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426A -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426A
KR20170101426A KR1020160023924A KR20160023924A KR20170101426A KR 20170101426 A KR20170101426 A KR 20170101426A KR 1020160023924 A KR1020160023924 A KR 1020160023924A KR 20160023924 A KR20160023924 A KR 20160023924A KR 20170101426 A KR20170101426 A KR 2017010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wire
support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6002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426A/ko
Publication of KR2017010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을 각각 지지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입체 형상을 이루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고 지하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양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긴장되어 비닐덮개부를 지지하는 수평와이어를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더라도 간편하게 복원시킬 수 있고 와이어 구조물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A vinyl house }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비교적 겨울철이 긴 우리나라에서 계절작물 외에도 비 계절작물을 사계절의 구애 없이 재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우리 농가의 오래된 농작시설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유리온실에 비해 광투과성 및 보온성 등이 다소 떨어지지만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쉽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농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비닐하우스는 한국등록특허 제068469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강성의 파이프들로 이루어진 골조구조를 구비하고 비닐을 덮어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조구조는 파이프의 부식성이 높고 폭설 등의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48011호에는 그물망 형상의 와이어 구조물을 구비한 비닐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물망 형상의 와이어 구조물은 비닐하우스의 전체 크기에 맞게 그물망 형태로 제조한 후 양단의 지지프레임에 연결해야 하므로, 와이어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었다.
특히 폭설 등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 구조물이 변형될 때 와이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양단의 지지프레임도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데 와이어에 의해 측면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견디기 위해 지하에 깊게 매립해야 하고 지선로드 등을 이용하여 보조적으로 지지하고 있는데, 지지프레임을 매설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로는 와이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어 복구작업이 여전히 어렵게 된다.
한편, 비닐덮개가 단층으로 된 비닐하우스의 경우,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비닐덮개의 내측면에 결로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층구조의 경우 한 겹의 비닐로 인해 실내의 공기와 실외 공기간의 열교환이 크 겨울철에는 내부공간의 보온성이 낮고 그로 인해 난방비가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강성의 프레임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경우 복층구조를 구현하는데 복층으로 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변형이후에 복구작업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비닐하우스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외력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더라도 간편하게 복원시킬 수 있고 와이어 구조물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을 각각 지지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입체 형상을 이루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고 지하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양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긴장되어 비닐덮개부를 지지하는 수평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지붕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지주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비닐덮개부는 상기 수평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비닐덮개부들은 그 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며, 겹쳐진 부분에 연결부재가 상기 수평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고정부재가 상기 수평와이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복층의 비닐덮개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고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1쌍의 연결부재의 사이에 2개의 비닐덮개부들의 단부가 겹쳐지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상기 수평와이어가 접촉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U자형 볼트인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수평와이어는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복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비닐덮개부는 상기 복층구조의 수평와이어에 각각 지지되고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복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비닐덮개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환기창, 상기 환기창에 고정결합된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지지되고 상기 환기창을 당겨 개폐하는 작동로우프, 및 상기 작동로우프를 지지하는 로우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환기창이 닫히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와이어보다 높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와이어, 및 상기 지지와이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에 대하여 상기 수평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행거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와이어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붕프레임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상부프레임,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측면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을 상기 수평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수평와이어는 아연 도금강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의하면, 지붕에 적층되는 눈과 같은 외력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더라도 와이어를 긴장시킴으로써 외형을 간편하게 복원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복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를 지지하는 전후방의 구조물을 입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 공간을 사무공간이나 창고 등 다용도실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덮개를 복층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비닐덮개의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공간의 보온성을 높여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붕을 아치형으로 형성하여 지붕에 적층되는 눈을 쉽게 낙하시킬 수 있고, 환기창을 간편하게 조작하여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일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중간지지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3의 "A" 부분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환기창을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개략적 평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환기창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3의 "D"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구조의 비닐하우스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E" 부분 확대도,
도 15는 도 14의 F-F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전방 지지프레임(11) 및 후방 지지프레임(12),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 및 후방 지지프레임(12)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체(20), 지하에 매립되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과 지지체(2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30), 및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긴장되어 비닐덮개부(60)를 지지하는 수평와이어(4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비닐하우스의 전단과 후단을 이루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은 원호형상의 지붕프레임(13), 및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지붕프레임(13)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지주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붕프레임(13)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비닐하우스의 지붕을 아치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붕을 아치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경사진 평판형에 비해 지붕에 적층되는 눈을 쉽게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프레임(14)은 지붕프레임(13)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지붕프레임(13)을 지지하게 된다. 지주프레임(14)의 하단에는 지지블록(30)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블록(30)이 지하에 매립된 상태에서 지지블록(30)의 상단에 지주프레임(14)이 볼트로 고정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프레임(14)과 지붕프레임(13)은 동일평면상에 구비되어 전방 지지프레임(11)이 비닐하우스의 전면을, 후방 지지프레임(12)이 후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지주프레임(14)이 지지블록(3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는 것만으로는 수평와이어(40)들의 하중을 지지하기 어렵고 수평와이어(40)들이 수평하게 긴장되도록 인장력을 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이 지지체(20)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상기 지지체(20)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21)과 수평프레임(22)으로 입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체(20)는 사각틀 형상의 입방체를 형성한다. 4개의 수직프레임(21)이 전방 지지프레임(11)보다 돌출된 위치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수직프레임(21)들을 수평프레임(22)들이 서로 연결하여 사각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각틀 구조물은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을 사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수평와이어(40)들을 지지하는 전후방의 구조물인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이 지지체(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 수평와이어(40)들에 높은 인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각틀 구조물로 된 지지체(20)는 다양한 용도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사각틀 구조물의 외측에 비닐이나 천을 씌우거나 패널을 설치하여 벽체를 형성하게 되면 독립된 입체 공간이 형성되어 사무공간이나 창고 등 다용도실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20)는 2개의 수직프레임(21)이 전방 지지프레임(11) 및 후방 지지프레임(12)과 동일 평면상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직프레임(21)이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지붕프레임(13)까지 연장되어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일부 수직프레임(21)이 지붕프레임(13)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지붕프레임(13)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든 수직프레임(21)이 지붕프레임(13)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구비되고 수평프레임(22)이 지붕프레임(13)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공간의 크기에 따라 수직프레임(21)들의 길이를 선택하여 지지체(20)의 천고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체(20)를 이루는 수직프레임(21)의 하단에도 지지블록(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블록(30)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1)들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지하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체(20)를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와이어(40)는 양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수평와이어(40)는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지붕프레임(13)은 물론 지주프레임(14)에도 설치된다. 지붕프레임(13)과 지주프레임(1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와이어 앵커(45)들이 고정설치되어 있다.(도 13 참조) 와이어 앵커(45)의 헤드부에 수평와이어(4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결합된다. 도 13은 수평와이어(40)가 복층으로 구비된 실시예로 하나의 지붕프레임(13)에 와이어 앵커(45)도 1쌍이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층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평와이어(40)의 일단을 먼저 전방 지지프레임(11)의 와이어 앵커(45)에 고정시킨 경우 수평와이어(40)의 타단을 후방 지지프레임(12)에 설치된 와이어 앵커(45)의 헤드부에 걸고 수평와이어(40)를 설정된 인장력으로 긴장시킨 후 타단을 고정결합한다.
상기 수평와이어(40)는 아연 도금강선으로 형성되어 내부식성이 크고 강재에 비해 신축성이 있어 충격을 흡수하거나 외력에 유연하게 변형되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사용중 폭설 등에 의해 과다한 하중이 수평와이어(40)에 가해지는 경우 수평와이어(40)가 신장되면서 처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전방 지지프레임(11)이나 후방 지지프레임(12)의 피해가 최소화된다. 이후 이를 복구할 때에도 각 수평와이어(40)의 양단을 와이어 앵커(45)로부터 해체하여 낱개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교체가 용이하고, 수평와이어(40)의 신장 정도가 작아 재사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수평와이어(40)에 인장력만 가하여 와이어 앵커(45)에 다시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수평와이어(40)를 사용하여 비닐하우스를 제조하게 되면 수평와이어(40)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의 피해가 최소화되고 수평와이어(40)의 교체와 수리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 지지체(20), 수평와이어(40)가 설치되면 수평와이어(40)의 외측에 비닐덮개부(60)를 씌워 설치하게 된다.
상기 비닐덮개부(60)는 상기 수평와이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비닐덮개부(60)들은 그 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덮개부(60)의 겹쳐진 단부들은 연결부재(71)와 고정부재(74)에 의해 서로 고정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71)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와이어(4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연결부재(71)는 1쌍이 겹쳐지게 구비되고, 1쌍의 연결부재의 사이에 2개의 비닐덮개부(60)들의 겹쳐진 단부가 삽입된다. 겹쳐진 비닐덮개부(60)들의 단부는 접착부재(75)에 의해 1차적으로 서로 고정되고 고정부재(74)에 의해 연결부재(71)에 고정결합된다. 접착부재(75)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4)는 U자형 볼트로, 상기 연결부재(71)의 외측에 접촉된 수평와이어(40)를 지지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74)는 상기 수평와이어(4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71)와 복층의 비닐덮개부(60)의 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후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와이어(40)의 가운데 부분을 지지하는 중간 지지프레임(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프레임(50)은 상기 지붕프레임(13)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상부프레임(51),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51)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측면프레임(52), 상기 측면프레임(52)을 지지하는 서브프레임(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51)은 전방 지지프레임(11)이나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지붕프레임(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52)은 상기 지주프레임(14)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프레임(52)의 하단에는 지지블록(30)이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 서브프레임(5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53)은 상기 수평와이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평와이어(40)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측면프레임(52)을 지지하게 된다. 서브프레임(53)의 상단은 측면프레임(52)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하단에는 지지블록(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51)과 측면프레임(52)에 수평와이어(40)가 지지되는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고정부재(74)와 같은 U볼트를 사용하여 수평와이어(40)를 상부프레임(51)과 측면프레임(5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비닐덮개부(60)에는 환기창(81)이 구비되어 있다. 비닐덮개부(60)에는 환기창(81)을 설치하기 위한 창틀(86)이 구비될 수 있다. 창틀(86)은 상기 연결부재(71)에 고정결합될 수도 있고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환기창(81)은 창틀(86)에 선회축(82)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회축(82)에는 환기창(81)이 닫히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수단(도면미도시)이 구비된다. 복원수단은 선회축(82)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환기창의 일측에는 작동로우프(8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83)가 구비되어 있다. 창틀(86)이나 연결부재(71), 지붕프레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동로우프(84)를 지지하는 로우프 지지대(85)가 구비된다. 로우프 지지대(85)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각 로우프 지지대(85)에도 작동로우프(84)를 지지하는 지지롤러(8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우프(84)의 일단은 하나의 로우프 지지대(85)에 고정결합된다. 작동로우프(84)는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롤러(83)들에 지지된다. 지지롤러(83)에 지지되는 작동로우프(84)의 타단을 잡아 당기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창(81)이 선회하면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로우프(84)를 견인하여 환기창(81)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고, 견인력을 제거하게 되면 토션스프링과 같은 복원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환기창(81)이 닫히게 된다. 작동로우프(84)는 사용자가 인력으로 잡아당길 수도 있고 구동모터와 풀리와 같은 권취기구(도면미도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와이어(40)의 위쪽에는 수평와이어(40)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와이어(9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와이어(91)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대(9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와이어(91)는 양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에 각각 구비된 와이어 지지대(92)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지지와이어(91)는 와이어 지지대(92)에 의해 상기 수평와이어(40)보다 높게 구비된다. 지지와이어(91)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행거(93)가 지지와이어(91)를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행거(93)는 지지와이어(91)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와이어(91)에 대한 수평와이어(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 행거(93)는 턴버클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 행거(93)는 지지와이어(91)에 고정결합되는 행거몸체(94)와, 행거몸체(94)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너트(95), 및 행거너트(95)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되는 행거볼트(96)로 이루어진다.
행거볼트(96)의 하단은 수평와이어(40)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행거볼트(96)가 수평와이어(40)를 지지한 상태에서 행거너트(95)가 행거몸체(94)에 대하여 축회전하게 되면 행거볼트(96)가 승하강하면서 지지와이어(91)에 대한 수평와이어(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수평와이어(40)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처짐을 복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수평와이어(40)가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에 복층으로 구비되고, 비닐덮개부(60)도 복층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지프레임(11)과 후방 지지프레임(12)의 측면에 1쌍의 와이어 앵커(45)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어 있다. 위쪽에 구비된 와이어 앵커(45)와 아래쪽에 구비된 와이어 앵커(45)에 각각 수평와이어(40)의 단부가 연결된다. 복층구조의 수평와이어(40)에 비닐덮개부(60)가 각각 지지되고, 1쌍의 와이어 앵커(45) 사이의 간격만큼 2개의 비닐덮개부(6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비닐덮개부(60)를 복층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비닐덮개부(60)의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비닐하우스 내부공간의 보온성을 높여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수평와이어(40)를 복층구조로 설치하고 비닐덮개부(60)를 덮게 되면, 종래 강성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복층의 비닐하우스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구조에서는 하나의 비닐덮개부(60)를 고정시키는 1쌍의 연결부재(71)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있다. 위쪽에 1쌍의 연결부재(71)가 구비되어 위쪽의 비닐덮개부(60)들을 겹쳐 고정시키고 아래쪽에도 1쌍의 연결부재(71)가 구비되어 아래쪽의 비닐덮개부(60)들을 겹쳐 고정시킨다. 결국, 전체적으로 판 형상의 연결부재(71)가 4개 구비되는데, 4개의 연결부재(71) 중 가운데 2개의 연결부재(71)는 스페이서(7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가운데 2개의 연결부재와 스페이서(7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H빔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위쪽의 1쌍의 연결부재(71)와 아래쪽의 1쌍의 연결부재(71)에 U볼트인 고정부재(74)가 각각 결합되어 2개의 수평와이어(40)와 비닐덮개부(60)들을 복층구조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2)에는 1쌍의 수평와이어(40)가 관통할 수 있는 와이어 관통홀(7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 : 전방 지지프레임 12 : 후방 지지프레임
13 : 지붕프레임 14 : 지주프레임
20 : 지지체 21 : 수직프레임
22 : 수평프레임 30 : 지지블록
40 : 수평와이어 45 : 와이어 앵커
50 : 중간 지지프레임 51 : 상부프레임
52 : 측면프레임 53 : 서브프레임
60 : 비닐덮개부 71 : 연결부재
72 : 스페이서 73 : 와이어 관통홀
74 : 고정부재 75 : 접착부재
81 : 환기창 82 : 선회축
83 : 지지롤러 84 : 작동로우프
85 : 로우프 지지대 86 : 창틀
91 : 지지와이어 92 : 와이어 지지대
93 : 와이어 행거 94 : 행거몸체
95 : 행거너트 96 : 행거볼트

Claims (11)

  1.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을 각각 지지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입체 형상을 이루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고, 지하에 매립되어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양단이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의해 수평한 방향으로 긴장되어 비닐덮개부를 지지하는 수평와이어;
    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 및 후방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지붕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지주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덮개부는 상기 수평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비닐덮개부들은 그 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며, 겹쳐진 부분에 연결부재가 상기 수평와이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고정부재가 상기 수평와이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복층의 비닐덮개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1쌍의 연결부재의 사이에 2개의 비닐덮개부들의 단부가 겹쳐지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상기 수평와이어가 접촉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U자형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와이어는,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에 복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비닐덮개부는,
    상기 복층구조의 수평와이어에 각각 지지되고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복층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덮개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환기창;
    상기 환기창에 고정결합된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에 지지되고, 상기 환기창을 당겨 개폐하는 작동로우프; 및
    상기 작동로우프를 지지하는 로우프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창이 닫히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평와이어보다 높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와이어; 및
    상기 지지와이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에 대하여 상기 수평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행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와이어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붕프레임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상부프레임;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을 상기 수평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와이어는,
    아연 도금강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KR1020160023924A 2016-02-29 2016-02-29 비닐하우스 KR20170101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24A KR20170101426A (ko) 2016-02-29 2016-02-29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924A KR20170101426A (ko) 2016-02-29 2016-02-29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426A true KR20170101426A (ko) 2017-09-06

Family

ID=5992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924A KR20170101426A (ko) 2016-02-29 2016-02-29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772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비닐을 이용한 부분보수가 가능한 온실
KR102446348B1 (ko) * 2022-03-24 2022-09-21 주식회사 현대웍스 비닐하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772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비닐을 이용한 부분보수가 가능한 온실
KR102446348B1 (ko) * 2022-03-24 2022-09-21 주식회사 현대웍스 비닐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670B2 (en) Method of protecting a structure with a system of modular panels
KR101181634B1 (ko) 비굴착 가변형 온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80347174A1 (en) Air-supported hall with a window
WO2017030189A1 (ja) 引張構造の建物
KR20170101426A (ko) 비닐하우스
KR102144384B1 (ko) 이중구조 비닐하우스
JPH10295199A (ja) シートの開閉装置
US20070256373A1 (en) Insulated window panels
JP2006000036A (ja) 壁面緑化工法とワイヤー張設装置
KR101517397B1 (ko)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RU2008106415A (ru) Всепогодная теплица
US20170191262A1 (en) Self-tensioning modular panels
KR101068231B1 (ko) 조립식 막 구조물
KR101044156B1 (ko) 게이트볼장의 구조물
US20090173462A1 (en) Pivotable screen assembly for screened enclosures
JPWO2008146485A1 (ja) 構造物
CN108301640A (zh) 移动板房
JP6836772B2 (ja) ビニールハウス換気装置
CA2939794C (en) Building-mounted awning with single location attachment
KR100575429B1 (ko) 골조고정구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JP2006257854A (ja) 日除け・目隠し及び霜よけ装置
EP3789558B1 (en) Light guiding system comprising a shaft arrangement, and method of providing such a shaft arrangement in a mounted condition
CN111877261B (zh) 一种可调节长度和可弯曲的挡水水袋
WO1995011594A1 (en) Exterior construction with a working area partially shielded from external weather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