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939A -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939A
KR20170102939A KR1020177021742A KR20177021742A KR20170102939A KR 20170102939 A KR20170102939 A KR 20170102939A KR 1020177021742 A KR1020177021742 A KR 1020177021742A KR 20177021742 A KR20177021742 A KR 20177021742A KR 20170102939 A KR20170102939 A KR 2017010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slide
container holding
holding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9661B1 (en
Inventor
한스-요아힘 보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10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보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장착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경사면(E) 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를 이용하여 삽입 위치와 배출 위치(A)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운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슬라이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17)에는 음료 용기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23)를 가진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와, 상기 삽입 개구(23) 내로 삽입 가능한 음료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 요소(25)가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또한, 보유 요소(21)와 받침 요소(25)가 배출 위치(A)에서 수평 사용 위치로 젖혀져 있거나 젖혀질 수 있고, 삽입 위치로 복귀 시에는 상기 두 요소(21, 25)가 슬라이드(17)를 향해 비사용 위치로 접혀 있거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두 요소(21, 25)가 연동되게 하는 운동역학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해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의 양 측면이 측면 웨브들(19)에 의해 삽입/배출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되며, 그리고/또는 보유 장치(11)가 삽입 개구(15)를 가진 하우징(13)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개구(15)를 통해 슬라이드(17)가 하우징(13)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개구(15)의 상부 에지(27)가 탄성 요소(29)를 가지고, 이때 휴대폰은 상기 탄성 요소(29)의 탄성 변형 하에 삽입 개구(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holding a beverage container, which, in a mounted state, preferably in an inclined plane (E), uses a sliding guide to move between an inserting position and an evacuating position (A) Wherein the slide (17)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having one or more insertion openings (23) for inserting a beverage container, A support element (25) on which an insertable beverage container can be placed is pivotably articulated;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taining element 21 and the retaining element 25 can be tilted or tilted to the horizontal use position at the discharge position A and upon return to the insertion position the two elements 21, 25 such that the two elements 21, 25 can be folded or collapsed into the non-use position toward the slide 17.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are constrain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 ejection direction x by the side webs 19 to provide a cellular phone holder, and / (11) includes a housing (13) with an insertion opening (15) through which the slide (17)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3) (27) has an elastic element (29), at which time the cellular 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15) und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said elastic element (29).

Figure P1020177021742
Figure P1020177021742

Description

음료 용기 보유 장치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음료 용기 보유 장치 및 청구항 제16항의 전제부에 따른 음료 용기 보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and to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6.

예를 들어 보관 트레이 또는 클램핑 장치와 같이,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차량 내 다양한 거치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차량 실내에 설치하는 데 있어 공간 집약적이며, 그리고/또는 제조 기술적으로나 구성 부품 관련해서도 복잡하다. 특히 차량 뒷자석 영역에서는 인체공학적으로 바람직한 휴대폰 거치를 위해 가용한 설치 공간이 제한되어 있다.Various mounting methods in a vehicle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such as, for example, a storage tray or a clamping device, are known. Some of these are space intensive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interior, and / or are complex with respect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mponent parts. Especially in the area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here is a limited space available for ergonomically favorable cell phone mounting.

DE 199 54 670 A1호로부터 공지된 동류의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차량 장착 상태에서 경사면 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를 이용하여 삽입 위치와 배출 위치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운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슬라이드에는, 음료 용기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를 가진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와, 상기 삽입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음료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 요소가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받침 요소 상에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의 삽입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음료 용기가 지지될 수 있다. 보유 장치는 또한, 배출 위치에서는 보유 요소와 받침 요소가 수평 사용 위치로 젖혀져 있도록, 그리고 삽입 위치로 복귀 시에는 상기 두 요소가 슬라이드를 향해 비사용 위치로 접히도록, 상기 두 요소가 상호 연동되게 하는 운동역학 시스템 또는 레버 기구를 구비한다. A similar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known from DE 199 54 670 A1 has a slide which is guided for movement in a vehicle-mounted state between an inserting position and an evacuating position by means of a sliding guide in an inclined plane. The slide is pivotably and articulately connected to a plate-like retention element having one or more insertion openings for insert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upport element to which the insertable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A beverage container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on the support element can be supported. The retaining device is further configured such that the retaining element and the retaining element are flipped to the horizontal use position at the ejection position and the two elements are folded toward the slide at the non-use position upon return to the insertion position, And a lever mechanism.

본 발명의 과제는, 그 기능성이 간단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in which its functionality can be simply improved.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르면, 휴대폰 거치를 제공하기 위해 음료 용기 보유 장치의 기존의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를 바로 사용함으로써, 보유 장치가 음료 용기의 보유뿐만 아니라 휴대폰 보유를 위해서도 추가로 이용되는 이중 기능을 갖게 된다. 휴대폰의 위치 안정적인 보유를 달성하기 위해,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의 양 측면이 측면 웨브들에 의해 삽입/배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유 장치가 삽입 개구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개구를 통해 슬라이드가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개구의 상부 에지가 탄성 요소를 가지고, 이 경우 휴대폰이 상기 탄성 요소의 탄성 변형 하에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the features of claim 1. 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part of claim 1, by directly using the existing plate-like retention elem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retention device to provide cell-phone retention, the retention device can be used as a dual function that is additionally used for reten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well as reten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 To achieve position-stable retention of the mobile phone, both sides of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are laterally constrained by the side webs relative to the insertion / ejection direction. Preferably, the retention device comprises a housing with an insertion opening through which the slide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upper edge of the insertion opening having an elastic element,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under deformation.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6항의 특징들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제16항의 특징부에 따르면,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해, 보유 장치는 삽입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삽입 개구를 통해 슬라이드가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개구의 상부 에지가 탄성 요소를 가지고, 이 경우 휴대폰이 상기 탄성 요소의 탄성 변형 하에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의 양 측면이 측면 웨브들에 의해 삽입/배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된다.This problem is also solved by the features of claim 16. According to a feature of claim 16, in order to provide a cellular phone holder, the retention device has a housing with an insertion opening through which the slide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upper edge of the insertion opening having an elastic element In which case the cellular 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und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element. Preferably, both sides of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are laterally constrained by the side webs relative to the insertion / ejection direction.

본 발명의 범주에서 휴대폰에는 이른바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phablet) 및 여타의 더 작은, 디스플레이를 갖춘 이동 전자 기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Cell phones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o-called smart phones, tablets, phablets and other smaller,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s. Advantageous refinements of the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dependent claims.

매우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보유 장치는 차량의 뒷좌석 영역에 위치한 중앙 암 레스트(arm rest) 내에 설치된다. 그러한 중앙 암 레스트는 바람직하게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수평 위치에서는 팔 지지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접어올린 위치에서는 중앙 암 레스트가 추가 시트면을 노출시켜 등받이로 이용된다. 이 경우, 보유 장치는 바람직하게 피벗축에서 먼 쪽에 놓이며 차량 길이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는, 중앙 암 레스트의 단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In one highly preferred embodiment, the ret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central armrest located in the rear seat area of the vehicle. Such a center armrest can preferably be articulated in a pivotable manner and can be used as an arm support in a horizontal position. In the folded position, the center armrest exposes the additional seat surface and is used as a backrest. In this case, the retaining device can be mounted on the end face of the center armrest, which is preferably located farther from the pivot axis and facing forward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특히 그러한 장착 상태에서 보유 장치의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면 내에서, 삽입 위치와, 상기 삽입 위치에 비해 상향 오프셋된 배출 위치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운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다. 슬라이드에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뿐만 아니라, 삽입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음료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 요소도 추가로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버 기구와 같은 운동역학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배출 위치에서 보유 요소와 받침 요소가 수평 사용 위치로 젖혀져 있거나 젖혀질 수 있도록, 그리고 삽입 위치로 복귀 시에는 상기 두 요소가 슬라이드를 향해 비사용 위치로 접혀 있거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두 요소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such a mounted state, the slide of the retention device can be guided in a racetically movable manner between the inserted position and the upwardly offset position relative to the inserted position, preferably in the inclined plane. The slide may be additionally pivotally articulately connected to a plate-like retention element, as well as a base element that can be placed on the beverage container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opening. Using a kinematic dynamics system, such as a lever mechanism, such that the retaining element and the retaining element at the ejection position can be tilted or tilted to the horizontal use position, and upon return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The two elements can be interlocked so as to be folded or collapsed into the use position.

후술될 발명의 양태는 특히, 전술한, 매우 바람직한, 중앙 암 레스트에서 한 경사면 내에서의 보유 장치의 기울어진 장착 상태와 관련된다.The aspect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relate particularly to the tilted mounting condition of the retaining device in one of the above-mentioned, highly preferred, inclined planes in the center armrest.

즉,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 상에 휴대폰의 거치 시, 양측 측면 웨브가 높이 오프셋을 수반하여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 위로 돌출할 수 있다. 또한, 양측 측면 웨브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로부터 독립적이며, 다시 말해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 웨브들은 슬라이드의 직접적인 구성 부재이다. 슬라이드 측면 웨브들은 횡방향으로 볼 때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가 측면 웨브들과 함께, 휴대폰을 넣어둘 수 있는 상향 개방형 수납 쉘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납 쉘은, 삽입 위치에서 보유 장치 하우징의 슬롯형 삽입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와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가 슬라이드에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된 일체형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ellular phone is mounted on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both side-side webs can protrude above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with a height offset. In addition, both side webs are independent from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s, that is, they can be disposed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s. Preferably both side webs are direct structural members of the slide. The slide side webs may be disposed outside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s when viewed transversely. So that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together with the side webs forms an upwardly open storage shell in which the cellular phone can be inserted. Also, the storage shell may be defined by a cover that closes the slotted insertion opening of the retention device housing at the insertion position. Preferably, the cover and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can form an integral unit that is pivotably and articulately connected to the slide.

한 기술적 구현에서는, 슬라이드 측면 웨브들이 바람직하게 전술한 경사면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사용 위치에서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가 바람직하게 수평 사용 위치로 탄성 응력을 받을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운동역학 시스템은 추가로, 휴대폰의 거치 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가 (휴대폰 고유 중량으로 인해),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의 형성 하에 비사용 위치로 접힐 수 있게 하는 프리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거치된 휴대폰은 수평 상태로 거치되지 않고, 슬라이드의 경사면의 기울기에 대략 상응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된다.In one technical implementation, the slide side webs are preferably movably guided within the aforementioned inclined plane. At the location of use,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is preferably subjected to elastic stresses to the horizontal use posi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kinematic dynamics system may additionally have a freewheeling function that allows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upon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to be folded into an unused position (due to the inherent weight of the mobile phone), specifically, have. Correspondingly, the mounted cellular phone is not tilted in a horizontal state but is tilted at an inclination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of the slide.

보유 장치의 한 기술적 구현에서는, 슬라이드와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 사이에 정의되는 피벗축이, 배출 방향으로 볼 때, 슬라이드와 받침 요소 사이에 정의된 제2 피벗축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사전 정의된 길이 오프셋(length offset)만큼 전진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는 측면 웨브들 위로 돌출한다. 다시 말해, 사용 위치에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는 슬라이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받침 요소는 슬라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두 요소는 슬라이드와 함께 대략 Z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In one technical implementation of the retention device, the pivot axis defined between the slide and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has a second pivot axis defined between the slide and the base element, more specifically a predefined length And can be advanced by a length offset. In such a case, the plate-like retaining element projects above the side webs. In other words, in the use position,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lide and the retaining element is at the bottom of the slide, both elements forming a substantially Z-shaped profile with the slide.

전술한 그리고/또는 종속항들에 명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또는 개선예들은, 예를 들어 명확한 종속성 또는 부적합한 대안의 경우를 제외하고, 개별적으로도 그리고 서로 임의로 조합된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Preferred embodiments and / or enhancements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regoing and / or the subclaims, may also be applied individually and in any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ith the exception of certain dependencies or unsuitable alternatives .

하기에서는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개선예들, 그리고 이들의 장점들을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보유 장치가 예시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앙 암 레스트가 뒷좌석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투트랙(two-track) 차량의, 외곽선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슬라이드가 부분적으로 배출되어 있는 중앙 암 레스트의 정방 영역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용 상태에 있는, 도 2와 유사한 보유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가 휴대폰 거치 상태에서 접혀 있는, 도 3과 유사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보유 장치의 휴대폰 거치 상태에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 및 그 하부에 놓인 받침 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보유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side view of an outline of a two-track vehicle in which a central armrest is provided in the rear seat area, in which a retaining device is illustratively mounted;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quare region of the center armrest in which the slide is partially ejected. Fig.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device similar to that of Figure 2 in use;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imilar to Figure 3, with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folded in the cell phone hold state.
5 is a top view of a plate-like retention element and a backing element located therebelow, in a cell-phone state of the retention device.
6 and 7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투트랙 차량의 측면도에서, 상기 차량은 차량 길이 방향(x)으로 볼 때 앞좌석 영역(1) 및 뒷좌석이 구비된 뒷좌석 영역(3)을 구비한다. 뒷좌석의 시트면(5) 상에 팔 지지대로서 이용되는 중앙 암 레스트(7)가 지지되어 있다. 중앙 암 레스트는 도시되지 않은 피벗축을 중심으로 위로 접힐 수 있고, 그로 인해 추가 시트면(5)이 노출되며 중앙 암 레스트(7)는 뒷좌석의 등받이 내에 동일 평면으로 삽입된다. 중앙 암 레스트(7)는 피벗축에서 먼 쪽에 놓인 전방 단부측(9)에 음료 용기를 위한 보유 장치(11)를 갖는다.In the side view of the two-track vehicle shown in Fig. 1, the vehicle has a front seat area 1 and a rear seat area 3 provided with a rear seat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x. A center arm rest 7 used as an arm support is supported on the seat surface 5 of the rear seat. The central armrest can be folded up about a pivot axis, not shown, whereby the additional seat surface 5 is exposed and the central armrest 7 is inserted coplanarly in the backrest of the back seat. The central armrest (7) has a retaining device (11) for the beverage container on the side of the front end (9) located farther from the pivot axis.

도 6에는 보유 장치(11)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유 장치(11)는 기본적으로, 슬롯형 삽입 개구(15)를 가진 납작한 하우징(13)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3) 내부에는 왕복 조정이 가능한 슬라이드(17)가 보유되며, 상기 슬라이드는 하우징(13) 내에 들어가 있는 삽입 위치와 배출 위치(A)(도 3 내지 도 5)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운동할 수 있다.In Fig. 6, the holding device 11 is shown as being detached. The holding device 11 is basically formed as a flat housing 13 with a slot-like insertion opening 15. Inside the housing 13 there is provided a slide 17 which is adjustable in reciprocation and which can be moved in a drawable manner between an inserting position in the housing 13 and an evacuating position A (Figures 3 to 5) have.

슬라이드(17)는 도 2 내지 도 5에 따라 2개의 측면 웨브(19)를 가지며, 이들 측면 웨브는 장착 상태에서 경사면(E)(도 2) 내에서 차량 길이 방향(x)으로 전방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17)의 양 측면 웨브들(19)에서 단부측에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가, 더 정확하게는 횡방향(y)으로 연장되는 피벗축(S1)을 중심으로, 지지되어 있다.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 내에는 음료 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삽입 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장치(11)는 플레이트형 받침 요소(25)를 가지며, 이 받침 요소는 제2 피벗축(S2)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슬라이드(17)의 양 측면 웨브(19) 사이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두 피벗축(S1 및 S2)은 서로 축평행 방식으로 연장되며, 배출 방향에서 볼 때 받침 요소(25)의 피벗축(S2)이 길이 오프셋(Δl)(도 3)만큼 제1 피벗축(S1)의 후방에 지지되어 있다. 받침 요소(25) 상에는 보유 요소(21)의 각각의 삽입 개구(23)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음료 용기가 올려질 수 있다.The slide 17 has two side webs 19 according to Figures 2 to 5 and these side webs can be adjusted upwards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x within the inclined plane E (Figure 2) have. A plate-like retaining element 21 is supported on the end sides of both side webs 19 of the slide 17, more precisely about a pivot axis S 1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y. In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21, two insertion openings 23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are formed. The retaining device 11 also has a plate-like support element 25 which is pivotally movable about a second pivot axis S 2 between the side webs 19 of the slide 17, . The two pivot axes S 1 and S 2 extend ax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pivot axis S 2 of the bearing element 25 as seen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displaced by a length offset Δl And is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pivot axis S 1 . On the backing element 25 a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opening 23 of the retaining element 21 can be lifted.

보유 요소(21) 및 받침 요소(25)는 도시되지 않은 운동역학 시스템 또는 레버 기구를 통해, 더 정확하게는 배출 위치(A)에서 상기 두 요소(21, 25)가 수평 사용 위치로 젖혀지도록, 서로 연동된다. 레버 기어는, 삽입 위치로의 복귀 시 상기 두 요소(21, 25)가 비사용 위치로, 다시 말해 슬라이드 평면(E)을 향해 접히도록 설계된다. The retaining element 21 and the retaining element 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not shown kinematic dynamics system or lever mechanism and more precisely at the discharge position A the two elements 21, Interworking. The lever gear is designed such that upon return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the two elements (21, 25) are folded towards the unused position, i. E. Towards the slide plane (E).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는 조작 커버(22)와 함께 일체형 구성 유닛을 형성한다. 커버(22)는 도시되지 않은 삽입 위치에서 보유 장치(11)의 삽입 개구(15)를 폐쇄한다. 또한, 커버(22)를 이용하여 공지된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푸시 메커니즘에 의해 하우징(13) 내로 삽입된 슬라이드(17)가 짧은 행정 거리만큼 하우징(13) 내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슬라이드(17)의 잠금이 해제된다. 잠금이 해제된 후 슬라이드(17)는 탄성력의 도움으로 자신의 배출 위치(A)로 이동될 수 있다.The plate-like retaining element 21 forms an integral constituent unit together with the operation cover 22. The cover 22 closes the insertion opening 15 of the retaining device 11 in an unillustrated insertion position. A known push-push mechanism can also be actuated using the cover 22 and the slide 17 inserted into the housing 13 by the push-push mechanism is pushed into the housing 13 by a short stroke distance The slide 17 is unlocked. After the lock is released, the slide (17) can be moved to its discharge position (A) with the aid of elastic force.

전술한 운동역학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사용 상태가 나타나며, 이 상태에서는 보유 요소(21)뿐만 아니라 받침 요소(25)도 각각 수평 상태로 젖혀지고,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는 수평 사용 상태로 탄성 응력을 받는다. 또한 운동역학 시스템은,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 상에 휴대폰(8)의 거치 시 상기 보유 요소(21)가 탄성력의 형성 하에 휴대폰 거치 위치(도 4)로 접히도록, 더 정확하게는 슬라이드(17)의 방향으로 안쪽으로 접히게 하는 프리휠 기능을 갖는다.Using the above-described kinematic dynamics system, the use state shown in Fig. 3 appears, in which the retaining element 21 as well as the retaining element 25 are also each turned horizontally, and the plate-like retaining element 21 Elastic stress is applied in horizontal use. The kinematic dynamics system also allows the retention element 21 to be folded into the cell-phone holding position (Fig. 4) under the formation of an elastic force on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 In the direction of the free wheel.

휴대폰 거치 위치(도 4)에서 휴대폰(8)은 대략 경사진 슬라이드 평면(E) 내에 배치되며, 이때 양쪽 측면 웨브들(19)이 높이 오프셋(Δh)만큼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 위로 돌출한다. 양쪽 측면 웨브들(19)은 커버(22) 및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와 함께 상향 개방된 수납 쉘을 형성하며, 이 수납 쉘 내에 휴대폰(8)이 위치 안정적으로 보유될 수 있다. The cellular phone 8 is placed in a generally inclined slide plane E where both side webs 19 project above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by a height offset? H . Both side webs 19 together with the cover 22 and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form an upwardly opening storage shell in which the cellular phone 8 can be held in position stability.

운동역학 시스템 및 보유 장치(11)의 레버 기구는, 보유 요소(21)가 휴대폰 거치 위치로 접힐 때 받침 요소(25)도 동시에 연동되어 비사용 위치로 접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플레이트형 요소(21, 25)가 대략 경사면(E) 내에 직접 겹쳐져서 놓인다. 그럼으로써 받침 요소(25)가 보유 요소(21) 내에 형성된 삽입 개구들(23)에 겹쳐지며, 그 결과 휴대폰을 위해 막힌 받침면이 제공될 수 있다(도 5).The lever mechanism of the kinematic system and retaining device 11 is designed such that when the retaining element 21 is folded into the cellular phone mounting position, the retaining element 25 is also engaged simultaneously to fold into the unused position. In this way, the two plate-like elements 21 and 25 are placed in direct overlap with each other substantially in the inclined plane E. Whereby the backing element 25 overlaps the insertion openings 23 formed in the retaining element 21, so that a plugged backing surface can be provided for the cellular phone (FIG. 5).

추가의 보관 안정성을 위해, 보유 요소(21)의 받침면뿐만 아니라 양 측면 웨브들(19)에도 고무가 사용된다. 또한, 측면 웨브들(19)의 높이 오프셋(Δh)이 휴대폰(8)의 장착 깊이보다 더 크게 설계됨으로써, 휴대폰(8)은 삽입 위치에서도, 다시 말해 슬라이드(17)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보유될 수 있다.For additional storage stability, rubber is also used on both side webs 19 as well as the bearing surface of the retaining element 21.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fset? H of the side webs 19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mounting depth of the cellular phone 8, the cellular phone 8 can be stably positioned at the inserted position, Can be retained.

도 6 및 도 7에는 하우징(13)의 삽입 개구(15)의 상부 에지(27)에 탄성 가요성 요소(29)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휴대폰(8)은 탄성 변형 및 탄성 요소(29)의 복원력의 형성 하에 하우징(13)의 삽입 개구(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탄성 요소(29)는 예컨대 길다란 고무 립(rubber lip)이다. 그 대안으로, 탄성 요소(29)는 연성 중공체일 수도 있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박판들을 가질 수도 있다.6 and 7, the resiliently flexible element 29 is provided at the upper edge 27 of the insertion opening 15 of the housing 13. In this case, the cellular phone 8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15 of the housing 13 under the form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element 29. 6 and 7, the elastic element 29 is, for example, an elongated rubber lip. Alternatively, the elastic element 29 may be a flexible hollow body, or may have thin plates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Claims (18)

음료 용기 보유 장치로서,
상기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장착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경사면(E) 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를 이용하여 삽입 위치와 배출 위치(A)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운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슬라이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17)에는 음료 용기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23)를 가진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와, 상기 삽입 개구(23) 내로 삽입 가능한 음료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 요소(25)가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또한, 보유 요소(21)와 받침 요소(25)가 배출 위치(A)에서는 수평 사용 위치로 젖혀져 있거나 젖혀질 수 있고, 삽입 위치로 복귀 시에는 상기 두 요소(21, 25)가 슬라이드(17)를 향해 비사용 위치로 접혀 있거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두 요소(21, 25)가 연동되게 하는 운동역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해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의 양 측면이 측면 웨브들(19)에 의해 삽입/배출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comprising: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includes a slide (17) guided in a mounted state, preferably in a slope (E), by means of a sliding guide so as to be able to move between the inser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 (21)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opening (23) for inserting a beverage container, and a base member (21) capable of placing a beverage container insertable into said insertion opening (23) (25) are pivotally articulated and connected,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taining element 21 and the retaining element 25 can be tilted or tilted to the horizontal use position at the ejection position A and at the time of return to the insertion position the two elements 21, 25.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comprising a kinematic system for causing the two elements (21, 25) to be interlocked or folded into an unused position toward a slide (17)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are laterally limit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 ejection direction (x) by the side webs (19) to provide a cellular phon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웨브들(19)은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로부터 독립적이며, 다시 말해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와 직접적으로 또는 강성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2.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ebs (19) are independent from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21), i.e. not directly or rigidly connected to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웨브들(19)은 슬라이드(17)의 구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ebs (19) are constituent members of the slide (17).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측면 웨브들(19)은 횡방향(y)으로 볼 때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side webs (19)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21) when viewed in the lateral direction (y). 제1항에 있어서, 휴대폰 거치대는 수납 쉘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납 쉘에서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가 쉘 바닥부를 형성하고, 측면 웨브들(19)이 쉘 측벽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2.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phone holder is formed as a storage shell in which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forms the shell bottom and the side webs (19)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17)는, 삽입 위치에서 보유 장치(11)의 하우징(13)의 삽입 개구(15)를 폐쇄하는 커버(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17) has a cover (22) for closing the insertion opening (15) of the housing (13) of the holding device (11) . 제6항에 있어서, 커버(22)와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는 슬라이드(17)에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된 일체형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7.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22) and the plate-like holding element (21) form an integral unit which is pivotably articulated to the slide (17). 제6항에 있어서, 커버(22)가 측면 웨브들(19)과 함께 휴대폰 거치대의 측면을 제한하고, 그리고/또는 커버(22)가 측면 웨브들(19)과 함께 휴대폰 수납 쉘의 쉘 측벽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7. A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ver (22) restrains the side of the cell phone cradle with the side webs (19) and / or the cover (22)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측면 웨브들(19)이, 바람직하게는 경사면(E)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배출 위치(A)에서는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가 수평 사용 위치로 탄성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4. A device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side webs (19) are preferably movably guided in the inclined plane (E), and in the discharge position (A) Wherein the container is stressed. 제9항에 있어서, 운동역학 시스템은, 휴대폰(8)의 거치 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가 탄성력의 형성 하에 비사용 위치로 접히게 하는 프리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10.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kinematic dynamics system has a freewheeling function which causes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to collapse into an unused position under the formation of an elastic force, . 제9항에 있어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는 자신의 수평 사용 위치에서 측면 웨브들(19)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10.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like retaining element (21) protrudes above the side webs (19) in its horizontal us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17)와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 사이에 정의되는 피벗축(S1)이, 배출 방향(x)으로 볼 때, 슬라이드(17)와 받침 요소(25) 사이에 정의된 제2 피벗축(S2)보다 길이 오프셋(Δl)만큼 전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2. A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pivot axis S 1 defined between the slide (17) and the plate-like retention element (21) is arranged between the slide (17) Is displaced forward by a length offset (? 1) from a second pivot axis (S 2 ) defined in the first pivot axis (S 2 ). 제12항에 있어서, 수평 사용 위치에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는 슬라이드(17)의 상부에 위치하고, 받침 요소(25)는 슬라이드(17)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13.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like retaining element (2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lide (17) and the resting element (25)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장치(11)는 차량 뒷좌석 영역(3)에 있는 중앙 암 레스트(7)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 암 레스트(7)는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평 위치에서는 팔 지지대로 이용되고, 접어올린 위치에서는 시트면(5)이 노출되어 등받이로 이용되며, 보유 장치(11)는 피벗축에서 먼 쪽에 놓인 중앙 암 레스트(7)의 단부면(9)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2. A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ining device (11) is mounted on a central armrest (7) in the rear seat area (3) of the vehicle, the central armrest (7) In which the seat surface 5 is exposed and used as a backrest and the retention device 11 is mounted on the end face 9 of the central arm rest 7 on the far side of the pivot shaft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장치(11)는 삽입 개구(15)가 형성된 하우징(13)을 가지고, 상기 삽입 개구를 통해 슬라이드(17)가 하우징(13)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개구(15)의 상부 에지(27)가 탄성 요소(29)를 가지고, 이 경우 휴대폰이 상기 탄성 요소(29)의 탄성 변형 하에 삽입 개구(15)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3. 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device (11) has a housing (13) with an insertion opening (15) through which the slide (17)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3)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27) of the elastic element (29) has an elastic element (29), in which case the cellular 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15) und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element (29). 음료 용기 보유 장치로서,
상기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장착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경사면(E) 내에서, 슬라이딩 가이드를 이용하여 삽입 위치와 배출 위치(A)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운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슬라이드(17)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17)에는 음료 용기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23)를 가진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와, 상기 삽입 개구(23) 내로 삽입 가능한 음료 용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 요소(25)가 피벗 가능하게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 용기 보유 장치는 또한, 보유 요소(21)와 받침 요소(25)가 배출 위치(A)에서는 수평 사용 위치로 젖혀져 있거나 젖혀질 수 있고, 삽입 위치로 복귀 시에는 상기 두 요소(21, 25)가 슬라이드(17)를 향해 비사용 위치로 접혀 있거나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두 요소(21, 25)가 연동되게 하는 운동역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해, 보유 장치(11)는 삽입 개구(15)가 형성된 하우징(13)을 가지고, 상기 삽입 개구를 통해 슬라이드(17)가 하우징(13)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개구(15)의 상부 에지(27)가 탄성 요소(29)를 가지고, 이 경우 휴대폰이 상기 탄성 요소(29)의 탄성 변형 하에 삽입 개구(15)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comprising: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includes a slide (17) guided in a mounted state, preferably in a slope (E), by means of a sliding guide so as to be able to move between the inser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A) (21)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opening (23) for inserting a beverage container, and a base member (21) capable of placing a beverage container insertable into said insertion opening (23) (25) are pivotally articulated and connected,
The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taining element 21 and the retaining element 25 can be tilted or tilted to the horizontal use position at the ejection position A and at the time of return to the insertion position the two elements 21, 25.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comprising a kinematic system for causing the two elements (21, 25) to be interlocked or folded into an unused position toward a slide (17)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er, the retaining device 11 has a housing 13 with an insertion opening 15 through which the slide 17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3,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27) of the container (15) has an elastic element (29), in which case the cellular 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15) under an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element .
제16항에 있어서, 플레이트형 보유 요소(21)의 양 측면이 측면 웨브들(19)에 의해 삽입/배출 방향(x)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17.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plate-like retaining element (21) are transversely restrict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 ejection direction (x) by the side webs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보유 장치가 제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개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보유 장치.18. A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17,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device is modifi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4.
KR1020177021742A 2015-01-07 2015-11-10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9696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0087.7A DE102015200087A1 (en) 2015-01-07 2015-01-07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DE102015200087.7 2015-01-07
PCT/EP2015/076155 WO2016110347A1 (en) 2015-01-07 2015-11-10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939A true KR20170102939A (en) 2017-09-12
KR101969661B1 KR101969661B1 (en) 2019-04-16

Family

ID=5447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742A KR101969661B1 (en) 2015-01-07 2015-11-10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969661B1 (en)
CN (1) CN107107805B (en)
DE (2) DE102015200087A1 (en)
WO (1) WO201611034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1409B2 (en) 2018-01-04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holding a cell phone, a cup and other items in a motor vehicle
CN110254319B (en) * 2019-06-17 2020-05-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A vehicle that is used for putting thing subassembly and has it of vehicle
DE102021109771A1 (en) 2021-04-19 2022-10-20 Audi Aktiengesellschaft Vehicle component with a receiving device, vehicle seat and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888A (en) * 1997-07-17 1998-12-08 Prince Corporation Retractable container holder
KR19990019603U (en) * 1997-11-20 1999-06-15 홍종만 Cup holder with cell phon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978A (en) 1994-02-04 1995-01-10 Manchester Plastics Vehicular convertible cupholder
DE19507614A1 (en) * 1995-03-04 1996-09-05 Fischer Artur Werke Gmbh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5745565A (en) * 1996-05-06 1998-04-28 Ericsson Inc. Combination cup and cellular phone holder
DE19954670A1 (en) 1999-11-13 2001-05-17 Fischer Artur Werke Gmbh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DE10016463A1 (en) * 2000-04-01 2001-10-11 Fischer Artur Werke Gmbh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DE10132515A1 (en) 2001-07-05 2003-01-30 Joerg Theilig Holder for mobile telephone and/or drink container etc. in car
DE20111577U1 (en) * 2001-07-18 2001-10-25 Kunststofftechnik Riesselmann GmbH & Co. KG, 01458 Ottendorf-Okrilla Holding device for containers, in particular beverage cans, bottles or drinking vessels, in motor vehicles
DE10234108A1 (en) 2001-08-10 2004-03-25 Daimlerchrysler Ag Console in motor vehicle has several drink holders adjustable between at least two positions and installed in two parallel extending planes, one above other, and position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JP4865164B2 (en) * 2001-08-29 2012-02-01 株式会社ニフコ Container holder
DE102007058763A1 (en) * 2007-12-06 2009-06-10 Daimler Ag Container i.e. beverage bottle, holding device for use in interior of motor vehicle, has holding element arranged partially outside housing in functional position, where housing is integrated in seat cushion of vehicle seat or in seat bench
CN203267863U (en) * 2013-06-09 2013-11-06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Drawer type cup st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888A (en) * 1997-07-17 1998-12-08 Prince Corporation Retractable container holder
KR19990019603U (en) * 1997-11-20 1999-06-15 홍종만 Cup holder with cell phon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5900B4 (en) 2022-01-20
KR101969661B1 (en) 2019-04-16
CN107107805A (en) 2017-08-29
DE112015005900A5 (en) 2017-09-28
DE102015200087A1 (en) 2016-07-07
CN107107805B (en) 2021-02-02
WO2016110347A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8196985B2 (en) Console assembly
KR101969661B1 (en)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CN108025680B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9975493B2 (en) Vehicular console device
CN110871728B (en) Console with cup holder
EP3275735B1 (en) A motor vehicle drawer assembly
CN111629933B (en) Device for holding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vehicle having a holding device of this type
US11325516B2 (en)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RU2711113C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embodiments)
CN106864384B (en) Smartphone holding device for vehicle
CN102001298A (en) Fold and dive seat
EP3170700B1 (en) Armrest apparatuses including translating docking station arrangements for motor vehicles
US10940785B2 (en) Vehicle holding unit
JP5792042B2 (en) Vehicle cup holder device
KR101922163B1 (en) Console Box
JP6570394B2 (en) In-vehicle drink holder structure
KR200489154Y1 (en)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JP6376321B2 (en) Umbrella storage structure
JP2010047089A (en) Center console structure of vehicle
US9981611B2 (en) Vehicle storage assembly
US20110095060A1 (en)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JP2016159663A (en) Storage holder
KR101447930B1 (en) Cupholder for automobile with foldable capturing arm
JP7286589B2 (en) Vehicle 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