링 휠의 진동), 램프(또는 LED 경고등)(미도시), 및 HUD(Head Up Displa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스마트폰(미도시), 및 내비게이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face device 200 may include a speaker (not shown), a display unit (not shown), a vibration motor (not shown) such as a steering wheel vibration, a lamp , And a Head Up Display (HUD). 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not shown) and a navigation (not shown), which can be connected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10)는 차량 주행 중 장애물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 예컨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10)는 장애물이 있는 방향, 장애물까지의 거리, 및 장애물의 속도를 감지한다.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10 senses information related to an obstacle while driving the vehicle. For example,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10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an obstacle exists, a distance to the obstacle, and a speed of the obstacle.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10)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카메라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10 may include a radar senso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a lase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11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자차와 장애물(예 : 상대차량) 간의 상대속도 및 거리 산출,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와 거리에 기초한 위험도(예 : 충돌 가능성) 산출, 상기 상대속도와 거리 및 위험도에 기초한 알림정보를 생성한다.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10, the control unit 120 calculates a relative spe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n obstacle (e.g., an opponent vehicle), calculates a risk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the distance Likelihood), and generates alert information based on the relative speed and distance and the risk.

이때 상기 알림정보는 제1 기준 룰(Rule)(예 :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로서, 가령, 자차가 차선변경 등의 이벤트 없이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룰)에 의해서 생성된다.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rule Rule (e.g., a rule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generation of no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A rule that can be applied when holding the value of a variable).

따라서 상기 알림정보는 자차 정보, 장애물(예 : 상대차량)정보(예 : 차량번호, 차종(승용차, 트럭, 버스 등), 속도, 거리 등),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적인 정보(예 : 상대속도 등)를 포함한다. Therefor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ar,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e.g., relative vehicle) (e.g., car number, vehicle type (car, truck, bus), speed and distance), relative information between the car and the obstacle ).

또한 상기 알림정보는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알림정보를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알림정보에 포함된 세부 정보(예 : 자차 아이콘, 장애물 아이콘, 절대속도 정보, 거리 정보, 차종 정보, 상대속도 정보 등)마다 각기 다른 크기, 색상, 및 효과(예 : 깜박임과 같은 특수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image and text inform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mi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e.g., a car icon, an obstacle icon, absolute speed information, Size, color, and effect (e.g., special effects such as flicker)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information items, vehicle type information, relative speed information, etc.).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에 장착된 차선 검출을 위한 센서(미도시), ECU(Electronic Control Unit)(미도시), 지피에스(미도시)나 내비게이션(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정보(예 : 맵)에 기초하여 차선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Also, the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information (e.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sensor (not show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not shown), a GPS (not shown) or a navigation : Map),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ynthesized with the lane information (see Fig. 4).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단순히 현재 위치가 몇 차선 도로인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차선 중 자차가 있는 차선에 자차 정보를 표시하고, 장애물이 있는 차선에 장애물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함으로써(도 4 참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즉,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판단이나 추정 등의 사유 작용을 거치지 않고 대상을 보는 즉시 파악하는 것) 자차의 현재 주행 상태와 자차 주변에 있는 장애물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isplay not only which lane the current position is, but the lane information of the lane on which the lane is present among all the lanes at the present position, and the obstacle information is synthesized (See FIG. 4), the user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pres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user consciously grasps the vehicle without seeing an object such as judgment or estimation) .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알림정보의 생성,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 상기 알림정보의 변경 및 복원을 위한 기준(Rule)(예 : 제1 기준, 제2 기준)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rules for generating the alert information, synthesizing the alert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and changing and restoring the alert information (e.g., first and second criteria)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은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로서, 가령, 자차가 차선변경 등의 이벤트 없이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룰을 의미한다.The first criterion is a criterion rule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generation of no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car. For example, the first criterion may be a rule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car maintains its current state without an event such as a lane change, .

그리고 상기 제2 기준은 자차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생성(또는 변경)하기 위한 기준 룰로서, 가령, 자차가 차선변경이나 코너링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룰을 의미한다.The second criterion is a criterion rule for generating (or chang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ar is included. For example, the second criterion may be a rule that can be applied when an event such as a lane change or a cornering occurs .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알림정보의 생성에 필요한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색상, 및 효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Also, the storage unit 130 stores data related to images, texts, sounds, colors, and effects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가 합성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유무선 방식으로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outputs the combine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ane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200 in a wired / wireless manner.

이때 상기 통신부(140)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차량진단모듈(예 : OBD, 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예 :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외장 HUD 등)에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가 합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type,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face device (e.g., a smart phone, a navigation device, or the like) by connecting to a vehicle diagnostic module (e.g., OBD, An external HUD or the like) to whic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combined to the lane information.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가 합성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유선 방식으로 출력한다. The output unit 150 outputs the combine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ane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200 in a wired manner.

예컨대 상기 출력부(150)는 차량에 유선 방식으로 장착된 스피커(미도시),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 진동 모터(미도시)(예 : 스티어링 휠의 진동), 램프(또는 LED 경고등)(미도시), 및 HUD(Head Up Display) 등에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가 합성된 정보를 출력한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speaker (not shown), a display unit (not shown), a vibration motor (not shown) such as a steering wheel vibration, a lamp And a Head Up Display (HUD), and outputs the synthesized information to the lan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에서 위험도에 따라 장애물을 표시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장애물을 표시하는 화면을 보다 상세하게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obstacle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display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in the obstacle monit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displaying the obstacle in more detail in FIG. to be.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bstacle-monito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장애물 감지센서(110)로부터 장애물(예 : 상대차량) 감지정보(예 : 방향, 거리, 속도 등)를 수신한다(S101).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information (e.g., direction, distance, speed, and the like) of an obstacle (e.g., relative vehicle)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10 (S101).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신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를 산출하고(S102),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와 거리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임의의 방식에 따라 위험도(예 : 충돌 가능성) 산출한다(S103).The control unit 120 calculates a relative spe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S102), and calculates a risk (for example, a collision) based on the relative spe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S103).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와 거리 및 위험도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제1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한다(S104).Also,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ler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rule based on the relative speed, distance, and risk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S104).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룰(Rule)은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로서, 가령, 자차가 차선변경 등의 이벤트 없이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룰이다.Here, the first reference rul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generation of no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rule Rule is applied when the vehicle maintains its current state without an event such as a lane change It is a rule that can be done.

또한 상기 알림정보는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알림정보에 포함된 세부적인 정보(예 : 자차 아이콘, 장애물 아이콘, 절대속도 정보, 거리 정보, 차종 정보, 상대속도 정보 등)마다 각기 다른 크기, 색상, 및 효과(예 : 깜박임과 같은 특수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image and the text informati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image and the text information, and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detailed information (e.g., a car icon, an obstacle icon, absolute speed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vehicle type information, Different sizes, colors, and effects (such as special effects such as blinking)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알림정보에 의해 자차의 현재 주행 상태와 자차 주변에 있는 장애물들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즉,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판단이나 추정 등의 사유 작용을 거치지 않고 대상을 보는 즉시 파악하는 것)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한다(S105).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current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obstacles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by means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e., the user immediately grasps the object without consciously judging or estimating the object ,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ynthesized with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d or detected in advance (S105).

예컨대 상기 차선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차선 검출을 위한 센서(미도시)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미도시)를 통해 미리 검출하거나, 지피에스(미도시)나 내비게이션(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정보(예 : 맵)에 기초하여 차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ne information may be detected in advance through a sensor (not shown) or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not shown) for lane detection mounted on the vehicle, or detected through a GPS (not shown) or a navigation The lane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e.g., map).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와 같이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가 합성된 정보를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출력한다(S106).The control unit 120 outputs the combine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ane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200 (S106).

상기와 같이 알림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107).In a state where the alert information is being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self-event occurs (S107).

예컨대 상기 자차 이벤트는,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코너링을 위해서 방향지시등 스위치(일명 깜박이 스위치)를 입력하거나, 스티어링 휠이 일정 각도 이상 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child car event means that the driver inputs a turn signal lamp switch (a blinking switch) for changing lanes or cornering, or the steering wheel is operated over a certain angl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알림정보는 단지 운전자에게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이 크지만, 운전자가 주변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않더라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지 않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차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주변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핸들)을 조작할 경우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Therefore, althoug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intended only to allow the driver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before the self-event occur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is not high even if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accurately. However, when such a car event occur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is very high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not precisely awar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이에 따라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운드 정보는 출력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정보만으로 구성된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나, 상기 자차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 상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정보 이외에 경고를 위한 사운드 정보와 진동 정보(예 : 핸들의 진동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 알림정보를 출력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ly the display information without outputting the soun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efore the self-event occurs. However, after the self-event occurs,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alarm information including the sound information for the warning and the vib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for vibration of the handle) in addition to the display information.

따라서 상기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S107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알림정보를 제2 기준에 따라 변경한다(S108).Accordingly, when the self-event occurs (YES in S107), the controller 120 chang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criterion (S108).

여기서 상기 제2 기준은 자차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생성(또는 변경)하기 위한 기준 룰로서, 가령, 자차가 차선변경이나 코너링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룰을 의미한다.Here, the second criterion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or chang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ar is included. For example, the second criterion is a rule that can be applied when an event such as a lane change or cornering occurs .

그리고 상기 변경된 알림정보를 상기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합성하여(S105)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출력한다(S106).The changed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ynthesized with the previously calculated or detected lane information (S105) and outputted to the interface device 200 (S106).

다음 상기 자차 이벤트가 종료되면(S107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20)는 제1 기준에 따라 생성된 알림정보로 복원하고(S109), 상기 복원된 알림정보를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합성하여(S105)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출력한다(S106).When the next car event is terminated (NO in S107), the controller 120 restores the alert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S109), and synthesizes the restored alert information into the previously calculated or detected lane information (S105) and outputs it to the interface device 200 (S106).

다만 상기 실시예는 자차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른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다양한 실시예에 맞춰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조건(예 : 무한 루프 탈출 조건 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사항까지 고려해야 함에 유의한다.However, since the above embodiment is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self-event has occurred, when it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practical embodiment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satisfy the condition (for example, infinite loop escape condition) .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차량 측,후방에 장착된 장애물 감지센서(110)를 통해서 장애물(예 : 상대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에 장착되어 유선으로 연결된 HUD를 통해 알림정보(예 : 장애물 정보와 차량 조작시의 사고 위험도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부에 유무선 통신 방식(예 : 블루투스, WiFi, NFC 등)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서 알림정보(예 : 장애물 정보와 차량 조작시의 사고 위험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an obstacle (e.g., a relativ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110 mounted on the vehicle side or the rear side, (For example, obstacle information and accident risk information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or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obstacle information and accident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through a smart phone connected to the outside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Bluetooth, WiFi, NFC, Risk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이때 상기 알림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모든 차선 중 자차가 있는 차선에 자차 정보(예 : 자차 아이콘)를 표시하며, 장애물이 있는 차선에 장애물 정보(예 : 감지차량, 상대차량)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자차와 장애물 간의 위험도 정보(예 : 위험도 레벨, 거리, 상대속도 등)를 각 장애물마다 추가로 포함하여 표시한다. 4,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all the lanes at the present position, displays the lane information of the lane having the lane of the lane (for example, a car icon) (Eg, a detected vehicle, a relative vehicle) in a lane with an obstacle, and additionally includes risk information (eg, a risk level, distance, relative speed, etc.)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Display.

예컨대 도 4의 (a)는 주변 차선에 장애물이 없는 상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도 4의 (b)는 좌측 차선에 지정된 컬러(예 : 노란색)로 표시된 위험 레벨1의 장애물이 있는 상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도 4의 (c)는 좌측 차선에 지정된 컬러(예 : 주황색)로 표시된 위험 레벨2의 장애물이 있는 상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도 4의 (d)는 우측 차선에 지정된 컬러(예 : 빨간색)로 표시된 위험 레벨3의 장애물이 있는 상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FIG. 4A intuitively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obstacle in the surrounding lane, FIG. 4B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n obstacle of the danger level 1 indicated by the color (for example, yellow) (C) of FIG. 4 intuitively recognizes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 danger level 2 obstacle indicated by the color (for example, orange) designated in the left lane, and FIG. 4 (d) Intuitively identify situations where there is a hazardous level 3 obstacle marked in the color assigned to the right lane (eg red).

여기서 상기 위험도 레벨1은 장애물의 거리(예 : 80~60m, 60~30m, 30~0m) 및 상대속도(+10~20km/h 미만, +5~10km/h 미만, +0~5km/h 미만)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위험도 레벨2는 장애물의 거리(예 : 80~60m, 60~30m, 30~0m) 및 상대속도(+20~30km/h 미만, +10~20km/h 미만, +5~10km/h 미만)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상기 위험도 레벨3은 장애물의 거리(예 : 80~60m, 60~30m, 30~0m) 및 상대속도(+30km/h 이상, +20km/h 이상, +10km/h 이상)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above-mentioned risk level 1 is the distance (for example, 80 to 60 m, 60 to 30 m, 30 to 0 m) and relative speed (less than +10 to 20 km / h, less than +5 to 10 km / (For example, 80 to 60 m, 60 to 30 m, 30 to 0 m) and a relative speed (less than + 20 to 30 km / h and less than +10 to 20 km / h) (For example, 80 to 60 m, 60 to 30 m, 30 to 0 m) and relative speeds (+ 30 km / h to + 20 km / h) / h or more, + 10 km / h or more).

또한 상기 위험도 레벨1에서는 경고음, 및 깜빡임 효과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위험도 레벨2에서는 느린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위험도 레벨3에서는 빠른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 warning sound and a blinking effect at the risk level 1, a slow warning sound at the risk level 2, and a quick warning sound at the risk level 3.

다만, 상기 위험도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 및 경고음 출력에 관한 기준은 일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risk level and the criteria for outputting the warning sound ar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refore, the standards may be changed in other embodiments.

도 5는 상기 장애물을 표시하는 화면(즉, 알림정보 표시 화면)을 보다 상세하게 보인 예시도로서, 자차를 중심으로 좌측 차선에서 가장 가까운 장애물(예 : 상대차량)의 상대속도와 거리가 표시되고, 이때 거리를 기준으로 해당 장애물이 있는 위치(예 : Zone1, Zone2, Zone3)에 따라 다른 색상(예 : 빨강, 주황, 노랑)으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자차를 중심으로 우측 차선에서 가장 가까운 장애물의 상대속도와 거리가 표시되고, 이때 거리를 기준으로 해당 장애물이 있는 위치(예 : Zone4, Zone5, Zone6)에 따라 다른 색상(예 : 빨강, 주황, 노랑)으로 표시된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the obstacle (that is, a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screen) in more detail. The relative speed and distance of an obstacle closest to the left lane (for example, an opponent vehicle) (Eg red, orange, yellow)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eg Zone1, Zone2, Zone3) based on the distance. In the same way, the relative speed and distance of the obstacle nearest to the right lane are displayed centering on the car. Depending on the distanc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Zone4, Zone5, Zone6) Yellow).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주행중인 차량의 측,후방 및 사각지대 영역을 감시하여 지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해 오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고 발생 가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on an obstacle approaching within a specified distance is displayed intuitively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device by monitoring the side, rear, and dead zone regions of a vehicle under running, It is effective.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장애물 감지센서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통신부
150 : 출력부 200 : 인터페이스 장치
110: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120:
130: storage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output unit 200: interface device

Claims (16)

차량 주행 중 장애물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 및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와 거리에 기초한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대속도와 거리 및 위험도에 기초한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알림정보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bsta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calculating a collision risk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the distan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isk;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aler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an interface device connected by wired or wireless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는,
장애물이 있는 방향, 장애물까지의 거리, 및 장애물의 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stacle detecting device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and the speed of the obsta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는,
레이더 센서, 카메라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infrared sensor, a radar sensor, a camera sensor, a lase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기준 룰은,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reference rule,
Wherein the first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alert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alert information generation in the driver is not gene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며,
상기 제2 기준 룰은 자차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기준 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Generates or chang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rule,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or chang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is inclu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자차 정보, 장애물 정보,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및 진동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고, 운전자에게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상기 알림정보에 포함된 세부 정보마다 각기 다른 크기, 색상, 및 특수 효과가 적용되며,
상기 세부 정보에는 자차 아이콘, 장애물 아이콘, 절대속도 정보, 거리 정보, 차종 정보, 상대속도 정보, 및 위험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relative information between the car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the car and the obstacle,
Different sizes, colors, and special effects are appli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ffective delivery to the driver, which are generated by combining image, text, sound, and vibr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r icon, an obstacle icon, absolute speed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vehicle type information, relative speed information, and risk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차량진단모듈(OBD : 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에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It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detachable form,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interface device by connecting to a vehicle diagnostic module (OBD: On-Board Diagnostic terminal)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하며,
상기 차선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차선 검출을 위한 센서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통해 미리 검출하거나, 지피에스나 내비게이션을 통해 수신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ynthesized with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d or detected in advance,
Wherein the lane information is calculated based on map information previously detected through a sensor or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for lane detection mounted on the vehicle or received via a GPS or naviga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함에 있어서,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모든 차선 중 자차가 있는 차선에 자차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며, 장애물이 있는 차선에 장애물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자차와 장애물 간의 위험도 정보를 각 장애물마다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In synthesizing the announcement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Displays all the lanes at the current position, composes and displays the lane information on the lane with the lane of the lane in all the lanes, combines and displays the obstacle information in the lane where the obstacle is present, Wherein the obstacle monitoring device displays the obstacle in the vehicle.
제어부가 장애물 감지센서로부터 장애물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장애물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속도 및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속도와 거리에 기초한 충돌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대속도와 거리 및 위험도에 기초한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알림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lative spe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bsta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calculates a collision risk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speed and the distance,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 risk; And
And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n interface device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unit in a wired / wireless manner to the control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는 미리 산출되거나 검출된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선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차선 검출을 위한 센서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통해 미리 검출하거나, 지피에스나 내비게이션을 통해 수신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fter genera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ynthesiz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calculated or detected in adv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e information is calculated based on map information previously detected through a sensor or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for lane detection mounted on the vehicle or received via a GPS or navigation system Control metho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정보에 상기 알림정보를 합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에서의 모든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모든 차선 중 자차가 있는 차선에 자차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며, 장애물이 있는 차선에 장애물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자차와 장애물 간의 위험도 정보를 각 장애물마다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in synthesiz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lane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ll lanes at the current position, combines and displays the lane information on the lane having the lane of the lane of all the lanes, displays the combination of the obstacle information in the lane with the obstacle, And displays information for each obstac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를 인터페이스 장치에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자차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2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자차 이벤트가 종료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1 기준 룰에 따라 알림정보로 복원하거나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in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Determining whether a self-event occurs;
When the self-car event occurs,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rule; And
Further comprising restoring or modify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reference rule when the self-event is terminated.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차 이벤트는,
운전자가 자차의 차선을 변경하거나 코너링을 위해서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입력하거나, 스티어링 휠이 일정 각도 이상 조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riv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driver of a lane of a vehicle, a turn signal switch for cornering, and a steering wheel being oper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룰은 자차에서 알림정보 생성에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룰이고,
상기 제2 기준 룰은 자차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알림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기준 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event related to generation of no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car,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rule is a reference rule for generating or chang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is includ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자차 정보, 장애물 정보, 자차와 장애물 간의 상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 및 진동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고, 운전자에게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상기 알림정보에 포함된 세부 정보마다 각기 다른 크기, 색상, 및 특수 효과가 적용되며,
상기 세부 정보에는 자차 아이콘, 장애물 아이콘, 절대속도 정보, 거리 정보, 차종 정보, 상대속도 정보, 및 위험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t includes relative information between the car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the car and the obstacle,
Different sizes, colors, and special effects are applied to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ffective delivery to the driver, which are generated by combining image, text, sound, and vibr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r icon, an obstacle icon, absolute speed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vehicle type information, relative speed information, and risk information.
KR1020160033048A 2016-03-18 2016-03-18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87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048A KR20170108720A (en) 2016-03-18 2016-03-18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048A KR20170108720A (en) 2016-03-18 2016-03-18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20A true KR20170108720A (en) 2017-09-27

Family

ID=6003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048A KR20170108720A (en) 2016-03-18 2016-03-18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72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19B1 (en) 2017-11-28 2019-03-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tereo camera control according to vehicle speed
KR102141299B1 (en) * 2019-02-26 2020-08-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obility accident risk detection system
CN116311174A (en) * 2023-05-23 2023-06-23 四川智慧高速科技有限公司 Vehicle anti-colli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19B1 (en) 2017-11-28 2019-03-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tereo camera control according to vehicle speed
KR102141299B1 (en) * 2019-02-26 2020-08-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obility accident risk detection system
CN116311174A (en) * 2023-05-23 2023-06-23 四川智慧高速科技有限公司 Vehicle anti-colli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6472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ndicate clearance for vehicle door
JP5160564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180096601A1 (en) Collision alert system
WO2016132891A1 (en) Approaching-body warning device for automobile
US20100201508A1 (en) Cross traffic alert system for a vehicle, and related alert display method
JP4946661B2 (en) Warning display device for vehicles
US98814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system
CN107111955B (en) Operation control device
JP2017097681A (en) Sign recognition system
JP2012221116A (en) Danger prediction system for vehicle
KR2017010872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bstacle of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EP3294611A1 (en) Predicted position display for vehicle
JP2009151566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H09270097A (en) Right turn driving support device using road-vehicle communication
KR20160061639A (en) Blind spot detection and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driving path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JP2019220019A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JP2016224553A (en) Traff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101574010B1 (en) Image Display Device for using a Safety Car-Driv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1562236B1 (en) Apparatus for warning accident dang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35378A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20170069645A (en)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JP2006072725A (en) On-vehicle system
JP7282069B2 (en) vehicle alarm device
JP2002049998A (en) Drive support device
JP2009149306A (en) Vehicula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