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490A -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490A
KR20170107490A KR1020177022911A KR20177022911A KR20170107490A KR 20170107490 A KR20170107490 A KR 20170107490A KR 1020177022911 A KR1020177022911 A KR 1020177022911A KR 20177022911 A KR20177022911 A KR 20177022911A KR 20170107490 A KR20170107490 A KR 2017010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layer
screen
glass layer
low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524B1 (ko
Inventor
다페이 원
루이 란
Original Assignee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01L1/1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를 공개하였고, 상기 압력 검출 구조는 커버 플레이트(10), 스크린(20), 압력 센서(30) 및 센터 프레임(40)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2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센터 프레임(40) 내에 겹쳐 놓이고, 상기 압력 센서(30)는 상기 스크린(20)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20)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인 하부 유리층(23), LED 발광층(22) 및 상부 유리층(21)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30)는 상기 하부 유리층(23) 하방에 위치한다. 이로써 제어해야 할 공차는 주요하게 스크린(20) 내부의 간극층 두께, 및 압력 센서(30)의 평탄도에 집중되도록 한다. 선행기술에 비교하면 제어해야 할 요소가 적고, 양산상에서 제어하기 더욱 간편하며, 전체 기계의 조립, 전체 기계의 하락 및 전체 기계의 압출 변형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지 않는다. 이로써, 조립 공차를 감소시켰고, 단말 기기가 압력을 검출하는 안정성, 신빈성 및 일치성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
본 발명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단말 기기(예컨대 휴대폰)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손으로 터치하는 압력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기존의 단말 기기의 압력 검출 구조이며, 커버 플레이트(1), 센터 프레임(4), 스크린(2) 및 압력 센서(3)를 포함하고, 압력 센서(3), 스크린(2) 및 커버 플레이트(1)는 센터 프레임(4) 내에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이며, 압력 센서(3)는 센터 프레임(4) 최저부에 고정되고, 스크린(2) 사이에 간극(5)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압력 센서(3)는 커패시터 타입 센서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과 기판(6)에 매트릭스형으로 배포된 검출 전극(7), 압력 센서(3)에 의해 검출된 전극(7)과 외계의 참조 전극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며, 여기서, 기판(6) 상의 각 하나의 검출 전극(7)과 참조 전극(8) 사이에 모두 커패시턴스(C)가 형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 검출 구조에 있어서, 참조 전극은 스크린 내부 전극이고, 그 커패시턴스 구조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압력 검출 실현 방식은, 힘을 커버 플레이트(1)에 인가할 경우, 커버 플레이트(1)는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압력 센서(3)와 참조 전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압력 센서(3)와 참조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발생하며, 변화량에 따라 압력의 크기를 인식해 낸다.
실현 원리에서 보면, 스크린(2)과 압력 센서(3) 사이의 검출 간격을 훌륭하게 제어해야 하는데, 상기 검출 간격은 즉 도 1a에 도시된 간극(5)이다. 그러나, 상기 간극(5)은 조립 공정이 많고 조립 부재가 많은 제한을 받아 조립 공차가 비교적 큰 것을 초래한다. 아울러, 상이한 기계 사이의 스크린(2)과 센터 프레임(4)의 간격의 이 공차는 기계 사이의 일치성에 영향을 주어, 기계 사이의 체험도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초래한다. 그러나, 전체 제품의 하락, 압출 변형은 모두 이러한 간극을 작게 개변하여 제품의 신빈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단말 기기 검출 압력의 안정성, 신빈성과 일치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력 검출 구조를 제공하며, 이는 커버 플레이트, 스크린, 압력 센서 및 센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프레임 내에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이며,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스크린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인 하부 유리층, LED 발광층 및 상부 유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하부 유리층 하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전술한 압력 검출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는 압력 센서를 스크린에 고정하고, 압력 센서와 스크린의 LED 발광층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어해야 할 공차는 주요하게 스크린 내부의 간극층 두께, 및 압력 센서의 평탄도에 집중되도록 한다. 여기서, 압력 센서가 스크린에 고정되기에, 양자 사이의 간극층의 두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어되고, 자체의 공차가 비교적 작으며, 압력 센서 평탄도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 설계는 선행기술에 비교하면 제어해야 할 요소가 적고, 양산상에서 제어하기 더욱 간편하며, 전체 기계의 조립, 전체 기계의 하락 및 전체 기계의 압출 변형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지 않는다. 이로써, 조립 공차를 감소시켰고, 단말 기기가 압력을 검출하는 안정성, 신빈성 및 일치성을 향상시켰다.
도 1a은 선행기술 중 압력 검출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1b은 도 1 중의 압력 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1c은 압력 센서의 검출 전극과 참조 전극이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는 구조도이다.
도 1d는 선행기술 중 압력 검출 구조의 커패시턴스 구조의 모식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1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1 실시예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3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3 실시예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4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5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5 실시예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6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 중 커패시턴스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 중 커패시턴스 구조의 다른 모식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 실시예의 압력 검출 구조 제7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 실시예 제6 실시예 중 커패시턴스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1c은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7 실시예의 다른 구조도이다.
본 발명 목적의 실현, 기능 특징 및 장점은 실시예와 결부하고,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서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함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압력 검출 구조 제1 실시예이다. 상기 압력 검출 구조는 커버 플레이트(10), 스크린(20), 압력 센서(30) 및 센터 프레임(40)을 포함하고, 스크린(20)과 커버 플레이트(10)는 센터 프레임(40) 내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이며, 커버 플레이트(10) 가장자리와 센터 프레임(40)은 접착 테이프 또는 기타 방식으로 고정된다. 압력 센서(30)는 스크린(20)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은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인 하부 유리층(23), LED 발광층(22) 및 상부 유리층(21)을 포함하며, 압력 센서(30)는 하부 유리층(23) 하방에 위치하고, 압력 센서(30)와 하부 유리층(23)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2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센서(30)와 하부 유리층(23) 사이의 간극층(24)은 연성 충진물층(예를 들면 연성 폼)이고, 연성 충진물층은 하부 유리층(23)에 연결되며, 압력 센서(30)는 연성 충진물층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30)와 하부 유리층(23) 사이에 연성 폼을 설치하고, 연성 폼의 일면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해 하부 유리층(23)에 접합되며, 타면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해 압력 센서(30)에 접합된다. 간소화를 위하여, 도 3 및 후속적인 실시예 중의 일부 도면에서는 센터 프레임(40)을 생략하였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센서(30)의 가장자리는 접착 테이프(50)를 통해 하부 유리층(23)에 접합되어, 압력 센서(30)와 하부 유리층(23)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은 즉 간극층(24)이다. 상기 공극은 공기 공극일 수 있고, 여기에 연성 탄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도 5a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스크린(20)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25)를 증가시켜 제3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는 압력 센서(30)를 지탱하고, 압력 센서(30)의 평탄도와 경도를 강화시키며, 공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25)는 강재이거나 또는 기타 고경도 재료일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25)는 압력 센서(30)와 독립적으로 설치될수 있고 압력 센서(30)와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센서(30)를 지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의 가장자리는 접착 테이프(50)를 하부 유리층(23)에 접착하는 것을 통해, 압력 센서(30)와 하부 유리층(23)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극은 즉 간극층(24)이다. 상기 공극은 공기 공극일 수 있고, 여기에 연성 탄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도 7a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스크린(20)을 위해 셸(26)을 증가하여, 제5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유리층(23), LED 발광층(22), 상부 유리층(21)과 압력 센서(30)는 셸(26)에 수용되고, 셸(26)은 압력 센서(30)를 지탱하는 백 셸(261)과 백 셸(261)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브라켓(262)을 포함하며, 브라켓(262)의 최상부는 접착 테이프를 통해(또는 기타 연결 방식) 커버 플레이트(10)에 연결된다. 백 셸(261)과 브라켓(262)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각각 성형된 후 함께 조립될 수도 있으며, 백 셸(261)과 브라켓(262)은 강성(剛性) 금속재료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또는 기타 재료일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5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센터 프레임(40) 내부의 최저부 가장자리에 베어링 패드(80)가 볼록 설치되어, 압력 센서(30), 베이스 플레이트(25) 또는 셸(26)을 베어링 패드(80)에 배치시킨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하여, 센터 프레임(40) 내부의 최저부 가장자리에 베어링 패드(80)를 볼록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5)는 베어링 패드(80)에 배치된다. 베어링 패드(80)는 탄성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강성 재료일 수 있고, 베어링 패드(80)는 센터 프레임(40)과 일체로 설치되거나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20)이 하부로 향하는 압력을 받을 경우, 베어링 패드(80)는 베이스 플레이트(25)를 상부로 향하게 받쳐, 베이스 플레이트(25)와 하부 유리층(23) 사이의 접착 테이프(50)를 압축하며, 다시 커버 플레이트(10)와 센터 프레임(40) 사이의 접착 테이프로 고정하면, 상이한 기기 사이의 공차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여 상이한 기기 사이의 체험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참조 전극은 LED 발광층(22)의 내부 전극으로 변하고, 압력 센서(30)의 검출 전극과 LED 발광층(22)의 내부 전극은 커패시턴스를 형성하고, 이때 커패시턴스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검출된 것은 압력 센서(30)의 검출 전극으로부터 LED 발광층(22) 사이의 거리이고, 커버 플레이트(10)가 압력을 받아 변형이 발생되면, 스크린(20)과 압력 센서(30) 사이의 간극층(24)은 압축되어, 압력 센서(30)와 LED 발광층(2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커패시턴스가 생성되는 상응한 압력 신호를 개변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는 제어해야 할 공차가 주요하게 스크린(20)과 압력 센서(30) 사이의 간극층(24) 두께, 및 압력 센서(30)의 평탄도에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30)가 스크린(20)에 고정되고, 양자 사이의 간극층(24)의 두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어되며, 자체의 공차가 비교적 작으며, 압력 센서(30)의 평탄도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설계는 선행기술에 비교하면 제어해야 할 요소가 적고, 양산상에서 제어하기 더욱 간편하며, 전체 기계의 조립, 전체 기계의 하락 및 전체 기계의 압출 변형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지 않는다.
또한, 참조 전극은 LED 발광층(22)의 내부 전극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전술한 어느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하부 유리층(23)과 간극층(24) 사이에 전기 전도층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전도층은 하부 유리층(23)과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하부 유리층(23) 표면에 코팅된 전기 전도 코팅층 또는 하부 유리층 표면에 첨가된 전기 전도 물질 또는 전기 전도 입자를 구비하는 물질일 수도 있다. 이때 커패시턴스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는, 전술한 제3 내지 제5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간극층(24)을 압력 센서(30)와 베이스 플레이트(25) 또는 백 셸(261) 사이에 이동시켜 제7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30)와 하부 유리층(23)은 긴밀히 연결되고, 압력 센서(30)와 베이스 플레이트(25) 사이에 간극층(24)(공기 공극 또는 연성 탄성 충진물)이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5)는 전기 전도 재료(예컨대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이때 참조 전극은 베이스 플레이트(25)(또는 백 셸(261))이고, 커패시턴스 구조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5)에 전기 전도층(90)을 설치하고, 상기 전기 전도층(90)은 베이스 플레이트(25)의 적층과 독립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25)의 코팅층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참조 전극은 전기 전도층(90)이다. 이밖에, 본 실시예도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센터 프레임(40) 내부 최저부의 가장자리에 베어링 패드(80)가 볼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압력 검출 구조는 압력 센서와 스크린의 LED 발광층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어해야 할 공차는 주요하게 스크린 내부의 간극층 두께, 및 압력 센서의 평탄도에 집중되도록 한다. 여기서, 압력 센서가 스크린에 고정되고, 양자 사이의 간극층의 두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어되고, 자체의 공차가 비교적 작으며, 압력 센서 평탄도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 설계는 선행기술에 비교하면 제어해야 할 요소가 적고, 양산상에서 제어하기 더욱 간편하며, 전체 기계의 조립, 전체 기계의 하락 및 전체 기계의 압출 변형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지 않는다. 이로써, 조립 공차를 감소시켰고, 단말 기기가 압력을 검출하는 안정성, 신빈성 및 일치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아울러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등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컴퓨터 등 고정 단말일 수도 있다. 상기 단말 기기는 압력 검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구조는 커버 플레이트, 센터 프레임, 스크린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프레임 내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이고, 상기 스크린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인 하부 유리층, LED 발광층 및 상부 유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하부 유리층에 고정되고, 상기 압력 센서와 상기 하부 유리층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되는 압력 검출 구조는 본 발명 중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압력 검출 구조이기에,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압력 센서와 스크린의 LED 발광층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어해야 할 공차는 주요하게 스크린 내부의 간극층 두께, 및 압력 센서의 평탄도에 집중되도록 한다. 여기서, 압력 센서가 스크린에 고정되고, 양자 사이의 간극층의 두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어되고, 자체의 공차가 비교적 작으며, 압력 센서 평탄도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 설계는 선행기술에 비교하면 제어해야 할 요소가 적고, 양산상에서 제어하기 더욱 간편하며, 전체 기계의 조립, 전체 기계의 하락 및 전체 기계의 압출 변형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지 않는다. 이로써, 조립 공차를 감소시켰고, 단말 기기가 압력을 검출하는 안정성, 신빈성 및 일치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특허보호범위를 한정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 내용에 따라 진행된 등가적인 구조 또는 등가적인 과정 변환, 또는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기타 관련 기술분야에서 응용된 것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커버 플레이트(10), 스크린(20), 압력 센서(30) 및 센터 프레임(40)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2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센터 프레임(40) 내에 겹쳐 놓이는 압력 검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30)는 상기 스크린(20)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20)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겹쳐 놓인 하부 유리층(23), LED 발광층(22) 및 상부 유리층(21)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30)는 상기 하부 유리층(23)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30)와 상기 하부 유리층(23)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층(24)은 연성 충진물층이고, 상기 연성 충진물층은 상기 하부 유리층(23)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 센서(30)는 상기 연성 충진물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30)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 유리층(23)에 접합되고, 상기 간극층(24)은 상기 압력 센서(30)와 상기 하부 유리층(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압력 센서(30)를 지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 유리층(23)에 접합되며, 상기 간극층(24)은 상기 압력 센서(30)와 상기 하부 유리층(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6. 제 2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은 상기 압력 센서(30)를 지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7. 제 2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은 셸(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셸(26)은 상기 압력 센서(30)를 지탱하는 백 셸(261)과 상기 백 셸(26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브라켓(262)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262)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8. 제 2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리층(23)과 상기 간극층(24) 사이에 전기 전도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층은 상기 하부 유리층(23) 표면에 코팅되는 전기 전도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은 베이스 플레이트(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 유리층(23)에 접합되며, 상기 압력 센서(30)는 상기 하부 유리층(23)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 사이에 압력을 받아 변형 가능한 간극층(24)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는 도체이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에 전기 전도층(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11. 제 2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40) 내부의 최저부 가장자리에 베어링 패드(80)가 볼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검출 구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압력 검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KR1020177022911A 2015-10-29 2016-10-27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 KR101939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856106.1 2015-10-29
CN201520856106.1U CN205121517U (zh) 2015-10-29 2015-10-29 压力检测结构和终端设备
PCT/CN2016/103476 WO2017071603A1 (zh) 2015-10-29 2016-10-27 压力检测结构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490A true KR20170107490A (ko) 2017-09-25
KR101939524B1 KR101939524B1 (ko) 2019-01-16

Family

ID=5557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911A KR101939524B1 (ko) 2015-10-29 2016-10-27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0363B2 (ko)
EP (1) EP3249506A4 (ko)
KR (1) KR101939524B1 (ko)
CN (1) CN205121517U (ko)
WO (1) WO2017071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121517U (zh) * 2015-10-29 2016-03-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压力检测结构和终端设备
CN107705748B (zh) * 2015-10-30 2023-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以及显示装置
CN205302238U (zh) * 2015-12-31 2016-06-0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结构及触摸设备
CN205384588U (zh) * 2015-12-31 2016-07-1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结构及触摸设备
WO2018049633A1 (zh) * 2016-09-14 2018-03-2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压力检测装置、压力检测方法及电子终端
TWI609174B (zh) * 2016-12-29 2017-1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力感應功能之顯示裝置
CN107871453A (zh) * 2017-10-31 2018-04-0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CN108924303A (zh) * 2018-07-13 2018-11-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中框、终端及终端的制作方法
CN111182101B (zh) * 2019-12-31 2021-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TWI732662B (zh) * 2020-08-24 2021-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定位層疊結構
CN114242914B (zh) * 2021-12-17 2024-03-05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oled器件
CN115542589B (zh) * 2022-10-19 2023-06-16 深圳市环测威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用检测设备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662A (ko) * 2000-04-17 2001-11-08 가마이 고로 터치식 액정 표시 장치 및 입력 검출 방법
KR20040064271A (ko) * 2001-11-09 2004-07-16 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어셈블리
JP5798700B1 (ja) * 2014-09-19 2015-10-21 株式会社 ハイヂィープ スマートフォン
JP2015185161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 ハイヂィープ メニュー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を含むメニュー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614866B2 (en) * 2007-01-17 2009-11-10 3D Systems, Inc. Soli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KR101033154B1 (ko) * 2010-03-11 2011-05-11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터치 패널
JP6107811B2 (ja) * 2012-03-09 2017-04-05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A2871069A1 (en) * 2012-04-20 2013-10-24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Touch-screen with front-mounted flexible display
CN104423739A (zh) * 2013-08-30 2015-03-18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控装置
WO2015080696A1 (en) * 2013-11-26 2015-06-04 Rinand Solutions Llc Self-calibration of force sensors and inertial compensation
CN203644006U (zh) * 2013-12-19 2014-06-11 东莞市飞触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内嵌式电容触摸屏
US10104270B2 (en) * 2014-03-24 2018-10-16 Hideep Inc. Method for operating camera underwater
KR101583765B1 (ko) * 2015-07-27 2016-01-08 주식회사 하이딥 스마트폰
CN105117080A (zh) * 2015-08-07 2015-12-02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整合压力感测功能的触控装置
CN205121517U (zh) * 2015-10-29 2016-03-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压力检测结构和终端设备
CN105446538B (zh) * 2015-10-29 2017-07-2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结构及触摸设备
CN205384588U (zh) * 2015-12-31 2016-07-1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结构及触摸设备
CN205302238U (zh) * 2015-12-31 2016-06-0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结构及触摸设备
CN205384592U (zh) * 2016-01-25 2016-07-1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压力检测装置、触控设备及电子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662A (ko) * 2000-04-17 2001-11-08 가마이 고로 터치식 액정 표시 장치 및 입력 검출 방법
KR20040064271A (ko) * 2001-11-09 2004-07-16 미네베아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어셈블리
JP2015185161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 ハイヂィープ メニュー操作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を含むメニュー操作装置
JP5798700B1 (ja) * 2014-09-19 2015-10-21 株式会社 ハイヂィープ スマートフォ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9506A1 (en) 2017-11-29
WO2017071603A1 (zh) 2017-05-04
US10180363B2 (en) 2019-01-15
KR101939524B1 (ko) 2019-01-16
EP3249506A4 (en) 2018-09-26
US20170343428A1 (en) 2017-11-30
CN205121517U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24B1 (ko) 압력 검출 구조 및 단말 기기
KR101950625B1 (ko) 압력 검출 구조 및 터치 기기
US9921679B2 (en) Force-sensing touch screen input device
US10394339B2 (en) Sensor, input device, keyboard, and electronic device
CN106155413B (zh) 触控显示装置以及触控显示装置的驱动方法
KR101742584B1 (ko)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539055B1 (ko) 센서, 입력장치 및 전자기기
CN103729615A (zh) 生物传感器模块、组件、制造方法及使用其的电子设备
CN103729617A (zh) 指纹感测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70025706A (ko) 압력 감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00025176A (ko) 정전용량 방식의 멀티터치에 따른 접촉위치 및 누름힘 측정용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작방법
CN205384596U (zh) 一种可实现压力检测的电容式触摸屏及触摸设备
US20190342672A1 (en) Condenser microphone and electronic device
KR102092640B1 (ko) 압력 터치 센서 장치
CN106201083A (zh) 压力触控显示屏
US10627297B2 (en) Input device pressing unit
JP6521105B2 (ja) センサ装置
JP2016042274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15700B (zh) 具力感应功能的显示装置
JP3182510U (ja) タッチパネル
KR102469364B1 (ko) 터치 압력 감지 센서
CN108511486B (zh) 能够侦测压力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屏及其制造方法
KR2011013406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입력 장치
KR20180034363A (ko)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CN210897338U (zh) 一种新型压电触觉反馈致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