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49A -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49A
KR20170104849A KR1020160027796A KR20160027796A KR20170104849A KR 20170104849 A KR20170104849 A KR 20170104849A KR 1020160027796 A KR1020160027796 A KR 1020160027796A KR 20160027796 A KR20160027796 A KR 20160027796A KR 20170104849 A KR20170104849 A KR 2017010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sulfosuccinate
hair
sulfa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2776B1 (ko
Inventor
박무경
선은미
오주영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2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7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23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e.g. sulfosuccin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자극 및 모발 마찰력이 개선된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기포력, 가용화력 및/또는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Sulfate-Free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Sulfosuccinate Surfactant}
본 발명은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피부 자극 및 모발 마찰력이 개선된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 및 두피의 오염을 제거하여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샴푸는, 세정 목적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 부여,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기포력과 세정력을 목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이외에 가용화 및 유화 분산 기능을 위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설페이트(sulfate)계 계면활성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6321호와 같이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등과 같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393호 등과 같이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사용한다.
하지만,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는 자극이 강하여 모발의 손상을 촉진하고, 과도한 세정력으로 특히 염색한 모발(염색모)의 물 빠짐(색 빠짐)을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설페이트-프리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53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5387호, JOURNAL OF COSMETIC SCIENCE, 54, 559-569(November/December 2003) 등 참조).
이와 같이, 다양한 설페이트-프리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자극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 기포력이나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63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3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53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5387호
JOURNAL OF COSMETIC SCIENCE, 54, 559-569(November/December 20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기포력, 가용화력 및/또는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중에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설페이트-프리(sulfate-free)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고함량 포함하는 설페이트-프리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기포력, 가용화력 및/또는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는 성분을 연구하던 도중,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일정 함량 이상 첨가하는 경우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자들은 i) HET-CAM(Hen’s Egg Chorioallantoic Membrane) test를 이용하여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자극 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실험예 1 참조), ii) 기포력 평가를 통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기포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실험예 2 참조), iii) 제형의 투명도 평가를 통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투명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실험예 3 참조), iv) 모발 부드러움 평가(friction test)를 통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의 컨디셔닝 효과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8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는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특정 함량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 특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용물의 침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 HET-CAM(Hen’s Egg Chorioallantoic Membrane) test를 이용하여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40, 60 중량% 포함된 조성물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과 달리 자극 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실험예 1 참조), ii) 기포력 평가를 통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40, 60 중량% 포함된 조성물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뿐만 아니라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30 및 35 중량% 포함된 조성물과 비교하여 기포력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실험예 2 참조), iii) 제형의 투명도 평가를 통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40, 60 중량% 포함된 조성물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뿐만 아니라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30 및 35 중량% 포함된 조성물과 비교하여 투명도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실험예 3 참조), iv) 모발 부드러움 평가(friction test)를 통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40, 60 중량% 포함된 조성물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조성물뿐만 아니라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30 및 35 중량% 포함된 조성물과 비교하여 컨디셔닝 효과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는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를 첨가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 또는 개선된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컨디셔닝 효과"는 모발의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를 통칭하며, 모발의 윤기, 보습, 매끄러움, 부드러움 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 안정성, 점증, 기포력 증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리신형 계면활성제, 아미노프로피온산형 계면활성제, 음이온 말단에 COO-를 가지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SO3 - 를 갖는 설포베타인(설테인)형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및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부드러운 기포 품질과 컨디셔닝 개선 효과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루타메이트계, 글리시네이트계, 알라니네이트계 등의 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이세치오네이트계 및 카르복실레이트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점증 및 가용화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카마이드엠이에이,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코카마이드디이에이 등의 알카놀아마이드형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이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24,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5,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2,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73, 폴리쿼터늄-80, 폴리쿼터늄-101, 폴리에틸렌이민, 에톡실레이티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폴리비닐알코올,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마이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아크릴릭애씨드, 메타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메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중합된 4급 암모늄 생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쿼터늄-7(아크릴아마이드-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6(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22(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릭애씨드), 폴리쿼터늄-39(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릭애씨드-아크릴아마이드), 폴리쿼터늄-47(메타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릭애씨드-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쿼터늄-53(메타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릭애씨드-아크릴아마이드) 등이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마이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중합된 폴리쿼터늄-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뿐만 아니라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인 4급 암모늄 생성물, 그 중에서도 폴리쿼터늄-7을 사용하여 현저한 피부 자극 완화 기포력, 가용화력 및/또는 컨디셔닝 향상 효과를 확인하여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쿼터늄-7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폴리쿼터늄-7, 피피지-3카프릴릴에테르, 보습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38 내지 70 중량%,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1 내지 15 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 내지 10 중량%,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0.5 내지 5 중량%,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2 내지 10 중량%, 폴리쿼터늄-7 0.1 내지 5 중량%, 피피지-3카프릴릴에테르 0.1 내지 3 중량%, 보습제 0.1 내지 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컨디셔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방부제, 향료, 보습제 등의 첨가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들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은 물(예를 들어, 정제수)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크림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샴푸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기포력, 가용화력 및/또는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안자극 대체 시험을 통해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두피 및/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모발을 처리한 후 모발 마찰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1.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로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사용하여 설페이트계 샴푸 조성물과 비교를 위해 제조하였으며(비교예 1),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를 메인 음이온 계면활성제로한 설페이트-프리 처방으로 비교하기 위해 사용하였다(비교예 2). 비교예 3은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의 유무에 따른 비교를 위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는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제조되었다. 설포석시네이트 함량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실시예 1, 2 및 4를 제외하고는 모두 함량을 40 중량%로 동일하게 비교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40 - - - - -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 40 - - - -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 - 40 30 35 40 60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10 10 10 10 10 10 1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5 5 5 5 5 5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5.00 5.00 5.00 5.00 5.00 5.00 5.00
폴리쿼터늄-7 2.0 2.0 0.0 2.0 2.0 2.0 2.0
피피지-3카프릴릴에테르 0.50 0.50 0.50 0.50 0.50 0.50 0.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향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실험예 1: 피부 자극 테스트( HET -CAM Test)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다른 샴푸 조성물의 피부 자극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동물실험 대체 시험법으로 HET-CAM Test(Hen's Egg Chorioallantoic Membrane)를 사용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동일한 40 중량%로 사용된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10% 농도로 희석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시험법은 물질에 의한 눈의 결막(conjunctiva)의 혈관 반응 정도를 대변하며 수정 배양된 계란의 융모 요막(chorioallantoic membrane, CAM)에 시험물질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품종(화이트 혼, white horn)이 낳은 신선하고, 고유의 형태를 지닌 종란을 이 시험에 이용한다.
수정된 백색 계란을 준비하고 부화기에서 10일간 배양한 후 기낭 부분의 난각을 제거하고 융모 요막을 제거한 후에 시험 물질을 적용하여 혈관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인 비교예 1에서는 강한 자극 반응으로 혈관 용혈 및 출혈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페이트-프리 조성물이지만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2에서도 강한 자극 반응과 혈관 용혈 및 출혈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설포석시네이트를 40 중량%, 60 중량% 함유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는 자극 반응이 없으며 혈관 용혈도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설포석시네이트를 함유한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생체에 현저히 저자극성임을 확인하였다.
3. 실험예 2: 기포력 평가(Ross-miles Method)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주요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따른 기포력 차이와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기포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를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샴푸 조성물 0.25 중량% 용액 200 ml을 동일한 샴푸 용액 50 ml이 담긴 900 mm 높이의 실린더에서 자유낙하를 시켜 발생하는 기포의 부피(ml)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4
기포력
(ml)
250 220 190 185 210 270 290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40 중량% 사용하였을 때, 30 중량%, 35 중량% 사용시의 증가된 기포량의 비율보다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설페이트계 및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 보다도 우수한 기포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3을 통해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가 포함되는 경우 기포력이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실험예 3: 제형의 투명도 평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샴푸 조성물의 투명도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투명도를 수치화하기 위해서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투명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정제수로 영점화하여 제형의 조성물을 각각 측정하였고 0에 가까울수록 투과율이 높아 투명하여 가용화력이 높은 것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투명도 0.177 0.101 0.010 0.093 0.071 0.008 0.004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와 비교시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실시예 1 내지 4의 투명도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40 중량% 사용한 실시예 3은 30 중량%(실시예 1), 35 중량%(실시예 2)를 사용한 것보다 가용화력이 현저히 상승하여 물에 가깝게(0) 투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4가 가용화력이 가장 상승하여 물에 가깝게 더욱 투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실험예 4: 모발의 부드러움 평가(Friction Test)
본 발명자들은 모발의 부드러움의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발을 인장 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모발과 기기 측정 부위의 마찰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표 1의 조성과 같은 샴푸 조성물을 0.5 g 씩 Hair Tress에 샴푸 처리한 후에 완전 건조시킨 후 항온항습실(25℃, 80%)에 8시간 보관 후 반복하여 3회씩 측정하였다. 이 때, 마찰이 적을수록 값이 작고 모발이 부드러운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40 중량%, 60 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3 및 4의 모발 마찰이 가장 적어 가장 부드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고함량 포함하는 설페이트-프리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8 내지 7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페이트-프리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는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페이트-프리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페이트-프리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조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페이트-프리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7796A 2016-03-08 2016-03-08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10179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96A KR101792776B1 (ko) 2016-03-08 2016-03-08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96A KR101792776B1 (ko) 2016-03-08 2016-03-08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93A Division KR101842405B1 (ko) 2017-09-20 2017-09-20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1020170132654A Division KR20170118021A (ko) 2017-10-12 2017-10-12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49A true KR20170104849A (ko) 2017-09-18
KR101792776B1 KR101792776B1 (ko) 2017-11-01

Family

ID=6003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796A KR101792776B1 (ko) 2016-03-08 2016-03-08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8088A (zh) * 2021-09-03 2022-01-11 太和康美(北京)中医研究院有限公司 一种洗发水
WO2022077317A1 (en) * 2020-10-15 2022-04-21 Rhodia Operations Structured surfactant blend and sulfate-free aqueous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prepare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7317A1 (en) * 2020-10-15 2022-04-21 Rhodia Operations Structured surfactant blend and sulfate-free aqueous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prepared thereof
CN113908088A (zh) * 2021-09-03 2022-01-11 太和康美(北京)中医研究院有限公司 一种洗发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776B1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9751B1 (en) Cleansing composition
KR102448210B1 (ko) 개인 위생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1842405B1 (ko)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101792776B1 (ko)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20170118021A (ko)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DE102009028052A1 (de) Kosmetisches Reinigungsmittel mit neuer Wirkstoffmischung
KR102539780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240148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EP3505218B1 (en) A gentle detergent composition for greasy and acneic skins
KR102432544B1 (ko) 개인 위생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20200142809A (ko) 설페이트-프리 세정제 조성물
JP2022542268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KR100904596B1 (ko) 신규한 클렌징 조성물
KR20210032799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정제
KR20210015291A (ko) 비듬 완화 두피 세정용 조성물
JP7358398B2 (ja) 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組成物
KR102663552B1 (ko) 리브온 타입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6593897B1 (ja) 染色処理毛髪用シャンプー
KR20220077636A (ko)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KR20150111642A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668358B1 (ko) 잔향성 증진용 유화 향료 조성물
CN113712840A (zh) 温和的清洁组合物
KR101392383B1 (ko) 마른 후 부드러움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JP2021143156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KR20150109708A (ko) 복합 코아세르베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세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