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397A -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397A
KR20170108397A KR1020160032224A KR20160032224A KR20170108397A KR 20170108397 A KR20170108397 A KR 20170108397A KR 1020160032224 A KR1020160032224 A KR 1020160032224A KR 20160032224 A KR20160032224 A KR 20160032224A KR 20170108397 A KR20170108397 A KR 2017010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display unit
display portion
golf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959B1 (ko
Inventor
신인석
김건수
재식 장
Original Assignee
신인석
재식 장
김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석, 재식 장, 김건수 filed Critical 신인석
Priority to KR102016003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골퍼가 손으로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골퍼들이 그립을 잡는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윙 동안에 그립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Grip for golf club and assembly of grip and gloves}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골퍼가 골프 클럽을 파지한 상태로 골프공을 스윙하는 운동이다. 골프 장갑은 골퍼가 골프 클럽을 파지한 상태로 스윙할 때 미끄러짐의 방지, 손의 보호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골프 클럽은 공과 더불어 골프 장비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다시 클럽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그립은 골퍼가 골프 클럽을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골퍼가 왼손과 오른손을 이용하여 그립을 안정적으로 잡는 것은 골프의 경기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클럽 헤드로 공을 타격했을 때, 공이 목표 방향을 벗어나 왼쪽으로 휘어서 진행하는 것을 훅이라 하고, 공이 목표 방향을 벗어나 오른쪽으로 휘어서 진행하는 것을 슬라이스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공에 충격시 클럽 헤드의 각도가 닫히면(클럽 헤드가 공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 훅(hook)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에 충격시 클럽 헤드의 각도가 열리면(클럽 헤드가 공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 슬라이스(slice)가 발생된다.
슬라이스나 훅이 심한 골퍼는 그립을 잡는 방법을 바꿔서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트롱 그립(strong grip)은 왼손 엄지 손가락을 오른발 쪽으로 많이 돌려서(즉, 왼손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강하게 잡는 것을 말한다. 스트롱 그립을 하고, 백스윙을 했다가 다운 스윙을 하면서 두 손이 몸의 중앙에 왔을 때 멈춰 보면, 클럽 헤드의 각도가 닫힌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공을 충격하면 공이 왼쪽으로 휘어서 날아가게 된다. 스트롱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 나기 때문에 훅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왼쪽으로 휘기 때문에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크 그립(weak grip)은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왼발 쪽을 향하도록 왼쪽으로 돌려서(즉, 왼손의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잡는 것을 말한다. 위크 그립을 하고, 백스윙을 했다가 다운 스윙을 하면서 두 손이 몸의 중앙에 왔을 때 멈춰 보면, 클럽 헤드의 각도가 열린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공을 충격하면 공이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가게 된다. 위크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슬라이스가 나기 때문에 슬라이스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훅이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에 훅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보 골퍼의 경우에는 대부분 드라이버 샷이 슬라이스가 나서 고민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구력이 쌓이면 다시 훅이 나서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을 ㄱ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골퍼 자신이 이전의 그립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고 자신도 모르게 그립이 스트롱 그립으로 변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을 잡는 방법에 따라 공의 진행 방향이 많이 달라지지만, 종래의 골프 클럽의 그립에는 골퍼가 자신이 잡는 그립이 어떤 형태 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표시부가 전혀 없어, 그립을 잡는 방법은 전적으로 골퍼들의 감각에 의존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골퍼들은 주로 왼손에 장갑을 끼고 그립을 잡게 되지만, 그립을 잡는 힘은 전적으로 골퍼의 악력에 의존하게 되어, 스윙 동안에 자신도 모르게 그립의 형태 또는 위치가 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41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골퍼들이 그립을 잡는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윙 동안에 그립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골퍼가 손으로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와 상기 그립이 정렬된 상태에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표시부는 단면상에서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서, 상기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장갑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하여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를 구비하고, 골퍼가 상기 골프 장갑을 끼고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장갑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골퍼가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홈 또는 돌출부이고, 상기 장갑 표시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와 정합되는 홈 또는 돌출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들이 그립을 잡는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윙 동안에 그립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왼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그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왼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른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그립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와 골프 장갑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왼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용 골프 장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의 그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왼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른손으로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 골퍼들은 왼손에 골프 장갑을 끼고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이하, 그립)을 잡게 된다. 일부 골퍼들은 양손에 모두 골프 장갑을 끼고 그립을 잡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오른손잡이 골퍼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왼손잡이 골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왼손용 골프 장갑(200)은 손바닥 부분과, 엄지(201), 검지(202), 중지(203), 약지(204) 및 소지(새끼손가락)(205)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왼손용 골프 장갑(200)에서, 중지(203) 및 약지(204) 사이와, 약지(204) 및 소지(205) 사이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 부분에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된 부분(2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210)의 길이는 대략 손가락 첫째 마디까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210)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21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편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중지(203) 및 약지(204) 사이와, 약지(204) 및 소지(205) 사이의 일정 부분이 접합되는 것은, 골퍼들이 그립(100)을 잡고 스윙을 할 때, 중지(203), 약지(204) 및 소지(205)의 일정 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그립과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왼손용 골프 장갑(200)은 대략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한 부분[사실상, 접합된 부분(210)]에서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장갑 표시부(211)는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장갑 표시부(211)는 골퍼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컬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돌출부, 홈과 돌출부의 혼합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은 손바닥 부분과, 엄지(301), 검지(302), 중지(303), 약지(304) 및 소지(305)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에서, 중지(203)와 약지(204) 사이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 부분에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된 부분(3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310)의 길이는 대략 손가락 첫째 마디까지가 된다. 상기 접합된 부분(310)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접합된 부분(310)은 하나의 편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중지(303)와 약지(304) 사이의 일정 부분이 접합되는 것은, 이 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그립과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은 대략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한 부분[사실상, 접합된 부분(310)]에서 중지 및 약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장갑 표시부(311)는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장갑 표시부(311)는 골퍼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컬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돌출부, 홈과 돌출부의 혼합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그립(100)은 골프 클럽의 샤프트(10)의 일측 단부에 끼워지게 된다. 샤프트(10)의 타측 단부에는 클럽 헤드가 위치하게 된다.
그립(100)은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111)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 표시부(112)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표시부(111)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3 표시부(113)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표시부(112)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는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는 골퍼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컬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홈, 돌출부, 홈과 돌출부의 혼합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는 골퍼가 손(특히, 왼손)으로 그립(100)을 잡을 때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그에 따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는 각각 strong, square, weak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square"는 일반적으로 골퍼들이 왼손으로 이 위치를 기준으로 그립을 잡을 때, 공이 정면으로 날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trong"은 스트롱 그립을 의미하고, 왼손 엄지 손가락을 오른발 쪽으로 많이 돌려서 강하게 잡는 것을 말한다. 스트롱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 나기 때문에 훅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왼쪽으로 휘기 때문에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weak"는 위크 그립을 의미하고,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왼발 쪽을 향하도록 왼쪽으로 돌려서 잡는 것을 말한다. 위크 그립은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슬라이스가 나기 때문에 슬라이스 그립법이라고도 한다. 훅이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이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에 훅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에서, 왼손 부분이 위치하는 그립(100)의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는 샤프트(10)에 위치하는 클럽 헤드의 페이스가 목표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그립(100)의 위치를 말한다. 도면부호 101은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에서 12시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점이다. 이러한 기준점(101)은 그립(100)의 양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단면에서 볼 때, 제1 표시부(111)는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표시부(112)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3 표시부(113)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표시부(111, 112, 113)의 위치는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훅이나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나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립(100)은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및 제6 표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시부(121)는 제1 표시부(111)보다 클럽 헤드 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제4 표시부(121)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5 표시부(122)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4 표시부(121)와 나란하게 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6 표시부(123)는 그립(100)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5 표시부(122)와 나란하게 시계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및 제6 표시부(123)는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와 대체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골퍼들이 오른손으로 그립(100)을 잡을 때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한다.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및 제6 표시부(123)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는 각각 weak, square, strong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샤프트(10)와 그립(100)이 정렬된 상태에서, 오른손 부분이 위치하는 그립(100)의 단면을 나타낸다.
단면에서 볼 때, 제4 표시부(121)는 2시 30분 방향에서 4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5 표시부(122)는 4시 방향에서 5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제6 표시부(123)는 5시 방향에서 6시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내지 제6 표시부(121, 122, 123)는 제1 내지 제3 표시부(111, 112, 113)와 조합하여, 공을 똑바로 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공의 진행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훅이나 슬라이스가 나는 골퍼가 사용할 경우 훅이나 슬라이스를 교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립(100)을 잡는 손의 위치의 작은 차이가 실제 공이 날아갈 때는 매우 큰 차이로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골퍼들은 스트롱 그립이나 위크 그립의 의미를 이해하지만, 단순히 눈으로 인식하는 그립(100)의 위치는 매우 부정확할 수 있다. 실제로, 골퍼들은 동일한 위치로 그립을 잡는다고 하지만, 잡을 때의 그립의 위치는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골퍼들은 손의 특정 부위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또는 제3 표시부(113)에 먼저 접촉하여 그립(100)을 잡음으로써, 자신이 잡은 그립(1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골퍼들이 눈으로 인식하는 손의 특정 부위는 마찬가지로 부정확할 수 있다. 더욱 정확한 그립을 위해, 골퍼가 골프 장갑(200, 300)을 끼고 그립(100)을 잡을 때, 장갑 표시부(211, 311)와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및 제3 표시부(113)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골퍼가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들은 왼손용 골프 장갑(2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211)를 제1 표시부(111), 제2 표시부(112) 또는 제3 표시부(113)에 먼저 접촉하여 그립(100)을 잡음으로써, 자신이 잡은 그립(1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들은 왼손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311)를 제4 표시부(121), 제5 표시부(122) 또는 제6 표시부(123)에 먼저 접촉하여 그립(100)을 잡음으로써, 자신이 잡은 그립(1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그립(100)에 표시되는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는 그 자체로 골퍼들이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가 왼손용 골프 장갑(2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211) 또는 오른손용 골프 장갑(300)에 표시되는 장갑 표시부(311)와 조합하여 사용될 때, 골퍼들이 그립(100)에 대한 손의 위치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고 정확한 그립을 가능하게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제2 내지 제6 표시부(112, 113, 121, 122, 123)도 마찬가지임)와 골프 장갑(200, 300)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211, 31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는 홈의 형태를 갖고,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장갑 표시부(211)는 돌출부의 형태를 가져서, 골퍼들이 그립을 잡을 때 그립(100)의 홈에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골퍼들이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스윙하는 동안, 그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b는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가 돌출부의 형태를 갖고,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장갑 표시부(211)도 돌출부의 형태를 가져서, 2개의 돌출부의 면이 서로 접촉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접촉되는 2개의 돌출부는 그립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경우에도, 골퍼들이 스윙하는 동안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c는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표시부(111)가 서로 이격된 2개의 돌출부 형태를 가져서 그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왼손용 골프 장갑(200)의 장갑 표시부(211)도 돌출부의 형태를 가져서, 장갑 표시부(211)의 돌출부가 제1 표시부(111)의 2개의 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골퍼들이 스윙하는 동안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와 골프 장갑(200, 300)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211, 311)가 서로 접촉되어 그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도시된 것 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립(100)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6 표시부(111, 112, 113, 121, 122, 123)는 홈과 돌출부가 조합된 형태를 갖고, 골프 장갑(200, 300)에 형성되는 장갑 표시부(211, 311)도 홈과 돌출부가 조합된 형태를 가져서, 서로 정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샤프트
100 : 그립
111 : 제1 표시부
112 : 제2 표시부
113 : 제3 표시부
114 : 제4 표시부
115 : 제5 표시부
116 : 제6 표시부
200 : 왼손용 골프 장갑
210 : 접합된 부분
211 : 장갑 표시부
300 : 오른손용 골프 장갑
310 : 접합된 부분
311 : 장갑 표시부

Claims (5)

  1.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골퍼가 손으로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표지로 기능하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그립이 정렬된 상태에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표시부는 단면상에서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
  3.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표시부;
    상기 그립의 외주면에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와 나란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장갑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경계에서 손가락 측에 인접하여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장갑 표시부를 구비하고,
    골퍼가 상기 골프 장갑을 끼고 상기 그립을 잡을 때, 상기 장갑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골퍼가 상기 그립에 대한 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표시부는 홈 또는 돌출부이고, 상기 장갑 표시부는 상기 홈 또는 돌출부와 정합되는 홈 또는 돌출부인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그립이 정렬된 상태에서,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표시부는 9시 방향에서 10시30분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7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표시부는 5시 방향에서 7시 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골프 클럽의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KR1020160032224A 2016-03-17 2016-03-17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KR10183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224A KR101835959B1 (ko) 2016-03-17 2016-03-17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224A KR101835959B1 (ko) 2016-03-17 2016-03-17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97A true KR20170108397A (ko) 2017-09-27
KR101835959B1 KR101835959B1 (ko) 2018-03-07

Family

ID=6003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224A KR101835959B1 (ko) 2016-03-17 2016-03-17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338A (ko) * 2018-06-19 2019-12-30 강연욱 골프 클럽의 그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09Y1 (ko) 2001-03-26 2001-10-10 전병진 골프 클럽의 벨크로 그립
CA2648190A1 (en) * 2006-04-18 2007-10-25 Progrip Nz Limited Golf glove, golf grip and system
KR200474806Y1 (ko) 2013-04-17 2014-10-22 김만하 탈부착이 가능한 골프그립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338A (ko) * 2018-06-19 2019-12-30 강연욱 골프 클럽의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959B1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821B2 (en) Visual and tactile confirmation golf grip and system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US8012048B1 (en) Tennis grip reference aid
US201802643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Golf Putting Accuracy Using a Birdie-Line Golf Glove and Straight-Edged Putter Grip
WO2007023693A1 (ja) パタークラブおよびパタークラブ用のグリップ
KR101835959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US201102633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a golfer to properly grip a golf club
KR200164283Y1 (ko) 골프 클럽의 그립
KR200231252Y1 (ko) 골프채 그립
US20050124442A1 (en) Baseball bat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KR20140036526A (ko) 골프퍼터
US8544116B2 (en) Golf glove
US20020187845A1 (en) Color coding system for golf clubs
KR101915710B1 (ko) 그립 파지용 보조기구
KR101534285B1 (ko) 퍼터용 그립
KR200296089Y1 (ko) 골프장갑
JP2019097909A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ゴルフパター
US20150217177A1 (en) Golf training device
KR20090007471U (ko) 그립 고정력이 향상되게 한 양손형 골프장갑
KR102045031B1 (ko) 야구 배트용 탈착식 그립
WO2022118767A1 (ja) ゴルフ練習具
JP6716640B2 (ja) 打撃練習用バット
KR100530741B1 (ko) 골프용 장갑
WO2015133369A1 (ja) スポーツ用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