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666A -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666A
KR20170102666A KR1020160025060A KR20160025060A KR20170102666A KR 20170102666 A KR20170102666 A KR 20170102666A KR 1020160025060 A KR1020160025060 A KR 1020160025060A KR 20160025060 A KR20160025060 A KR 20160025060A KR 20170102666 A KR20170102666 A KR 2017010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ck
rear surface
rack container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568B1 (ko
Inventor
이강대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56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88/027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single contain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dditional means so as to form a cluster of containers, e.g. a battery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를 이용하여 전면 또는 후면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슬라이드 되는 면을 이용하여 물건을 적재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RACK CONTAINER HAVING RAIL}
본 발명은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전면 또는 후면을 구비하여 물류의 적재 및 디스플레이(상품진열)까지 활용할 수 있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랙 컨테이너는 물류를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구체적으로 밀폐되어 있지 않도록 지붕이나 벽이 없는 컨테이너이다.
이러한 종래의 랙 컨테이너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납 공간을 확장하여 제품을 디스플레이(진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5805호에 개시되어 있는 접이식 컨테이너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324호에 개시되어 있는 접철식 컨테이너는 접이식으로 마련되는 컨테이너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58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3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에 전면 또는 후면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에 있어서, 제 1 레일부, 상기 제 1 레일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 2 레일부, 일단은 상기 제 1 레일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레일부와 연결되는 전면, 일단은 상기 제 1 레일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레일부와 연결되는 후면, 상기 제 1 레일부에 구비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2 레일부에 구비되는 제 2 측면 및 상기 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와 연결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은 상기 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를 따라 바닥판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는 레일부를 구비하여 전면 또는 후면을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만들어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면, 후면, 제 1 측면 또는 제 2 측면을 접철되게 만들어 랙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을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젼면 및 후면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2개 이상의 랙 컨테이너를 연결하여 부피가 큰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지지부를 포함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의 제 1 레일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전면의 접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후면의 접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후면의 슬라이드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후면의 슬라이드 과정을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접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접철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의 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의 개방된 상단을 이용하여 전면 및 후면을 부착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2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면 및 후면을 탈착한 후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전면과 제 1 측면의 체결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포함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포함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을 이용하여 확장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100)는 제 1 레일부(10), 제 2 레일부(20), 전면(30), 후면(40), 제 1 측면(50), 제 2 측면(60) 및 바닥판(7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레일부(10)는 내측에 전면(30) 또는 후면(4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레일부(10)는 후술할 전면(30) 또는 후면(40)의 핀(80)이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을 구비하여 전면(30) 또는 후면(40)이 레일을 따라 후술할 바닥판(70) 아래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납될 수 있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레일부(10)는 “
Figure pat00001
”자 모양으로 구비된다. 이는 전면(30) 또는 후면(40)이 레일을 따라 바닥판(70)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만들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전면(30) 또는 후면(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황에 따라 접철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레일부(10)의 레일은 “
Figure pat00002
”자 모양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레일부(20)는 제 1 레일부(10)와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된다. 또한, 제 2 레일부(20)는 제 1 레일부(10)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면(30) 또는 후면(4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는 후술할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이 이동될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홈은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이 회전이동을 가능하게 만들고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전면(30)의 일단은 제 1 레일부(10)와 연결되고, 전면(30)의 타단은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어 제 1 레일부(10)와 제 2 레일부(20)의 레일을 따라 전면(30)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전면(30)은 랙 컨테이너(100)에 적재된 물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전면(30)은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철창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전면(30)의 일단 및 타단은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핀(80)을 구비하고, 핀(80)은 전면(30) 또는 후면(40)을 회전이동시켜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를 바닥판(70) 상부로 접철시키고, 나머지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는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되어 바닥판(70)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만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만들어 전면(30) 및 후면(40)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고하면,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전면(30) 또는 후면(40)이 샘플의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후면(40)은 일단이 제 1 레일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어 1 레일부(10)와 제 2 레일부(20)의 레일을 따라 후면(40)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후면(40)은 랙 컨테이너(100)에 적재된 물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후면(40)은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철창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후면(40)의 일단 및 타단은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핀(80)을 구비하고, 핀(80)은 전면(30) 또는 후면(40)을 회전이동시켜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를 바닥판(70) 상부로 접철시키고, 나머지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는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되어 바닥판(70)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만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만들어 전면(30) 및 후면(40)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고하면,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전면(30) 또는 후면(40)이 샘플의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 1 측면(50)은 제 1 레일부(10)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측면(50)은 “
Figure pat00003
”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 1 레일부(10)의 돌출된 상부에 구비되어 제 1 측면(50) 방향으로 제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제 1 측면(50)은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철창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 1 측면(50)은 제 1 레일부(10)와 연결되는 핀(80)을 구비하여 제 1 측면(50)을 바닥판(70) 방향으로 접철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이는 랙 컨테이너(100)를 이용하지 않을 때 랙 컨테이너(100)를 접철시켜 랙 컨테이너(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만들어 보관을 용이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 2 측면(60)은 제 2 레일부(20)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측면(60)은 “
Figure pat00004
”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 2 레일부(20)의 돌출된 상부에 구비되어 제 2 측면(60) 방향으로 제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제 2 측면(60)은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철창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 2 측면(60)은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핀(80)을 구비하여 제 2 측면(60)을 바닥판(70) 방향으로 접철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에 구비되는 홈과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에 구비되는 핀(80)을 이용하여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랙 컨테이너(100)를 이용하지 않을 때 랙 컨테이너(100)를 접철시켜 랙 컨테이너(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만들어 보관을 용이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바닥판(70)은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된다. 바닥판(70)은 물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에 구비된다. 바닥판(70)은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의 레일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전면(30) 또는 후면(40)이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 바닥판(70) 보다 저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상단은 개방되어 전면(30) 및 후면(40)이 개방된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상단을 통하여 탈착 또는 부착되도록 구비된다. 즉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전면(30) 및 후면(40)을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게 만들어 2개 이상의 랙 컨테이너(100)를 연결하여 하나의 랙 컨테이너(100)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2를 참고하면, 지지부(90)는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하부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90)는 “ㄱ” 자 모양으로 마련된다. 즉 지지부(90)는 “ㄱ”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도어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랙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90)의 일단은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사이에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 사이 방향)으로 확장 돌출되어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이용하여 제품을 수납(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돌출 확장된 지지부(90)로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을 수납(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은 체결 수단(510)을 구비하고 체결 수단(510)은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수단(510)은 고리로 구비된다. 체결 수단(510)은 2개 이상의 랙 컨테이너(100)를 결합하여 하나의 랙 컨테이너(100)로 이용 시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제 1 측면(50) 또는 제 2 측면(60)에 체결할 수 있게 만들어 보관을 용이하고 제 1 측면(50) 또는 제 2 측면(60)의 강도를 보다 좋게 만들어 파손이 발생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고정부(110)는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상부에 구비된다. 고정부(110)는 전면(30), 후면(40),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상부에서 하부로)에서 바라볼 때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면(30), 후면(40),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 중 하나 이상을 고정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랙 컨테이너(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제 1 레일부, 20 : 제 2 레일부,
30 : 전면, 40 : 후면,
50 : 제 1 측면, 60 : 제 2 측면,
70 : 바닥판, 80 : 핀,
90 : 지지부,
100 : 랙 컨테이너,
110 : 고정부,
510 : 체결 수단.

Claims (11)

  1. 제 1 레일부(10);
    상기 제 1 레일부(10)와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되는 제 2 레일부(20);
    일단은 상기 제 1 레일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전면(30);
    일단은 상기 제 1 레일부(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후면(40);
    상기 제 1 레일부(10)에 구비되는 제 1 측면(50);
    상기 제 2 레일부(20)에 구비되는 제 2 측면(60) 및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바닥판(7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30) 또는 후면(40)은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바닥판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는 “
    Figure pat00005
    ”자 모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30) 및 후면(40)은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와 연결되는 핀(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80)은 상기 전면(30) 또는 후면(40)을 회전이동시켜 상기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를 상기 바닥판(70) 상부로 접철시키고,
    나머지 상기 전면(30) 또는 후면(40) 중 하나는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되어 바닥판(70)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에 구비되는 핀(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에 구비되는 핀(80)은 상기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을 상기 바닥판 방향으로 접철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전면(30) 및 후면(40)이 상기 개방돤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상단을 통하여 탈착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90)는 “ㄱ” 자 모양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은 체결 수단(5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510)은 전면(30) 또는 후면(40)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510)은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부(10) 및 제 2 레일부(20)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10)는 전면(30), 후면(40), 제 1 측면(50) 및 제 2 측면(60)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KR1020160025060A 2016-03-02 2016-03-02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KR10182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060A KR101824568B1 (ko) 2016-03-02 2016-03-02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060A KR101824568B1 (ko) 2016-03-02 2016-03-02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666A true KR20170102666A (ko) 2017-09-12
KR101824568B1 KR101824568B1 (ko) 2018-03-14

Family

ID=5992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060A KR101824568B1 (ko) 2016-03-02 2016-03-02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1017596A2 (pt) 2019-03-04 2021-11-09 Goodpack Ibc Singapore Pte Ltd Unidade de carga
WO2022096928A1 (en) * 2020-11-03 2022-05-12 Goodpack Ibc (Singapore) Pte Ltd Collapsible cra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06B1 (ko) * 2013-10-07 2014-03-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방식의 접이식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568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565553U (zh) 工作台
US7014241B2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torage box and center seat for vehicle
US20210086812A1 (en) Portable folding cart
US8973940B2 (en) Folding wagon
JP5390966B2 (ja) 貨物用ラック
US20220119029A1 (en) Multi child stroller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US7461752B2 (en) Foldable article support rack
US6145447A (en) Foldable table for vehicles
US7204549B1 (en) Foldable recreational chair
CN105163624A (zh) 手提箱,特别是登机手提箱
KR101824568B1 (ko) 레일을 구비하는 랙 컨테이너
US11478075B2 (en) Foldable shelving
JP2009521355A (ja) 車両用荷物載置装置
KR20180001186U (ko) 캠핑용 다용도 테이블
US5090337A (en) Shelving with adjustable shelves particularly suitable for goods vans
JP2008068690A (ja) 荷物載せ台
CN101588897B (zh) 工作台夹持设备
CN206067843U (zh) 一种儿童推车
EP1992523B1 (en) A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for a semi-trailer
KR200437559Y1 (ko) 접철 핸드카트.
CN208134855U (zh) 折叠箱
JP6316710B2 (ja) 多機能を有するスロープ装置
KR200365644Y1 (ko) 접이식 선반을 갖는 이동형 진열케이지
JP2015214243A (ja) 乗物用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