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154A -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 Google Patents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154A
KR20170102154A KR1020170097062A KR20170097062A KR20170102154A KR 20170102154 A KR20170102154 A KR 20170102154A KR 1020170097062 A KR1020170097062 A KR 1020170097062A KR 20170097062 A KR20170097062 A KR 20170097062A KR 20170102154 A KR20170102154 A KR 20170102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sliding
string
leng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289B1 (ko
Inventor
유정택
Original Assignee
유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택 filed Critical 유정택
Priority to KR102017009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2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44C11/005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with friction boxes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조립이 간단하면서 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 탭은 고정 홀이 형성된 보호 캡(11); 및 보호 캡(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슬라이딩 탭(12)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탭(12)에 상기 장신구 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의 1 방향의 길이와 이에 수직이 되는 2 방향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A Tab for Adjusting a String of an Accessory}
본 발명은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조립이 간단하면서 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에 관한 것이다.
목걸이 또는 팔찌와 같은 장신구는 장식구와 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줄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줄의 양끝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조절 탭 또는 잠금 탭이 사용된다. 조절 탭은 장신구 줄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이와 동시에 길이 조절이 된 상태로 줄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조절 탭을 관통하는 줄은 조여진 상태가 되고 길이 조절을 위하여 조절 탭이 줄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줄이 손상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6795호는 목걸이의 가죽 뒷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조임 끈을 절개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줄 조임이 편리한 목걸이에 대하여 개시한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4301호는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오링실재가 삽입되는 삽입 관통과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고 상기 삽입 통공과 교차되게 형성되며 목걸이줄의 일단이 입출되는 입출 통공과, 상기 목걸이 줄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상기 입출 통공의 입구 둘레에 형성되도록 목걸이 줄을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목걸이 줄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 줄 조절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목걸이 줄과 같은 장신구의 줄의 길이 조절을 위한 수단은 줄과 조절 수단의 결합이 수공으로 이루어지므로 조립이 간단한 것이 유리하다. 또한 조임 상태에서 균형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하고 조임 과정에서 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선행기술을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조절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6795호(전형이, 2002년08월23일 공고) 줄 조임이 편리한 목걸이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4301호(이숙현, 2009년05월04일 공고) 목걸이 줄 조절구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간단하면서 조립 과정에서 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 탭은 고정 홀이 형성된 보호 캡; 및 보호 캡의 내부에 배치되고,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슬라이딩 탭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탭에 상기 장신구 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의 1 방향의 길이와 이에 수직이 되는 2 방향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 홀을 2 부분으로 분리시키면서 슬라이딩 탭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분리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호 캡의 둘레 면에 부착되는 장식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은 장신구와 결합되는 공정이 유리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은 다양하게 장식되어 있는 줄에 적용되어 장식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은 조절 탭 자체가 장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이 적용된 장신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이 적용된 장신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10)이 적용된 장신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길이 조절 탭(10)은 고정 홀이 형성된 보호 캡(11); 및 보호 캡(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슬라이딩 탭(12)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탭(12)에 상기 장신구 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의 1 방향의 길이와 이에 수직이 되는 2 방향의 길이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탭(10)은 목걸이, 팔찌 또는 줄에 장식물이 고정되거나 장식 줄을 포함하는 장신구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방 줄(21)은 선형이 될 수 있고, 양쪽 끝에 고정 액세서리(23a, 23b)가 고정될 수 있고, 개방 줄(21)의 중간 부분에 분리 액세서리(22)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개수의 액세서리가 개방 줄(21)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방 줄(21)은 다양한 길이로 만들어질 수 있고, 착용 상태에서 개방된 양쪽 끝이 일치되도록 조절 탭(10)에 의하여 개방 줄(21)의 폐곡선을 형성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조절 탭(10)에 개방 줄(21)의 양쪽 끝 부분이 관통될 수 있고, 개방 줄(21)의 양쪽 부분이 조절 탭(1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줄(21)은 조절 탭(10)에 의하여 폐곡선과 열린 양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 탭(10)의 이동에 의하여 폐곡선 및 열린 양끝의 상대적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보호 캡(11)은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의 관통 구조를 가지는 고정 홀을 가질 수 있고, 금속과 같은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홀에 슬라이딩 탭(12)이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탭(12)이 고정 홀에 고정되면 슬라이딩 탭(12)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에 개방 줄(21)의 양끝이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탭(12)은 실리콘, 고무,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다른 신축성 또는 연질(soft)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탭(12)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은 예를 들어 수평 방향이 되는 1 방향의 길이와 1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 되는 2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슬라이딩 홀에 개방 줄(21)의 두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탭(12)의 신축성에 의하여 보호 캡(11)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장신구의 사용 과정에서 조절 탭(10)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곡선의 크기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경우 보호 캡(11)이 개방 줄(2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슬라이딩 홀의 형상 및 신축성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홀에 삽입된 개방 줄(21)의 두 부분이 동시에 변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개방 줄(21)의 일부가 장식 줄로 제시되어 있지만 개방 줄(21) 전체가 장식 줄 형상으로 되거나 일부가 장식 줄 형상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방 줄(21)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조절 탭(10)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 (나) 및 (다)는 슬라이딩 탭(12) 및 보호 캡(11)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슬라이딩 홀(122) 및 고정 홀(112)의 형상 및 외부 형상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라)는 슬라이딩 탭(12) 및 보호 캡(1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 (나) 및 (다)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탭(12)은 타원 단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 또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탭 테두리(121) 및 탭 테두리(1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탭 테두리(121)는 연질 실리콘, 고무, PDMS, 연질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탭 테두리(121)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만들어지거나 서로 다른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홀(122)이 양쪽 측면이 반원 단면을 가지는 곡면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 및 아래쪽 면이 평면이 되는 형상이 될 수 있고, 곡면 형상이 되는 양쪽 측면이 평면 형상이 되는 위쪽 면 및 아래쪽 면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탭(12)이 삽입되는 보호 캡(11)에 형성된 고정 홀(112)은 탭 테두리(121)의 위쪽 면과 아래쪽 면과 접촉되고 텝 테두리(121)의 양쪽 측면이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보호 캡(11)이 개방 줄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다)에 도시된 것처럼 보호 캡(11)과 슬라이딩 탭(12)은 높이 또는 길이가 폭 또는 수평 길이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다만 보호 캡(11)과 슬라이딩 탭(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 캡(11)은 슬라이딩 탭(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홀(112)이 형성된 캡 몸체(111) 및 고정 홀(112)을 두 개의 구획으로 분리시키는 분리 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몸체(11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둘레 또는 내부 면을 따라 장식성 코팅이 될 수 있다. 고정 홀(112)은 양쪽 측면이 반원 형상 단면의 곡면 형상이 되고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은 평면 형상이 되어 슬라이딩 탭(1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아래쪽 면 또는 위쪽 면의 내부에 접착 층이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캡 몸체(111)의 위쪽 면 또는 아래쪽 면의 내부 면으로부터 마주보는 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돌기(113)가 형성되어 고정 홀(112)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돌기(113)로 나누어진 두 개의 부분에 각각 개방 줄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다. 분리 돌기(113)는 아래쪽 면 또는 위쪽 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고정 홈(112)의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의 1/10 내지 3/4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 돌기(113)는 고정 홀(112)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면서 슬라이딩 탭(12)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분리 돌기(113)는 고정 홀(112)의 입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고정 홀(112)의 한쪽 입구에 형성되거나 양쪽 입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탭(12)은 분리 돌기(113)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거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돌기(113)는 슬라이딩 탭(12)의 내부를 관통하는 개방 줄의 두 부분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분리 돌기(113)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 돌기(113)는 캡 몸체(111)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내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탭(12)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의 (라)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탭(12)에 다수 개의 분리 홀(122a, 122b, 122c)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세 개의 분리 홀(122a, 122b, 122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쪽의 두 개의 분리 홀(122a, 122c)로 개방 줄이 각각 관통하고 중앙의 하나의 분리 홀(122b)은 신축 공간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의 분리 홀(122b)은 보호 캡(11)의 이동을 여유롭게 하면서 이와 동시에 보호 캡(11)이 개방 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슬라이딩 탭(12)과 유사하게 보호 캡(11)의 고정 홀(112)에 이격 홀(112a, 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캡(11)은 견고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이격 홀(112a, 112b)은 두 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격 홀(112a, 112b)은 보호 캡(11)의 입구 또는 출구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홀(112)을 관통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필요가 없다. 이격 홀(112a, 112b)은 고정 홀(112)을 관통하는 개방 줄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분리 홀(122a, 122b, 122c)의 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분리 홀(122a, 122b, 122c)과 이격 홀(112a, 112b)이 동시에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만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 홀(122a, 122b, 122c) 또는 이격 홀(112a, 112b)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 캡(11)은 장식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모조 보석 또는 다른 장식물을 가진 액세서리가 보호 캡(1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이 적용된 장신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 캡(312)의 둘레 면에 장식 유닛(31)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장신구 줄(32)은 휘어질 수 있으면서 끝 부분에 장식물이 부착된 선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장신구 줄(32)의 일부가 구슬 또는 모조 보석과 같은 장식물에 의하여 장식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장신구 줄(32) 전체가 장식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 탭이 장신구 줄(32)에 결합될 수 있다. 장신구 줄(32)의 서로 다른 부분이 보호 캡(312)을 관통할 수 있고, 보호 캡(312)은 도 2에 제시된 보호 캡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슬라이딩 탭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 줄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장신구 줄(32)은 슬라이딩 탭에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호 캡(312)의 한쪽 면에 원판 형상의 장식 유닛(311)이 결합될 수 있다. 장식 유닛(311)에 다양한 장식물이 결합될 수 있고, 길이 조절 탭은 장신구 줄(3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보호 캡(312)은 줄의 두 부분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곡선 부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장신구 줄(32)의 손상 또는 장신구 줄(21)의 장식물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장식 유닛(311)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은 장신구와 결합되는 공정이 유리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은 다양하게 장식되어 있는 줄에 적용되어 장식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 탭은 조절 탭 자체가 장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길이 조절 탭 11: 보호 캡
12: 슬라이딩 탭 21: 개방 줄
22: 분리 액세서리 23a, 23b: 고정 액세서리
31: 장식 유닛 32: 장신구 줄
111: 캡 몸체 112: 고정 홀
112a, 112b: 이격 홀 113: 분리 돌기
121: 탭 테두리 122: 슬라이딩 홀
122a, 122b, 122c: 분리 홀 311: 장식 유닛
312: 보호 캡

Claims (1)

  1.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조절 탭(10)에 있어서,
    고정 홀(112)이 형성된 보호 캡(11);
    고정 홀에 배치되면서 내부에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고,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는 슬라이딩 탭(12); 및
    고정 홀(112)의 입구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홀로 삽입되는 장신구 줄의 두 부분을 분리시키는 분리 돌기(113)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홀의 1 방향의 길이와 이에 수직이 되는 2 방향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KR1020170097062A 2017-07-31 2017-07-31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KR10178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62A KR101784289B1 (ko) 2017-07-31 2017-07-31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62A KR101784289B1 (ko) 2017-07-31 2017-07-31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144A Division KR20170095430A (ko) 2016-02-12 2016-02-12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154A true KR20170102154A (ko) 2017-09-07
KR101784289B1 KR101784289B1 (ko) 2017-10-12

Family

ID=5992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062A KR101784289B1 (ko) 2017-07-31 2017-07-31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793A1 (de) * 2017-10-12 2019-04-18 Vilmas Gmbh Verstellbare Schmuckkette und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Schmuckkette
KR20220000749U (ko) * 2020-09-24 2022-03-31 김용일 패널형 방향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793A1 (de) * 2017-10-12 2019-04-18 Vilmas Gmbh Verstellbare Schmuckkette und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Schmuckkette
KR20220000749U (ko) * 2020-09-24 2022-03-31 김용일 패널형 방향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289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2339S1 (en) Combined bracelet and clasp
US8505334B2 (en) Personal ornament
USD908521S1 (en) Bangle bracelet with charms
US20150282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jewelry
KR101784289B1 (ko)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US11490694B2 (en) Flat bracelet clip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US6546749B1 (en) Piece of jewelry
US11297908B2 (en) Clasp member for accessory, clasp for accessory, and accessory
US7178365B2 (en) Multi-piece jewelry assembly
US20150164190A1 (en) Decorative element for use with personal items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US10874176B2 (en) Belt buckle and belt comprising such a buckle
KR20170095430A (ko) 장신구 줄의 길이 조절 탭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10292463B1 (en) Formable decorative item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US20200184853A1 (en) Wristband with nephroid shaped holes
US11751645B2 (en) Customizable wrist band
US20230052864A1 (en) Piece of jewellery comprising a chain with clip(s) for making a versatile adornment
JP5819720B2 (ja) 装身具
US20100260014A1 (en) Watch Casing
KR200232806Y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걸림구
US1372299A (en) Clasp for straps, bands, or ribbons
TW201526832A (zh) 飾品組成元件及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