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523A -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523A
KR20170104523A KR1020177021634A KR20177021634A KR20170104523A KR 20170104523 A KR20170104523 A KR 20170104523A KR 1020177021634 A KR1020177021634 A KR 1020177021634A KR 20177021634 A KR20177021634 A KR 20177021634A KR 20170104523 A KR20170104523 A KR 2017010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se
pump
outlet
water supply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577B1 (ko
Inventor
시우웬 펑
셩 슈
하이타오 후
이민 리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6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20Arrangements for water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급수구(8)가 설치된 펌프케이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로서, 상기 펌프케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구(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구(6)가 각각 설치되고, 펌프케이스에 제1 배출구(2)와 제2 배출구(6)에 대응하여 제1 배수모터(1), 제2 배수모터(10)가 각각 설치되며, 제1 배수모터(1)는 제1 배출구(2)의 개폐를 제어하고, 제2 배수모터(10)는 제2 배출구(6)의 개폐를 제어한다. 펌프케이스에는 하나의 급수구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제1 배출구(2) 및 제2 배출구(6)가 설치되고, 제1 배출구(2)는 세탁기의 배수를 실행하고 제2 배출구(6)는 물 중복사용의 배수를 실행한다. 따라서, 전술한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물 중복사용기능을 갖춘 드럼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어, 전반적인 구조의 밀집도를 높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본 발명은 세탁기 기술분야에 속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탁기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대한 것이다.
드럼세탁기는 보다 복잡한 사용환경에 적용되고, 사용자에게 보다 훌륭한 사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부분 배수펌프를 주요 배수설비로 삼고 있다. 종래의 드럼세탁기 배수펌프는 전체 세탁 과정에서 세탁이 마쳐진 이후 배수가 진행되고, 헹굼이 마쳐진 이후 배수하며 또한 탈수단계에서도 배수를 실행한다. 그러나 사회의 발전에 따라 수자원이 점점 중요해져 수자원을 순환이용할수 있는 드럼세탁기가 생겨난 것이다.
이와 같은 드럼세탁기는 수자원을 순환 사용해야 하므로, 배수펌프가 전통적인 드럼세탁기의 배수기능을 갖고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배수를 물처리 시스템으로 배출한 다음, 드럼세탁기로 회수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각각 두 배수펌프를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그 중 한 배수펌프는 세탁 또는 탈수할 때 세탁수를 세탁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한 배수펌프는 세탁기의 배수를 물순환 시스템으로 회수하도록 제어해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동시에 두 배수펌프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복잡해지고 일정한 정도의 제작원가가 추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순환 사용기능에 적합한 드럼세탁기 배수펌프가 필요하며, 이러한 배수펌프는 구조가 간단해야 할뿐만 아니라 설치 또한 간편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순환 사용기능을 탑재한 드럼세탁기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를 제공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간편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사용한다.
급수구가 설치된 펌프케이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로서, 상기 펌프케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구가 각각 설치되고, 펌프케이스에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에 대응하여 제1 배수모터, 제2 배수모터가 각각 설치되며, 제1 배수모터는 제1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고, 제2 배수모터는 제2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펌프케이스는 적어도 내부가 서로 연결된 제1 펌프케이스와 제2 펌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 제1 배출구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에 설치되고 제2 배출구는 제2 펌프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수모터는 제1 펌프케이스에 설치되고 제2 배수펌프는 제2 펌프케이스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펌프케이스에 급수구와 연결된 제3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케이스는 제3 배출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펌프케이스는 제1 펌프케이스 본체, 급수파이프, 제1 배수파이프 및 제3 배수파이프를 포함하고, 제1 펌프케이스 본체 내부에는 속이 빈 통로를 구비하고, 급수파이프, 제1 배수파이프 및 제3 배수파이프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본체의 속이 빈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구, 제1 배출구, 제3 배출구는 각각 급수파이프, 제1 배수파이프, 제3 배수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급수파이프, 제1 배수파이프 및 제3 배수파이프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본체의 측벽에 연결되고, 제3 배수파이프는 급수파이프와 동일 평면에 설치되며, 제3 배수파이프와 제1 배수파이프은 상이한 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배수파이프와 급수파이프가 제1 펌프케이스 본체의 같은 쪽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파이프의 급수구가 위쪽으로 5°~15°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펌프케이스에 제2 배출구와 연결된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가 설치되고, 제2 펌프케이스 배출구는 제1 펌프케이스의 제3 배출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는 연결부재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의 제3 배출구와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가 연성 호스이다.
또한, 상기 제1 펌프케이스와 제2 펌프케이스는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2 펌프케이스는 연결부재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펌프케이스와 제2 펌프케이스가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제1 펌프케이스와 제2 펌프케이스는 병렬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케이스와 급수구는 제1 펌프케이스의 같은 쪽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배출구의 배수양정은 제1 배출구의 배수양정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출구, 제2 배출구에 각각 제1 역류방지구조, 제2 역류방지구조가 설치되고, 제2 역류방지구조는 연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고, 고리모양의 설치부와 원반모양의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며, 설치부는 제2 배출구의 파이프 벽에 씌워지고 역류방지부는 제2 배출구 에 덮힌다.
본 발명인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펌프케이스에는 하나의 급수구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가 설치되고 제1 배출구는 세탁기의 배수를 달성하고 제2 배출구는 물 중복사용의 배수를 달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물 중복 사용기능을 갖춘 드럼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어, 전반 구조의 밀집도를 높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간편한다.
본 발명의 펌프케이스는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일체로 설계된 것이 아니며, 그 외부 사이즈를 줄이고 실제 사용환경에 맞도록 그 중 한 펌프케이스의 사이즈를 줄였을 뿐만 아니라 배수 양정도 줄인다. 본 발명인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물의 순환사용과 배수작용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므로, 뒷면의 3방향 밸브 등 복잡한 구조와 부품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출구에 모두 역류방지구조가 설치되어 있어, 물의 역류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한다.
도1은 본 발명인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입체구조 설치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입체구조 설치배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인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전반구조 설치배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도3의 A-A면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와 여과기의 설치분해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여과기의 입체구조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여과기의 입체구조 배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역류방지구조의 입체설명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도4의 국부확대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강화연결부재의 입체구조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강화연결부재의 입체구조 배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설치감진구조 입체구조 정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설치감진구조 입체구조 배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설치감진구조 정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도14의 B-B면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도2, 도3, 도4, 도5에서 볼 수 있듯, 본 발명인 세탁기의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구체적으로 아래과 같은 기술방안을 사용한다.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로서 펌프케이스를 포함하며 펌프케이스에는 급수구(8)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구(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구(6)가 각각 설치된다. 펌프케이스에는 제1 배출구(2)와 제2 배출구(6)에 대응되는 제1 배수모터(1), 제2 배수모터(10)가 설치되며 제1 배수모터(1)는 제1 배출구(2)의 개폐를 제어하고 제2 배수모터(10)는 제2 배출구(6)의 개폐를 제어한다.
본 발명인 세탁기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펌프케이스에는 하나의 급수구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제1 배출구(2)와 제2 배출구(6)가 설치되고 제1 배출구(2)는 세탁기의 배수를 실현하고 제2 배출구(6)는 물 중복사용의 배수를 실현한다. 따라서 위에서 서술한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물 중복사용기능을 갖춘 드럼세탁기에 적용될수 있어, 전반적인 구조의 밀집도를 높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간편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펌프케이스는 적어도 내부가 서로 연결된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구(8), 제1 배출구(2)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4)에 설치되고 제2 배출구(6)는 제2 펌프케이스(9)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배수모터(1)는 제1 펌프케이스(4)에 설치되고 제2 배수펌프(10)는 제2 펌프케이스(9)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펌프케이스는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일체로 설계한 것이 아니며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 두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배수의 실제 필요에 따라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를 설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제2 펌프케이스(9)는 주로 제1 배출구(2), 제2 배출구(6)의 배수양정에 의해 결정되며 보통 배수구의 배수양정이 클수록 설치하는 펌프케이스의 체적도 크다.
그러나 실제과정에서 제2 배출구(6)는 물순환 시스템에 연결되고 물순환사용 시스템은 세탁수를 여과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여과가 충분하게 여과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배출구(6)의 배수양정은 제1 배출구(2)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펌프케이스(9)의 체적은 제1 펌프케이스(4)의 체적보다 작다. 또한 제2 펌프케이스(9)의 체적이 제1 펌프케이스(4)의 체적보다 작은 이러한 설계는 본 발명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전반적 구조의 체적을 줄일 수 있어, 어떠한 방향에서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치가 더욱 간편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인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물순환과 배수작용을 실현할수 있으며 뒷부분의 3방향 밸브 등 복잡한 구조 및 부품을 대체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펌프케이스(9)의 체적이 제1 펌프케이스(4)의 체적보다 작은 설계로 인해 본 발명의 급수구(8)는 제1 펌프케이스(4) 에 설치해야 한다. 이는 급수구(8)의 급수량을 최대한 증가시켜 제1 배출구(2)와 제2 배출구(6)의 순조로운 배수를 확보함으로써 제2 펌프케이스(9)의 체적으로 인해 급수구(8)의 급수량이 제한받아 배출구의 배수가 연속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제1 펌프케이스(4)에는 급수구(8)와 연결된 제3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케이스(9)는 제3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어,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의 내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제1 펌프케이스(4)는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및 제3 배수파이프(404)를 포함한다.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내부에는 속이 빈 통로를 갖추고 있으며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 및 제3 배수파이프(404)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속이 빈 통로와 연결된다. 상기 급수구(8), 제1 배출구(2), 제3 배출구는 각각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 제3 배수파이프(404)의 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의 배수는 급수파이프(402)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4)의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내부에 빈 통로로 진입하되 각각 속이 빈 강실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배수파이프(403)와 제3 배수파이프(404)로 각각 흘러들어가며, 제3 배수파이프(404) 내의 배수를 제2 펌프케이스(9)로 유입시키켜, 각각 두 펌프케이스로 배출시킴으로써 제1 펌프케이스(4) 내의 배수의 배출은 각각 제1 배수모터(1)와 제2 배수모터(10)에 의해 제어되며 제2 펌프케이스(9) 속의 배수는 제2 제어모터(10)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와 제3 배수파이프(404)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측벽에 연결되고 제3 배수파이프(404)는 급수파이프(402)와 동일 평면에 설치되며 제3 배수파이프(404)와 제1 배수파이프(403)은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 펌프케이스(9)는 제1 펌프케이스(4)의 한쪽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양자는 병렬설치되어 있어 본 발명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전반적인 축 길이를 줄인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배수파이프(404)와 급수파이프(402)가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같은 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2 펌프케이스(9)와 급수파이프(402)가 제1 펌프케이스(4)의 같은 편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설치 폭을 줄여 설치가 간편하다.
배수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또한 잔여물이 펌프케이스로 순조롭게 흘러들게 함으로써 수동 세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파이프(402)의 급수구(8)가 위로 5°~15°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제2 펌프케이스(9)와 제1 펌프케이스(4) 사이를 연결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기술방안을 적용한다.
방법1: 본 발명의 제3 배수파이프(404)는 L자모양의 파이프이며 제3 배수파이프(404)의 한쪽 끝은 제1 펌프케이스(4)의 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제2 펌프케이스(9)의 내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공업 집적도가 보다 높고 설치가 더욱 간편하다.
방법2: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펌프케이스(9)에 제2 배출구(6)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901)가 설치되고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901)는 제1 펌프케이스(4)의 제3 배출구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901)는 연결부재(15)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4)의 제3 배출구와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15)은 유연한 호스이다. 따라서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각자 가공을 거친 다음 재설치하기 위한 가공작업이 간판하며 유연한 호스를 사용하므로 더욱 쉽게 실현할수 있으므로 가공작업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낮춘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2 펌프케이스(9)는 연결부재(15)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4)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가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제1 펌프케이스(4)는 전반적으로 보아 속이 빈 통로를 갖는 기둥모양의 구조이며 구체적으로 원기둥 구조이다. 원기둥 구조의 한쪽 끝에 제1 배수모터(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배출구(2)의 배출방향은 수직방향에서 위로 향하는데, 다시 말해 제1 배출구(2)의 축선은 원기둥 구조의 중축선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원기둥 구조의 다른 한쪽 끝은 원반모양의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5)이고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5)에는 나사산 설치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1 펌프케이스(4)는 나사산에 의해 드럼세탁기의 앞면 내벽에 설치된다. 상기 제3 배수파이프(404)와 급수파이프(402)는 모두 원기둥 구조의 측벽에 연결되어 한쪽 끝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배출구(6)의 배수양정은 제1 배출구(2)의 배수양정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출구(6)의 배수양정은 0.2m-0.8m인바 이러한 거리는 순환수가 물순환 시스템 속에서 효과적인 여과처리를 거칠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배출구(2), 제2 배출구(6)에 각각 제1 역류방지구조(3), 제2 역류방지구조(7)가 설치되고 제2 역류방지구조(7)는 연성 재질로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고리모양의 설치부(703)와 원반모양의 역류방지부(701)를 포함한다. 설치부(703)는 제2 배출구(6)의 파이프 벽에 씌워져 있고 역류방지부(701)는 제2 배출구(6) 에 덮힌다.
본 발명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출구 쪽에는 모두 역류방지구조가 설치되어 있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2차오염을 방지한다.
제2 배출구(6)의 배수양정이 작으므로 제2 배출구(6)의 내부반경도 작다. 본 발명은 제2 배출구(6)의 이러한 구조특징은 일종의 구조가 간단한 제2 역류방지구조(7)를 설계했다. 도8에서 볼 수 있듯 제2 역류방지구조(7)는 연성 재질로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설치부(703), 역류방지부(701)와 양자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기둥(702)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703)는 제2 배출구(6)의 파이프 벽에 씌워져 있고 자연상태에서 역류방지부(701)는 제2 배출구(6) 에 덮여있고 물흐름이 제2 배출구(6)로부터 흘러나올 때, 역류방지부(701)는 물흐름의 작용으로 개방되고 반대방향의 물흐름은 역류방지부(701)가 제2 배출구(6) 에 더욱 밀착되어, 제2 배출구(6)가 한쪽 방향으로만 배출하며, 반대방향으로 제2 펌프케이스(9)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며 역류방지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역류방지구조(7)의 구조가 더욱 간단하고 설치가 더욱 간편하며 역류방지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1
도1, 도2, 도3, 도4, 도9, 도10 및 도11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는 세탁기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적용되는 강화연결부재로서 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한 급수구(8)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적어도 두 배수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수펌프는 강화연결부재(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강화연결부재(11)는 세탁기 설치판(12)에 고정설치된다.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수펌프는 구조가 다르므로 더블헤드 배수펌프가 받는 힘이 불균형하여 쉽게 진동하게 된다. 만일 두 배수펌프의 연결이 확실하지 못할 경우 진동과정에서 쉽게 파손되므로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구조적 특징에 있어서 두 배수펌프를 고정연결시켜 강화연결부재(11)에 의해 세탁기의 설치판(12)에 고정연결됨으로써 설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수펌프를 일체로 연결하기 위함이며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강화연결부재(11)는 각각 두 배수펌프를 설치하는데 쓰이는 두 설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 설치부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축방향에 앞뒤로 교차설치됨으로써 두 배수펌프가 축 방향 앞뒤로 교차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는 두 설치부를 포함하고 두 설치부는 펌프케이스의 축 방향에 앞뒤로 교차설치됨으로써 축 방향에 따른 공간을 지름방향에 따른 공간으로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펌프케이스 에 배수모터와 연결된 펌프케이스 연결부가 설치됨으로써 펌프케이스 연결부가 지름방향에서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져 배수모터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한다. 두 펌프케이스 연결부는 동시에 고정연결부재(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세탁기의 설치판(12)에 설치된다. 만약 두 펌프케이스가 동일한 지름방향의 단면에 있을 경우 양자가 지름방향에서의 설치거리를 필요로 하며 강화연결부재(11)의 두 설치부는 펌프케이스의 축 방향에 앞뒤로 교차설치되어 있어, 두 펌프케이스 연결부가 축 방향에서 앞뒤로 교차설치되게 함으로써 두 펌프케이스 연결부가 인접한 부분은 축 방향에서 중첩되며 동일한 지름방향에서의 단면 위의 설치거리를 줄인다.
도9, 도10 및 도11에서 볼 수 있듯 상기 강화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1102), 제2 연결부(1104) 및 연결부(1105)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102)와 제2 연결부(1104)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축 방향에서 앞뒤로 교차설치되고 연결부(1105)는 제1 연결부(1102)와 제2 연결부(1104)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양자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의 제1 연결부(1102)와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한 배수펌프와 연결되고 제2 연결부(1104)는 다른 한 배수펌프와 연결되고 양자가 전후로 교차하여 설치되며 연결부(110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수펌프는 강화연결부재(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전후로 교차하여 설치시키고 지름방향에서의 설치공간을 절약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연결부(1102) 에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 설치홀(1101)이 설치되고 제2 연결부(1104) 에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2 설치홀(1103)이 설치되며 볼트 또는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설치할수 있으며 설치방식이 더욱 간단하고 간편하다.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는 세탁기 설치판(12) 에 고정설치됨으로써 더블헤드 배수펌프를 세탁기 설치판(12)에 고정설치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1102)와 제2 연결부(1104)의 하단은 각각 아래로 연장하여 세탁기 설치판(12) 에 설치된 제1 지지설치부(1110)과 제2 지지설치부(1108)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는 대응되는 연결부 하단에 세탁기 설치판(12)과 연결된 지지설치부가 설치되어 있어, 강화연결부재(11)가 더욱 많은 지점에서 지지작용을 받게 함으로써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설치안정성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는 세탁기 설치판(12)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연결부(1110)와 제2 지지연결부(1108)은 수직방향에 따라 적어도 두 지지설치핀(1109)이 설치되며 두 지지설치핀(1109) 사이에는 세탁기 설치판(12)에 설치확보공간(1106)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두 지지설치핀(1109) 사이에 형성된 설치확보공간(1106)을 이용하여 세탁기 설치판(12)에 강화연결부재(11)를 고정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세탁기 설치판(12)에는 이에 대응되는 설치홀을 설치하고 제1 지지설치부(1110)와 제2 지지설치부(1108)는 각각 이에 대응되는 설치홀로 삽입되며 두 지지설치핀(1109)은 세탁기 설치판(12)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의 설치방식은 더욱 간단하고 간편하다. 또한, 두 지지설치핀(1109) 위에 진동감쇠받침을 씌워,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대한 진동감쇠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인다.
본 발명은 강화연결부재(11)가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대한 지지작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강화연결부재(11)의 제1 연결부(1102)와 지지부(1107)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두 지지대(1111)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1111)는 모두 세탁기 설치판(12)의 상부표면에 지탱하고 있으며 지지대(1111)의 지지작용에 의해 지지안정성을 한층 더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대(1111)는 지지설치핀(1109)과 평행되게 설치되고 지지대(1111)와 지지설치핀(1109)은 강화연결부재(11)의 같은 쪽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각각 양쪽에 설치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대(1111)와 지지설치핀(1109)이 각각 강화연결부재(11)의 양쪽에 설치되고, 이는 강화연결부재의 양쪽이 모두 효과적인 지지작용을 받을 수 있게 한다.
펌프케이스의 지름방향에서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두 배수모터의 설치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의 제1 연결부(1102)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 연결부(1104)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 연결부(1104)의 한쪽 부분은 가로로 연장하여 지지부(1107)를 형성하고 지지부(1107)와 제1 연결부(1102)는 반대쪽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제2 연결부(1104)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연결된 다음 상기 위치의 지지작용이 부족하거나 양호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2 연결부(1104) 한쪽의 일부분을 가로로 연장하여 지지부(1107)를 형성하여 지지부(1107)가 그에 대한 지지작용을 한층 더 보탬으로써 전반적인 설치안정성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강화연결부재(11)는 일체로 성형된 판금부품이고, 이는 강화연결부재(11)의 일체성이 더욱 견고하게 하며 연결효과을 높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수펌프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를 포함하고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내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구(8)는 제1 펌프케이스(4) 에 설치된다. 상기 강화연결부재는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를 설치하는데 쓰이는 두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병렬설치되고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의 한쪽 끝은 각각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와 제2 펌프케이스 설치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와 제2 펌프케이스 설치부에 각각 제1 배수모터(1)와 제2 배수모터(10)를 설치한다. 상기 강화연결부재의 두 설치부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와 제2 펌프케이스 설치부와 연결되어 있어,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와 제2 펌프케이스 설치부가 축 방향에서 교차설치되게 한다.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과 제1 배수모터(1),제2 배수모터(10)는 모두 펌프케이스 설치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자는 한 설치홀을 공동사용하며 별도로 설치홀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가 더욱 간편하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펌프케이스를 포함하고 펌프케이스에는 급수구(8),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구(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구(6)가 설치된다. 펌프케이스에는 제1 배출구(2)에 대응되며 상기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배수모터(1)가 설치되고 제2 배출구(6)에 대응되며 상기 개폐를 제어하는 제2 배수모터(10)가 설치된다. 상기 강화연결부재는 제1 배수모터(1)와 제2 배수모터(10)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실시예2
도1, 도4, 도9, 도12, 도13, 도14 및 도15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쓰이는 진동감쇠 설치장치이다. 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하나의 급수구(8)를 공동사용하는 적어도 두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두 배수펌프는 강화연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강화연결부재는 세탁기 설치판(12) 에 설치되고 상기 강화연결부재와 세탁기 설치판(12) 사이에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진동을 줄여주는 진동감쇠 설치장치(14)가 설치된다.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구조가 다른 두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두 배수펌프는 한 강화연결부재(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강화연결부재(11)에 의해 세탁기 설치판(12) 에 고정연결된다.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작동과정에서 두 배수펌프가 받는 힘이 불균형하므로 진동하고 소음을 발생하며 쉽게 파손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동감쇠 설치장치(14)는 강화연결부재(11)와 세탁기 설치판(12)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진동 및 소음을 줄여준다.
본 실시예의 진동감쇠 설치장치(14)는 강화연결부재(11)와 세탁기 설치부(12)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진동감쇠 설치장치(14)는 강와연결부재(11)과 맞물릴뿐만 아니라 세탁기 설치부(12)와도 맞물리며 진동감쇠 설치장치(14)는 강화연결부재(11)과 세탁기 설치부(12)에 진동감쇠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진동감쇠 설치장치는 탄력이 있는 유연소재로 제작한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에는 세탁기 설치판(12)에 쓰이는 제1 진동감쇠강실(1404)과 강화연결부재를 설치하는데 쓰이는 제2 진동감쇠강실이 설치된다.
도12, 도13, 도14 및 도15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본체는 홈모양의 구조이며 홈모양 구조의 가운데에는 오목구가 있으며 오목구는 세탁기 설치판(12) 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 진동감쇠강실(1404)은 홈모양 구조의 오목구이다.
또한, 상기 오목구에는 경사각이 설치되고 오목구의 상부벽과 하부벽에는 각각 대응되는 여러 개의 돌기라인 설치공간(1407)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오목구에 경사각이 설치되어 있어 조립이 간편하다. 본 실시예의 오목구의 상부벽과 하부벽에는 각각 대응되는 띠모양의 돌기라인 설치공간을 설치하되 조립한 후 돌기라인 설치공간이 세탁기 설치판에 닿음으로써 진동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공진현상도 방지할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제1 진동감쇠강실(1404)은 본체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진동감쇠부(1401)와 제2 진동감쇠부(1402)로 나뉘고 상기 제2 진동감쇠강실은 제1 진동감쇠부(1401) 또는 제2 진동감쇠부(1402) 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진동감쇠강실은 제1 진동감쇠부(1401)및/또는 제2 진동감쇠부(1402) 내부의 빈 강실에 설치되며 상기 빈 강실은 제1 진동감쇠부401및/또는 제2 진동감쇠부(1402)의 한쪽을 향한 곳에 입구를 개설하되 상기 입구는 제1 진동감쇠강실(1404)의 입구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는 주로 본 실시예의 진동감쇠 설치장치(14)의 한쪽이 세탁기 설치판(12) 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강화연결부재(11)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홈모양 구조의 상단은 제1 진동감쇠부(1401)이고 홈모양 구조의 하단은 제2 진동감쇠부(1402)이다. 홈모양 구조의 상단과 하단의 뒷부분 내부에는 각각 두 설치홈이 설치되어 있어, 설치홈이 바로 제2 진동감쇠강실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본체에는 위치를 고정시키는데 쓰이는 강화연결부재의 클립(1403)이 설치되고 클립(1403)은 제2 진동감쇠강실의 양쪽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진동감쇠 설치장치의 외형은 홈모양 구조이고 홈모양 구조의 상하단 길이는 다를 수 있어, 상단이 길고 하단이 짧을 경우 제1 진동감쇠강실은 홈모양 구조의 오목구이고 오목구에는 경사각이 설치되어 있어 조립이 간편하다. 홈모양 구조의 상하단 뒷부분 내부에는 각각 두 설치홈이 설치되며 제2 진동감쇠강실은 설치홈이다. 설치홈의 양쪽에는 클립이 설치되어 있어 진동감쇠 설치장치가 설치과정에서 탈락하거나 조립된 다음 운송되는 과정에서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오목구의 상부벽과 하부벽에는 각각 대응되는 돌기라인 설치공간이 설치되어 있어 조립한 다음 돌기라인 설치공간과 세탁기의 설치판이 닿아있음으로써 진동감쇠의 효과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공진현상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진동감쇠 설치장치의 홈모양 구조는 세탁기 설치판 위의 설치홀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홈모양 구조의 오목구는 세탁기 설치판의 상하단에 걸쳐있음으로써 위아래 방향에서의 진동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위치고정의 기능을 발휘한다.
본 실시예는 원자재를 절약하기 위하여 설치벽의 두께가 다르게 설치하되 세탁기 설치판과의 접촉면은 두께가 두꺼워 진동감쇠효과를 발생하고 나머지 부분은 두께가 얇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강화연결부재의 하단은 세탁기 설치판(12) 위의 지지설치부를 설치하는데 쓰이는바 지지설치부에는 세탁기 설치판(12) 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지지설치핀이 설치된다. 지지설치판에는 진동감쇠 설치장치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화연결부재는 두 배수펌프를 설치하는데 쓰이는 두 설치부를 포함하며 두 설치부의 하단은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제1 지지설치부(1110)와 제2 지지설치부(1108)를 형성한다. 상기 진동감쇠 설치장치는 각각 제1 지지설치부(1110)과 제2 지지설치부(1108) 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설치부(1110)과 제2 지지설치부(1108)는 수직방향에 따라 적어도 두 지지설치핀(1109)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설치핀(1109)은 두 제2 진동감쇠강실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설치부(1110)와 제2 지지설치부(1108)은 두 클립(1403) 사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제1 지지설치부(1110)와 제2 지지설치부(1108) 에는 적어도 두 지지설치핀(1109)이 설치되며 그에 맞게 상기 제2 진동감쇠강실은 제2 진동 상부강실(1405)과 제2 진동 하부강실(1406)을 포함함으로써 지지설치핀(1109)의 설치를 실현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설치핀(1109)은 강화연결부재(11) 구체적인 구조에 근거하여 세탁기의 설치판(12)에 설치되고 본체에는 세탁기 설치판에 부합하는 제1 진동감쇠강실(1404), 강화연결부재(11)의 지지설치핀(1109)에 부합하는 제2 진동감쇠강실이 설치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강화연결부재(11)가 세탁기 설치판(12)에 직접 닿지 않고 지지설치핀(1109)에 의해 고정연결시킴으로써 더블헤드 배수펌프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강화연결부재(11)와 세탁기 설치판(12)사이에 발생될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바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높여준다.
실시예3
도1, 도3, 도4, 도5, 도6 및 도7에서 볼 수 있듯 본 실시예는 세탁기의 더블헤드 배수펌프에 적용되는 일종의 여과기로서 더블헤드 배수펌프는 펌프케이스를 포함한다. 펌프케이스에는 급수구 및 공동으로 사용되는 급수구의 적어도 두 배출구가 설치되고 두 배출구는 각각 두 배수모터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상기 펌프케이스 내부의 두 배출구와 급수구 사이에는 여과기(13)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13)는 두 배출구에 대응되는 두 개의 배출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에 여과기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여과기(13)는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펌프케이스 내부 및 두 배출구와 급수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세탁기의 배수가 여과를 거친 다음 각각 두 배출구로 배출되게 한다. 본 실시예의 여과기(13)는 배수 중의 실찌꺼기 및 이물질을 여과시킴으로써 배출구가 막히는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두 배출구의 배수작용이 다르므로 구체적인 살계에 따라 두 배출부 중의 한 배출부에만 여과부를 설치할 수 있어, 여과 필요를 만족시키는 전제에서 여과기의 구조를 간소화시킴으로써 제작원가를 절감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여과기는 틀모양 본체(1305)를 포함하며 틀모양 본체(1305)의 양쪽에는 각각 급수부(1301), 제2 배출부(1302)가 설치되고 틀모양 본체(1305)는 펌프케이스 내부의 한쪽 끝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배출부(1303)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제1 배출부(1303)에서 배출되는 물은 직접 세탁기 밖으로 배출되므로 배수의 여과작용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으며 배수중의 실찌꺼기 및 이물질을 여과시키기만 하면 된다. 과도한 여과작용은 제1 배출부(1303)의 배수속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제1 배출부(1303)는 급수부(1301)와 직접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배출부(1303)에는 십자모양의 설치공간을 설치하는데, 배수 중의 실찌꺼기와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제1 배출부(1303)와 대응하는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틀모양의 본체(1305)는 펌프케이스의 한쪽 단부가 밀폐된 좌판(1310)에 위치하고 있고 밀폐좌판(1310)은 원반모양으로 설치되며 펌프케이스 내벽에 닿아있다. 상기 제1 배출부(1303)는 밀폐좌판(1310)의 볼록받침대 모양의 배출구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제2 배출부(1302)에 대응하는 배출구의 배수는 세탁기의 물순환사용 시스템으로 유입되고 물순환사용 시스템은 여과를 거친 물을 다시 사용하므로 제2 배출부(1302)에서 배출되는 물은 여과에 대한 요구가 높다.제2 배출부(1302) 에 여과효과가 좋은 여과부를 설치하는바 실찌꺼기와 이물질을 최대한 여과시킨다.
본 실시예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으로서 본 실시예의 제2 배출부(1302)는 펌프케이스와 밀폐접촉되며 상기 제2 배출부(1302) 에 여과부를 설치한다.
도6 및 도7에서 볼 수 있듯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출부(1302)는 바닥 벽(1308)은 각각 바닥 벽(1308)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벽(1306), 제2 측벽(1307)을 포함하고 바닥 벽(1308)은 틀모양 본체(1305)의 양쪽 틀과 연결된다.상기 바닥 벽(1308), 제1 측벽(1306), 제2 측벽(1307)은 펌프케이스 내벽과 배수강실을 이루고 있으며 배수강실은 한 배출구, 급수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닥 벽(1308)에는 급수구멍(1309)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여과부를 이룬다. 상기 제1 측벽(1306), 제2 측벽(1307)은 각각 바닥 벽(1308)의 한쪽의 펌프케이스 내벽 사이에 밀폐접촉되어 있음으로써 물흐름이 여과부를 거쳐 배수강실로 흘러들게 한다.
본 실시예의 급수구멍(1309)은 직경이 작아 배수에 대한 여과효과를 최대한 높이는 동시에 급수구멍(1309)을 많이 설치함으로써 제2 배출부(1302)가 대응하는 배출구의 배수양정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바닥 벽(1308)의 한쪽은 제1 배출부(1303)를 향한 단부의 방향에 따라 연장되며 연결된다. 상기 제1 측벽(1306)은 바닥 벽(1308)에 따라 설치되며 이와 연결된다.
이는 한면으로 바닥 벽(1308)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제2 배출부(1302)의 여과면을 확대시켜 급수량을 증가시키며 다른 한 면에선 바닥 벽(1308)과 틀모양 본체(1305)를 삼면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더욱 안정된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제1 배출부(1303), 제2 배출부(1302)는 반드시 두 배출구와 대응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제2 배출부(1302)에서 배출된 물은 여과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틀모양 본체(1305)에는 적어도 한쪽 틀에 위치고정부재(1306)이 설치되어야 하고 펌프케이스의 내벽에는 위치고정 슬라이딩 홈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6)은 위치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펌프케이스 내부로 진입하는바 여과기의 두 배출부가 각각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두 배출구와 대응되게 설치되게 한다.
동시에 기존의 여과기는 모두 나사산에 의해 설치되어 펌프케이스 내부로 뻗어있는데 여과기(13)의 위치고정부재(1306)은 펌프케이스의 슬라이딩 홈 내부로 고정된 다음 여과기(13)가 회전할수 없게 되어 나사산을 설치할수도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여과기(13)를 펌프본체 내부 속으로 설치하되 나사산 설치방식을 변화시키지 않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틀모양 본체(1305)의 다른 한쪽 단부에 회전가능한 여과기 설치부(1304)를 연결하고, 여과기 설치부(1304)를 펌프케이스에 고정연결한다. 상기 제2 배출부(1302)와 여과기 설치부(1304) 사이에 급수부(1301)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틀모양 본체(1305)의 다른 한 단부에는 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기 설치부(1304)는 경부 내부에 걸쳐지며 회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으로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적어도 내부가 서로 연결된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구(8), 제1 배출구(2)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4) 에 설치되고 제2 배출구(6)는 제2 펌프케이스(9) 에 설치된다. 상기 여과기는 제1 펌프케이스(4)의 내부 강실에 설치되고 여과기의 한쪽 배출부는 제1 배출구(2)에 대응되에 설치되고 또 다른 한쪽은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의 연결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에는 급수구(8)와 연결된 제3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케이스(9)는 제3 배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배출부(1303)는 제1 배출구(2)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배출부(1302)는 제3 배출구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위에서 서술한 본 발명은 비교적 이상적인 실시예일뿐 본 발명에 대해 어떤 형식적인 제한을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대적으로 이상적인 실시예를 제시하였지만 여전히 본 발명을 제한할수 없다. 본 특허를 숙지하고 있는 임의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방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에서 앞서 제시한 기술내용을 수정하거나 개선하여 변화에 상기한 효과적인 실시예를 제기할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방법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실시예를 간단히 수정하거나 균등 범위의 변화 및 개선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1: 제1 배수모터
2: 제1 배출구
3: 제1 역류방지구조
4: 제1 펌프케이스
5: 제1 펌프케이스 설치부
6: 제2 배출구
7: 제2 역류방지구조
8: 급수구
9: 제2 펌프케이스
10: 제2 배수모터
11: 강화연결부재
12: 세탁기 설치판
13: 여과기
14: 설치감진구조
15: 연결부재
401: 제1 펌프케이스 본체
402: 급수파이프
403: 제1 배수파이프
404: 제2 배수파이프
701: 역류방지부
702: 연결기둥
703: 설치부
901: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
902: 제2 배수파이프
1101: 제1 설치홀
1102: 제1 연결부
1103: 제2 설치홀
1104: 제2 연결부
1105: 연결부
1106: 설치확보공간
1107: 지지부
1108: 제2 지지설치부
1109: 지지설치핀
1110: 제1 지지설치부
1111: 지지대
1301: 급수부
1302: 제2 배출부
1303: 제1 배출부
1304: 여과기 설치부
1305: 틀모양 본체
1306: 제1 측벽
1307: 제2 측벽
1308: 바닥 벽
1309: 급수구멍
1310: 밀폐좌판
1401: 제1 감진부
1402: 제2 감진부
1403: 클립
1404: 제1 감진강실
1405: 제2 감진 상부강실
1406: 제2 감진 하부강실
1407: 돌기라인 설치공간

Claims (10)

  1. 급수구(8)가 설치된 펌프케이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로서, 상기 펌프케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구(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구(6)가 각각 설치되고, 펌프케이스에 제1 배출구(2)와 제2 배출구(6)에 대응하여 제1 배수모터(1), 제2 배수모터(10)가 각각 설치되며, 제1 배수모터(1)는 제1 배출구(2)의 개폐를 제어하고, 제2 배수모터(10)는 제2 배출구(6)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스는 적어도 내부가 서로 연결된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8), 제1 배출구(2)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4)에 설치되고 제2 배출구(6)는 제2 펌프케이스(9)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수모터(1)는 제1 펌프케이스(4)에 설치되고 제2 배수펌프(10)는 제2 펌프케이스(9)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에 급수구(8)와 연결된 제3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케이스(9)는 제3 배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는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 및 제3 배수파이프(404)를 포함하고,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 내부에는 속이 빈 통로를 구비하고,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 및 제3 배수파이프(404)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속이 빈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구(8), 제1 배출구(2), 제3 배출구는 각각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 제3 배수파이프(404)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402), 제1 배수파이프(403) 및 제3 배수파이프(404)는 각각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측벽에 연결되고, 제3 배수파이프(404)는 급수파이프(402)와 동일 평면에 설치되며, 제3 배수파이프(404)와 제1 배수파이프(403)은 상이한 면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배수파이프(404)와 급수파이프(402)가 제1 펌프케이스 본체(401)의 같은 쪽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파이프(402)의 급수구(8)가 위쪽으로 5°~15°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케이스(9)에 제2 배출구(6)와 연결된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901)가 설치되고, 제2 펌프케이스 배출구(901)는 제1 펌프케이스(4)의 제3 배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펌프케이스 급수구(901)는 연결부재(15)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4)의 제3 배출구와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15)가 연성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2 펌프케이스(9)는 연결부재(15)에 의해 제1 펌프케이스(4)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케이스(4)와 제2 펌프케이스(9)는 병렬설치되고, 상기 제2 펌프케이스(9)와 급수구(8)는 제1 펌프케이스(4)의 같은 쪽에 설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구(6)의 배수양정은 제1 배출구(2)의 배수양정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출구(2), 제2 배출구(6)에 각각 제1 역류방지구조(3), 제2 역류방지구조(7)가 설치되고, 제2 역류방지구조(7)는 연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고, 고리모양의 설치부(703)와 원반모양의 역류방지부(701)를 포함하며, 설치부(703)는 제2 배출구(6)의 파이프 벽위에 씌워지고 역류방지부(701)는 제2 배출구(6) 에 덮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KR1020177021634A 2015-01-27 2015-07-03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KR102475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41115.XA CN105986427B (zh) 2015-01-27 2015-01-27 一种洗衣机双头排水泵
CN201510041115.X 2015-01-27
PCT/CN2015/083311 WO2016119401A1 (zh) 2015-01-27 2015-07-03 一种洗衣机双头排水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523A true KR20170104523A (ko) 2017-09-15
KR102475577B1 KR102475577B1 (ko) 2022-12-08

Family

ID=5654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34A KR102475577B1 (ko) 2015-01-27 2015-07-03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23239A1 (ko)
EP (1) EP3252206B1 (ko)
JP (1) JP6598038B2 (ko)
KR (1) KR102475577B1 (ko)
CN (1) CN105986427B (ko)
WO (1) WO2016119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066B (zh) * 2017-04-10 2022-05-0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6939500B (zh) 2017-04-12 2021-11-02 合肥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双滚筒洗衣机的排水阀及应用该排水阀的双滚筒洗衣机
CN109420633A (zh) * 2017-09-01 2019-03-05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干衣机冷凝器的清洁系统及干衣机
US10781549B2 (en) 2019-01-31 2020-09-22 Whirlpool Corporation Dual drain system with Y-hose
DE102019207346A1 (de) * 2019-05-20 2020-11-26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Pumpe
CN117248357A (zh) * 2022-06-09 2023-12-1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双泵总成及具有该双泵总成的衣物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7009A2 (en) * 2010-05-26 2011-12-01 Electrolux Do Brasil S.A. Improvement of self-cleaning filter for washing machines
KR20130034311A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130077985A (ko) * 2011-12-30 2013-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역류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0254A (en) * 1968-05-28 1970-01-20 Whirlpool Co Laundry appliance having scrubber means
US3814124A (en) * 1972-09-20 1974-06-04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Thermoplastic check valve
IT1181078B (it) * 1984-11-20 1987-09-23 Zanussi Elettrodomestici Macchina lavabiancheria
IT236788Y1 (it) * 1995-04-05 2000-08-17 Candy Spa Gruppo integrale di deviazione di flusso a due pompe indipendentie filtro comune per lavatrici e simili
CN100360733C (zh) * 1999-02-08 2008-01-09 阿塞里克有限公司 减少排水泵噪声的洗衣机
US7406843B2 (en) * 2002-05-08 2008-08-05 Whirlpool Corporation Remote sump with film heater and auto purge
KR20070102056A (ko) * 2006-04-13 200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세탁기
JP4923145B2 (ja) * 2007-11-12 2012-04-25 トゥルガ・シムセク 洗浄/絞り機械
JP5489328B2 (ja) * 2009-08-24 2014-05-14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EP2708637B1 (en) * 2009-10-29 2020-04-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nit for household appliance
EP2474660A3 (en) * 2011-01-05 2013-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omprising an anti-vibration drain hose
US9115720B2 (en) * 2012-05-04 2015-08-25 Ghsp, Inc. Dual pump and motor with control device
CN103757862B (zh) * 2014-01-03 2016-08-17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及使用方法
US10064537B2 (en) * 2014-11-24 2018-09-0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drain assemblies having overmolded volu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7009A2 (en) * 2010-05-26 2011-12-01 Electrolux Do Brasil S.A. Improvement of self-cleaning filter for washing machines
KR20130034311A (ko) * 2011-09-28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130077985A (ko) * 2011-12-30 2013-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역류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2206B1 (en) 2019-11-20
EP3252206A4 (en) 2018-07-04
JP2018505340A (ja) 2018-02-22
JP6598038B2 (ja) 2019-10-30
EP3252206A1 (en) 2017-12-06
CN105986427B (zh) 2019-10-01
WO2016119401A1 (zh) 2016-08-04
US20180023239A1 (en) 2018-01-25
KR102475577B1 (ko) 2022-12-08
CN105986427A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4523A (ko)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
KR20170104524A (ko) 세탁기 더블헤드 배수펌프의 진동감쇠 설치장치
US9982383B2 (en) Water-saving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EP2306883B1 (en) Sump assembly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method
CN106222961A (zh) 洗衣机
JP2017528242A (ja) 取水ろ過装置を設けた洗濯機
WO2017043290A1 (ja) 洗濯機及び配管ユニット
CN105986426B (zh) 一种洗衣机双头排水泵过滤器
CN204611978U (zh) 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CN210764689U (zh) 水处理机
CN105986425B (zh) 一种洗衣机双头排水泵加强连接件
CN208435534U (zh) 水槽洗碗机
CN208573692U (zh) 用于水槽洗碗机的过滤器和具有其的水槽洗碗机
KR20220011896A (ko) 식기 세척기
JP2007165653A (ja) 気泡除去方法及び気泡除去装置
WO2018210313A1 (zh) 一种线屑过滤装置及洗衣机
KR20070103791A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N212941752U (zh) 一种具有反冲洗作用的双联过滤器系统
CN113854926A (zh) 过滤组件及洗碗机
CN112869684A (zh) 一种具有易清洁过滤系统的洗碗机
JP2020073770A (ja) 水栓装置
KR19990017188U (ko) 세탁기용 급수 케이스의 구조
JP200806797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