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894A - 공기용 캐버티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 - Google Patents

공기용 캐버티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894A
KR20170102894A KR1020177020403A KR20177020403A KR20170102894A KR 20170102894 A KR20170102894 A KR 20170102894A KR 1020177020403 A KR1020177020403 A KR 1020177020403A KR 20177020403 A KR20177020403 A KR 20177020403A KR 20170102894 A KR20170102894 A KR 20170102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clined surface
vessel
aft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807B1 (ko
Inventor
스티그 뷔스테드트
Original Assignee
스테나 레데리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나 레데리 에이비 filed Critical 스테나 레데리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0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2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편평한 바닥부에 저항 감소형 빈공간부(4)를 가지고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그 하부 부분은 물로 채워져 있는 한편, 그 상부 부분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단(5, 6)은 수류를 선박의 정면부로부터 빈공간부의 정면 부분 쪽으로 향하게 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수단은 만곡부(5)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만곡부는 선박의 바닥부에서 시작하되 선미를 향하여 그리고/또는 경사면(6)에 의해 뻗어있다. 선수쪽 여유 에어 챔버(8)는 만곡부와 경사면 위쪽에 배열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공기 발생 수단(27)은 상기 에어 챔버(8)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에어 갭(7)은 상기 에어 챔버(8)로부터 경사면(6) 아래의 공간 쪽으로 기류가 생성되게 하기 위하여 이 에어 챔버(8)의 하부 에지에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용 캐버티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
본 발명은 선박의 편평한 바닥부에 저항 감소형 빈공간부(resistance-reducing void)를 가지고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빈공간부의 하부 부분은 물로 채워져 있는 한편 상부 부분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
모든 선박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한가지는 속도와 출력 사이의 관계이다. 보통의 상선에 있어서, 마찰 저항, 즉 물과 수중 선체 사이의 마찰은 선박의 총 저항 중 전체적으로 지배적인 부분이다. 예컨대 고속 선박에 있어서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만 파 저항(wave resistance)이 결정적이게 된다. 여러 가지 타입의 표면 구조를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 타입의 공기 윤활을 이용해서 마찰 저항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가 행해져왔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에 있어서의 결과는 아직까지는 부정적이었다.
마찰 저항을 줄이는 다른 방법은 젖은 표면의 면적을 줄이는 것이다. 젖은 표면은 제로 속도로 주변의 물과 접촉하는 선체의 일부이다. 이는 편평한 바닥 표면의 일부가 부분적으로는 공기로 채워져 있는 빈공간부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빈공간부의 하부 부분은 물로 채워져 있는 한편 상부 부분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상부 부분은 에어 챔버(air chamber)로 지칭된다. 공기를 수면으로부터 분리하는 표면은 인터페이스로 지칭된다. 선박의 전진 때문에, 공기 중 일부는 아래에 있는 수류에 의해 멀리 옮겨질 것이다. 유출되는 공기는 이때 새로 공급되는 공기로 보충되어야 하는데, 이는 에어 챔버의 상부 부분과 선수쪽 에지에서 적절하게 일어난다. 수중 선체와 빈공간부는 분리와 와류가 생기게 하지 않도록 잘 맞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이와 달리 빈공간부에서의 분리와 와류 및 에어 챔버에서의 파 발생(wave generation)은 줄어든 젖은 표면이 생기게 될 수 있는 저항의 감소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빈공간부와 선체의 적합한 형상에 의하여 빈공간부의 하부 에지 가까이에 위치해 있는 공기/물 수준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젖은 표면의 감소에 비례하는 저항의 감소가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한 선체 형태는 특허 PCT/SE2008/051050 (WO 2010/033058 A1)에 개시되어 있다.
선박이 공해에서 운항하는 경우, 횡단 방향의 롤링, 즉 선박의 중심선에서 길이방향 축 둘레에서의 왕복 회전 운동이 있을 수 있고, 또는 피치 운동, 즉 선박의 대략 중앙 지점에서 수평방향 횡단 축 둘레에서의 왕복 회전 운동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운동들의 조합이 있을 수 있고, 공기는 빈공간부의 에지들의 가장 높이 위치해 있는 측면에서 유출될 것이다. 롤링시의 공기 유출은 길이방향으로 향해 있는 칸막이 벽을 이용하는 빈공간부의 분할을 이용하여 특정 정도까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피치 방향으로의 운동시 공기 유출을 줄이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향해 있는 칸막이 벽을 이용하는 길이방향으로의 빈공간부의 분할은 좋은 해결책이 아닌데, 이는 결과적으로 증가된 저항이 있는 새로운 와류를 생기게 하기 때문이다. 위에 언급된 2개의 운동의 결과는, 인터페이스가 빈공간부의 하부 에지 가까이에 유지될 수는 없지만 더 높은 수준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빈공간부의 공지된 형상들은 아직까지는 뾰족한 에지의 형태로 되어 있는 빈공간부 쪽으로의 입구가 형성되어 왔다. 인터페이스가 어떤 이유로 상술된 바와 같이 빈공간부의 하부 에지 위쪽에서 약간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빈공간부 쪽으로의 입구에서의 수압과 에어 챔버 안의 공기압 사이에 압력차가 획득된다. 이 압력차는 에어 챔버 안에 파 발생을 생기게 한다. 이 파 발생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저항의 감소는 더 높은 수준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완전히 제거되도록 상당히 줄어든다. 이것의 결과는, 인터페이스가 빈공간부의 하부 에지 가까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즉 매우 열악한 해황에 있으면서 선박이 등흘수에 가까운 상태에 있는 경우에 오늘날의 기법만을 이용하는 저항의 감소가 획득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빈공간부 쪽으로의 입구에 수단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가 공기 빈공간부의 하부 에지 위쪽에 높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에어 챔버 안의 파 발생을 줄이거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를 제거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저항의 감소는 이때 여러 가지 트림으로 획득될 수도 있고, 선박이 양호한 해황에서 운항한다 할지라도 그러하다.
상기 목적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은: 수단은 수류를 선박의 정면부로부터 빈공간부의 정면 부분 쪽으로 향하게 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수단은 만곡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만곡부는 수평 수준(ww)으로부터 적절하게 선박의 바닥부에서 시작하되,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선미를 향하여 위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으면서 빈공간부의 천장을 향하여 위로 뻗어있는 평면 옆에서 그리고/또는 선미를 향하여 뻗어있고, 개구 형태로 되어 있는 에어 갭(air gap)은 만곡부 안에 또는 경사면이나 그 안에 위치해 있고, 다수의 공기 발생 수단은 에어 갭(7)으로부터 경사면(6)이나 만곡부(5) 아래의 공간 쪽으로 기류가 생성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갭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국 특허 6,575,103 B1에는 한가지 해결책이 나타나 있는데, 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것과 완전히 다른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갭을 통해 패시브 챔버(passive chamber)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도록 전부 선체(forebody)에서 만곡부로 형성되는 부압을 이용하는 것이 시도된다. 이때, 이 공기는 언급되지 않은 어떤 방식으로든 지체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 압력의 증가를 야기할 것이다. 이 증가된 압력은 이때 캐버티를 공기로 채울 것이다. 선박의 속도가 에어 챔버를 채우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적절하다. 소리는 영구 기관처럼 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기는 안에서 압축되고, 이는 에어 챔버 안에서의 파 발생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 챔버 안에서의 파 발생을 약화시키도록 공기가 안에서 압축된다는 점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빈공간부 쪽으로의 입구, 뾰족한 에지는 만곡부로 대체될 뿐만 아니라,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대체로 편평한 평면으로 대체된다. 만곡부와 경사면은 빈공간부 속으로의 수류를 제어한다. 만곡부는, 베이스 라인의 편평한 바닥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부 선체에 있는 벌브(bulb)의 말단을 구성할 수 있는, 수평 수준으로부터 적절하게 시작한다. 만곡부의 말단과 경사면은 주로 수평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가져야 한다. 이 각도는 또한 문제되는 속도에서 분리를 유발하는 각도 보다 작아야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원호일 수 있는 만곡부는 분리를 유발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 해결책은 인터페이스가 너무 높이 위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특히 매우 느린 속도로 에어 챔버에서의 파 발생을 줄인다. 이러한 조건들이 초과되는 경우라면, 경사면을 따르는 수류가 인터페이스에 도달하는 경우 파 발생 시작의 위험이 있다. 만곡부와 경사면은 대안으로 선택되거나 함께하는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다.
선수에 위치해 있는 여유 에어 챔버는 만곡부 및/또는 경사면 위쪽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위에서 언급된 공기 발생 수단은 위에서 언급된 에어 갭 위쪽에 대해 선수쪽 에어 챔버이다.
이어서 선수쪽 여유 에어 챔버가 선수쪽 에어 챔버의 하부 에지에서 횡단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에어 갭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로 채워지는 경우, 기류는 경사면 아래에 공기 층을 생성할 것이다. 장치는 몇가지 중요한 이점이 있다. 경사면 아래의 공기 층은 젖은 표면을 더욱 증가시킬 것이다. 추가적으로, 경사면 아래의 공기 층은 압력차를 같게 할 수 있어서, 인터페이스가 도달되는 경우 이는 더 큰 파(wave)의 형성 없이도 일어날 수 있다. 이 해결책은 이때 더 빠른 속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인터페이스가 공해(high sea)에 있기 때문에 더 높이 위에 위치되도록 힘을 받는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는 경사면 아래의 공기 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서, 만곡부의 반경이 제로가 될 때까지 만곡부가 증가된다는 사실에 의해 갭의 앞쪽에 부압도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 갭을 통한 기류는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중심선에 수직 단면이 모두 나타나 있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예시로서 다음에 오는 실시예와 기능이 기술되어 있다.
도 1, 도 1a, 도 1b 및 도 1c에는 선체의 바닥부의 선박의 선수쪽 부분에 적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가지는 선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여유 에어 챔버가 있는 빈공간부의 확대된 정면부가 나타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공기 공급의 대체 해결책에 관한 여러 가지 예시들이 나타나 있다.
도 7과 도 8에는 에어 갭과 덕트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의 중심선에 수직 단면이 나타나 있다. 선수쪽 여유 에어 챔버(8)는 덕트(26)를 통해 팬이나 펌프(27)를 이용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다. 공기는 에어 갭(7)을 통해 유출되고, 기류는 선박 아래에 있는 빈공간부(4) 안의 큰 에어 챔버(40)까지 경사면(6)의 밑면을 따라간다. 압력은 이때 이 에어 챔버 안에서 증가할 것이고, 공기/물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수준 또는 빈공간부의 에지를 따라 공기의 방출이 있어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수준까지 아래쪽으로 쭉 하강될 것이다. 선박이 조금 움직여서 등흘수에 가까운 상태, 즉 트림이 없는 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라면, 상기 균형 지점은 베이스 라인 매우 가까이에 있는 인터페이스와 함께 생길 것이다. 그러나, 선박이 운항 중인 경우라면, 기류는 더 높은 수준에서 균형을 이룰 것이다.
도 1a에는 도 1의 대체 실시예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공기압의 균형은 어떠한 공기 방출도 없이 더 높은 수준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획득될 수 있다. 소용돌이와 파 발생 없이 공기/물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얻기 위하여, 전부 선체의 형상은 매우 중요하다. 전부 선체는 중심선에 대해 평행하게 가능한한 가까이에 있는 유선형의 수류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이 수류는 이때, 정상 아래쪽으로부터 유동하는 경우, 또는, 예컨대 벌브(29)의 밑면에 도달하는 경우 부압을 생성한다. 상기 부압은 수류가 위에서 언급된 만곡부(5)를 따라 위쪽을 향하여 움직이는 경우 더욱 증대된다. 이는 또한 에어 챔버(8) 안이 비교적 낮은 정압 상태에서 공기가 에어 갭(7)을 통해 흡인/압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는 경사면(6)의 밑면을 따라 위로 유동한다. 인터페이스가 도달되는 경우, 빈공간부(4) 위쪽에서 에어 챔버 안의 압력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을 균형잡게 하기 위하여, 갭(9)은 경사면(6)의 선미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공기는 선수쪽 에어 챔버(8) 쪽으로 다시 유동할 것이다. 따라서, 만곡부(5) 뒤에서 생성된 부압에 좌우되어, 경사면(6) 둘레에서 순환이 일어난다. 어떠한 공기도 빈공간부(4)의 에지를 따라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 경우라면, 인터페이스의 수준은 오로지 선수쪽 에어 챔버(8)에서의 공기압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고, 어떠한 추가적인 공기도 덕트(26)를 통해 공급될 필요가 없다.
도 1b에는 도 1a의 대체 실시예가 나타나 있고, 여기서 상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는 선체 형태와 만곡부가 만곡부 아래에 충분한 부압을 생성하지 않았더라도 달성될 수 있다. 경사면(6)의 선미쪽 말단은 이어서 빈공간부(4)의 천장까지 쭉 도달하고, 단단하게 폐쇄되어 있다. 선수쪽 여유 에어 챔버(8)는 덕트(26)를 통해 팬(27)이나 펌프를 이용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다. 공기는 에어 갭(7)을 통해 유출되고, 공기는 빈공간부(4) 안의 큰 에어 챔버까지 경사면(6)의 밑면을 따라간다. 압력은 이때 이 에어 챔버 안에서 증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빈공간부(4)는 이어서 팬(53)이 여분의 공기를 흡인해낼 수 있는 그 자신의 공기 도관 덕트(54)를 가져서, 원하는 수준의 인터페이스가 획득된다. 선박이 빈공간부의 에지를 따라 누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은 상태에서 많은 운항을 하는 경우라면, 이 누출되는 공기는 동일한 덕트(54)를 통한 공기의 주입에 의해 보상될 수도 있다.
도 1c에는 도 1b의 대체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횡단방향 격벽(50)은 정면의 에어 챔버(8) 안에 도입되어 있다. 도 1b에서 팬(53)을 가지고 있는 공기 도관 덕트(54)는 이어서 횡단방향 격벽(50)의 후미에 있는 공간 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도 1c에서 덕트(51)가 팬(52)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경사면(6)은 이어서 그 선미쪽 측면에 개구(9)를 가진다. 도 1b에 기술된 대체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기능과 이점이 획득된다. 여기에서, 팬(52)이 공기를 흡인해내서 공기를 에어 챔버(8)의 정면 부분 쪽으로 직접 전달하게 할 가능성이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 결과는 이때 대체예 1a에서와 같이 유사한 기능이 된다. 에어 챔버(8)의 각각의 선수쪽 및 선미쪽 절반부는 상이한 압력을 적절하게 가져야 한다. 선수쪽 절반부는 경사면(6) 밑에서의 연속적인 기류를 보장하기 위해서 충분히 높은 압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선미쪽 절반부는 원하는 수준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압력을 가져야 한다.
도 2에는 경사면(6), 및 경사면의 선미쪽 측면에 개구(9)가 있는 선수쪽 에어 챔버(8)의 확대도가 나타나 있다. 팬(27)은 덕트(26)를 통해 에어 챔버(8) 쪽으로 공기를 전달한다. 기류(10)는 에어 챔버(8)로부터 갭(7)을 통해 흘러가고, 경사면(6)의 밑면을 따라가는 공기층을 형성한다.
도 3에는 선수쪽 에어 챔버(8)의 일 예시의 확대도가 나타나 있다. 빈공간부(4)는 빈공간부의 천장(1)에 의해서는 위쪽을 향하여 제한되고, 빈공간부의 하부 에지, 즉 이 예시에서는 소위 베이스 라인(2)에 의해서는 아래쪽을 향하여 제한된다. 만곡부(5)는, 예컨대 벌브의 말단의 약간 후미에 있는 베이스 라인(2)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시작하고 있다. 만곡부의 말단(5A)은 경사면(6)과 같이 수평면에 대해 주로 동일한 각도를 가진다.
경사면의 정면/하부 말단부(6A)는 만곡부의 선미쪽 말단부(5A)의 약간 앞쪽 그리고 위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갭(7)은 경사면(6)의 밑면을 따라 후미 방향으로 기류(10)를 일으킬 것이다. 이물(stem)로부터 나오는 수류(23)는 만곡부(5)를 따라가고, 이때 상기 기류(10)에 의해 경사면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수류(28)의 압력이 기류(10)의 압력에 대응하는 경우, 빈공간부 안의 큰 에어 챔버는 인터페이스(3) 상에 형성되어 있는 어떠한 커다란 파 진폭(wave amplitude)(30)도 없이 도달된다.
도 4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예들이 나타나 있다.
도 4에는 일 변형예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 에어 갭(7)은 팬(27)이 제공되어 있는 공기 덕트(26)나 어떠한 만곡부도 없이 경사면(6)을 통해 뻗어있다.
도 5에는 선수쪽 여유 에어 챔버가 존재하지 않으면서도 팬(27)이 제공되어 있는 공기 공급 덕트(26)의 말단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에어 갭(7)이 나타나 있다.
도 6에는 가장 멀리 위쪽에 있지는 않지만 경사면(6)의 상부 말단부에 위치해 있는 공기 개구(9)가 나타나 있는 한편, 공기의 배출구 슬롯(7)은 에어 챔버(8)로부터 나와있는 경사면(6) 상에서 더욱 앞쪽을 향하여 위치해 있다.
도 7과 도 8에는 선박의 길이 연장부 쪽으로 횡단방향으로 뻗어있는 상기 슬롯 형상의 에어 갭(7) 까지 도달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덕트(28)들의 연결상태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장치의 성질과 기능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위에서 언급된 것으로부터 분명할 것이며,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를 알 수도 있을 것이지만,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에 나타나 있으면서 상술되어 있는 실시예들로 당연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상이한 부분들의 성질에 관하여 수정이 가능하고, 또는 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등한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Claims (10)

  1. 선박의 편평한 바닥부에 저항 감소형 빈공간부(4)를 가지고 있는 선박으로서,
    빈공간부의 하부 부분은 물로 채워져 있는 한편 상부 부분은 공기로 채워져 있는 선박에 있어서,
    수단(6)은 수류(23, 28)를 선박의 정면부로부터 빈공간부의 정면 부분 쪽으로 향하게 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수단은 경사면(6)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경사면은 선박의 바닥부에서 시작하되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선미를 향하여 위쪽을 향하여 뻗어있으면서 빈공간부(4)의 천장(1)을 향하여 위로 뻗어있고, 횡단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개구 형태로 되어 있는 에어 갭(7)은 경사면(6)의 정면 하부 말단(6A)이나 그 안에 위치되어 있고, 다수의 공기 발생 수단(27)은 에어 갭(7)으로부터 경사면(6)이나 만곡부(5) 아래의 공간 쪽으로 기류가 생성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갭(7)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 선수쪽 에어 챔버(8)는 경사면(6)의 위쪽이나 앞쪽에 배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위쪽에 있는 상기 공기 발생 수단(27)은 선수쪽 에어 챔버(8)를 통해 위에서 언급된 에어 갭(7) 쪽으로 공기를 전달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에어 갭(9)은 경사면의 선미쪽 말단과 빈공간부의 천장(1) 사이, 또는 경사면 안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빈공간부의 천장(1)에는 빈공간부로부터 공기를 뽑아내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빈공간부의 천장(1)에는 빈공간부(4)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2 항에 있어서,
    선수쪽 에어 챔버(8)는 공기 발생 수단(27)의 후미에 놓여 있는 횡단방향 격벽(50)을 이용하여 분할되어 있고, 적절히 형성되어 있는 선수쪽 에어 챔버의 선미쪽 절반부는 공기를 공급하거나 빈공간부로부터 공기를 뽑아내는 수단(51, 52)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은 연속적인 만곡부(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부(5)는 선박의 정면 바닥부에서 본질적으로 수평 수준으로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5)는 그 선미쪽 말단(5A)에서 경사면과 같이 수평면에 대해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7)은 횡단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경사면 및/또는 만곡부의 폭과 주로 대응하는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면의 정면 하부 말단(6A)은 만곡부의 선미쪽 상부 말단(5A) 약간 앞쪽 및/또는 위쪽에 놓여 있고, 이로써 에어 갭(7)은 경사면(6)의 밑면을 따라 선미방향으로 향해있는 기류(10)를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7020403A 2015-01-13 2016-01-07 공기용 캐버티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 KR102463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0022-6 2015-01-13
SE1550022A SE539235C2 (sv) 2015-01-13 2015-01-13 Fartyg försett med luftkavitet
PCT/SE2016/050004 WO2016114705A1 (en) 2015-01-13 2016-01-07 Ship provided with a cavity for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894A true KR20170102894A (ko) 2017-09-12
KR102463807B1 KR102463807B1 (ko) 2022-11-07

Family

ID=5640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403A KR102463807B1 (ko) 2015-01-13 2016-01-07 공기용 캐버티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08263B2 (ko)
KR (1) KR102463807B1 (ko)
CN (1) CN107428394B (ko)
SE (1) SE539235C2 (ko)
WO (1) WO201611470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30B1 (ko) * 2019-05-09 2019-10-14 이재동 선박의 공기윤활장치
KR20220099257A (ko) * 2021-01-06 2022-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윤활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20220168443A (ko) * 2021-06-16 2022-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윤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1388B (zh) * 2020-06-04 2021-01-29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船舶气层减阻的涡控气穴装置
NO347576B1 (no) * 2022-04-07 2024-01-22 Pascal Tech As Et luftputebårent fartøy med luftputekammer luftinntak i ba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197A (ja) * 2002-04-18 2005-08-04 アドバンスト・マリーン・コンセプツ、エルエルシー 船舶のための空気取り入れシステム
JP2009143566A (ja) * 2002-05-07 2009-07-02 Dk Group Nanv 楔形状のキャビティと長手方向にずれたキャビティと回転制御手段とを有しているエアキャビティ船並びにこのエアキャビティ船を建築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863A (en) * 1991-10-21 1992-09-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ir cushion displacement hull water vehicle
CA2177564A1 (en) * 1993-11-29 1995-06-01 Boris V. Chubikov Vessel having a high-speed planing or semi-planing hull
US5967071A (en) * 1997-12-02 1999-10-19 Wipper; Daniel J. Energy efficient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water friction on the hull of a marine vessel
NL1022862C2 (nl) * 2003-03-06 2004-09-07 Josephus Marinus Hansen Vaartuig.
JP2005225523A (ja) * 2004-02-13 2005-08-25 Nippon Matai Co Ltd 梱包方法および梱包装置
NL1025481C2 (nl) * 2004-02-13 2005-08-19 Cornelis Arie Adrianus Boon Vaartuig met luchtkamers voor het verminderen van de weerstand tussen de romp en het water.
EP2036812A3 (en) * 2006-05-24 2009-05-27 DK Group N.A. N.V. Air cavity vessel
JP6226478B2 (ja) * 2012-02-21 2017-11-08 シルバーストリーム・テクノロジーズ・ビー.ブイ. 空気潤滑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197A (ja) * 2002-04-18 2005-08-04 アドバンスト・マリーン・コンセプツ、エルエルシー 船舶のための空気取り入れシステム
JP2009143566A (ja) * 2002-05-07 2009-07-02 Dk Group Nanv 楔形状のキャビティと長手方向にずれたキャビティと回転制御手段とを有しているエアキャビティ船並びにこのエアキャビティ船を建築す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30B1 (ko) * 2019-05-09 2019-10-14 이재동 선박의 공기윤활장치
KR20220099257A (ko) * 2021-01-06 2022-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윤활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20220168443A (ko) * 2021-06-16 2022-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윤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8394A (zh) 2017-12-01
KR102463807B1 (ko) 2022-11-07
WO2016114705A1 (en) 2016-07-21
JP2018502015A (ja) 2018-01-25
CN107428394B (zh) 2020-03-03
SE539235C2 (sv) 2017-05-23
JP6808263B2 (ja) 2021-01-06
SE1550022A1 (sv)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2894A (ko) 공기용 캐버티가 제공되어 있는 선박
KR101679491B1 (ko) 공기 윤활 시스템
KR101613036B1 (ko) 공기 윤활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1348081B1 (ko) 추진기 주변에 계단형식을 갖춘 선미형상을 한 에어 캐비티 및 공기윤활 방식 선박
EP3075646A1 (en) Wakesurfing boat
US10293886B2 (en) Watercraft vessel with a planing hull
KR101094539B1 (ko) 배수량형 선박의 선미 형상
KR102539854B1 (ko) 문 풀 구비하는 선박
WO2014156721A1 (ja) 気泡型抵抗低減装置を備えた船舶及び船舶の抵抗低減方法
KR20110076946A (ko) 공기 공동이 제공되는 선박들을 위한 선형
KR102124308B1 (ko) 트윈 스케그선의 선저 구조 및 트윈 스케그선
KR101927547B1 (ko) 선박 추진 개선 장치
JP2009292202A (ja) 船体と水の間の摩擦抵抗力を減少させる方法
RU2631089C1 (ru) Корпус судна
NL2014767B1 (en) A vessel, especially a drillship, provided with a moon pool.
KR102114753B1 (ko) 선저 구조 및 선박
RU2201372C2 (ru) Корпус судна
JP2022532750A (ja) 広がる側壁を備えた空気放出ユニット
RU21867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сопротивления корпуса судна
JP6504802B2 (ja) 造波抵抗低減船舶及び造波抵抗低減船舶の設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