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433A -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433A
KR20170106433A KR1020177023082A KR20177023082A KR20170106433A KR 20170106433 A KR20170106433 A KR 20170106433A KR 1020177023082 A KR1020177023082 A KR 1020177023082A KR 20177023082 A KR20177023082 A KR 20177023082A KR 20170106433 A KR20170106433 A KR 2017010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base station
path
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신이찌로 아이까와
다까요시 오데
요시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7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대상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120)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이며,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의 접속처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120)을 경유하고 자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경로를 설정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 LTE(Long Term Evolution)나 LTE-Advanced 등의 이동체 통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하기 비특허문헌 1 내지 16 참조). 또한, 단말기 사이에서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ProSe(Proximity-based Services: 단말기간 직접 통신 기능)가 검토되고 있다.
또한,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패킷 코어망을 경유하지 않고 기지국에서 리턴하는 경로에 의해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eICBD(enhancements for Infrastructure based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가 검토되고 있다.
또한, EPC에 적용 가능한 프로토콜로서 GTP(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가 알려져 있다. EPC에는, 예를 들어 SGW(Serving Gateway)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등의 게이트웨이가 포함된다.
또한, 통신 상대의 단말기 앞으로의 송신 패킷을, 통신을 관리하는 제어 장치를 통하지 않는 제1 패킷과 제어 장치를 통하는 제2 패킷으로 분할하여 송신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인접하는 각 무선 기지국을 비교하여 호량이 치우쳐 있는 경우에, 호량이 많은 무선 기지국의 이동체에 대해, 무선 중계기를 통해, 인접하는 호량이 적은 무선 기지국에 패스를 설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1100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333257호 공보
3GPP TS36.300 v12. 1. 0, 2014년 3월 3GPP TS36. 211 v12. 1. 0, 2014년 3월 3GPP TS36. 212 v12. 0. 0, 2013년 12월 3GPP TS36. 213 v12. 1. 0, 2014년 3월 3GPP TS36. 321 v12. 0. 0, 2013년 12월 3GPP TS36. 322 v11. 0. 0, 2012년 9월 3GPP TS36. 323 v11. 2. 0, 2013년 3월 3GPP TS36. 331 v12. 0. 0, 2013년 12월 3GPP TS36. 413 v12. 0. 0, 2013년 12월 3GPP TS36. 423 v12. 0. 0, 2013년 12월 3GPP TR36. 842 v12. 0. 0, 2013년 12월 3GPP TR36. 843 v12. 0. 0, 2014년 3월 3GPP TR22. 807 v1. 0. 0, 2014년 6월 3GPP TS23. 303 v12. 0. 0, 2014년 2월 3GPP TS23. 401 v12. 4. 0, 2014년 3월 3GPP TS29. 274 v13. 0. 0, 2014년 12월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PGW로부터 단말기측의 장치에서 리턴하는 경로에 의한 리턴 통신을 단말기 사이에서 행할 때, 네트워크측의 장치가,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단말기와 기지국의 대응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측의 장치가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접속처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상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접속처인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경유하고 자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단말기가 상이한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각 경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통신 장치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기지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게이트웨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게이트웨이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PGW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PGW에 의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eICBD에 의한 단말기간의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5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PGW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와, 기지국(120)과, 통신 장치(13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110A)는, 자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120)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다. 또한, 제1 단말기(110A)는, 기지국(120)을 통해, 통신 장치(13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다. 또한, 제1 단말기(110A)는, 제2 단말기(110B)(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의 통신의 경로에는, 예를 들어 기지국(120)을 경유하고, 또한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제1 경로와, 기지국(120) 및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는 제2 경로가 있다.
기지국(120)은, 자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각각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기지국(120)은, 통신 장치(13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120)은, 통신 장치(13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 있어서의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의 설정을 행한다.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를 행한다.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의 등록 수속이다.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통신 장치(130)는,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대상 단말기와 통신 장치(130)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로서 상술한 제1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는 제1 경로에 의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제1 경로에서는,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는 제2 경로보다 짧은 경로에 의해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가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경로에 포함되고, 또한 제1 경로에 포함되지 않는 구간에 있어서의 트래픽 유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30)는, 각 단말기(110A, 110B)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각 순서의 실행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30)는, 수신한 정보로부터, 각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을 나타내는 대응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리턴처 패스를 설정하고, 각 단말기 사이에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지 않는 제1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30)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트래픽 유량을 저감 가능한 각 단말기 사이의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 형태 1의 상세에 대해, 실시 형태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1)를 통해 기지국(120)과 접속된, PGW나 SGW 등의 게이트웨이이다. 또한, 통신 장치(130)는 네트워크(101)를 통하지 않고 기지국(120)과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각각이 기지국(120)에 접속되어 있어, 기지국(120)을 통해 통신 장치(130)와 통신 가능하다.
제1 단말기(110A)는, 예를 들어 통신부(111)와, 제어부(112)를 구비한다. 통신부(111)는, 자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120)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11)는 기지국(120)을 통해, 통신 장치(13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다.
제어부(112)는, 통신부(111)에 의한 통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는 통신부(111)에 대해 제1 단말기(110A)(자 단말기)와 제2 단말기(110B)(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는, 통신 장치(13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제1 경로에 의한 통신과, 제2 경로에 의한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신부(111)에 실행시킨다.
제1 경로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경로이며, 제2 경로보다 짧은 경로(단축 경로)이다. 제2 경로보다 짧은 경로라 함은, 예를 들어 제2 경로보다 지연이 작은 경로나, 제2 경로보다 패스 수가 적어지는 경로 등이다. 이러한 제1 경로를,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턴 경로」라고 호칭한다. 예를 들어,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또는,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네트워크(101)의 장치,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여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30)가 네트워크(101)를 통하지 않고 기지국(120)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리턴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제2 경로는,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는 비 리턴 경로이다. 이하, 제2 경로가 비 리턴 경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비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네트워크(101)의 장치, 통신 장치(130), 네트워크(101)의 장치,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를 포함하는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이 경로는, 외부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경로여도 된다. 또한, 비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네트워크(101)의 장치, 통신 장치(130), 외부 네트워크, 통신 장치(130), 네트워크(101)의 장치,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여도 된다. 외부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0)가 접속된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이다.
또한, 통신 장치(130)가 네트워크(101)를 통하지 않고 기지국(120)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비 리턴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통신 장치(130),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를 포함하는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이 경로는, 통신 장치(130)와 기지국(120) 사이에 복수의 라우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여도 된다. 또는, 비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기지국(120), 통신 장치(130), 외부 네트워크, 통신 장치(130), 기지국(120),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여도 된다.
이러한 제1 단말기(110A)의 구성과 통신의 경로는, 제2 단말기(110B)의 구성과 통신의 경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20)은, 예를 들어 통신부(121)와, 제어부(122)를 구비한다. 통신부(121)는, 자국에 접속된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와의 사이에서 각각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121)는, 통신 장치(13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에 대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의 통신을 중계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는, 통신 장치(13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21)에 대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 있어서의, 리턴 경로 또는 비 리턴 경로를 설정시킨다.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통신부(131)와, 제어부(132)를 구비한다. 통신부(131)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를 행한다.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는, 일례로서는, 대상 단말기와 통신 장치(130)(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예를 들어, 통신로)를 설정하는 순서이다. 이하,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가, 대상 단말기와 통신 장치(130)(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예를 들어, 통신로)를 설정하는 순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부(131)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통신부(131)는, 대상 단말기에 대한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에 있어서, 대상 단말기와 통신 장치(130)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인 기지국(120)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통신부(131)는, 대상 단말기에 대한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에 있어서, 대상 단말기와,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120)의 대응 정보를 취득한다.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는, 예를 들어 단말기의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이다. 또한,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NAS(Non Access Stratum: 비액세스층) 초기 어태치 순서이다. 이에 의해, 대상 단말기와,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120)의 대응 정보를 조기에 취득할 수 있다.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는, 후술하는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여도 된다. NAS 초기 어태치 순서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는,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네트워크에의 등록 수속이다. 단,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각종 처리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1)는,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에 있어서,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부(131)는, 수신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다. 즉, 통신부(131)는, 수신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대상 단말기와,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의 대응 정보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30)는,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기와 기지국의 대응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당해 식별자를 통지하기 위한 전용 제어 신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기존의 베어러의 설정 순서로 수신하는 신호로부터 대응 정보를 취득하는 것만으로 리턴 통신의 가부를 판단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양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단, 통신부(131)가 대응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부(131)는, 수신한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대상 단말기나 베어러의 식별자를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통신부(131)는, 취득한 단말기나 베어러의 식별자와, 단말기나 베어러의 식별자와 기지국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함으로써 대응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는, 통신부(131)는, 취득한 단말기나 베어러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기지국을 다른 통신 장치에 문의함으로써 대응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32)는, 통신부(131)에 의해 취득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로서 리턴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지 않고 비 리턴 경로보다 짧은 경로에 의해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가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 리턴 경로에 포함되고, 또한 리턴 경로에 포함되지 않는 구간에 있어서의 트래픽 유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비 리턴 경로에 포함되고, 또한 리턴 경로에 포함되지 않는 구간은,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0)와 네트워크(101) 사이의 구간 또는 통신 장치(130)와 기지국(120) 사이의 구간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32)는,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2)는,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 리턴 경로를 설정시킨다. 또한, 제어부(132)는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 리턴 경로를 설정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비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실행된다.
또는, 제어부(132)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이 경우에, 제어부(132)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 리턴 경로를 설정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비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실행된다.
또한, 제어부(132)는,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리턴 경로를 설정시키는 제어에 있어서, 통신부(131)를 제어하여,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에, 제어부(132)는,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중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개별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저장하여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30)는,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존의 개별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저장하여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의 제어 신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존의 베어러의 설정 순서로 송신하는 신호에 저장하는 것만으로 송신하여, 리턴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양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0)와 제1 단말기(110A) 사이의 중계 장치에 의한,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전송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중계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기지국(120)이다. 이 경우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120)(국 내 리턴) 또는 제2 단말기(110B)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120)에 대해,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단말기(110B)로 배송하도록 설정시킬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30)와 제1 단말기(110A) 사이의 중계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101)의 장치여도 된다. 이 경우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로서,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20B)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101)의 장치에 대해,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기지국(120B)으로 배송하도록 설정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101)의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1)의 장치(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1 SGW(441) 및 제2 SGW(4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또한,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110B)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101)의 복수의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1 SGW(441) 및 제2 SGW(44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101)의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를 전환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110B)를 향해 리턴하는 네트워크(101)의 게이트웨이를,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에 설정되어 있던 게이트웨이와는 상이한 게이트웨이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경로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단말기(110A)는, 제1 단말기(110A)와 통신 장치(130) 사이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에 있어서,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제어 정보를, 통신 장치(130)를 수신처로 하여 송신해도 된다. 제1 단말기(110A)와 통신 장치(130) 사이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와 통신 장치(130) 사이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이다.
이와 같이, 제1 단말기(110A)는,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제어 정보를, 기존의 베어러의 설정 순서로 송신하는 신호에 저장하여 통신 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의 제어 신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제어 정보를, 기존의 베어러의 설정 순서로 송신하는 신호에 저장하는 것만으로 송신하여, 통신 장치(130)에 대해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리턴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단말기(110A)와 통신 장치(130) 사이의 제어 신호의 양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단말기가 상이한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각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부분과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가 모두 기지국(12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비해, 도 2에 있어서는 제1 단말기(110A)가 제1 기지국(120A)에 접속되고, 제2 단말기(110B)가 제2 기지국(120B)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은, 기지국(120)에 대응하는 기지국이며, 서로 다른 기지국이다. 또한,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은, 예를 들어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또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비 리턴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네트워크(101)의 장치, 통신 장치(130), 네트워크(101)의 장치,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또한, 비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네트워크(101)의 장치, 통신 장치(130), 외부 네트워크, 통신 장치(130), 네트워크(101)의 장치,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30)가 네트워크(101)를 통하지 않고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비 리턴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통신 장치(130),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또한, 비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통신 장치(130), 외부 네트워크, 통신 장치(130),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여도 된다.
또한, 리턴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또는, 리턴 경로는,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네트워크(101)의 장치,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30)가 네트워크(101)를 통하지 않고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리턴 경로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제1 기지국(120A), 제2 기지국(120B), 제2 단말기(110B)의 순으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도 2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에 있어서, 대상 단말기와,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120)의 대응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30)는, 취득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로서, 리턴 경로 또는 비 리턴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리턴 경로 또는 비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와 제1 단말기(110A) 사이의 중계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제1 기지국(120A)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로서,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20B)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1 기지국(120A)에 대해 제1 단말기(110A)로부터의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기지국(120B)으로 배송하도록 설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통신 장치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각 스텝을 실행한다. 먼저, 통신 장치(130)는, 서로 통신을 행하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 단말기와,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의 대응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1). 또한, 통신 장치(130)는, 스텝 S301을,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순서에 있어서 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30)는, 스텝 S301에 의해 취득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사이의 리턴 경로의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2). 리턴 경로의 설정이 가능한 경우(스텝 S302: "예")는, 통신 장치(130)는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각 단말기)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로서, 리턴 경로를 설정시키는 제어를 행하고(스텝 S303),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와 제2 단말기(110B) 사이에서,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을 실행시킬 수 있다.
스텝 S302에 있어서, 리턴 경로의 설정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스텝 S302: "아니오")는, 통신 장치(130)는, 리턴 경로의 설정을 행하지 않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 사이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130)를 경유하는 비 리턴 경로에 의한 통신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통신 장치(130)가,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와 그 접속처(예를 들어, 기지국(120))의 대응 정보를,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각 순서에 있어서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에 의한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베어러를 설정한 후에, 각 단말기에 대해 접속처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리턴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비해, 리턴 경로를 조기에 설정하고, 리턴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 형태 2에 대응하는 구성 예에 대해, 실시 형태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과 실시 형태 2에 기재된 구성을 구상화한 실시 형태이기 때문에, 실시 형태 1과 2를 조합하여 실시해도 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무선 액세스망(401)과, 패킷 코어망(402)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일례로서는 3GPP에 있어서 규정된 LTE나 LTE-Advanced 등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이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통신 규격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액세스망(401)은, 제1 UE(411)(User Equipment: 유저 단말기)와, 제2 UE(412)와, 제1 eNB(421)(evolved Node B)와, 제2 eNB(422)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망(401)은, 일례로서는 3GPP에 있어서 규정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패킷 코어망(402)은, 제1 MME(431)(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 엔티티)와, 제2 MME(432)와, 제1 SGW(441)와, 제2 SGW(442)와, PGW(450)를 포함한다. 패킷 코어망(402)은, 일례로서는 3GPP에 있어서 규정된 EPC이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3GPP에 규정된 코어 네트워크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제1 UE(411)는, 제1 eNB(421)의 셀에 재권하고, 제1 eNB(421)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이다. 제1 UE(411)는, 일례로서는, 제1 eNB(421), 제1 SGW(441) 및 PGW(450)를 경유하는 경로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제1 UE(411)와 통신을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는, 일례로서는, 제1 UE(411)와 상이한 통신 단말기나 서버 등이다. 제1 UE(411)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은, 일례로서는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신이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UE(412)는, 제2 eNB(422)의 셀에 재권하고, 제2 eNB(422)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이다. 제2 UE(412)는, 일례로서는 제2 eNB(422), 제2 SGW(442) 및 PGW(450)를 경유하는 경로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제2 UE(412)와 통신을 행하는 다른 통신 장치는, 일례로서는 제2 UE(412)와 상이한 통신 단말기나 서버 등이다. 제2 UE(412)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은, 일례로서는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신이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성 통신은, 일례로서는 VoLTE(Voice over LTE)이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eNB(421)는, 셀을 형성하고, 자 셀에 재권하는 제1 UE(411)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이다. 제1 eNB(421)는, 제1 UE(411)와 제1 SGW(441)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제2 eNB(422)는, 셀을 형성하고, 자 셀에 재권하는 제2 UE(412)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이다. 제2 eNB(422)는, 제2 UE(412)와 제2 SGW(442)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제1 eNB(421)와 제2 eNB(422) 사이는, 예를 들어 물리적 또는 논리적인 기지국간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기지국간 인터페이스는, 일례로서는 X2 인터페이스이지만, 기지국간 인터페이스는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MME(431)는, 제1 eNB(421)를 수용하고, 제1 eNB(421)를 경유하는 통신에 있어서의 C-plane(Control plane)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1 MME(431)는, 제1 eNB(421)를 통한 제1 UE(411)의 통신에 있어서의 C-plane의 처리를 행한다. C-plane는, 예를 들어 각 장치 사이에서 통화나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군이다. 일례로서는, C-plane는, 패킷 콜의 접속,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 핸드 오버의 제어 등에 사용된다.
제2 MME(432)는, 제2 eNB(422)를 수용하고, 제2 eNB(422)를 경유하는 통신에 있어서의 C-plane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2 MME(432)는, 제2 eNB(422)를 통한 제2 UE(412)의 통신에 있어서의 C-plane의 처리를 행한다.
제1 SGW(441)는, 제1 eNB(421)를 수용하고, 제1 eNB(421)를 경유하는 통신에 있어서의 U-plane(User plane)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1 SGW(441)는, 제1 UE(411)의 통신에 있어서의 U-plane의 처리를 행한다. U-plane는, 유저 데이터(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기능 군이다.
제2 SGW(442)는, 제2 eNB(422)를 수용하고, 제2 eNB(422)를 경유하는 통신에 있어서의 U-plane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2 SGW(442)는, 제2 UE(412)의 통신에 있어서의 U-plane의 처리를 행한다.
PGW(450)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외부 네트워크는, 일례로서는 인터넷이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PGW(450)는, 예를 들어 제1 SGW(441)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를 중계한다. 또한, PGW(450)는, 제2 SGW(442)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를 중계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UE(411)와 제2 UE(412) 사이에서, PGW(450)에 있어서 리턴하는 경로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는, PGW(450)는, 제1 SGW(441)와 제2 SGW(442) 사이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를 중계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UE(411) 및 제2 UE(412)가 서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의 통신은, 일례로서는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신이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일례로서는, 제1 eNB(421), 제1 SGW(441), PGW(450), 제2 SGW(442) 및 제2 eNB(422)를 경유하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다른 일례로서는, eNB에서 리턴하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제1 eNB(421) 및 제2 eNB(422)를 경유하고, 제1 SGW(441), PGW(450) 및 제2 SGW(442)를 경유하지 않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1 eNB(421)와 제2 eNB(422) 사이의 기지국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이 행해진다.
또한,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다른 일례로서는, SGW에서 리턴하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제1 eNB(421), 제1 SGW(441) 및 제2 eNB(422)를 경유하고, PGW(450) 및 제2 SGW(442)를 경유하지 않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는,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제1 eNB(421), 제2 SGW(442) 및 제2 eNB(422)를 경유하고, 제1 SGW(441) 및 PGW(450)를 경유하지 않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단, 제1 UE(411) 및 제2 UE(412)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의 리턴 경로는, eNB나 SGW에서 리턴하는 각 경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패킷 코어망(402)에 포함되는 각 통신 장치(예를 들어, PGW(450))에 있어서 리턴하는 경로로 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는, 예를 들어 제1 UE(411) 및 제2 UE(41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기지국(120)이나 도 2에 나타낸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은, 예를 들어 제1 eNB(421) 및 제2 eNB(42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제1 SGW(441), 제2 SGW(442) 또는 PGW(45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통신 장치(130)를 PGW(450)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네트워크(101)에 포함되는 게이트웨이는, 예를 들어 제1 SGW(441) 및 제2 SGW(44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에 나타낸 통신 장치(130)를 PGW(450)에 의해 실현하고, 도 1, 도 2에 나타낸 네트워크(101)에 포함되는 게이트웨이를 제1 SGW(441) 및 제2 SGW(442)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기지국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eNB(421) 및 제2 eNB(422) 각각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기지국(5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500)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510)와, 제어부(520)와, 기억부(530)와, 통신부(54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510)는, 무선 송신부(511)와, 무선 수신부(512)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무선 송신부(511)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5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512)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5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제어부(520)는, 다른 무선국으로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부(511)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무선 수신부(512)에 의해 수신된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취득한다. 제어부(520)는, 후술하는 기억부(530)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후술하는 통신부(540)와의 사이에서, 다른 통신 장치 등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520)는, 이들 이외에도, 기지국(500)에 있어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530)는,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통신부(540)는, 예를 들어 유선 신호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1에 나타낸 기지국(120)이나 도 2에 나타낸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의 통신부(121)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510) 및 통신부(54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기지국(120)이나 도 2에 나타낸 제1 기지국(120A) 및 제2 기지국(120B)의 제어부(122)는, 예를 들어 제어부(52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UE(411) 및 제2 UE(412)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단말기(6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와, 제어부(620)와, 기억부(63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610)는, 무선 송신부(611)와, 무선 수신부(612)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무선 송신부(611)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6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612)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6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제어부(620)는, 다른 무선국으로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부(611)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무선 수신부(612)에 의해 수신된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취득한다. 제어부(620)는, 후술하는 기억부(630)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후술하는 통신부와의 사이에서, 다른 통신 장치 등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620)는, 이들 이외에도, 단말기(600)에 있어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630)는,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의 통신부(111)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61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제1 단말기(110A) 및 제2 단말기(110B)의 제어부(112)는, 예를 들어 제어부(62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게이트웨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PGW(450)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게이트웨이(7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700)는, 예를 들어 제어부(710)와, 기억부(720)와, 통신부(730)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710)는, 후술하는 기억부(720)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710)는 후술하는 통신부(730)와의 사이에서, 다른 통신 장치 등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710)는, 이들 이외에도, 게이트웨이(700)에 있어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720)는,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통신부(730)는, 예를 들어 유선 신호에 의해,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통신 장치(130)의 통신부(131)는, 예를 들어 통신부(73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통신 장치(130)의 제어부(132)는, 예를 들어 제어부(71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기지국(500)은,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기지국(8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기지국(800)은, 안테나(811)와, RF 회로(812)와, 프로세서(813)와, 메모리(814)와, 네트워크 IF(815)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버스를 통해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811)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811)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공용 안테나여도 된다. RF 회로(812)는, 안테나(8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나, 안테나(811)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RF(Radio Frequency: 고주파) 처리를 행한다. RF 처리에는, 예를 들어 기저 대역대와 RF대의 주파수 변환이 포함된다.
프로세서(8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다. 또한, 프로세서(813)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대규모 집적 회로) 등의 디지털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메모리(814)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메모리(814)는, 예를 들어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네트워크 IF(815)는, 예를 들어 유선에 의해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815)는, 예를 들어 기지국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Xn 인터페이스를 포함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무선 통신부(510)는, 예를 들어 안테나(811) 및 RF 회로(81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제어부(52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813)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기억부(530)는, 예를 들어 메모리(814)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통신부(54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IF(815)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단말기(600)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단말기(9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단말기(900)는, 예를 들어 안테나(911)와, RF 회로(912)와, 프로세서(913)와, 메모리(914)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버스를 통해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911)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911)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공용 안테나여도 된다. RF 회로(912)는, 안테나(9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나, 안테나(911)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RF 처리를 행한다. RF 처리에는, 예를 들어 기저 대역대와 RF대의 주파수 변환이 포함된다.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CPU나 DSP 등이다. 또한, 프로세서(913)는 ASIC, FPGA, LSI 등의 디지털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메모리(914)는, 예를 들어 SDRAM 등의 RAM, ROM,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메모리(914)는, 예를 들어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도 6에 나타낸 무선 통신부(610)는, 예를 들어 안테나(911) 및 RF 회로(91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제어부(62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913)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기억부(630)는, 예를 들어 메모리(914)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게이트웨이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게이트웨이(700)는,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게이트웨이(10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0)는, 프로세서(1011)와, 메모리(1012)와, 네트워크 IF(101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버스를 통해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011)는, 예를 들어 CPU나 DSP 등이다. 또한, 프로세서(1011)는 ASIC, FPGA, LSI 등의 디지털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메모리(1012)는, 예를 들어 SDRAM 등의 RAM, ROM,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메모리(1012)는 예를 들어 유저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네트워크 IF(1013)는, 예를 들어 유선에 의해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1013)는, 예를 들어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S1 인터페이스나, PGW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S5 인터페이스를 포함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제어부(71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1)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기억부(720)는, 예를 들어 메모리(101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통신부(73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IF(1013)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각 스텝이 실행된다. 도 11에 있어서는, 제1 UE(411)가 제1 eNB(421)에 접속되고, 제2 UE(412)가 제2 eNB(422)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UE(411)와 PGW(450) 사이의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NAS 초기 어태치 순서가 행해진다(스텝 S1101). 디폴트 베어러는, 제1 UE(411)와 PGW(450) 사이에서 최초에 설정되는 베어러이다. 스텝 S1101의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는, 일례로서는 3GPP의 TS23.401의 5.3.2.1(E-UTRAN Initial Attach)에 규정된 순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 S1101의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는, 제1 SGW(441)가,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Modify Bearer Request)를 PGW(450)로 송신하는 스텝 S1101-1이 포함된다. PGW(450)는, 스텝 S1101-1에 의해 수신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을 기억한다(스텝 S1101-2). PGW(450)에 의한 기억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기억부(720)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1101-2에 있어서, PGW(450)는, 수신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제1 UE(411) 및 제1 eNB(421)의 각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한 각 식별자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예를 들어,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는, 제1 UE(411)의 식별자나, 제1 UE(411)가 접속되어 있는 제1 eNB(421)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고, PGW(450)는,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식별자를 취득할 수 있다.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제1 UE(411)의 식별자는, 일례로서는 MEI(ME Identity)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제1 eNB(421)의 식별자는, 일례로서는 eNodeB address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는, 제1 UE(411)와 PGW(450) 사이의 베어러 식별자(예를 들어, 베어러 ID)가 포함되어 있고, PGW(450)는, 이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UE(411) 및 제1 eNB(421) 중 적어도 한쪽의 식별자를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PGW(450)는, 베어러의 식별자와, 제1 UE(411) 및 제1 eNB(421) 중 적어도 한쪽의 식별자의 대응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 경우는, PGW(450)는,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베어러의 식별자 및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UE(411) 및 제1 eNB(421) 중 적어도 한쪽의 식별자를 취득할 수 있다.
또는, PGW(450)는,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베어러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1 MME(431)에의 문의를 행함으로써, 제1 UE(411) 및 제1 eNB(421) 중 적어도 한쪽의 식별자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식별자의 문의처는, 제1 MME(431)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HSS(Home Subscriber Server: 홈 가입자 서버)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PGW(450)는, 제1 UE(411)와의 사이의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있어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을 기억한다. 또한, PGW(450)는, 제2 UE(4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2 UE(412)와의 사이의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있어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한다.
다음으로, 제1 UE(411)와 PGW(450) 사이의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가 행해진다(스텝 S1102). 스텝 S1102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는, 일례로서는 3GPP의 TS 23.401의 5.3.4(Service Request procedures)에 규정된 순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Data)를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103).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103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1 SGW(441)로 송신한다(스텝 S1104). 다음으로, 제1 SGW(441)가, 스텝 S1104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PGW(450)로 송신한다(스텝 S1105).
다음으로, PGW(450)가,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가 제1 eNB(421)에 있어서 리턴 가능한 것을 검출한다(스텝 S1106). 스텝 S1106에 있어서, PGW(450)는, 스텝 S1101-2에 의해 기억한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이나, 스텝 S1101-2와는 별도로 기억한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에 기초하여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GW(450)는, 제1 UE(411)로부터의 최초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의 IP 헤더를 해석함으로써 수신처가 제2 UE(412)인 것을 특정한다. 최초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스텝 S1102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 후의 최초의 유저 데이터(퍼스트 패킷)이다.
예를 들어, 제1 UE(411)는 제1 eNB(421)에 접속되고, 제2 UE(412)는 제2 eNB(4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eNB(421) 및 제2 eNB(422)는 모두 PGW(450)의 관리하의 기지국이며 서로 통신 가능하다. 이것으로부터, PGW(450)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eNB(421)에 있어서 리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PGW(450)는, 스텝 S1105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SGW(442)로 송신한다(스텝 S1107). 또한, 스텝 S1106과 스텝 S1107의 순서는 바꾸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SGW(442)가, 스텝 S1107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eNB(422)로 송신한다(스텝 S1108). 다음으로, 제2 eNB(422)가, 스텝 S1108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UE(412)로 송신한다(스텝 S1109). 이에 의해, 스텝 S1103에 있어서 제1 UE(411)가 송신한 데이터가 제2 UE(412)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PGW(450)는, 제1 UE(411)의 개별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Create Bearer Request)를 제1 SGW(441)로 송신한다(스텝 S1110). 스텝 S1110에 의해 송신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는, 일례로서는 3GPP의 TS23.401의 5.4.1(Dedicated bearer activation)에 규정된 「Create Bearer Request」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PGW(450)는, 스텝 S1106에 의해, 리턴 가능한 것을 검출하였기 때문에, 스텝 S1110에 있어서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리턴처가 되는 제2 eNB(422)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에 의해, 리턴처가 되는 제2 eNB(422)의 식별자를 제1 MME(431)로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SGW(441)가, 스텝 S1110에 의해 수신한, 제2 eNB(422)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를 제1 MME(431)로 송신한다(스텝 S1111).
다음으로, 제1 MME(431)가, 스텝 S1111에 의해 수신한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제2 eNB(422)의 식별자에 기초하는 E-RAB 셋업(E-RAB Setup)을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112). 스텝 S1112에 의해 송신되는 E-RAB 셋업은, 제1 eNB(421)에 대해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를 제2 eNB(422)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이다.
이 E-RAB 셋업은, 예를 들어 3GPP의 TS36. 413에 있어서는 「E-RAB Setup」으로서 규정되어 있지만, 3GPP의 TS23.401의 5.4.1(Dedicated bearer activation)에 있어서는 「Bearer Setup Request」로서 규정되어 있다. 단, 스텝 S1112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형식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112에 의해 수신한 E-RAB 셋업에 기초하여,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eNB(421)에 있어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설정한다(스텝 S1113). 리턴 패스는, PGW(450)를 경유하지 않는 리턴 경로이다. 즉, 제1 eNB(421)는,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를 제2 eNB(422)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스텝 S1113에 의해 설정된 리턴 패스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즉, 먼저,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114).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114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eNB(422)로 송신한다(스텝 S1115). 다음으로, 제2 eNB(422)가, 스텝 S1115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UE(412)로 송신한다(스텝 S1116).
예를 들어 스텝 S1115에 있어서,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의 송신은, 제1 eNB(421)와 제2 eNB(422) 사이의 기지국간 인터페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이 기지국간 인터페이스는, 제1 eNB(421)와 제2 eNB(422) 사이를 직접 접속하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다른 장치를 경유하여 제1 eNB(421)와 제2 eNB(422) 사이를 접속하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또한, PGW(450)는, 스텝 S1110에 있어서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eNB(421)에 있어서 리턴하는 것을 명시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eNB(421)에 있어서, 후술하는 SGW(예를 들어, 제1 SGW(441))에서의 리턴과 구별하여, 제1 eNB(421)에 있어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단,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eNB(421)에 있어서 리턴하는 것을 명시하는 제어 정보를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저장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는, 제1 eNB(421)는, 제1 UE(411) 및 제2 UE(412)에 관한 각 접속 관계에 기초하여, 자국에 의한 리턴인지, 후술하는 SGW에 의한 리턴인지를 자율적으로 판단해도 된다.
이와 같이, PGW(450)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를 이용하여,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과,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 전에, 제1 UE(411) 및 제2 UE(412) 각각에 대해 접속처인 기지국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리턴 패스의 설정 지연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UE(411) 및 제2 UE(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을 희망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텝 S1101의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있어서 송신해도 된다. 일례로서는,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을 희망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3GPP의 TS23.401의 5.3.2.1(E-UTRAN Initial Attach)에 규정된 「Attach Request」 등, UE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에 저장할 수 있다.
단, 리턴 패스를 설정하는 계기는, 제1 UE(411)나 제2 UE(412)로부터의 요구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계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MME(431)나 제2 MME(432)가, 제1 UE(411)나 제2 UE(412)의 서비스 종별에 기초하여 리턴 패스의 설정을 결정해도 된다. 일례로서는, 제1 UE(411)나 제2 UE(412)의 통신의 종별이 QoS 클래스가 높은 서비스(예를 들어, VoIP)인 경우에, 제1 MME(431)나 제2 MME(432)가 자율적으로 리턴 패스 설정을 행해도 된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각 스텝이 실행되어도 된다. 도 12에 나타낸 스텝 S1201 내지 S1216은,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01 내지 S1116과 마찬가지이다.
단, 스텝 S1202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는, 제1 SGW(441)가 PGW(450)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Modify Bearer Request)를 송신하는 스텝 S1202-1이 포함된다. 그리고, PGW(450)는, 스텝 S1202-1에 의해 수신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을 기억한다(스텝 S1202-2). 또한, 도 12에 나타낸 스텝 S1202-2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도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PGW(450)는, 제1 UE(411)와의 사이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 있어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을 기억한다. 또한, PGW(450)는, 제2 UE(4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2 UE(412)와의 사이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 있어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한다.
이에 의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도 11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PGW(450)는,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과,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스텝 S1201의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있어서는, PGW(450)는,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과,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PGW(450)는, 각 UE(제1 UE(411) 및 제2 UE(412)) 중 한쪽에 대해서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대응을 기억하고, 각 UE 중 다른 쪽에 대해서는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대응을 기억해도 된다.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각 스텝이 실행되어도 된다. 도 13에 있어서는, 제1 UE(411) 및 제2 UE(412)가 모두 제1 eNB(42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301 내지 S1306은,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01 내지 S1106과 마찬가지이다. 스텝 S1306 다음에, PGW(450)는, 스텝 S1305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1 SGW(441)로 송신한다(스텝 S1307). 또한, 스텝 S1306과 스텝 S1307의 순서는 바꾸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SGW(441)가, 스텝 S1307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308).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308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UE(412)로 송신한다(스텝 S1309). 이에 의해, 스텝 S1303에 있어서 제1 UE(411)가 송신한 데이터가 제2 UE(412)에 의해 수신된다.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310 내지 S1313은,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10 내지 S1113과 마찬가지이다. 단, PGW(450)는, 스텝 S1310에 있어서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리턴처로서 제1 eNB(421)의 식별자를 저장함으로써, 제1 SGW(441)로 제1 eNB(421)의 식별자를 통지한다.
또한, 스텝 S1312에 의해 송신되는 E-RAB 셋업은, 제1 eNB(421)에 대해 데이터의 배송처를 제1 eNB(421)로 변경, 즉 제1 eNB(421)의 국 내에 있어서 리턴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된다. 그리고, 스텝 S1313에 있어서, 제1 eNB(421)는,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를, 자국의 관리하의 제2 eNB(422)로 직접 송신하도록 리턴 패스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는, 이하와 같이, 스텝 S1313에 의해 설정된 리턴 패스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즉, 먼저,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314).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314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UE(412)로 송신한다(스텝 S1315).
또한, 도 13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UE(제1 UE(411) 및 제2 UE(412))의 접속처인 기지국의 파악을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 있어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는,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제2 UE(412)로부터 제1 UE(411)로도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제2 UE(412)로부터 제1 UE(411)로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리턴 패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리턴 패스에 의한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PGW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PGW(450)는,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각 스텝을 실행한다. 도 14에 있어서는, 도 11,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S 초기 어태치 순서를 이용하여,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과,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PGW(450)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PGW(450)는, UE(예를 들어 제1 UE(411))와의 사이에서 NAS 초기 어태치 순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01). UE와의 사이에서 NAS 초기 어태치 순서가 발생한 경우(스텝 S1401: "예")는, PGW(450)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있어서 UE로부터 수신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UE와 기지국의 대응을 기억하고(스텝 S1402), 스텝 S1401로 되돌아간다.
스텝 S1401에 있어서, UE와의 사이에서 NAS 초기 어태치 순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스텝 S1401: "아니오")는, PGW(450)는, UE(예를 들어,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03). UE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1403: "아니오")는, PGW(450)는, 스텝 S1401로 되돌아간다.
스텝 S1403에 있어서, UE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스텝 S1403: "예")는, PGW(450)는, 데이터를 수신한 UE로부터의 데이터가 리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04). 스텝 S1404의 판단은, 수신한 데이터의 송신원의 UE와, 수신한 데이터의 송신처의 UE의 각각에 대해, 스텝 S1402에 의해 대응시켜 기억한 기지국을 특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스텝 S1404에 있어서, 데이터가 리턴 가능하지 않은 경우(스텝 S1404: "아니오")는, PGW(450)는, 스텝 S1406으로 이행한다. 데이터가 리턴 가능한 경우(스텝 S1404: "예")는, PGW(450)는, 리턴처의 기지국(예를 들어, 제2 eNB(422))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를 송신한다(스텝 S1405). 예를 들어, PGW(450)는, 수신한 데이터의 베어러를 제어하는 MME(예를 들어, 제1 MME(431))로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PGW(450)는, 수신한 데이터를, 당해 데이터의 수신처를 향해 전송하고(스텝 S1406), 스텝 S1401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UE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리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비해, 수신한 데이터가 퍼스트 패킷이 아닌 경우는, PGW(450)는, 스텝 S1404, S1405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1406으로 이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 후의 퍼스트 패킷에 있어서만 리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리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이후의 패킷에 대해서는 리턴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을 생략하여, 처리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PGW에 의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PGW(450)는,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낸 각 스텝을 실행해도 된다. 도 15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과,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PGW(450)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PGW(450)는, UE(예를 들어, 제1 UE(411))와의 사이에서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01). UE와의 사이에서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가 발생한 경우(스텝 S1501: "예")는, PGW(450)는,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 있어서 UE로부터 수신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UE와 기지국의 대응을 기억하고(스텝 S1502), 스텝 S1501로 되돌아간다.
스텝 S1501에 있어서, UE와의 사이에서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스텝 S1501: "아니오")는, PGW(450)는, 스텝 S1503으로 이행한다. 도 15에 나타낸 스텝 S1503 내지 S1506은, 도 14에 나타낸 스텝 S1403 내지 S1406과 마찬가지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eICBD에 의한 단말기간의 통신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부분과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낸 UE(1611 내지 1614)는, 제1 UE(411) 및 제2 UE(412)에 대응하는 단말기이다. UE(1611 내지 1613)는, 제1 eNB(421)의 셀에 재권하는 UE이다. UE(1614)는, 제1 eNB(421)와는 상이한 eNB(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제2 eNB(422))의 셀에 재권하는 UE이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UE(1611) 및 UE(1612)가, 제1 eNB(421)에서 리턴하는 경로이며, 패킷 코어망(402)을 경유하지 않는 경로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하고 있다. 즉, UE(1611) 및 UE(1612) 각각은, 제1 eNB(421)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1 eNB(421)를 통해 통신을 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패킷 코어망(402)을 경유하지 않는 경로에 의해 UE(1611) 및 UE(1612)가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킷 코어망(402)의 트래픽 유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1개의 eNB(제1 eNB(421))를 경유하는 eICBD의 예(예를 들어, 도 13에 대응)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비해, 복수의 eNB(예를 들어, 제1 eNB(421) 및 제2 eNB(422))를 경유하는 eICBD를 행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SGW(441)나 제2 SGW(442)에서 리턴하는 경로와 같이, 패킷 코어망(402)을 경유하는 경로에 의해 eICBD(예를 들어, 도 11, 도 12에 대응)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PGW(450)가, 제1 UE(411)와 그 접속처(예를 들어, 제1 eNB(421))의 대응 정보를, 제1 UE(411)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PGW(450)가, 제2 UE(412)와 그 접속처(예를 들어, 제2 eNB(422))의 대응 정보를, 제2 UE(412)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PGW(450)는, 취득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리턴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리턴처(배송처)의 식별자를, 베어러의 생성을 요구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UE(411)와 제2 UE(412) 사이에, eNB(예를 들어, 제1 eNB(421))에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4에 대해, 실시 형태 3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기지국(예를 들어, 제1 eNB(421))에서 리턴하는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SGW(예를 들어, 제1 SGW(441))에서 리턴하는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1∼3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는, 제1 eNB(421)에서 리턴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 17에 있어서는, 제1 SGW(441)에서 리턴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스텝 S1701 내지 S1712는,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01 내지 S1112와 마찬가지이다. 단, 스텝 S1706에 있어서, PGW(450)는,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가 제1 SGW(441)에 있어서 리턴 가능한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1 UE(411)는 제1 eNB(421)에 접속되고, 제2 UE(412)는 제2 eNB(4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eNB(421) 및 제2 eNB(422)는, 모두 PGW(450)의 관리하의 기지국이며, 제1 SGW(441)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다. 이것으로부터, PGW(450)는,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SGW(441)에 있어서 리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스텝 S1712 다음에, 제1 eNB(421)가, 스텝 S1712에 의해 수신한 E-RAB 셋업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E-RAB 셋업 리스펀스를 제1 MME(431)로 송신한다(스텝 S1713). 또한, 제1 eNB(421)는, 스텝 S1713에 의해 송신하는 E-RAB 셋업 리스펀스에, 스텝 S1712에 의해 수신한 E-RAB 셋업에 포함되어 있는 제2 eNB(422)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스텝 S1713에 의해 송신되는 E-RAB 셋업 리스펀스는, 예를 들어 3GPP의 TS36. 413에 있어서는 「E-RAB Setup Response」로서 규정되어 있다. 한편, 3GPP의 TS23.401의 5.4.1(Dedicated bearer activation)에 있어서는 E-RAB 셋업 리스펀스는 「Bearer Setup Response」로서 규정되어 있다. 단, 스텝 S1713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형식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MME(431)가, 스텝 S1711에 의해 수신한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스펀스를 제1 SGW(441)로 송신한다(스텝 S1714). 또한, 제1 MME(431)는, 스텝 S1714에 의해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스펀스에, 스텝 S1713에 의해 수신한 E-RAB 셋업 리스펀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2 eNB(422)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스텝 S1714에 의해 송신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스펀스에는, 일례로서는 3GPP의 TS23.401의 5.4.1(Dedicated bearer activation)에 규정된 「Create Bearer Response」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스텝 S1714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형식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SGW(441)가,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SGW(441)에 있어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설정한다(스텝 S1715). 즉, 제1 SGW(441)는, 스텝 S1714에 의해 수신한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스펀스에 포함되어 있는 제2 eNB(422)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를 제2 SGW(442)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스텝 S1715에 의해 설정된 리턴 패스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즉, 먼저,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716).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716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1 SGW(441)로 송신한다(스텝 S1717). 다음으로, 제1 SGW(441)가, 스텝 S1717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eNB(422)로 송신한다(스텝 S1718). 다음으로, 제2 eNB(422)가, 스텝 S1718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UE(412)로 송신한다(스텝 S1719).
예를 들어 스텝 S1718에 있어서, 제1 SGW(441)로부터 제2 eNB(422)로의 데이터의 송신은, 제1 SGW(441)와 제2 eNB(422)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이 인터페이스는, 제1 SGW(441)와 제2 eNB(422) 사이를 직접 접속하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다른 장치를 경유하여 제1 SGW(441)와 제2 eNB(422) 사이를 접속하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또한, PGW(450)는, 스텝 S1710에 있어서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SGW(441)에 있어서 리턴하는 것을 명시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eNB(421), 제1 MME(431) 및 제1 SGW(441)에 있어서, 기지국(예를 들어, 제1 eNB(421))에서의 리턴과 구별하여, 제1 SGW(441)에 있어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단,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1 SGW(441)에 있어서 리턴하는 것을 명시하는 제어 정보를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저장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는, 제1 eNB(421)는, 제1 UE(411) 및 제2 UE(412)에 관한 각 접속 관계에 기초하여, 자국에 의한 리턴인지, 후술하는 SGW에 의한 리턴인지를 자율적으로 판단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각 UE와 eNB의 대응을 기억하는 처리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UE(411) 및 제2 UE(412)가 모두 제1 eNB(42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처리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PGW(450)에 의한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4, 도 15에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1 SGW(441)에 있어서의 리턴을 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개별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개별 베어러 액티베이션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각 신호를 사용하여, 리턴처의 제2 eNB(422)의 식별자를 제1 SGW(441)에 통지할 수 있다. 개별 베어러는, 디폴트 베어러에 대해 추가로 설정되는 베어러이다. 개별 베어러 액티베이션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각 신호는,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 E-RAB 셋업, E-RAB 셋업 리스펀스 및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스펀스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제1 eNB(421) 및 제2 eNB(422)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5, 도 8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제1 UE(411) 및 제2 UE(412)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6, 도 9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PGW(450)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7, 도 10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PGW(450)가, 제1 UE(411)와 그 접속처(예를 들어, 제1 eNB(421))의 대응 정보를, 제1 UE(411)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PGW(450)가, 제2 UE(412)와 그 접속처(예를 들어, 제2 eNB(422))의 대응 정보를, 제2 UE(412)의 베어러를 설정하는 NAS 초기 어태치 순서나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PGW(450)는, 취득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리턴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리턴처(배송처)의 식별자를, 베어러의 생성을 요구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UE(411)와 제2 UE(412) 사이에, SGW(예를 들어, 제1 SGW(441))에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에 대해, 실시 형태 4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송신 단말기(예를 들어, 제1 UE(411))에 대응하는 SGW(예를 들어, 제1 SGW(441))에서 리턴하는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비해,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는, 리턴 포인트를,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로부터, 수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예를 들어, 제2 SGW(442))로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5는, 실시 형태 1 내지 4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 형태 5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예를 들어, 도 17에 있어서는, 제1 SGW(441)에서 리턴하는 패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 18에 있어서는, 리턴 포인트를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스텝 S1801 내지 S1814는, 도 17에 나타낸 스텝 S1701 내지 S1714와 마찬가지이다. 단, 스텝 S1810에 있어서, PGW(450)는,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변경 후의 리턴처의 식별자로서 제2 SGW(442)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에 의해, 리턴처가 되는 제2 SGW(442)의 식별자를 제1 MME(431)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MME(431)는, 스텝 S1812에 있어서, 통지된 제2 SGW(442)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1 UE(411)의 SGW를 제2 SGW(442)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E-RAB 셋업을 제1 eNB(421)로 송신한다.
제1 eNB(421)는, 스텝 S1812에 의해 수신한 E-RAB 셋업에 포함되는 제2 SGW(442)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를,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변경한다(스텝 S1815). 또한, 스텝 S1813과 스텝 S1815의 순서는 바꾸어도 된다.
또한, 제1 MME(431)는, 스텝 S1813에 의해 E-RAB 셋업 리스펀스를 수신하면, 제2 SGW(442)에 대해 세션의 생성을 요구하는 크리에이트 세션 리퀘스트를 제2 SGW(442)로 송신한다(스텝 S1816). 또한, 스텝 S1814와 스텝 S1816의 순서는 바꾸어도 된다.
스텝 S1816에 의해 송신되는 크리에이트 세션 리퀘스트에는, 일례로서는 3GPP의 TS23.401의 5.5.1.1.3(X2-based handover with Serving GW relocation)에 규정된 「Create Session Request」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MME(431)는, 스텝 S1816에 의해, 디폴트 베어러(기정 콜)의 신규 작성과, 리턴 패스의 베어러(개별 콜) 등의 각 정보를 제2 SGW(442)로의 전송을 행하여 리로케이션을 발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UE(411)의 SGW가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제2 SGW(442)가, 스텝 S1816에 의해 수신한 크리에이트 세션 리퀘스트에 대한 크리에이트 세션 리스펀스를 제1 MME(431)로 송신한다(스텝 S1817). 스텝 S1817에 의해 송신되는 크리에이트 세션 리스펀스에는, 일례로서는 3GPP의 TS 23.401의 5.5.1.1.3(X2-based handover with Serving GW relocation)에 규정된 「Create Session Response」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SGW(442)는,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를 제2 SGW(442)에 있어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설정한다(스텝 S1818). 즉, 제2 SGW(442)는,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를 제2 eNB(422)로 설정한다. 또한, 제2 SGW(442)는, 데이터의 배송처가 되는 제2 eNB(422)의 식별자를, 예를 들어 스텝 S1816에 의해 전송된 정보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단, 제2 SGW(442)에 의한 제2 eNB(422)의 식별자의 취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스텝 S1818에 의해 설정된 리턴 패스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즉, 먼저, 제1 UE(411)가, 제2 UE(412)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를 제1 eNB(421)로 송신한다(스텝 S1819). 다음으로, 제1 eNB(421)가, 스텝 S1819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SGW(442)로 송신한다(스텝 S1820).
다음으로, 제2 SGW(442)가, 스텝 S1820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리턴하여 제2 eNB(422)로 송신한다(스텝 S1821). 다음으로, 제2 eNB(422)가, 스텝 S1821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제2 UE(412)로 송신한다(스텝 S1822).
또한, PGW(450)는, 스텝 S1810에 있어서 송신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의 리턴 포인트를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변경하는 것을 명시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eNB(421), 제1 MME(431) 및 제1 SGW(44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제1 SGW(441)에서의 리턴과 구별하여, 제2 SGW(442)에 있어서 리턴하는 리턴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단,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데이터의 리턴 포인트를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변경하는 것을 명시하는 제어 정보를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저장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서는, 제1 eNB(421), 제1 MME(431) 및 제1 SGW(441)는, 제1 UE(411) 및 제2 UE(412)에 관한 각 접속 관계에 기초하여, 제1 SGW(441)에 의한 리턴인지, 제2 SGW(442)에 의한 리턴인지를 자율적으로 판단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를 이용하여 각 UE와 eNB의 대응을 기억하는 처리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UE(411) 및 제2 UE(412)가 모두 제1 eNB(421)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처리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예에서는, 리턴 포인트를 즉시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변경하고, 제1 SGW(441)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우선은, 도 17에 나타낸 제1 SGW(441)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그 후에, 도 18에 나타낸 제2 SGW(442)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해도 된다.
PGW(450)는,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제1 SGW(441)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과, 도 18에 나타낸 제2 SGW(442)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에 의한 통신을 상황에 따라서 전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PGW(450)는, 제1 SGW(441) 및 제2 SGW(442)의 각 부하 상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각 SGW(제1 SGW(441) 및 제2 SGW(442))의 각 부하 상태에는, 예를 들어 각 SGW에 설정된 각 베어러의 수나, 각 SGW의 하드웨어 자원(예를 들어, CPU나 메모리)의 이용률 등 각종 부하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PGW(450)는, 제1 SGW(441)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와, 제2 SGW(442)에 있어서의 리턴 패스의 각 전송 지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각 패스의 전송 지연에는, 예를 들어 각 패스의 물리적인 전송 거리나, 각 패스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의 측정 결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PGW(450)는, 그 다른 각종 상황에 따라서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도 19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PGW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PGW(450)는,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낸 각 스텝을 실행한다. 도 19에 있어서는, 도 11,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S 초기 어태치 순서를 이용하여, 제1 UE(411)와 제1 eNB(421)의 대응과, 제2 UE(412)와 제2 eNB(422)의 대응을 기억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PGW(450)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스텝 S1901 내지 S1906은, 도 14에 나타낸 스텝 S1401 내지 S1406과 마찬가지이다. 단, 스텝 S1905에 있어서, PGW(450)는, 변경 후의 리턴처의 SGW(예를 들어, 제2 SGW(442))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또한, 실시 형태 5에 관한 PGW(450)는,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S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에 있어서 UE로부터 수신한 모디파이 베어러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UE와 기지국의 대응을 기억해도 된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제1 eNB(421) 및 제2 eNB(422)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5, 도 8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제1 UE(411) 및 제2 UE(412)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6, 도 9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PGW(450)의 구성은, 예를 들어 도 7, 도 10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제1 SGW(441)로부터 제2 SGW(442)로 리턴 포인트를 변경하는 경우에,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를 리턴하는 SGW를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크리에이트 베어러 리퀘스트에 저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턴 포인트가 되는 SGW를 변경하는 것에 의한 리턴 패스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UE(411)로부터의 데이터를 제2 UE(412)를 향해 리턴하는 SGW를, 예를 들어 NAS 초기 어태치 순서에 의해 제1 UE(411)에 설정되어 있던 제1 SGW(441)와는 상이한 제2 SGW(442)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턴 경로를 보다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6)
상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5는, 조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1 내지 5의 조합의 예를 실시 형태 6으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 3과 같이 기지국에서 리턴하는 패스에 의한 통신과, 실시 형태 4, 5와 같이 SGW에서 리턴하는 패스에 의한 통신을 상황에 따라서 전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PGW(450)는, 기지국에서 리턴하는 패스와, SGW에서 리턴하는 패스의 각 전송 지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각 패스의 전송 지연에는, 예를 들어 각 패스의 물리적인 전송 거리나, 각 패스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의 측정 결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PGW(450)는, 그 밖의 각종 상황에 따라서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통신에 대해서는 기지국에서 리턴하는 패스에 의한 통신을 사용하고, 제2 UE(412)로부터 제1 UE(411)로의 통신에 대해서는 SGW에서 리턴하는 패스에 의한 통신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4와 같이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에서 리턴하는 패스에 의한 통신과, 실시 형태 5와 같이 리턴 포인트를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로부터 수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로 변경한 패스에 의한 통신을 상황에 따라서 전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PGW(450)는,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에서 리턴하는 패스와, 리턴 포인트를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로부터 수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로 변경한 패스의 각 전송 지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각 패스의 전송 지연에는, 예를 들어 각 패스의 물리적인 전송 거리나, 각 패스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의 측정 결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PGW(450)는, 각 SGW(제1 SGW(441) 및 제2 SGW(442))의 각 부하 상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또는, PGW(450)는, 그 밖의 각종의 상황에 따라서 각 통신을 전환해도 된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UE(411)로부터 제2 UE(412)로의 통신에 대해서는 송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SGW에서 리턴하는 패스에 의한 통신을 사용하고, 제2 UE(412)로부터 제1 UE(411)로의 통신에 대해서는 리턴 포인트를 변경한 패스에 의한 통신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에 의하면, 리턴 통신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oSe를 이용하여 단말기간의 지리적인 가까움을 특정하고,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사이에서 리턴 통신을 실행시키는 방법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ProSe를 실장하고 있지 않은 단말기에는 리턴 통신을 실행시킬 수 없다. 또한, 기지국에의 ProSe 레이어의 실장을 요한다.
이에 비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말기나 기지국이 ProSe를 실장하고 있지 않아도, 리턴 경로를 효율적으로 설정하여 단말기 사이에서 리턴 통신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패킷 코어망 등에 있어서의 부하의 경감이나, 단말기간의 통신에 있어서의 지연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100, 400 : 무선 통신 시스템
101 : 네트워크
110A : 제1 단말기
110B : 제2 단말기
111, 121, 131, 540, 730 : 통신부
112, 122, 132, 520, 620, 710 : 제어부
120, 500, 800 : 기지국
120A : 제1 기지국
120B : 제2 기지국
130 : 통신 장치
401 : 무선 액세스망
402 : 패킷 코어망
411 : 제1 UE
412 : 제2 UE
421 : 제1 eNB
422 : 제2 eNB
431 : 제1 MME
432 : 제2 MME
441 : 제1 SGW
442 : 제2 SGW
450 : PGW
510, 610 : 무선 통신부
511, 611 : 무선 송신부
512, 612 : 무선 수신부
530, 630, 720 : 기억부
600, 900 : 단말기
700, 1000 : 게이트웨이
811, 911 : 안테나
812, 912 : RF 회로
813, 913, 1011 : 프로세서
814, 914, 1012 : 메모리
815, 1013 : 네트워크 IF
1611 내지 1614 : UE

Claims (10)

  1. 복수의 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접속처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상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접속처인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경유하고 자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통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수신한 상기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을 특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개별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에 저장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하나의 단말기 사이의 장치에 의한, 상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의 배송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상기 하나의 단말기와는 상이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 상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를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상기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신호를 상기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경로에 의한 통신을 요구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는, 비액세스층의 초기 어태치 순서 또는 비액세스층의 서비스 리퀘스트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복수의 단말기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상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경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접속처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경유하고 자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복수의 단말기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상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자 단말기의 접속처인 기지국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제어에 의해 자 단말기 및 타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경로이며, 자 단말기 및 타 단말기의 접속처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경유하고 상기 통신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를 사용하여, 상기 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복수의 단말기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 단말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순서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와 자 장치 사이의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상기 대상 단말기의 접속처의 기지국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와, 자국에 접속한 단말기 사이에서 각각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경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의 접속처인 자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경유하고 상기 통신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를 사용한, 상기 복수의 단말기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상기 통신부에 중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77023082A 2015-02-23 2015-02-23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 KR20170106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5099 WO2016135838A1 (ja) 2015-02-23 2015-02-23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端末および基地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433A true KR20170106433A (ko) 2017-09-20

Family

ID=5678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082A KR20170106433A (ko) 2015-02-23 2015-02-23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단말기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39620A1 (ko)
EP (1) EP3264823A4 (ko)
JP (1) JP6465200B2 (ko)
KR (1) KR20170106433A (ko)
CN (1) CN107409342B (ko)
WO (1) WO20161358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4724B2 (ja) * 2006-08-24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無線端末、無線中継装置及び制御装置
US20080189435A1 (en) * 2007-02-07 2008-08-07 Mavenir Systems, Inc. Intra-network switching
JP5169360B2 (ja) * 2008-03-21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5320618B2 (ja) * 2008-10-02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経路制御方法及び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装置
KR20100038563A (ko) * 2008-10-06 2010-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의 국부화 방법
JP5215900B2 (ja) * 2009-02-13 2013-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
EP2420077A1 (en) * 2009-04-17 2012-02-22 Panasonic Corporation Apparatus for management of local ip access in a segmen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038359A2 (en) * 2009-09-26 2011-03-31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rvices at a communication network edge
US20130089076A1 (en) * 2011-04-01 2013-04-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cal / remote ip traffic access and selective ip traffic offload service continuity
CN102740268B (zh) * 2011-04-07 2017-04-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分组数据网络网关及终端移动性管理的系统
US9949189B2 (en) * 2011-07-11 2018-04-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multiple cellular connections and/or interfaces
CN104025475B (zh) * 2011-10-03 2018-04-13 英特尔公司 装置到装置(d2d)通信机制
CN103428888B (zh) * 2012-05-25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直通隧道建立方法及系统
US9591679B2 (en) * 2012-09-17 2017-03-07 Blackberry Limited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922343B1 (en) * 2012-12-11 2019-0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ccess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CN104038919B (zh) * 2013-03-08 2017-09-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邻近通信建立方法、装置及系统
US20160073450A1 (en) * 2013-04-24 2016-03-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ferring Information for Selection of Radio Access Technology
JP5606603B1 (ja) * 2013-05-20 2014-10-15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sgw、端末、通信方法及び制御方法
KR102088721B1 (ko) * 2013-06-25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SDN 기반 LTE Network 구조 및 동작 방안
US9749910B2 (en) * 2013-07-19 2017-08-29 Lg Electr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equipment group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25698B2 (en) * 2014-07-03 2019-03-0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delivery and paging to a group of users in a network environment
US9538563B2 (en) * 2014-10-13 2017-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a user data path
US10531418B2 (en) * 2015-03-1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installed in vehicle in V2X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9342A (zh) 2017-11-28
JP6465200B2 (ja) 2019-02-06
JPWO2016135838A1 (ja) 2017-11-24
WO2016135838A1 (ja) 2016-09-01
CN107409342B (zh) 2020-12-29
EP3264823A4 (en) 2018-02-28
US20170339620A1 (en) 2017-11-23
EP3264823A1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1851B (zh) 中继传输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83895B (zh) 在切换过程期间获取按需系统信息的方法
JP6772281B2 (ja) 無線リソース制御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3028532B1 (en) Terminal device having a relay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relay function
CN108476496B (zh) 用于中继传输的方法和装置以及中继终端设备
CN102823296B (zh) 移动无线系统、访问点装置及切换处理方法
US888554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from multiple base station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6113075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8496330B (zh) 中继传输的方法和装置
JP578457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EP29479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4600508A (zh) Iab节点双连接建立的方法和通信装置
US934492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WO2016159841A1 (en) Service continuity
WO2014063319A1 (zh) 一种协作通信处理方法、基站及系统
CN102752818A (zh) 无线中继节点切换的处理方法及系统
US20200252901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ntrol station, and terminal
US201800637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handover control method
JP646520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端末および基地局
JP6632947B2 (ja) 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23113680A1 (en) Radio access nodes and methods for setting up a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7596690A (zh) 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113308B1 (ko) 위치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