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703A -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703A
KR20170105703A KR1020160028509A KR20160028509A KR20170105703A KR 20170105703 A KR20170105703 A KR 20170105703A KR 1020160028509 A KR1020160028509 A KR 1020160028509A KR 20160028509 A KR20160028509 A KR 20160028509A KR 20170105703 A KR20170105703 A KR 2017010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amplifier
resis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582B1 (ko
Inventor
전윤구
Original Assignee
(주)엔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버넷 filed Critical (주)엔버넷
Priority to KR102016002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간의 카풀 진행에 따른 결제 금액이 기부되는 기부 프로젝트를 제공하여, 회원 가입 시 원하는 기부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카풀 결제 금액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 단말기 및 동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개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중개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 및 참여할 수 있는 기부 프로젝트를 제공하여,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의 카풀 진행에 따른 비용 결제가 상기 기부 프로젝트에 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DONATION SYSTEM}
본 발명은 카풀을 기반으로 하는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간의 카풀 진행에 따른 결제 금액이 기부되는 기부 프로젝트를 제공하여, 회원 가입 시 원하는 기부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카풀 결제 금액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부는 소득 격차에 따른 재분배 수단에 하나이다.
특히 선진국일수록 이러한 기부 문화가 발달되어있고,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기부 문화 장려에 대한 움직임이 점차로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기부는 소위 '가진 자'의 권리로 치부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 또는 금전적 제약에 의해 기부 의사는 있으나 기부에 쉽사리 동참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부를 실생활에 적용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19347호 (2008년03월28일) [대리운전회사의 공익적 기능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대리운전 요금 내에서 일정 요율의 금액을 사회복지기금으로 환원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대리운전기사 개인은 일반 대중에 불과하나, 대리운전회사는 일반 대중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일반 대중의 참여에 의한 기부 시스템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일반 대중들에게 보다 친숙하고 부담 없는 기부 시스템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사용자가 간에 이루어지는 카풀(Car-Pool)을 활용하여, 서로 알지 못하는 사용자들끼리의 카풀을 중개함과 더불어, 사용자간의 카풀 진행에 따른 결제 금액이 기부되는 기부 프로젝트를 제공하여, 회원 가입 시 원하는 기부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카풀 결제 금액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기부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동기 및 흥미 유발을 위한 장치들을 통해, 기부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문턱을 낮추고, 이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기부 참여 기반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기부 프로젝트의 달성치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 연동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부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독려와 기부 프로젝트 홍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운전자 단말기 및 동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개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중개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 및 참여할 수 있는 기부 프로젝트를 제공하여,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의 카풀 진행에 따른 비용 결제가 상기 기부 프로젝트에 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부 프로젝트는 카풀에 따른 동승 거리를 기준으로 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치설정부, 상기 기부 프로젝트에 참여한 인원을 산출하는 참여인원산출부, 상기 목표치 대비 참여 인원의 카풀 동승 거리 총합을 산출하는 달성율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카풀 동승 거리를 산출하는 개인달성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치설정부, 참여인원산출부, 달성율산출부 및 개인달성산출부의 결과 값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와 연동되어, 상기 기부 프로젝트는 상기 사용자의 카풀 동승 거리가 기 설정된 달성치에 해당할때마다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 상기 달성치를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와 상기 동승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통신부와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상기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가 간에 이루어지는 카풀(Car-Pool)을 활용하여, 카풀 결제 금액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기부 의사가 있는 사용자의 금전적 또는 시간적 제약을 해소하여 일반 대중 층에 기부 문화를 거부감 없이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기부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동기 및 흥미 유발을 부가하여 기부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문턱을 낮추며, 보다 광범위한 기부 참여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기부 프로젝트의 달성치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 연동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부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독려와 기부 프로젝트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장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운전자 기준으로 작성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플로우.
도 4는 동승자 기준으로 작성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플로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과정을 도시한 알고리즘.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실시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간의 카풀 진행에 따른 결제 금액이 기부되는 기부 프로젝트(P)를 제공하여, 회원 가입 시 원하는 기부 프로젝트(P)를 선택하여 카풀 결제 금액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D))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장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D)은 사용자 단말기(M), 중개서버(3) 및 중개 플랫폼(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M)는 운전자 단말기(1) 및 동승자 단말기(2)를 포함하는데, 운전자 단말기(1)는 카풀을 제공하고자 하는 운전자 소유의 단말기이고, 동승자 단말기(2)는 카풀을 제공받고자 하는 동승자 소유의 단말기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M)는 모바일기기로 대표될 수 있다.
다음 중개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M)와 통신하는 구성으로, 운전자 단말기(1)와 동승자 단말기(2)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개서버(3)는 시스템 제공자의 컴퓨터로 대표될 수 있다.
도 1의 도시 및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기 및 서버를 각각 모바일기기와 컴퓨터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이고, 사용될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한정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중개 플랫폼(4)은 사용자 단말기(M)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를 포함하는데, 특히 사용자 단말기(M)를 모바일기기로 한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40)는 사용자 단말기(M)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중개 플랫폼(4)은 중개서버(3)에 설치되어 중개서버(3)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개 플랫폼(4)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이루는 클라이언트(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핵심 특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40)는 회원 가입 시 사용자가 선택 및 참여할 수 있는 기부 프로젝트(P)를 제공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의 카풀 진행에 따른 비용 결제가 기부 프로젝트(P)에 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부 프로젝트(P)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에 의해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M)에서 클라이언트(40) 실행 시에 사용자 단말기(M)의 화면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특징(기부 프로젝트(P) 제공)을 통해, 운전자는 카풀을 통한 기부를 실현함으로써 금전적인 부담 없이 기부를 실천할 수 있고, 동승자는 기부를 통해 어려운 사람을 도움과 더불어 카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부 의사는 있으나 금전적, 시간적 제약에 의해 기부에 쉽게 동참하지 못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별도의 부담 없이 일생생활 중에 차량에 동승하는 것만으로 기부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여, 기부 문화 활성화 및 기부 참여 독려의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부 프로젝트(P) 참여에 대한 동기 및 흥미 유발을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추가적 구성을 살펴보면,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D)은 목표치설정부(P1), 참여인원산출부(P2), 달성율산출부(P3) 및 개인달성산출부(P4)를 포함하고, 상기 각 부의 결과 값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M)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부 별로, 먼저 목표치설정부(P1)는 기부 프로젝트(P)가 카풀에 따른 동승 거리를 기준으로 목표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기부 프로젝트(P) 생성 시 목표치를 입력받아 반영한다.
다음 참여인원산출부(P2)는 기부 프로젝트(P)에 참여한 인원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회원 가입을 통해 기부 프로젝트(P)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의 인원을 산출한다.
다음 달성율산출부(P3)는 목표치 대비 참여 인원의 카풀 동승 거리 총합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전체 참여인원이 카풀을 통해 동승한 거리의 총합이 목표치와 대비하였을 때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산출한다.
다음 개인달성산출부(P4)는 사용자의 카풀 동승 거리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당 사용자 개인이 카풀을 통해 동승한 거리 값을 산출한다.
특징적인 것은 상기 각 부가 동승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통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부 프로젝트(P)의 실행 상황을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각 부의 구현은 상기한 바와 같이 API를 통해 소스 코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부의 구동은 사용자 단말기(M)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특징을 통해, 본 시스템(D)은 사용자로 하여금 기부 프로젝트(P) 참여에 대한 동기 부여 및 흥미 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시스템(D)이 제공하는 기부 프로젝트(P)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본 시스템(D)은 클라이언트(40)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와 연동되어, 기부 프로젝트(P)는 사용자의 카풀 동승 거리가 기 설정된 달성치에 해당할때마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 달성치를 업로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클라이언트(40)의 동작에 관한 데이트 플로우(데이터 흐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운전자 기준으로 작성되었고, 도 4는 동승자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도 3을 통해 본 시스템(D)의 실시를 운전자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시스템(D)을 이용하기 위해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1)에 클라이언트(40)를 설치하고, 설치된 클라이언트(40)를 실행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다.
이 때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본인인증, 기본정보등록(사진 및 실명 등), 면허정보입력, 차량정보입력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참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이 후 소정의 단계를 거쳐 카풀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풀 진행에 따른 비용 결제는 운전자가 선택한 기부 프로젝트(P)에 귀속된다.
다음으로 도 4를 통해 본 시스템(D)의 실시를 동승자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시스템(D)을 이용하기 위해 동승자 역시 동승자 단말기(2)에 클라이언트(40)를 설치하고, 설치된 클라이언트(40)를 실행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다.
이 때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동승자는 본인인증, 기본정보등록(사진 및 실명 등), 결제수단 등록, 결제카드 정보 입력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동승자 역시 참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이 후 소정의 단계를 거쳐 카풀을 진행하며, 카풀 진행에 따른 비용을 등록한 결제수단에 따라 결제하고, 이를 기부 프로젝트(P)에 귀속시킨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40)는 운전자의 프로필, 동행기록, 여정관리, 기부내역, 환경설정, 고객센터, 신고, 추천 등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과정을 도식화한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의 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바, 간략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운전자 단말기(1)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Driver App), 동승자 단말기(2)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Rider App) 및 회원가입 전 클라이언트(40)(Admin)의 회원가입 및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운전자 단말기(1)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를 통해 기부 프로젝트(P)에 참여하는 전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동승자 단말기(2)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를 통해 기부 프로젝트(P)에 참여하는 전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운전자 및 동승자의 기부 프로젝트(P) 참여에 관한 과정은 대략적으로 동일하나, 카풀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차이를 갖고, 이에 운전자 단말기(1)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와 동승자 단말기(2)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의 동작 과정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한 사용자가 때에 따라 운전자도, 동승자도 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40)가 두 가지 모드(운전자모드 또는 동승자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A]에서는 상기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연동'에 관한 실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 [B]에서는 상기한 목표치설정부(P1), 참여인원산출부(P2), 달성율산출부(P3) 및 개인달성산출부(P4)의 결과 값이 사용자 단말기(M)의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C]에서는 사용자 단말기(M)에 출력되는 화면에서, 기부 프로젝트(P)를 선택하거나 또는 기부 프로젝트(P)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탭이 구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시스템(D) 구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도 8 [D]에서는 개인사용자의 동승 거리, 이에 따른 기부 금액, 과거 동승한 타 사용자와의 기록 등이 사용자 단말기(M)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한 본 시스템(D)의 특징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중개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M), 즉 운전자 단말기(1)와 동승자 단말기(2)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3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3) 및 제어신호를 통해 통신부(31)와 저장부(33)를 제어하는 제어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제어부(35)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각 구성(통신부(31) 및 저장부(33) 등)을 제어하는데,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각 구성의 동작에 맞도록 조정하고,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여 제어부(35)를 통한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신호생성수단(5)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수단(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수단(5)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 및,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를 참고하여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51)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51),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512),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513),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출력단회로(5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회로(51)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출력단회로(514)를 구성하는 npn트랜지스터(Q1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스위칭회로(51)의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단회로(512)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1)(R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접지단회로(51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06)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출력단회로(514)는 npn트랜지스터(Q101)와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512)의 저항(R101)과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전원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01)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레벨조정부(51)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위칭회로(511)를 통해 트랜지스터(Q10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트랜지스터(Q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만큼 하강시킨다.
이 때 입력단회로(512), 접지단회로(513) 및 출력단회로(514)의 저항(R101 내지 R106)과 캐패시터(C101 내지 C103)는 트랜지스터(Q101)의 이득을 결정하여 설정 전압 레벨을 세팅하는데, 특히 입력단회로(512)의 캐패시터(C101)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회로(514)의 캐패시터(C103)는 조정된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52)는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521), 제1증폭회로(521)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522), 제2증폭회로(522)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523) 및,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증폭회로(521)는 앰프(A101)와,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그리고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증폭회로(522)는 앰프(A102)와,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그리고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증폭회로(522)의 (+)단은 제1증폭회로(5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증폭회로(521) 및 제2증폭회로(522)는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출회로(523)는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제1비교기(A103)의 (-)단에는 제2증폭회로(522)의 앰프(A102)와 제2비교기(A104)의 (+)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비교기(A104)의 (+)단은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제2비교기(A104)의 (-)단에는 일단이 레벨조정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비교기(A103)는 하이패스필터로, 제2비교기(A104)는 로우패스필터로 동작하여 설정된 레벨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특히 이러한 노이즈 신호의 레벨 기준 범위 설정은 제1비교기(A103)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5)(R117) 및 캐패시터(C110), 제2비교기(A104)의 (-)단에 연결된 저항(R114)(R116) 및 캐패시터(C109)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두 저항(R116)(R117)을 가변저항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회로(524)는 검출회로(523)를 통과하는 전류가 역류하여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하는 필터구동부(53)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검출 시 필터링부(54)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53)는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531), 딜레이회로(531)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532),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구동회로(532) 및 바이어스회로(533)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딜레이회로(531)는 검출회로(523)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531)는 릴레이회로(534)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 릴레이회로(534)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34)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 검출 시 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시켜, 딜레이 설정을 통한 안정적 구동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구동회로(532)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및 트랜지스터(Q102), 그리고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534)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노이즈검출부(52)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제1앰프(A105)의 (-)단에는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는 바이어스회로(533)와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특히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딜레이회로(53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바이어스회로(533)는 일단은 릴레이회로(534)에 타단은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제2앰프(A106)의 (+)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진다.
릴레이회로(534)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간략하게 생략하여 표현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구동부(5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어스회로(533)는 구동회로(532)의 제1앰프(A105) 및 제2앰프(A106)에 인가되는 전압의 동작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바이어스회로(533)에 의해 결정된 전압이 제1앰프(A105)와 제2앰프(A106)에 인가된다.
또한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된 저항(R122)(R123)(R124)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앰프(A106)는 구동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 때 노이즈검출부(52)로부터 딜레이회로(531)와 제1앰프(A105) 그리고 역방향 다이오드(D104)를 통해 작동신호(노이즈검출부(52)가 노이즈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신호)가 주어지면 구동 대기 상태인 제2앰프(A106)가 구동하여 트랜지스터(Q102)를 작동시키고, 트랜지스터(Q102)는 릴레이회로(534)를 구동시킨다.
이 후 릴레이회로(534)는 필터링부(54)를 구동하여 제어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회로(534)에 의해 구동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54)는 릴레이회로(534)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회로(541), 신호입력회로(54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메인필터회로(542) 및,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입력회로(541)는 필터구동부(53)의 릴레이회로(534)에 연결되어 필터링회로(542)(543)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회로(542)(543)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는 일 예로, 멀티플랙서와 같은 선택기로 이루어져,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필터회로(542)의 입력단이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 즉 두 경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입력회로(541)와 관련한 도면의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는 신호입력회로(5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05), 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 이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순방향 다이오드(D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105)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메인필터회로(542)로부터 신호입력회로(541)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27) 및 캐패시터(C114)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15) 및 다이오드(D106)는 노이즈 제거 효율을 보다 높여준다.
다음으로,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브필터회로(543)는 앰프(A107)와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 그리고 바이어싱된 저항(R128 내지 R135) 및 캐패시터(C116, C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를 살펴보면, 앰프(A107)의 (+)단에는 3개의 저항(R128)(R129)(R13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R128)는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둘(R129)(R130)은 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앰프(A107)의 (+)단은 두개의 저항(R129)(R130) 사이에 연결된다.
앰프(A107)의 (-)단에는 캐패시터(C116)와 이에 상호 병렬을 이루며 연결된 두개의 저항(R131)(R132) 및 기준 전압 입력단(Sref)이 연결되어 있는데, 두개의 저항(R131)(R132) 중 하나(R131)는 기준 전압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R132)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패시터(C116)는 두개의 저항(R131)(R13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앰프(A107)의 출력단에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가 연결되는데, 제1트랜지스터(Q103)와 앰프(A107) 사이에는 저항(R133)이 구비되어 앰프(A107)의 출력 전압을 일정 강하하여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03)(Q104)의 구동을 위한 동작점을 생성한다.
제1트랜지스터(Q103)는 npn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앰프(A107)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Q104)는 pnp트랜지스터로, 베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03)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특히 제2트랜지스터(Q104)와 제어신호의 출력단 사이에는 직렬 배치된 두 저항(R134)(R135)과 둘 사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17)가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필터회로(543)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앰프(A107)의 (-)단에 구비된 두 저항(R131)(R132) 및 캐패시터(C116)는 기준 전압 입력단(Sref)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준 전압은 노이즈의 제거를 위한 기준이 되고,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레벨은 모두 노이즈로 간주되어 제거된다.
다음으로 앰프의 (+)단에 구비된 세 개의 저항(R128)(R129)(R130)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과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 가능하도록 강하시키는데, 메인필터회로(542)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앰프(A107)는 비교기로 동작하여, 기준 전압 레벨과 제어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잔존 노이즈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서브필터회로(543)의 제1트랜지스터(Q103)와 제2트랜지스터(Q104)는 제어신호가 잔존 노이즈를 포함하여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높거나 낮을 때(일반적인 경우 노이즈에 의해 전압이 상승된다.) 온 되어 노이즈만큼 상승한 전압을 캐패시터(C117)에 충전시키고 이에 하강한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은 기준 전압 레벨만큼이 된다.
이 후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에 해당하면 제1트랜지스터(Q103) 및 제2트랜지스터(Q104)는 턴 오프되고, 이 후 캐패시터(C117)에 저장된 전압은 병렬 연결된 저항(R135)을 통해 방전되어 원상 복구 된다.
이러한 필터링부(54)의 구성은 메인필터회로(542)를 통해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남은 잔존 노이즈와 순간 유입되는 노이즈를 서브필터회로(543)를 통해 2차적으로 제거하여 노이즈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클린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 구성의 오작동 및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필터링부(54)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한 레벨조정부(51)는 안정된 신호의 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주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52)를 통해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보다 민감하게 노이즈를 검출해내고, 필터구동부(53)를 통해 필터링부(54)의 구동이 노이즈 검출에 따른 선택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부(54)의 수명, 특히 필터링부(54)에 구비된 캐패시터(C114 내지 C117)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필터링부(54)가 항시 구동하지 않고, 노이즈 검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 구동된다는 점은 전력 소모 감소에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소스 코드, 즉 프로그래밍 언어 단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본 시스템 P: 기부 프로젝트
M: 사용자 단말기
1: 운전자 단말기 2: 동승자 단말기
3: 중개서버 4: 중개 플랫폼

Claims (4)

  1. 운전자 단말기 및 동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개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중개 플랫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 및 참여할 수 있는 기부 프로젝트를 제공하여,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의 카풀 진행에 따른 비용 결제가 상기 기부 프로젝트에 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부 프로젝트는
    카풀에 따른 동승 거리를 기준으로 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치설정부, 상기 기부 프로젝트에 참여한 인원을 산출하는 참여인원산출부, 상기 목표치 대비 참여 인원의 카풀 동승 거리 총합을 산출하는 달성율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카풀 동승 거리를 산출하는 개인달성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치설정부, 참여인원산출부, 달성율산출부 및 개인달성산출부의 결과 값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와 연동되어,
    상기 기부 프로젝트는 상기 사용자의 카풀 동승 거리가 기 설정된 달성치에 해당할때마다 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에 상기 달성치를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와 상기 동승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통신부와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는 레벨조정부, 상기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부 및, 노이즈 검출 시 상기 필터링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조정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회로, 제어신호의 레벨 조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접지단회로 및,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조정하고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01)를 구비한 출력단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단회로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1) 및 일단은 상기 캐패시터(C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01)(R1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이미터와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되고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02) 및 저항(R105)과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단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Q101)의 컬렉터 단에 연결된 두 병렬 저항(R103)(R104) 및 캐패시터(C10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두 병렬 저항(R103)(R104)은 입력단회로의 저항(R101)과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검출부는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 제1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증폭된 제어신호를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 제2증폭회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및,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류 및 노이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증폭회로는 앰프(A101),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07), 일단은 상기 앰프(A101)의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8) 및 캐패시터(C104), 상기 앰프(A101)의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배치된 저항(R110) 및, 상기 앰프(A101)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09) 및 캐패시터(C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증폭회로는 앰프(A102), 상기 앰프(A102)의 (-)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06), 이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1), 상기 캐패시터(C106)에 연결되고 일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며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2) 및 캐패시터(C107) 및, 상기 앰프(A102)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병렬 배치된 저항(R113) 및 캐패시터(C10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증폭회로의 (+)단은 상기 제1증폭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5)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7) 및 캐패시터(C110)가 연결되고, (-)단에는 상기 제2증폭회로의 앰프(A102)가 연결된 제1비교기(A103)와,
    (+)단은 상기 제1비교기(A103)의 (-)단과 연결되고, (-)단에는 일단이 상기 레벨조정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14) 및,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16) 및 캐패시터(C109)가 연결된 제2비교기(A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류방지회로는 상기 검출회로의 제1비교기(A103) 및 제2비교기(A104)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들(D101)(D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딜레이회로,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회로, 안정된 동작점을 제공하는 바이어스로회로 및, 바이어스회로에 연결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저항(R118)과 역방향 다이오드(D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회로는 제1앰프(A105), 제2앰프(A106), 트랜지스터(Q102), 다수의 저항(R119 내지 R126) 및, 캐패시터(C111 내지 C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랜지스터(Q102)의 컬렉터는 릴레이회로에, 에미터는 그라운드에, 베이스는 제2앰프(A10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일단이 상기 노이즈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된 저항(R119)과, 일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병렬 배치된 저항(R120) 및 캐패시터(C111)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단에는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상기 바이어스회로와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앰프(A105)의 출력단과 제2앰프(A106)의 (+)사이에는 역방향 다이오드(D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는 저항(R122)과, 일단이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123)과, 일단이 각각 그라운드와 연결된 저항(R124) 및 캐패시터(C11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어스회로는 일단은 상기 릴레이회로에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의 제1앰프(A105)의 출력단 및 상기 제2앰프(A106)의 (+)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을 이루는 두 저항(R125)(R126) 및 캐패시터(C1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KR1020160028509A 2016-03-09 2016-03-09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KR10178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509A KR101781582B1 (ko) 2016-03-09 2016-03-09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509A KR101781582B1 (ko) 2016-03-09 2016-03-09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703A true KR20170105703A (ko) 2017-09-20
KR101781582B1 KR101781582B1 (ko) 2017-09-28

Family

ID=6003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509A KR101781582B1 (ko) 2016-03-09 2016-03-09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848B1 (ko) 2018-07-06 2019-11-08 박재원 모바일 카풀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848B1 (ko) 2018-07-06 2019-11-08 박재원 모바일 카풀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82B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90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ppliances
KR102257934B1 (ko) 수요-반응 이벤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유틸리티 포털들
Berger et al. Field evaluation of the smartphone-based travel behaviour data collection app “SmartMo”
US20180364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ocation resource consump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JP2019007954A (ja) 道路交通の管理
US8694806B2 (en) Power transfer in an inline switch device
EP2587761A2 (en) Advanced content hosting
KR101781582B1 (ko) 카풀 기반 기부 시스템
CN113011938A (zh) 计算装置、计算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8234593A (zh) 工程施工执行承包商选定服务器及方法
US10540599B2 (en) Behavior prediction
US20190035028A1 (en)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utilizing sensor-driven dynamically adjustable feedback loops to manage equipment based risk on an asset specific level of energy data usage
WO2015006810A1 (en) A residential management system
US9509794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pplication-specific consistency of check-in-based user location data streams
CN112116275A (zh) 一种家政服务自动匹配方法及装置
WO2014105460A2 (en) Facilitating social networking interaction across a time axis
KR101702899B1 (ko) 지하철 역사를 활용하는 집도시락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집도시락 제공 서비스 방법
KR101818496B1 (ko) Iot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CN110046879B (zh) 基于智能合约的收款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3159878A (zh) 提供装置、提供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Forder Self-funded social care for older people: an analysis of eligibility, variations and future projections
CN110163553A (zh) 一种项目的缴费金额结算系统、方法及装置
US10728397B1 (en) Bundling of services through a mobile platform
TWI766167B (zh) 收款控制方法、裝置、伺服器及可讀儲存媒體
KR20170105704A (ko) 맵 연동 카풀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