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341A -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341A
KR20170105341A KR1020160028443A KR20160028443A KR20170105341A KR 20170105341 A KR20170105341 A KR 20170105341A KR 1020160028443 A KR1020160028443 A KR 1020160028443A KR 20160028443 A KR20160028443 A KR 20160028443A KR 20170105341 A KR20170105341 A KR 2017010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body
measuring
blood flow
user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희
Original Assignee
(주)인앤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앤큐 filed Critical (주)인앤큐
Priority to KR102016002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341A/ko
Publication of KR2017010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의 외이에 착용하는 헤드폰이나 헤드셋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생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외이에 착용하는 헤드폰이나 헤드셋
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며, 외이에서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생체신호 검출수단; 및 소정의 생체신호 측
정 프로그램에 따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상태 측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device of tep}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외이에 착용하는 헤드폰이나 헤드
셋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생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람의 외이에서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체크하는 헤드폰이나 헤드셋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연결되
는 컴퓨터를 통해 생체상태를 측정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원격진료와 같은 다양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헤드폰이나 헤드셋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감지
하여, 컴퓨터의 사용중에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이에 착용하는 헤드폰이나 헤드셋과 이에 연결되는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가정에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생체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
하고 이를 통해 좋은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컴퓨터 사용중에 자신의 생체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현재 자신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처할 수 있
다.
셋째, 컴퓨터 사용중에 측정한 생체상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의 의료기관 등에 제공함으로써, 재택진료 서비
스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헤드폰 및 헤드셋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생체신호 검출기 111: 혈류량 센서
112: 체온 센서 113: 제 1 증폭 및 잡음 제거부
114: 제 2 증폭 및 잡음 제거부 115: 제 1 A/D 변환부
116: 제 2 A/D 변환부 117: 제어부
118: 데이터 인터페이스 119: 전원 공급부
120: 컴퓨터
본 고안은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람의 외이에 착용하는 헤
드폰이나 헤드셋(Headset)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감지하여 생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장의 박동은 인체의 건강에 대한 척도를 활용되어 왔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척도는 평균 심박동율(heart rat
e)으로 분당 박동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장기능, 운동부하량 조절 및 심장질환 진단의 주요 파라메타로 사용되어 왔다.
건강한 사람의 심장의 경우, 박동이 매우 규칙적일 것이라는 기존의 관념은 최근 선진국의 연구 사례에서 부정되기 시
작하였고, 심장박동을 분석함으로써 자율신경의 활동을 측정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즉, 심장의 박동은
온도, 조명과 같은 외부의 환경적인 요인과 혈압, 체온조절, 운동, 정신적인 스트레스, 심혈관 및 신경계통의 질환을 반
영하는 중요한 척도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심박변동율(HRV : Heart Rate Variability)라는 분야로 많은 학자들 간에 연구되기 시작하였고 특히,
의학분야 뿐만 아니라 감성공학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감성공학적 측면에서, 인체의 스트레스와 같
은 감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파라메타는 심박동 신호, 호흡수, 체온, 및 피부저항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심장 박동수, 호흡 수 및 혈압 등에 관련된 사람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국내특허출원번호 제 0706488 호에 게재된 생체신호 측정 기술에 대해 가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특허출원번호 제 0706488 호에 게재된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장치는, 의자, 침대 또는 마사지 기계와 같이 사용자
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착된 스프링 네트가 포함되고 사용자의 몸
무게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변형 능력과, 상기 스프링 네트에 배치된 생체신호 검출 유니트를 가진다.
상기 스프링 네트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지지 표면 및 상기 제 1 지지 표면에 대향된 제 2 지지 표면
을 가지며, 상기 검출 유니트는 상기 제 2 지지 표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몸무게가 상기 스프링 네트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검
출 유니트가 상기 스프링 네트를 통하여 전달된 순환적 및 미소한 하중 변화인 생체 진동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장치는 상기 구조체의 일정 위치에 장착되므로, 이러한 장착시 정확한
생체신호 측정을 위해서는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며, 만일 종래의 생체신호 검출 장치가 상기 구조체에 부적절하게 장착
될 경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Claims (1)

  1. 사람의 건강 상태, 정신적 및 육체적 스트레스 그리고 감성 정보와 같은 생체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이에 착용하는 헤드폰이나 헤드셋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외이에서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검출하
    기 위한 생체신호 검출수단; 및
    소정의 생체신호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 생체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상태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
KR1020160028443A 2016-03-09 2016-03-09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KR20170105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443A KR20170105341A (ko) 2016-03-09 2016-03-09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443A KR20170105341A (ko) 2016-03-09 2016-03-09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41A true KR20170105341A (ko) 2017-09-19

Family

ID=6003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443A KR20170105341A (ko) 2016-03-09 2016-03-09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3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390B (zh) 睡眠状态测定装置、相位相干性计算装置及压力状态测定装置
JP6130474B2 (ja) 体重計装置及び脈波速度取得方法
US9655532B2 (en) Wearable physiological monitoring and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real-time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JP6799536B2 (ja) 加速度計を用いるウェアラブル痛みモニタ
JP6216439B2 (ja) 目覚めに好適な人の睡眠段階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101656611B1 (ko) 무구속적으로 측정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산소탈포화지수를 획득하는 방법
JP6799661B2 (ja) 睡眠時無呼吸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8778099B (zh) 用于确定对象的一个或多个生理特性的基线的方法和装置
US20160000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ssessment and prognosis of the risks of developing pathological states
CA3018094C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measure, monitor, and treat inflammation of the skin's soft tissue and fascia layers
KR20180058870A (ko) 뇌 건강의 다중 모드 생리학적 평가를 위한 폼 팩터
CN105491942A (zh) 用于监测对象的血液动力学状态的监测系统和方法
Makikawa et al. Fundamentals of wearable sensors for the monitoring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daily life
JP2000325315A (ja) 睡眠段階判定方法および睡眠段階判定装置
KR20170105341A (ko)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Wang et al. Non-intrusive vital sign monitoring using an intelligent pillow based on a piezoelectric ceramic sensor
Xu et al. A Low-Cost Non-Invasive Continuous Cardiovascular Monitoring System Based on Oil-Filled Rubber Tubing
CN208610846U (zh) 一种基于心理学原理的心理测试仪
Vowles et al. The Use of Conductive Lycra Fabric in the Prototype Design of a Wearable Device to Monitor Physiological Signals
Haghi et al. Designing a sensor interface for cardiorespiratory measurement in sleep monitoring
KR200232327Y1 (ko) 신체의 혈류량과 체온 변화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US20240024617A1 (en) Sleep improvement device and sleep improvement method
RU1827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явления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движений в период сна в бытовых условиях
Haghi et al. In-home, smart sleep monitoring system for cardiorespiratory estimation and sleep apnea detection: proof of concept
Tanaka et al. Development of non-invasive and ambulatory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s for ubiquitous health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