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837A -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 Google Patents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837A
KR20170105837A KR1020160028996A KR20160028996A KR20170105837A KR 20170105837 A KR20170105837 A KR 20170105837A KR 1020160028996 A KR1020160028996 A KR 1020160028996A KR 20160028996 A KR20160028996 A KR 20160028996A KR 20170105837 A KR20170105837 A KR 20170105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wire
shield
wire passage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7140B1 (ko
Inventor
정명규
이가은
서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구조에 의하면,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고, 와이어 통로가 형성된 그로밋, 상기 와이어 통로를 지나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서 전자파를 차단하는 쉴드, 및 상기 그로밋을 관통하여 상기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측면에 노출되어 상기 쉴드와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GROUND STRUCTURE AND GROMMET UNIT HAVING THIS}
본 발명은 그라운드 구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센서 와이어를 감싸는 쉴드를 접지시켜 센서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구비한 환경친화 차량의 부품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배터리, 구동력을 출력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운행요구조건에 따라서 전류/전압을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각 부품들에는 센서들이 각각 사용되고 있으며, 각 센서들은 센서 와이어를 통해서 제어기로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각 센서 와이어가 하우징과 같은 부품을 관통하는 경우에, 이러한 센서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그로밋(GROMMET)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센서 와이어에 각종 전자기적 노이즈가 영향을 미쳐서 전기적인 신호를 왜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노이즈필터나 쉴드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쉴드(SHIELD)는 접지구조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쉴드에 별도의 접지와이어를 연결하고 이를 차체나 하우징에 연결하는 접지구조가 필요하다.
종래의 쉴드 접지장치는 쉴드를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와이어와; 접지와이어를 접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복수의 쉴드가 사용될 때에는 이를 정렬ㅇ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지지수단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접지와이어, 고정스크류, 지지수단 및 고정스크류를 결합시키기 위해 접지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가 상대적으로 너무 많을 뿐 아니라 그 접지구조가 복잡하여 시간 및 비용적 측면에서 효율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본특허 특개2005-21083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103226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와이어를 보호하는 쉴드를 그로밋을 이용하여 접지시키고, 이에 따라서 별도의 고정구조물 없이 쉴드를 접지시켜 복잡한 구조를 제거하고, 보다 안정적인 접지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구조에 의하면,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고, 와이어 통로가 형성된 그로밋, 상기 와이어 통로를 지나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서 전자파를 차단하는 쉴드, 및 상기 그로밋을 관통하여 상기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측면에 노출되어 상기 쉴드와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가 인서트 된 상태에서 상기 그로밋이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로밋의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부재또는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그로밋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표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쉴드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는 전기를 통과시키는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로밋은 절연성을 갖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모터의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에는 모터의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홀을 따라서 상기 제2부재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이들을 외측을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구조를 갖는 그로밋유닛은 일측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 통로가 형성되는 그로밋, 및 상기 그로밋의 상기 와이어 통로에서 외면으로 형성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로밋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그로밋에 접지를 위한 도전성 부재를 인서트 사출하여 배치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를 통해서 곧바로 쉴드를 하우징에 접지시킴으로서, 별도의 고정구조가 필요하지 않아 복잡한 구조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접지와이어 기능을 갖는 도전성 부재가 그로밋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하고, 접지와이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전기적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센서 와이어를 갖는 모터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센서 와이어를 갖는 모터의 일부 상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구조를 갖는 그로밋(GROMMET)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도와 그라운드 구조를 갖는 그로밋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센서 와이어를 갖는 모터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는 샤프트 홀(100), 베어링(110), 센서(115), 센서 와이어(120), 제1부재(125), 제2부재(130), 및 관통홀(135)을 포함한다.
상기 제2부재(130)의 중심부에는 모터의 출력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 홀(100)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홀(100)에 상기 베어링(110)이 장착된다.
상기 제2부재(130)의 내측면에 상기 센서(115)가 상기 샤프트 홀(100)을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 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센서(115)에서 하우징(제1,2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센서 와이어(120)가 커넥터(도 6의 6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센서 와이어(120)는 상기 센서(115)로부터 외부에 배치되는 커넥터(600)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와이어(120)는 모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기 제1부재(125)와 상기 제2부재(130)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배치되는데, 별도로 상기 센서 와이어(120)를 감싸는 쉴드(400)와 이 쉴드(400)를 접지하는 접지구조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센서 와이어를 갖는 모터의 일부 상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라운드 구조는 제1부재(125), 제2부재(130), 그로밋(200), 와이어 통로(205), 관통홀(135), 및 센서 와이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125)와 상기 제2부재(130)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제1부재(125)와 상기 제2부재(130) 사이의 일측에 상기 관통홀(1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5)에 상기 그로밋(20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그로밋(200)의 중심부에는 와이어 통로(205)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통로(205)를 통해서 상기 센서 와이어(120)가 관통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통로(205)의 내면과 상기 센서 와이어(120)는 접촉하지 않는다.
도 3, 4, 및 5를 참조하여, 센서 와이어(120)의 그라운드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구조를 갖는 그로밋(GROMMET)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그로밋(200)은 와이어 통로(205), 돌출부(300), 및 도전성 부재(405)를 포함한다.
상기 그로밋(20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센서 와이어(120)가 지나는 상기 와이어 통로(205)가 형성되고, 상기 그로밋(200)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30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부재(405)는 상기 와이어 통로(205)의 내면에서 상기 돌출부(300)의 선단면까지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부재(405)는 상기 그로밋(200)을 사출성형할 때 인서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로밋(200)은 금형(미도시)에 상기 도전성 부재(405)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지를 사출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그로밋(20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405)는 전기가 잘 통하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125)와 상기 제2부재(130)가 마주하여 접합되고, 상기 제1,2부재(125, 130)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135)에 상기 그로밋(200)이 개재된다.
상기 제2부재(130)의 측면에는 상기 그로밋(200)의 상기 돌출부(300)와 대응하는 삽입 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그로밋(200)의 상기 돌출부(300)가 상기 삽입 홈(410)에 삽입되어 상기 그로밋(200)이 상기 제1,2부재(125, 130) 사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그로밋(200)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 통로(205)의 중심부에는 상기 센서 와이어(120)가 지나고, 상기 센서 와이어(120) 주변을 상기 쉴드(400)가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쉴드(400)의 외측면은 상기 도전성 부재(405)와 접촉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405)를 통해서 상기 제2부재(130)로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부재(405)는 상기 와이어 통로(205)의 내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쉴드(400)와 용이하게 접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전성 부재(405)와 상기 쉴드(400) 사이에는 도전성 접적제가 도포되어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도와 그라운드 구조를 갖는 그로밋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와이어의 그라운드 구조는 센서(115), 그로밋(200), 커넥터(600), 센서 와이어(120), 및 쉴드(400)를 포함하고, 그로밋(200)은 와이어 통로(205), 돌출부(300), 및 도전성 부재(405)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115)는 센서 와이어(120)를 통해서 상기 커넥터(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쉴드(400)는 상기 센서 와이어(120)의 주변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센서 와이어(120)와 상기 쉴드(400)는 상기 그로밋(200)의 상기 와이어 관통홀(135)을 지나며, 상기 그로밋(200)에 배치되는 상기 도전성 부재(405)의 일단부가 상기 쉴드(4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405)의 타단부가 상기 그로밋(200)의 상기 돌출부(300)의 선단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부재(405)는 상기 와이어 관통홀(135)의 내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300)의 선단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되어 안정적인 접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샤프트 홀 110: 베어링
115: 센서 120: 센서 와이어
125: 제1부재 130: 제2부재
135: 관통홀 200: 그로밋
205: 와이어 통로 300: 돌출부
400: 쉴드 405: 도전성 부재
410: 삽입 홈 600: 커넥터

Claims (9)

  1.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고, 와이어 통로가 형성된 그로밋;
    상기 와이어 통로를 지나고,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주변을 감싸서 전자파를 차단하는 쉴드; 및
    상기 그로밋을 관통하여 상기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측면에 노출되어 상기 쉴드와 접촉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는 도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가 인서트 된 상태에서 상기 그로밋이 사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부재또는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로 그로밋을 압착하여 상기 그로밋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표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쉴드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는 전기를 통과시키는 도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절연성을 갖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구조.
  7. 일측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 통로가 형성되는 그로밋; 및
    상기 그로밋의 상기 와이어 통로에서 외면으로 형성되는 도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그라운드 구조를 갖는 그로밋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구조를 갖는 그로밋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와이어 통로의 내면에서 설정거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구조를 갖는 그로밋유닛.
KR1020160028996A 2016-03-10 2016-03-10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KR10180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96A KR101807140B1 (ko) 2016-03-10 2016-03-10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96A KR101807140B1 (ko) 2016-03-10 2016-03-10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37A true KR20170105837A (ko) 2017-09-20
KR101807140B1 KR101807140B1 (ko) 2017-12-07

Family

ID=6003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96A KR101807140B1 (ko) 2016-03-10 2016-03-10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1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8284A (ja) 2011-01-17 2012-08-09 Daihen Corp 溶接トー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140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4276B (zh) 密封垫和屏蔽连接器
US9033734B2 (en) Connector
KR101938932B1 (ko) 전기 커넥터
JP380274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3644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US20070123105A1 (en) Connector fixing structure
US20100046189A1 (en) Shield shell
KR20130137026A (ko) 실드 커넥터
JP2009252682A (ja) コネクタ
US10411370B2 (en) High-voltage cable set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106256075A (zh) 车用控制装置
KR101807140B1 (ko) 그라운드 구조 및 이를 갖는 그로밋유닛
JP2014112484A (ja) 防水コネクタ
US10727617B2 (en) Shielded electric cable arrangement and shield housing
KR101439049B1 (ko) 쉴드 케이블 접속 장치
KR20070118486A (ko) 실드 커넥터
JP2013232368A (ja) シールドシェルの固定構造
KR101608357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1539595B1 (ko) 차량의 프런트 와이퍼용 모터의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의 인쇄 회로 기판에 구비된 브러시 홀더의 접지 구조
US20150087170A1 (en) Electric connector for shielding high voltage
JP4405047B2 (ja) 電源コネクタ
KR101950551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JP2010055924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