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075A - 승강식 돌침대 - Google Patents

승강식 돌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075A
KR20170104075A KR1020160026308A KR20160026308A KR20170104075A KR 20170104075 A KR20170104075 A KR 20170104075A KR 1020160026308 A KR1020160026308 A KR 1020160026308A KR 20160026308 A KR20160026308 A KR 20160026308A KR 20170104075 A KR20170104075 A KR 2017010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layer
stone
frame
heat insulating
insula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섭
서지아
Original Assignee
서인섭
서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섭, 서지아 filed Critical 서인섭
Priority to KR102016002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075A/ko
Publication of KR2017010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슬림(slim)한 두께를 가지면서 돌매트의 테두리를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일측을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석판; 상기 석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 상기 상부 보강층의 하부에 발열수단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단열패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 사이의 단열패널 테두리에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돌매트 및 그 돌매트를 이용한 승강식 돌침대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뛰어난 물품성을 가짐은 물론 경량에 따른 취급이 간편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증대시킴과 아울러 일반 침대나 방이나 거실 등에서도 온돌 효과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돌매트 및 그 돌매트를 이용한 승강식 돌침대{Lifting mat with stone and the stone type mat stone bed}
본 발명은 돌매트 및 그 돌매트를 이용한 승강식 돌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돌매트의 테두리 마감을 위한 별도의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 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슬림(slim)한 두께를 가지면서 돌매트의 테두리를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일측을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돌매트 및 그 돌매트를 이용한 승강식 돌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목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매트 몸체에 스프링과 같은 완충 부재가 내장된 매트리스를 결합하여 제조 및 사용하였는데, 근래에는 기능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발열수단을 구비한 패널 형태의 석판(특히, 돌)이나 흙 판을 이용한 돌침대나 흙 침대가 기능성 침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기능성 침대에서도 돌매트와 돌침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인 종래의 돌매트에 사용되는 석판은 두께 대략 20㎜ 이상으로, 그 무게가 무거워 운반이나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공 또한 힘든 단점은 물론 석판 자체가 고가로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돌매트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83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8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32615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344호 등에 게시된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
아울러, 돌매트를 포함하는 돌침대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62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11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290호에 게시된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83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8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326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3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62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1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290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에는 종래 통상적인 돌매트에서 가지는 석판의 두께가 두꺼운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며, 돌판과 다른 부재 간에 접착력이 떨어져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 또한 복잡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돌판을 조립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선행기술문헌 1들의 돌매트는 테두리에 마감을 위한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 등을 반듯이 구비해야 하는, 즉 돌매트의 특성상 여러 층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테두리에 반듯이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을 장착 고정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의 경우에는 돌침대에 구비되는 돌매트 또한 선생기술문헌 1에서 가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돌침대의 특성상 몸이 불편하거나 혹은 상체나 하체를 올려놓고자 할 때 승강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사용상의 여러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해결과제는 돌매트의 테두리 마감을 위한 별도의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 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슬림(slim)한 두께를 가지면서 돌매트의 테두리를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돌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해결과제는 돌매트를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해결과제는 돌침대에 구비되는 돌매트 일측을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승강식 돌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발열수단을 포함하는 돌매트로서, 상기 돌매트는 상부로부터 석판; 상기 석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 상기 상부 보강층의 하부에 발열수단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단열패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 사이의 단열패널 테두리에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보강층 및 하부 보강층은 중간에 접착제가 상하로 접착될 수 있도록 0.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철, 알루미늄 또는 동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플레이트,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상면과 밑면에 구비되는 망포를 포함한다.
상기 망포는 화이버 글라스,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발열수단은 면상 발열체, 전기열선, 온수관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발열수단 중 단열패드로 매입시에는 열전도성 충진재와 함께 매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틀프레임은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석판, 상부 보강층, 단열패널, 하부 보강층 및 마감틀프레임은 횡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되, 상기 단열패널의 발열수단은 그 분할된 부분에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게 마련된다.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고정틀프레임; 상기 고정틀프레임의 일측에 일단이 그 고정틀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수단과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고정틀프레임과 가동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패널; 상기 각 고정패널에 상부로부터 석판, 상기 석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 상기 상부 보강층의 하부에 발열수단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 상기 단열패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 사이의 단열패널 테두리에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을 포함하여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에 마련되는 각각의 발열수단은 연결 이음 부분에 마련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돌매트의 테두리 마감을 위한 별도의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 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슬림(slim)한 두께를 가지면서 돌매트의 테두리를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뛰어난 물품성을 가짐은 물론 경량에 따른 취급이 간편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증대시킴과 아울러 일반 침대나 방이나 거실 등에서도 온돌 효과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돌매트를 절첩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증대시킴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등과 같은 물류도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 돌침대에 구비되는 돌매트 일측을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기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몸이 불편한 사용자 또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두리부분이 가공된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테두리부분이 가공된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식이나 수면 등을 용도로 발열수단(H)을 포함하는 돌매트(1)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돌매트의 테두리 마감을 위한 별도의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 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슬림(slim)한 두께를 가지면서 돌매트의 테두리를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매트(1)는 상부로부터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적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소정 두께로 공지된 방식에 의해 가공된 석판(10)과; 상기 석판(10)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20)과; 상기 상부 보강층(20)의 하부에 발열수단(H)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30); 및 상기 단열패널(30)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20A);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20)과 하부 보강층(20A) 사이의 단열패널(30) 테두리에 가공성이나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40);을 더 포함한다.
석판(10)은 비교적 얇은 두께인 대략 3~10㎜의 두께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가공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는 공지된 압축폼으로 대략 20~30㎜의 두께로 형성된다.
석판(10)은 공지된 것으로, 주로 심미감이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매우 단단한 화강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리석, 화강암, 게르마늄, 맥반석, 맥섬석 등을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옥, 소성시킨 소금판, 소성시킨 옹기도판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석판 자체를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취급은 물론 가공 또한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단열패널(30)은 통상적인 압축폼인 스티로폼, 우레탄 폼, 발포 알루미늄 및 석판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공지된 어떠한 압축폼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단열패널 또한 압축폼의 특성상 경량으로 돌매트 전체적인 무게를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발열수단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 석판으로의 히팅 효율성도 향상시키는 역할도 겸한다.
또한, 단열패널(30)에서의 발열수단(H)은 부착 또는 매입되는 것으로, 즉 발열수단이 면상 발열체를 사용할 경우, 단열패널의 표면으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면상 발열체를 단열패널의 표면으로 매입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발열수단이 전기열선이나 온수관일 경우, 단열패널의 표면으로 상기 전기열선이나 온수관이 매입되도록 매입홈을 형성한 후 그 매입홈으로 삽입한 다음 움직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도성 충진재와 함께 매입되도록 한다. 이때, 열전도성 충진재는 통상 석분과 엑포시 접착제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발열수단의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열전도성 충진재에 의해 발열수단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은 상부 측의 석판으로의 전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부 보강층(20) 및 하부 보강층(20A)은 중간에 접착제가 상하로 접착될 수 있도록 0.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철, 알루미늄 또는 동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통상적인 판 형태의 타공플레이트(22),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22)의 상면과 밑면에 구비되는 망포(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망포(24)는 통상적인 접착제와 함께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는 화이버 글라스,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이다. 즉, 접착제가 망포에 스며들면서 접착면적을 넓히게 됨에 따라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보강층(20)과 하부 보강층(20A)은 석판(10)이 얇은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이를 보강함과 동시에 접착제와 함께 부착되는 망포(24)에 의해 각 상하면으로 긴밀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 상부 보강층(20)의 접착제는 타공플레이트(22)의 타공을 통하여 석판(10)의 밑면과 단열패널(30)의 상면으로 망포(24)와 함께 긴밀하게 접착된다.
아울러, 하부 보강층(20A)은 단열패널(30)의 밑면과 타공플레이트(22)의 타공으로 유입되는 접착제와 함께 망포가 긴밀하게 접착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이때, 타공플레이트의 밑면에 구비되는 망포에는 통상적인 마감시트 등을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부에 위치한 석판은 물론 통상적인 패널을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석판과 단열패널은 상,하부 보강층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 없이 긴밀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이며,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이는 타공플레이트의 타공을 통하여 접착제가 망포와 함께 상하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은 대략 0.8㎜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타공플레이트를 0.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철, 알루미늄 또는 동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얇은 두께로 인한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가격 또한 저렴하고, 열 전도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경량인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에 구비되는 각 타공플레이트는 접착력을 더욱더 높이기 위해서는 동일한 면적에서 타공 면적을 비타공면적 보다 넓게 하고, 보강력을 높이기 위해서 타공 면적에 비하여 비타공면적을 더 넓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할 것이다.
마감틀프레임(40)은 가공성이나 성형성이 우수한 통상적인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석판과 상,하부 보강층을 포함한 돌매트의 외각 테두리 전체를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매트의 측면을 곡면이나 사선과 같은 경사면으로의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하부 보강층 사이에 마련된 마감틀프레임에 의하여 석판과 그 상,하부 보강층과 함께 공지된 방식에 의해 컷팅 또는 절삭 등을 통하여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하부 보강층의 타공플레이트 또한 얇은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가공 상에는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돌매트는 종래 통상적인 돌매트와 같이 반듯이 필요한 하우징이나 틀프레임 등이 필요없이도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즉, 마감틀프레임이 마감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가능한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돌매트는 기존의 일반적인 침대의 매트리스에 올려놓을 경우 돌침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거실이나 방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경우에는 돌매트 자체로서의 사용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돌매트의 테두리를 원하는 형상이나 모양으로의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종래 통상적인 돌매트에 반듯이 필요로 하는 하우징 또는 틀프레임 없이도 돌매트로서의 물품성이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돌매트의 특성상 절첩이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과 같이 슬림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에 가능하다 할 것이다.
석판(10), 상부 보강층(20), 단열패널(30), 하부 보강층(20A) 및 마감틀프레임(40)은 횡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되, 상기 단열패널(30)의 발열수단(H)은 그 분할된 부분에서 연결부재(H1)에 의해 연결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는 발열수단에 따라, 즉 면상발열체나 전열선의 경우 분할된 부분에서 절첩되는 길이만큼 연장시켜 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결합 고정하고, 온수관일 경우에는 통상적인 플렉시블관 등을 연결하여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분할된 마감틀프레임에는 공지된 방식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핀 결합방식이나 혹은 경첩 등에 의해 연결 고정함으로써, 분할된 부분을 기점을 원활하게 절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돌매트의 특성상 절첩되지 않았던 것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관이나 운반 등과 같은 물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도 한층 높일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침대의 돌매트 일측을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돌침대(100)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고정틀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틀프레임(110)의 일측에 일단이 그 고정틀프레임(110)과 회전 가능하게 통상적인 핀결합 또는 경첩 등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통상적인 가동수단(122)과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동프레임(120)과; 상기 고정틀프레임(110)과 가동프레임(120)의 상면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합판 등과 같은 각각의 고정패널(P)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틀프레임과 가동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핀 결합방식이나 혹은 경첩 등은 그 폭 방향 전체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후술하는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 사이가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는 과정에서 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수단(122)은 공지된 것으로, 통상적인 실린더와 링크 결합방식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모터에 의한 풀리와 벨트, 혹은 스프로킷과 체인, 또는 기어방식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함은 물론 이송스크류와 너트 하우징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각 고정패널(P)에 상부로부터 석판(10), 상기 석판(10)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20), 상기 상부 보강층(20)의 하부에 발열수단(H)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30), 상기 단열패널(30)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20A)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20)과 하부 보강층(20A) 사이의 단열패널(30) 테두리에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돌매트(1A)와 가동 돌매트(1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매트(1A)와 가동 돌매트(1B)에 마련되는 각각의 발열수단(H)은 연결 이음 부분에 마련되는 전술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연결부재(H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는 전술한 돌매트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는 마감틀프레임을 이용하여 고정틀프레임과 가동프레임으로 고정된 각각 고정패널 상에 통상적인 스크류나 볼팅 또는 브래킷 등에 의해 장착 고정한다.
그에 따라 평상시에는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를 수평 상태로 위치시켜 일반적인 돌침대와 같이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가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가동 돌매트는 고정 돌매트와의 연결 이음 부분을 기점으로 경사지게 위치하게 된다.
이는 통상적인 환자용 침대와 같이 가동 돌매트를 경사지게 기울기를 갖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돌침대는 기존의 수평 방식으로만 사용되는 돌침대와 다르게 가동 돌매트를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침대에서 온돌과 같은 느낌을 그대로 가지면서 사용자의 필요로 따라 눕거나 기대어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1 : 돌매트
1A : 고정 돌매트 1B : 가동 돌매트
10 : 석판 20 : 상부 보강층
20A : 하부 보강층 22 : 타공플레이트
24 : 망포 30 : 단열패널
40 : 마감틀프레임 100 : 승강식 돌침대
110 : 고정틀프레임 120 : 가동프레임
122 : 가동수단 H : 발열수단
H1 : 연결부재 P : 고정패널

Claims (8)

  1. 발열수단을 포함하는 돌매트로서,
    상기 돌매트는 상부로부터 석판;
    상기 석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
    상기 상부 보강층의 하부에 발열수단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 및
    상기 단열패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 사이의 단열패널 테두리에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층 및 하부 보강층은 중간에 접착제가 상하로 접착될 수 있도록 0.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철, 알루미늄 또는 동 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타공플레이트,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상면과 밑면에 구비되는 망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포는 화이버 글라스,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면상 발열체, 전기열선, 온수관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발열수단 중 단열패드로 매입시에는 열전도성 충진재와 함께 매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매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틀프레임은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 상부 보강층, 단열패널, 하부 보강층 및 마감틀프레임은 횡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되, 상기 단열패널의 발열수단은 그 분할된 부분에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매트.
  7.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고정틀프레임;
    상기 고정틀프레임의 일측에 일단이 그 고정틀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수단과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동프레임;
    상기 고정틀프레임과 가동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패널;
    상기 각 고정패널에 상부로부터 석판, 상기 석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부 보강층, 상기 상부 보강층의 하부에 발열수단이 부착 또는 매입되는 단열패널, 상기 단열패널의 밑면에 보강과 함께 접착제가 상하로 긴밀한 접착력을 갖도록 타공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보강층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 사이의 단열패널 테두리에 마련되는 마감틀프레임을 포함하여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돌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매트와 가동 돌매트에 마련되는 각각의 발열수단은 연결 이음 부분에 마련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돌침대.
KR1020160026308A 2016-03-04 2016-03-04 승강식 돌침대 KR20170104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08A KR20170104075A (ko) 2016-03-04 2016-03-04 승강식 돌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08A KR20170104075A (ko) 2016-03-04 2016-03-04 승강식 돌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075A true KR20170104075A (ko) 2017-09-14

Family

ID=5992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308A KR20170104075A (ko) 2016-03-04 2016-03-04 승강식 돌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0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891A (zh) * 2018-11-09 2018-12-28 江西新汉力实业有限公司 一种高端的学生公寓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891A (zh) * 2018-11-09 2018-12-28 江西新汉力实业有限公司 一种高端的学生公寓床
CN109090891B (zh) * 2018-11-09 2021-04-02 江西省润华教育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高端的学生公寓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3349B (zh) 地板鑲板
WO2006042883A3 (es) Revestimiento desmontable para superficies
CA2380303A1 (en) Floor covering plate
DE60129796D1 (de) Fussbodenbelag umfassend Fussbodenplatten mit integrierten Verbindungsmitteln, die durch vertikale Absenkbewegung miteinander verrastbar sind
JP4961871B2 (ja) 防水機能を有する床
CN107002404B (zh) 建筑材料
JP2007146429A (ja) 衛生設備室の床構造
KR20110076911A (ko) 플라스틱 바닥 매트
US20090142539A1 (en) Plastic Honeycomb Composite Board with Curved Surface
KR20170104075A (ko) 승강식 돌침대
KR100925418B1 (ko) 일체형 유연성 단열구조
KR20120071515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CN211873676U (zh) 一种复合地板
KR100506698B1 (ko)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170089994A (ko) 돌매트
JP3751730B2 (ja) 暖房可能な床の構造
JP5533755B2 (ja) 洗い場床
KR101152328B1 (ko) 가구용 복합상판
JP2005023777A (ja) 強化化粧パネル
KR100758064B1 (ko) 열선을 내장한 자리의 제조방법
JP2013253454A (ja) 浴室の洗い場床
JP2017193945A (ja) 防水構造
KR20160001904U (ko) 시공성 및 단열성을 높힌 모듈러하우스의 바닥재
CN207363201U (zh) Pvc发泡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