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257A - 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 Google Patents

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257A
KR20170101257A KR1020177020456A KR20177020456A KR20170101257A KR 20170101257 A KR20170101257 A KR 20170101257A KR 1020177020456 A KR1020177020456 A KR 1020177020456A KR 20177020456 A KR20177020456 A KR 20177020456A KR 20170101257 A KR20170101257 A KR 20170101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film
ethylene
sealing film
cel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노부 무로후시
쥰 도쿠히로
마사미치 도쿠타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2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필름(10)은,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오목부(100)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다. 또한, 그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복수의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110)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 (%)로 표시되는 상면(110)의 면적률이 10% 이하이다.The film 10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with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arranged in a lattice form.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Further, whe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110, at least not in the one surface, the surface is an apparent surface area S a, not a plurality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formed in a case where said flat by S t, S t /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expressed by S a × 100 (%) is 10% or less.

Description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 및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sealing film, a film roll for solar cell seal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 및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sealing film, a film roll for sealing a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module.

특허문헌 1에는,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용 밀봉막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필름은 엠보싱 가공에 의해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필름의 단위 면적당의 오목부의 합계 부피 VH와, 단위 면적에 최대 두께를 곱한 필름의 겉보기 부피 VA와의 백분비 VH/VA×100%가 5 내지 80%로 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태양 전지의 제작 시의 밀봉 공정의 가열 가공 시에, 필름에 쿠션성을 부여하여, 태양 전지용 셀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탈기 불량 등을 방지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ealing film for a solar cell comprising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film subjected to embossing. In Patent Document 1, the film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by embossing, and a percentage V H / V A between the total volume V H of the concave portion per unit area of the film and the apparent volume V A of the film multiplied by the maximum thickness × 100% is 5 to 80%. By doing so, cushioning is imparted to the film during the heating process of the sealing proces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cell for the solar cell and preventing defective degassing.

일본 특허 제3473605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473605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깊이에 관한 것이며, 필름의 최대 두께 tmax에 대한 깊이율이 중시되어, 깊이율이 2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필름의 두께가 커지면, 특정한 공극률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오목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져 있었다. 그리고,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필름에서는, 필름 롤 등으로서 보관했을 경우에, 서로 접촉하는 필름면끼리에서 블로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However,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the depth of a concave portion formed by embossing and emphasizes the depth ratio with respect to the maximum thickness t max of the film, and it is described that the depth ratio is preferably 20 to 95% .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increased, the area occupied by the concave portion inevitably becomes small in order to maintain a specific porosity. According to a study by the inventor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case of a film such as tha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blocking may occur between film surfaces contacting each other when the film is stored as a film roll or the like.

본 발명은 수송, 보관 시의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고,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에어 빠짐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ar cell sealing film which is less likely to cause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which is excellent in air releasing property in the production of a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오목부의 평균 깊이 및 필름 상면의 면적률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수송, 보관 시의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고,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에어 빠짐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during transport and storage is unlikely to occur, , A solar cell sealing film excellent in air releasing property can be obt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이 제공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olar cell sealing film is provided.

[1][One]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Wherein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lattice-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Wherein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상기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로 표시되는 상기 상면의 면적률이 10%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In the at least one surface, as for the surface to have an apparent surface area S a,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not added to form the plurality of recesses in a case where said flat by S t, S t / S a × 100 (%) Wherein an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to be displayed is 10% or less.

[2][2]

상기 [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있어서,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1] above,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배열 주기가 500㎛ 이상 2000㎛ 이하의 범위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Wherein the arrangement period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in the range of 500 탆 to 2000 탆.

[3][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있어서,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above [1] or [2]

상기 상면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를 구성하는 면은 30° 이상 60° 이하로 교차하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Wherein the upper surface and the surface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an angle of 30 DEG or more and 60 DEG or less.

[4][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있어서,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평면에서 보아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평행사변형, 삼각형 또는 육각형이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적어도 한쪽 면을 충전하고 있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Wherein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square, rectangular, rhombic, parallelogram, triangular, or hexagonal in plan view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o fill the at least one surface.

[5][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이 코어재에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A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where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is wound on a core material.

[6][6]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A preparing step of preparing a solar cell sealing film,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제1 상기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태양 전지 셀, 제2 상기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및 이면측 보호 부재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밀봉 공정을 포함하고,Wherein the laminate is formed by laminating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the solar cell,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and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in this order, And a sealing step of heating and pressing and integrating them,

상기 제1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는,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with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ranged in a lattice form,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Wherein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상기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로 표시되는 상기 상면의 면적률이 10% 이하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In the at least one surface, as for the surface to have an apparent surface area S a,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not added to form the plurality of recesses in a case where said flat by S t, S t / S a × 100 (%) Wherein an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to be displayed is 10% or less.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송, 보관 시의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고,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에어 빠짐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m for solar cell sealing which is less likely to cause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which is excellent in air releasing property in the production of a solar cell module.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일점쇄선 A-A의 단면으로부터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오목부가 정삼각형이고, 삼각 격자 형상으로 배열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오목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구조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롤 형상으로 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로부터 필름편을 잘라내는 위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의 처리를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figure from the end of the one-dot chain line AA shown i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solar cell sealing film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a regular triangle and arranged in a triangular lattice shap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solar cell sealing film in the case where the concave portion is a curved surface.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sition at which a film piece is cut from a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in which a solar cell sealing film is formed in a roll shap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ll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내지」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이상부터 이하를 나타낸다.In addition, " to " means the following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0)(이하, 「필름(10)」이라고 칭함)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도면은 필름(10)을 평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일점쇄선 A-A의 단면을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관찰한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lar cell sealing fil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is figure is a plan view of the film 10,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dotted line A-A shown in Fig. 1 in a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figure.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10)은,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오목부(100)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다. 또한, 그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복수의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110)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로 표시되는 상면(110)의 면적률이 10% 이하이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recesses 10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m 10 in a lattice form.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Further, whe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110, at least not in the one surface, the surface is an apparent surface area S a, not a plurality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formed in a case where said flat by S t, S t /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expressed by S a × 100 (%) is 10% or les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필름(10)은, 예를 들어 필름(10)이 코어재에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로서 수송, 보관된다. 또한, 필름(10)은 롤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층되어서 수송, 보관되어도 된다.The film 10 is transported and stored as a film roll for solar cell sealing, for example, in which the film 10 is wound on a core material. Further, the film 10 is not limited to a roll shape, but may be stacked and transported and stored.

필름(10)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복수의 오목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100)는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서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면을 충전하고 있다. 여기서, 격자 형상이란, 정방 격자에 한정되지 않고, 사방(斜方) 격자, 삼각 격자, 육각 격자 등의 격자에 따른 배열이어도 된다.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오목부(100)는, 필름(10)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전체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ar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lm 10.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o fill the surface. Here, the lattic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tetragonal lattice but may be an array according to a lattice such as an oblique lattice, a triangular lattice, or a hexagonal latt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 100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film 10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ly suppressing the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복수의 오목부(1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면을 효율적으로 충전하는 관점, 및 오목부(100)의 형성 용이성의 관점에서, 평면에서 보아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평행사변형, 삼각형 또는 육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100)가 삼각형인 경우,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부(10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란, 오목부(100)와 상면(110)이 교차하는 선, 즉 오목부(100)의 외곽(104)으로 결정되는 형상이다.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square shape, a rectangular shape, a rhombic shape, a parallelogram shape, a triangle shape, or a triangle shape in plan view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filling the surface and the ease of forming the concave portion 100 It is preferably hexagonal. When the concave portion 100 is triang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 equilateral triangle or an isosceles triangle. Here, the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a shape determined by a line intersecting th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upper surface 110, that is, the outer periphery 104 of the concave portion 100.

여기서, 상면(110)이란, 필름(10)의 오목부(100)가 형성된 측의 표면 중,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즉 볼록해진 능선부의 정상면이다. 필름 롤(20)에 권취되어, 또는 겹쳐진 필름(10)은 상면(110)의 부분에서 인접하는 필름면과 접촉하게 된다.Here, the top surface 110 is a top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10 of the film 10 where the concave portion 100 is not formed, that is, the convex ridge portion. The film 10 wound around or overlapped with the film roll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jacent film surface at th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10. [

도 1은, 오목부(100)가 정사각형이고, 정방 격자 형상으로 배열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s 100 are arranged in a square lattice shape.

한편, 도 3은, 변형예로서, 오목부(100)가 정삼각형이고, 삼각 격자 형상으로 배열한 필름(10)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film 10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100 has a regular triangle and is arrang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lattice as a modified example.

필름(10)에 있어서, 복수의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2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 이하이다. 여기서, 각 오목부(100)의 깊이 d는 상면(110)에 대한 오목부(100)의 최대 깊이이고, 복수의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깊이 d의 평균값이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기타의 구성 요소를 적층한 후,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처리 시에, 오목부에 에어가 남아 적층체에 기포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평균 깊이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요철이 찌부러질 때에 공기가 포획되기 어렵고, 즉, 에어 빠짐성이 우수하여, 기포가 저감된다. 또한, 평균 깊이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필름 롤 등으로 했을 때에, 그의 내부의 쓸데없는 공간을 적게 할 수 있고, 수송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평균 깊이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오목부(100)의 저면이 인접하는 필름면과 접촉하기 어려워,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후술하는 필름(10)의 최대 두께 tmax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이고, 필름(10)의 최대 두께 tmax의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필름(10)의 최대 두께 tmax의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film 10,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100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8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The depth d of each recess 100 is the maximum depth of the recess 100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110 and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100 is the average value of the depth d. In the produc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air may remain in the concave portion to generate air bubbles in the laminate when the other components are laminated o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nd then heated and pressed to integrate them. When the average depth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air is hardly trapped when the unevenness is crushed by heating and pressurization, that is, the air dropping property is excellent and the bubbles are reduced. Further, when the average depth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less space in the film roll or the like and improve transport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depth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h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jacent film surface, and the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in a range not exceeding the maximum thickness t max of the film 10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maximum thickness t max of the film 10, More preferably 40% or less of the maximum thickness tmax .

도 2에서는, 오목부(100)가, 평면의 경사면과 저면을 갖는 구조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외곽(104)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00)의 형상과, 저면의 외곽(102)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은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100 has a planar inclined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recess 100 made of the outer frame 104 and the shape made of the outer frame 102 of the bottom fac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한편, 도 4는, 변형예로서, 오목부(100)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필름(10)의 구조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도, 각 오목부(100)의 깊이 d는, 상면(110)에 대한 오목부(100)의 최대 깊이로서 정의할 수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film 10 in the case where the concave portion 100 is a curved surface as a modified example. In this case as well, the depth d of each recess 100 can be defined as the maximum depth of the recess 10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10.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예를 들어 필름(10)의 필름편을 전자 현미경으로 단면 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00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observing the film piece of the film 10 with an electron microscope.

도 5는, 필름(10)을 롤 형상으로 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20)(이하, 「필름 롤(20)」이라고 칭함)로부터 필름편(200)을 잘라내는 위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필름 롤(20)의 폭 방향의 중앙선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본 도면과 같이 필름 롤(20)의 중앙 및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10cm 내측의 3군데에 있어서, 20mm×20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200)을 잘라낸다. 그리고, 이들 필름편(200)에 있는 각 오목부(100)의 깊이 d를 1개의 필름편(200)당 10개,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로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를 구할 수 있다.5 shows an example of a position at which the film piece 200 is cut from the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lm roll 20") in which the film 10 is formed into a roll shape Fig. In the figure,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roll 20 is indicated by a dashed dotted line. Specifically, first, as shown in the drawing, square film pieces 200 each having a size of 20 mm x 20 mm are cut out in three places, namely, the center of the film roll 20 and the inside 10 cm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depth d of each concave portion 100 in each of the film pieces 200 is measured by cross section observation by ten electron microscopes per one film piece 200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calculated, The average depth of the portion 100 can be obtained.

이어서, 도 1 및 도 2로 되돌아와, 상면(110)의 면적률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름(10)의 오목부(100)가 형성된 면에 있어서, 상면(110)의 면적률은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당해 면적률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대향하는 필름면끼리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면(110)의 면적률은, 예를 들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으로 할 수 있다.1 and 2,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will be describ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10 where the concave portion 100 is formed,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is 10% or less, more preferably 8% or less. When the area ratio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pposing film surfaces can be reduced, so that the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may be, for example, 1% or more, preferably 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4% or more.

여기서, 상면(110)의 면적률이란,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복수의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110)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로 표시되는 값이다. 즉, 겉보기 표면적 Sa란 필름의 폭에 필름의 길이를 곱하여 구해지는 값이고, 상면(110)의 면적 St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상면(110)의 영역의 면적이다. 상면(110)의 면적률은, 오목부(100)끼리의 이격 거리, 또는 상면(110)의 폭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Here,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is defined as S a , where S a represents the apparent surface area when the surface is flat, and S t represents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110 on which the plurality of recesses 100 are not formed. t / S a × 100 (%). That is, the apparent surface area S a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width of the film by the length of the film, and the area S t of the top surface 110 is the area of the area of the top surface 110 shown in FIGS.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sses 100,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like.

상면(110)의 면적률은, 예를 들어 필름(10)의 필름편(200)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 나타낸 3군데에서 10mm×10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200)을 잘라낸다. 그리고, 이들 필름편(200)의 표면 형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상면(110)의 면적률을 산출하고, 3개의 필름편(200)의 평균값을 상면(110)의 면적률로서 구할 수 있다.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observing the film piece 200 of the film 10 with an optical microscope. Concretely, similarly to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00, square film pieces 200 each having a size of 10 mm x 10 mm are cut out in three places shown in Fig. The surface shape of the film pieces 200 is measur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o calculate the area ratio of the top surface 110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hree film pieces 200 can be obtained as the area ratio of the top surface 110. [

복수의 오목부(100)의 배열 주기 p는, 500㎛ 이상 20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상 15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이상 12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주기 p는 필름(10)의 전체에 걸쳐 동일할 필요는 없다. 주기 p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오목부(100)의 저부가 인접하는 필름면과 접촉하기 어렵다. 그로 인해,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주기 p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에어 빠짐성이 우수한 필름(10)이 된다.The arrangement period p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0 탆 to 2000 탆,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0 탆 to 1500 탆,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0 탆 to 1200 탆 More preferable. Also, the period p need not be the same across the entire film 10. When the period p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h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jacent film surface. As a result, blocking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iod p is not lower than the lower limit, the film 10 is excellent in air releasing property.

여기서, 주기 p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오목부(100)와 그것에 인접하는 오목부(100)와의 무게 중심 간 거리이다. 또한, 오목부(100)의 무게 중심이란, 외곽(104)으로 결정되는 오목부(100)의 형상의, 무게 중심이다. 1개의 오목부(100)에 대하여 인접하는 오목부(100)와의 무게 중심 간 거리가 복수인 경우에는, 최소의 무게 중심 간 거리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되지만, 최소의 무게 중심 간 거리와 최대의 무게 중심 간 거리가 모두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period p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on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concave portion 100 adjacent thereto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cave portion 100 i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00 determined by the outer frame 104. If there is a plurality of distances between the centers of gravity of on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adjacent concave portions 100,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gravity may be within the above range, but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gravity and the maximum weigh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enter-to-center distance is in the above range.

주기 p는, 예를 들어 필름(10)의 필름편(200)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 나타낸 3군데에서 5mm×5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200)을 잘라낸다. 그리고, 이들 필름편(200)의 표면 형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주기를 측정하여, 상기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period p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observing the film piece 200 of the film 10 with an optical microscope. Concretely, like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00, a square film piece 200 of 5 mm x 5 mm square is cut out in three places shown in Fig. Then, the surface shape of the film pieces 200 is measur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period is measur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film is in the above range.

필름(10)의 상면(110)과, 복수의 오목부(100)를 구성하는 면은 30° 이상 60° 이하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름면에 수직인 오목부(100)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오목부(100)와 상면(110)이 교차하는 점에서의 그들이 이루는 각도 r이 3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오목부(100)와 상면(110)이 이루는 각도 r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처럼, 오목부(100)가 평면의 경사면을 갖는 경우에는, 각도 r은 상면(110)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한편, 도 4처럼, 오목부(100)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도 r은 오목부(100)와 상면(110)이 교차하는 점에서의 당해 곡면의 접선과 상면(110)이 이루는 각도이다. 각도 r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필름(10)으로의 오목부(100)의 형성 수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하한 이상이면,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film 10 and the surface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100 cross at an angle of 30 DEG or more and 60 DEG or less.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r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upper surface 110 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00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is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Concretely, for example, the angle r form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upper surface 110 shown in Figs. 2 and 4 is preferably within the above range. 2, when the concave portion 100 has a planar inclined surface, the angle r is an angl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inclined surface. 4, when the concave portion 100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the angle r is an angle formed by the tangent of the curved surface and the top surface 110 at a point where th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top surface 110 intersect with each other . When the angle r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the formation yield of the concave portion 100 in the film 10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blocking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각도 r은, 예를 들어 필름(10)의 필름편(200)을 전자 현미경으로 단면 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 나타낸 3군데에서 20mm×20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200)을 잘라낸다. 그리고, 이들 필름편(200)에 있는 각 오목부(100)와 상면(110)과의 각도 r을 1개의 필름편당 10개,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에 의해 측정하여, 상기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angle 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observing the film piece 200 of the film 10 with an electron microscope. Concretely, as in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100, square film pieces 200 of 20 mm x 20 mm square are cut out in three places shown in Fig. The angle r between each concave portion 100 and the upper surface 110 in each of the film pieces 200 was measured by cross section observation by ten electron microscope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ngle was within the above range Can be confirmed.

태양 전지 모듈 제조 시의 에어 빠짐성과, 쿠션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필름(10)에 있어서, 필름의 단위 면적당의 오목부의 합계 부피 VH와, 필름의 겉보기 부피 VA와의 백분비 VH/VA×100으로 표시되는 공극률 P(%)가 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겉보기 부피 VA는, 단위 면적에 필름(10)의 최대 두께를 곱함으로써 얻어진다.Air strike-through performance of the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cushion property balance, in the film 10, the sum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unit area of the film by volume V H and the apparent volume of the film V A with the percentage V H / V A The porosity P (%) expressed by X 100 is preferably 3 to 30%, more preferably 10 to 28%. In addition, the apparent volume V A of the film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unit area by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film 10.

공극률 P는, 다음과 같은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오목부가 형성된 필름의, 겉보기 부피 VA(㎣)는, 필름의 최대 두께 tmax(mm)와 단위 면적(예를 들어 1㎡=1000×1000=106㎟)과의 곱에 의해, 하기 식 (3)과 같이 하여 산출된다.The porosity P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calculation. The apparent volume V A (mm) of the film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maximum thickness t max (mm) of the film by the unit area (for example, 1 m 2 = 1000 x 1000 = 10 6 mm 2) (3).

VA(㎣)=tmax(mm)×106(㎟) (3)V A (t) = t max (mm) x 10 6 (mm 2) (3)

한편, 이 단위 면적의 필름 실제 부피 V0(㎣)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비중 ρ(g/㎣)과 단위 면적(1㎡)당의 필름의 실제 무게 W(g)를 하기 식 (4)에 적용시킴으로써 산출된다.On the other hand, film physical volume V 0 (㎣) of the unit area, to the specific gravity ρ (g / ㎣) and unit area (1㎡) actual weight W (g) per the film of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ilm formula ( 4). ≪ / RTI >

V0(㎣)=W/ρ (4)V 0 (?) = W /? (4)

필름의 단위 면적당의 오목부의 합계 부피 VH(㎣)는 하기 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겉보기 부피 VA」로부터 「실제의 부피 V0」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된다.The total volume V H (㎣) of concave portions per unit area of the film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actual volume V 0 " from "apparent volume V A of film"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5).

VH(㎣)=VA-V0=VA-(W/ρ) (5) V H (㎣) = V A -V 0 = V A - (W / ρ) (5)

따라서, 공극률(%)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rosity (%) can be obtained as follows.

공극률 P(%)=VH/VA×100Porosity P (%) = V H / V A × 100

=(VA-(W/ρ))/VA×100= (V A - (W / p)) / V A x 100

=1-W/(ρ·VA)×100= 1-W / (? V A ) x 100

=1-W/(ρ·tmax·106)×100= 1-W / (ρ · t max · 10 6) × 100

공극률(%)은 상기의 계산식에 의해 구할 수 있지만, 실제의 필름 단면이나 오목부가 형성된 면을 현미경 촬영하고, 화상 처리 등 함으로써 구할 수도 있다.The porosity (%) can be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calculation formula, but it can also be obtained by image-processing or the like by photographing the actual film surface or the surface o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by microscope.

여기서, 필름의 최대 두께 tmax란, 필름의 한쪽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상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까지의 (필름의 두께 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필름의 양쪽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상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상면까지의 (필름 두께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Here, the maximum thickness t max of the film indicates the dista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from one upper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when a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m,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from one upper surface to the other upper surface.

필름(10)의 최대 두께 tmax는 0.01mm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0.8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최대 두께 tmax가 이 범위 내이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태양 전지 셀, 이면측 보호 부재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비교적 저온에서도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10)은 충분한 광선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은 높은 광 발전량을 갖는다.The maximum thickness t max of the film 10 is preferably 0.01 mm to 2 mm, more preferably 0.1 to 1 mm, and further preferably 0.3 to 0.8 mm. If the maximum thickness t max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is within this range, breakage of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the solar cell, and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in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suppres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laminate molding. Further, the film 10 can secure a sufficient light transmittance, and the solar cell module using the film 10 has a high light generation amount.

필름(10)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가교제, 가교 촉진제, 커플링제, 광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이 포함된다.The film 10 can be produced by molding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s high transparency.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if necessary, a crosslinking agent, a crosslinking accelerator, a coupling agent,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nd the like.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및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밀도 에틸렌계 수지, 저밀도 에틸렌계 수지, 중밀도 에틸렌계 수지, 초저밀도 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 (공)중합체, 1-부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불포화 무수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불포화 무수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폭시 함유 불포화 화합물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에폭시 함유 불포화 화합물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금속염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금속염 공중합체 등의 아이오노머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산계 수지, 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α-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방향족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방향족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방향족 비닐 화합물·방향족 폴리엔 공중합체,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공액 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α-올레핀·공액 폴리엔·스티렌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2폴리부타디엔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트랜스폴리이소프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염소화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액정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ontaining ethylene and an?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 high density ethylene resin, a low density ethylene resin, a medium density ethylene resin, an ultra low density ethylene resin, (Co) polymers, ethylene / cyclic olefin copolymers, ethylene /? - olefin / cyclic olefin copolymers, ethylene /? - olefin / non-conjugated Olefin resins such as ethylene /? - olefin / conjugated polyene copolymer, ethylene / aromatic vinyl copolymer, ethylene /? - olefin / aromatic vinyl copolymer, and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nhydride copolymer , Ethylene /? - olefin / unsaturated carboxylic anhydride copolymer, ethylene / epoxy-containing unsaturated compound copolymer, ethylene /? - olefin / epoxy-containing unsaturated compound copolymer, ethylene- Copolymer;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s such as ethylene / acrylic acid copolymers and ethylene / methacrylic acid copolymers,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copolymers such as ethylene / ethyl acrylate copolymer and ethylene / 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 acrylic acid ester (co) polymer, an ethylene / acrylic acid metal salt copolymer, an ethylene / methacrylic acid metal salt copolymer and the like, a urethane resin, a silicone resin, an acrylic acid resin, a meta (Co) polymers,? -Olefins, aromatic vinyl compounds, aromatic polyene copolymers, ethylene /? - olefins, aromatic vinyl compounds, aromatic polyene copolymers, ethylene / aromatic vinyl compounds, aromatic polyene Copolymers, styrene resin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s,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Acrylonitrile / 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 / ethylene /? - olefin / nonconjugated polyene / 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 / ethylene /? - olefin / conjugated polyene / styrene copolymer, meta 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a polyuretha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a 1,2-polybutadi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a polybutadi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a polybutadi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a polybutadi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A thermoplastic elastomer, a trans polyisoprene thermoplastic elastomer, a chlorinated polyethylene thermoplastic elastomer, a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and a polylactic acid.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및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저밀도 에틸렌계 수지, 중밀도 에틸렌계 수지, 초저밀도 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 (공)중합체, 1-부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공액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불포화 무수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불포화 무수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폭시 함유 불포화 화합물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에폭시 함유 불포화 화합물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금속염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금속염 공중합체 등의 아이오노머 수지,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α-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방향족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방향족 비닐 화합물·방향족 폴리엔 공중합체, 에틸렌·방향족 비닐 화합물·방향족 폴리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공액 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α-올레핀·공액 폴리엔·스티렌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Of these, ethylene /? - olefin copolymers containing ethylene and? -Olefins of 3 to 20 carbon atoms, low density ethylene resins, medium density ethylene resins, ultra low density ethylene resins, propylene (co) (Co) polymer, 4-methylpentene-1 (co) polymer, ethylene / cycloolefin copolymer, ethylene /? - olefin / cycloolefin copolymer, ethylene /? - olefin / nonconjugated polyene copolymer, ethylene? -Olefin-conjugated polyene copolymer, ethylene / aromatic vinyl copolymer, ethylene /? - olefin / aromatic vinyl copolymer,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nhydride copolymer, ethylene /? - olefin / unsaturated anhydride An ethylene /? - unsaturated compound copolymer, an ethylene /? - olefin / epoxy-containing unsaturated compound copolymer, an ethylene / acrylic acid copolymer, an ethylene / methacrylic acid copolymer, etc.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s such as ethylene /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s, ethylene / ethyl acrylate copolymers,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co) polymers, (meth) acrylic ester (co) polymers and ethylene / (Co) polymer, an? -Olefin,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 aromatic polyene copolymer,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r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 methacrylic acid metal salt copolymer; -Olefin · aromatic vinyl compound · aromatic polyene copolymer, ethylene · aromatic vinyl compound · aromatic polyene copolymer, 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styrene · conjugated diene copolymer, acrylonitrile · 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 · ethylene · α-olefin · nonconjugated polyene · 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 · ethylene · α- Repin-conjugated polyene, the copolymer, methacrylic acid-styrene copolymer is preferred.

또한, 에틸렌 및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실란 화합물에 의해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ontaining ethylene and an?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is more preferable. The above-mention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modified by a silane compound.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이하의 요건 a1) 내지 a4)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preferably satisfies the following requirements a1) to a4).

a1)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80 내지 90mol%임과 함께,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내지 20mol%이다.a1) the content ratio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ethylene is 80 to 90 mol%,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is 10 to 20 mol%.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MFR이 0.5 내지 50g/10분이다.a2) According to ASTM D1238, the MFR measured at 190 占 폚 under a load of 2.16 kg is 0.5 to 50 g / 10 min.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0.865 내지 0.884g/㎤이다.a3) The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505 is 0.865 to 0.884 g / cm3.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쇼어 A 경도가 60 내지 85이다.a4) Shore A hardnes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2240 is 60 to 85.

이하, 요건 a1) 내지 a4)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quirements a1) to a4) will be described.

(요건 a1)(Requirement a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이하, 「α-올레핀 단위」라고도 기재함)의 비율은 투명성, 유연성 및 제조 효율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10 내지 20mol%가 바람직하고, 12 내지 20mol%가 보다 바람직하고, 13 내지 18mol%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n?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Olefin unit") contained in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rom a balance of transparency, , It is preferably 10 to 20 mol%, more preferably 12 to 20 mol%, and still more preferably 13 to 18 mol%.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비공액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공액 폴리엔으로서, 비공액 환상 폴리엔, 비공액 쇄상 폴리엔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비공액 환상 폴리엔과 비공액 쇄상 폴리엔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 중, 촉매로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내에 1개만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과, 탄소·탄소 이중 결합 중 당해 촉매로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내에 2개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 중,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중에 1개만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에는, 양쪽 말단이 비닐기(CH2=CH-)인 쇄상 폴리엔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공액 폴리엔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만이 분자 말단에 비닐기로서 존재하고, 다른 탄소·탄소 이중 결합(C=C)은 분자쇄(주쇄 및 측쇄를 포함함) 중에 내부 올레핀 구조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공액 환상 폴리엔, 비공액 쇄상 폴리엔의 개념에는, 상술한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중에 1개만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 및 탄소·탄소 이중 결합 중 당해 촉매로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내에 2개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도 포함된다. 또한, 공액 쇄상 폴리엔으로서는, 공액 트리엔 또는 테트라엔도 포함된다.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may contain a nonconjugated polyene. As the nonconjugated polyene,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nonconjugated unsaturated bond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nonconjugated polyenes include nonconjugated cyclic polyenes and nonconjugated straight chain polyenes, and two or more nonconjugated cyclic polyenes and nonconjugated straight chain polyen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Examples of the nonconjugated polyene include a nonconjugated polyene in which only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capable of being polymerizable by a catalyst exists in one molecule among the carbon-carbon double bonds and a nonconjugated polyene in which carbon- Any of nonconjugated polyenes having two double bonds in one molecule may be used. Among them, the nonconjugated polyenes in which only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exists in one molecule do not include a chain-like polyene having both terminals of a vinyl group (CH 2 = CH-). When two or more carbon-carbon double bonds are present in such nonconjugated polyene, only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exists as a vinyl group at the molecular end, and the other carbon-carbon double bonds (C = C)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und is present in the form of an internal olefin structure in the molecular chain (including the main chain and the side chain). The concept of the nonconjugated cyclic polyene and the nonconjugated straight chain polyene includes the non-conjugated polyene in which only one of the above-mentioned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is present in one molecule, and the non-conjugated polyene in which the polymerizable carbon- And nonconjugated polyenes in which two carbon-carbon double bonds exist in one molecule. The conjugated polyene includes conjugated trienes or tetraenes.

비공액 폴리엔의 구체예로서는, 국제 공개 제2005/105867호 팸플릿의 단락 0061 내지 0084,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08696호 공보의 단락 0026 내지 0035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nonconjugated polyenes include the compounds described in paragraphs 0061 to 0084 of WO 2005/105867 and paragraphs 0026 to 0035 of JP-A-2008-308696.

특히,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중에 1개만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불포화 결합)을 1개 갖는 지환 부분과, 알킬리덴기 등의 메탈로센 촉매로 중합되지 않거나 또는 중합성이 떨어지는 내부 올레핀 결합(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쇄상 부분으로 구성되는 폴리엔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5-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및 5-부틸리덴-2-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탄소 이중 결합 중,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1분자 내에 2개 존재하는 비공액 폴리엔의 구체예로서는, 5-비닐-2-노르보르넨(VNB), 5-알릴-2-노르보르넨 등의 5-알케닐-2-노르보르넨; 2,5-노르보르나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DCPD),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8-디엔 등의 지환족 폴리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등의 α,ω-디엔 등을 들 수 있다.Particularly, as the nonconjugated polyenes in which only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exists in one molecule, it is possible to use an alicyclic moiety having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unsaturated bond) and a metallocene catalyst such as an alkylidene group Or a chain moiety having an internal olefin bond (carbon-carbon double bond) which is poor in polymerizability.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5-ethylidene-2-norbornene (ENB), 5-propylidene-2-norbornene and 5-butylidene-2-norbornene. Specific examples of the non-conjugated polyene having two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in one molecule among the carbon-carbon double bonds include 5-vinyl-2-norbornene (VNB), 5-allyl- 5-alkenyl-2-norbornene, such as norbornene; Cycloaliphatic polyenes such as 2,5 -norbornadiene, dicyclopentadiene (DCPD) and tetracyclo [4.4.0.1 2,5 .1 7,10 ] dodeca-3,8-diene; 1,8-octadiene, 1,7-octadiene, 1,9-decadiene, and the like.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폴리엔 공중합체가 되는 경우의, 비공액 폴리엔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이하, 「비공액 폴리엔 단위」라고도 기재함)의 비율은 0.01 내지 5.0mol%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5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mol%이다. 비공액 폴리엔 단위의 함유 비율이 0.01mol% 이상이면, 가교 특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공액 폴리엔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mol% 이하이면, 필름에 겔 형상의 이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non-conjugated polyene unit") derived from a non-conjugated polyene in the case of an ethylene /? - olefin / non-conjugated polyene copolymer is 0.01 to 5.0 mol% Is 0.01 to 4.5 mol%, more preferably 0.05 to 4.0 mol%. When the content of nonconjugated polyene units is 0.01 mol% or more, the crosslinking property is excell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ratio of the nonconjugated polyene units is 5.0 mol% or less, generation of gel-like foreign matter in the film can be suppressed.

(요건 a2)(Requirement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제조 효율, 절연 저항, 투습성, 유리 등과의 밀착성 및 내열성의 밸런스 관점에서, 0.5 내지 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5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40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은, 상술한 중합 반응 시의 중합 온도, 중합 압력, 및 중합계 내의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단량체 농도와 수소 농도의 몰 비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The melt flow rate (MFR)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190 占 폚 and 2.16 kg load in accordance with ASTM D1238 is preferably from a balance of production efficiency, insulation resistance, moisture permeability, adhesion with glass, , Preferably 0.5 to 50 g / 10 min, more preferably 10 to 45 g / 10 min,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to 40 g / 10 min. The MFR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polymerization pressure, and the molar ratio of the monomer concentration of ethylene and? -Olefin to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polymerization system.

(요건 a3)(Requirement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투명성, 제조 효율, 유연성 및 내열성의 밸런스 관점에서, 0.865 내지 0.884g/㎤인 것이 바람직하고, 0.865 내지 0.88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과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과의 밸런스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즉,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을 높게 하면 결정성이 높아지고, 밀도가 높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을 낮게 하면 결정성이 낮아지고, 밀도가 낮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1505 is preferably 0.865 to 0.884 g / cm3, more preferably 0.865 to 0.880 g / cm3 from the viewpoint of balance of transparency, manufacturing efficiency, flexibility and heat resistance More preferable. The density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an be adjusted by the balance between the ethylene unit content and the? -Olefin unit content. That is, if the content ratio of the ethylene unit is increased, the crystallinity is increased and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having high density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ethylene unit is lowered, the crystallinity is lowered and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having a lower density can be obtained.

(요건 a4)(Requirement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 A 경도는 제조 효율, 내열성, 투명성 및 유연성의 밸런스 관점에서, 60 내지 85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8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 A 경도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이나 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즉,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이 높고, 밀도가 높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쇼어 A 경도가 높아진다. 한편,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이 낮고, 밀도가 낮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쇼어 A 경도가 낮아진다.The Shore A hardness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2240 is preferably from 60 to 85, more preferably from 60 to 83, and even more preferably from 65 to 65 in view of balance of production efficiency,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and flexibility To 80% by weight. The Shore A hardness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and density of the ethylene units in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That is,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having a high ethylene unit content and a high density has a high Shore A hardness. On the other hand,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having a low content of ethylene units and a low density has a low Shore A hardness.

상기의 요건 a1) 내지 a4)를 충족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에서는, 블로킹이나 에어 잔사를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본 발명에 의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In the film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satisfying the above requirements a1) to a4), blocking and air residue are likely to occur, but are effectively improved by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서는, 국제 공개 제2012/60086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046456호 팸플릿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film containing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s described above, those described in the pamphlet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2/60086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2/046456 may be used.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Ethylene resin composition)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은, 전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 등의 실란 커플링제 0.1 내지 5중량부와, 유기 과산화물 등의 가교제 0.1 내지 3중량부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duced b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such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0.1 to 3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organic peroxide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또한,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이 0.1 내지 4중량부 및 유기 과산화물이 0.2 내지 3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이 0.1 내지 3중량부, 유기 과산화물이 0.2 내지 2.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ethylenic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0.1 to 4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0.2 to 3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peroxid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0.1 to 3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0.2 to 2.5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peroxide are contained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olefin copolymer.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이 0.1중량부 이상이면,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이 4중량부 이하이면,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비용과 성능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을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시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그래프트 반응시키기 위한 유기 과산화물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압출기에서 필름 형상으로 하여 얻을 때의 겔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출기의 토크가 저하되기 때문에, 필름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내에서 겔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요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s 0.1 parts by weight or more, adhesion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s less than 4 parts by weight, the cost and performance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can be well balanced. Further, whe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s mixed with ethylene- The amount of the organic peroxide to be grafted to the olefin copolymer can be reduc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gelation whe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is obtained in the form of a film in an extruder. As a result, the torque of the extruder is lowered, so that film formation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generation of a gel can be suppressed in the extruder, unnecessary unevenness on the surface of the film can be suppressed, and deterioration of appearance can be suppressed.

또한, 필름 내부에 겔물이 있으면,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겔물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여, 절연 파괴 전압이 저하되지만,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유량을 4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절연 파괴 전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내부에 겔물이 있으면 겔물 계면에 있어서 투습하기 쉬워지지만,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유량을 4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투습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도 있다.When the gel material is present in the film, a crack is generated around the gel material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decrease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However, by setting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to 4 parts by weight or less, Can be suppressed. Further, when the gel material is present in the film, the moisture permeability at the gel material interface becomes easy. However, by making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4 parts by weight or less, deterioration of the moisture permeability can be suppressed.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은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성이 양호한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A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conventionally known ones can be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Specific examples includ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s (? -Methoxyethoxysilane),?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minopropyltriethoxysilane,? -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can be used. Preferable examples include γ-glycidoxypropylmethoxysilane having good adhesiveness, γ-aminopropyltriethoxysilane, 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vinyltriethoxysilane.

(유기 과산화물)(Organic peroxide)

유기 과산화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의 그래프트 변성 시의 라디칼 개시제로서,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태양 전지 모듈 라미네이트 성형 시의 가교 반응 시의 라디칼 개시제로서 사용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을 그래프트 변성함으로써,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태양 전지 셀, 이면측 보호 부재 등과의 접착성이 양호한 태양 전지 모듈이 얻어진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가교함으로써, 내열성, 접착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을 얻을 수 있다.The organic peroxide is used as a radical initiator at the time of graft modification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with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nd also as a radical initiator at the time of crosslinking reaction of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It is used as an initiator. Graft modification of the ethylenic unsaturated silane compound to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results in a solar cell module having good adhesion with the front surface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the solar cell, and the back surface protective member. Further, by crosslinking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 solar cell modul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adhesion can be obtained.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을 그래프트 변성하거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가교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되지만, 압출 필름 성형에서의 생산성과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 시의 가교 속도의 밸런스로부터,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이상이면, 압출 필름 성형 시에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출기의 토크가 저하되기 때문에, 필름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내에서 겔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요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organic peroxide preferably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graft-modify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to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r crosslinking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However, The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of the organic peroxide is 100 to 170 占 폚 from the balance of the crosslinking speed during laminate molding of the battery module. If the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of the organic peroxide is 100 DEG C or more, the ge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obtain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at the time of forming the extruded film, and the torque of the extruder is reduced. . In addition, since generation of a gel can be suppressed in the extruder, unnecessary unevenness on the surface of the film can be suppressed, and deterioration of appearance can be suppressed.

또한, 필름 내부에 겔물이 있으면,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겔물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여, 절연 파괴 전압이 저하되지만,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를 10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절연 파괴 전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내부에 겔물이 있으면 겔물 계면에 있어서 투습하기 쉬워지지만,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를 100℃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습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re is a gel material inside the film, cracks are generated in the periphery of the gel material when voltage is applied, and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is lowered. However, by setting the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of the organic peroxide to 100 DEG C or higher, . Further, if there is a gel material inside the film, the moisture permeability at the gel material interface becomes easy. However, by setting the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of the organic peroxide at 100 deg. C or more, deterioration of the moisture permeability can be suppressed.

한편,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70℃ 이하이면,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 시의 가교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내열성,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of the organic peroxide is 170 占 폚 or less, deterioration of the crosslinking speed during laminate molding of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suppress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Further, deterioration of the heat resistance and adhesiveness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can be prevented.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의 범위에 있는 유기 과산화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디라우로일퍼옥시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벤조일퍼옥시드,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t-부틸퍼옥시말레산, 1,1-디(t-아밀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디(t-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t-아밀퍼옥시노르말옥토에이트,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아밀-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2,2-디(t-부틸퍼옥시)부탄,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라우로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organic peroxide, known ones can be used.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peroxide having a one-minute half-lif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00 to 170 占 폚 include dilauroyl peroxide, 1,1,3,3-tetramethylbutylperoxy-2-ethylhexanoate, dibenzoyl Butylperoxyisobutyrate, t-butylperoxymaleic acid, 1,1-di (tert-butylperoxy) -2-ethylhexanoate, t-butylperoxy-2-ethylhexanoate, (t-amylperoxy) -3,3,5-trimethylcyclohexane, 1,1-di (t-amylperoxy) cyclohexane, t-amylperoxy isonanoate, t- amylperoxynormal octoate , 1,1-di (t-butylperoxy) -3,3,5-trimethylcyclohexane, 1,1-di (t-butylperoxy) cyclohexane, t-butylperoxyisopropylcarbonate, 2,5-dimethyl-2,5-di (benzoylperoxy) hexane, t-amyl-peroxybenzoate, t-butyl peroxyacetate, t- Butyl peroxyisononanoate, 2,2-di (t-butylperoxy) butane, t -Butyl peroxybenzoate, and the like. Preferable examples include peruroyl peroxide, t-butyl peroxyisopropyl carbonate, t-butyl peroxyacetate, t-butyl peroxyisonanoate, t-butyl peroxy-2-ethylhexylcarb T-butyl peroxybenzoate, and the like.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내열 안정제)(Ultraviolet absorber, light stabilizer, heat stabilizer)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및 내열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05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3종 모두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고온 고습에 대한 내성, 히트 사이클의 내성, 내후 안정성 및 내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고, 또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투명성이나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태양 전지 셀, 이면측 보호 부재 등과의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The ethylenic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nd a heat stabilizer. The blending amount of these additives is preferably 0.005 to 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Furthe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t least two kinds of additives selected from the above three kinds,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all of the above three kinds are contained.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additive is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effect of improving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sistance to heat cycle, weather resistance and heat stability, and further, the transparency of the solar cell- , The solar cell,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and the like.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히드록시-4-노르말-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카르복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에스테르계의 것이 사용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2-hydroxy-4-n-octyloxybenzophenon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2-dihydroxy- 4-methoxy-4-carboxybenzophenone, and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Benzotriazole systems such as 2- (2-hydroxy-3,5-di-t-butylphenyl) benzotriazole and 2- (2-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Salicylic acid esters such as phenyl salicylate and p-octylphenyl salicylate are used.

광 안정화제로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등의 힌더드 아민계, 힌더드 피페리딘계 화합물 등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the light stabilizer include bis (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ate, poly {[6- (1,1,3,3-tetramethylbutyl) , 5-triazine-2,4-diyl} {(2,2,6,6-tetramethyl-4-piperid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 - piperidyl) imino}], hindered amine type, hindered piperidine type compounds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내열 안정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비스(1,1-디메틸에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나이트 및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의 포스파이트계 내열 안정제; 3-히드록시-5,7-디-tert-부틸-푸란-2-온과 o-크실렌과의 반응 생성물 등의 락톤계 내열 안정제; 3,3',3",5,5',5"-헥사-tert-부틸-a,a',a"-(메틸렌-2,4,6-트리일)트리-p-크레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힌더드 페놀계 내열 안정제; 황계 내열 안정제; 아민계 내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포스파이트계 내열 안정제 및 힌더드 페놀계 내열 안정제가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heat stabilizer include tris (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bis [2,4-bis (1,1-dimethylethyl) -6- methylphenyl] ethyl ester phosphorous acid, tetrakis (2,4-di-tert-butylphenyl) [1,1-biphenyl] -4,4'-diylbisphosphonite and bis A phosphite-based heat stabilizer; A lactone-based heat stabilizer such as a reaction product of 3-hydroxy-5,7-di-tert-butyl-furan-2-one and o-xylene; A ", a" - (methylene-2,4,6-triyl) tri-p-cresol, 1, (3,5-di-tert-butyl-4-hydroxyphenyl) benzylbenzene, pentaerythritol tetrakis [3- (3,5-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thiodiethylenebis [3- (3,5 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sulfur-based heat stabilizers, and amine-based heat stabilizers. Among them, a phosphite-based heat-stabilizer and a hindered phenol-based heat-resistant stabilizer are preferable.

(기타의 첨가제)(Other additives)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구성하는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에는, 이상 상세히 기술한 여러 성분 이외의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이외의 각종 폴리올레핀, 스티렌계나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40중량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폴리올레핀 이외의 각종 수지, 및/또는 각종 고무, 가소제, 충전제, 안료, 염료, 대전 방지제, 항균제, 방미제, 난연제, 가교 보조제 및 분산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The ethylenic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solar cell sealing film may appropriately contain various components other than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various polyolefins other than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styrene type, ethylene block copolymer, propylene type polymer and the like can be given. These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01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01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It is also possible to appropriately contain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various resins other than polyolefin and / or various kinds of rubber, plasticizer, filler, pigment, dye, antistatic agent, antibacterial agent, antiseptic agent, flame retardant agent, .

특히, 가교 보조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가교 보조제의 배합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중량부이면, 적당한 가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열성, 기계 물성,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crosslinking aid is contain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id may be in the range of 0.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nd may have an appropriate crosslinking structur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mprove the property.

가교 보조제로서는, 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 보조제는, 분자 내에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t-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세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세틸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디-i-프로페닐벤젠 등의 디비닐 방향족 화합물;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시아누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의 디알릴 화합물; 트리알릴 화합물: p-퀴논디옥심, p-p'-디벤조일퀴논디옥심 등의 옥심: 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가교 보조제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방향족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시아누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의 디알릴 화합물; 트리알릴 화합물: p-퀴논디옥심, p-p'-디벤조일퀴논디옥심 등의 옥심: 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이다. 또한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이고, 라미네이트 후의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기포 발생이나 가교 특성의 밸런스가 가장 우수하다.As the crosslinking aid, conventionally known ones commonly used for olefin resins can be used. Such a crosslinking aid is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monoacrylates such as t-butyl acrylate, lauryl acrylate, cetyl acrylate, stearyl acrylate, 2-methoxyethyl acrylate, ethyl carbitol acrylate, and methoxy tripropylene glycol acrylate; monomethacrylates such as t-but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cet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methox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and methoxy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1,9-nonanediol di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Diacrylate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and 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1,9-nonanedi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s such as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acrylates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etramethylolmethane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imethacrylate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and trimethylolethane trimethacrylate; Tetraacrylates such as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and tetramethylolmethane tetraacrylate; Divinyl aromatic compounds such as divinylbenzene and di-i-propenylbenzene; Cyanurates such as triallyl cyanurate and triallyl isocyanurate; Diallyl compounds such as diallyl phthalate; Triallyl compounds: maleimides such as oxime: phenyl maleimide such as p-quinonedioxime and p-p'-dibenzoylquinone dioxime; and the like. Among these crosslinking assistants, more preferred are triacrylates such as diacrylate, dimethacrylate, divinyl aromatic compoun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etramethylolmethane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imethacrylate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and trimethylolethane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and tetramethylolmethane tetraacrylate; diallyl compounds such as cyanurate such as triallyl cyanurate and triallyl isocyanurate; and diallyl phthalate; Triallyl compounds: maleimides such as oxime: phenyl maleimide such as p-quinonedioxime and p-p'-dibenzoylquinone dioxime. Of these, triallyl isocyanur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and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fter lamination has the best balance of bubble generation and crosslinking properties.

여기서, 필름(10)의 23℃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6 내지 13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인장 탄성률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먼저, 필름(10)과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1mm의 필름을 준비한다. 그리고, 당해 필름을 JIS K7113에 준거하여 덤벨로 펀칭하고, 오토그래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AGS-J)로, 척간: 40mm, 인장 속도: 1mm/min으로 측정한다. 이때, 측정 환경의 온도는 23℃, 습도는 50% Rh로 한다.Here, the tensile modulus of the film 10 at 23 캜 is preferably 6 to 13 MPa. The tensile modulus is measured, for example, as follows. First, a film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at of the film 10 and having a thickness of 1 mm is prepared. Then, the film was punched into a dumbbell in accordance with JIS K7113, and measured with an autograph (AGS-J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at a chuck distance of 40 mm and a tensile rate of 1 mm / min.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measurement environment is 23 ° C and the humidity is 50% Rh.

상기와 같은 인장 탄성률을 갖는 필름(10)에서는, 블로킹이나 에어 잔사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본 발명에 의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In the film 10 having the above-mentioned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blocking and air residue are liable to occur, but are effectively improv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1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니더, 밴버리 믹서, 압출기 등에 의해 용융 블렌드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속 생산이 가능한 압출기에서의 제조가 바람직하다.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ommonly used method can be use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produce the film 10 by melt blending with a kneader, Banbury mixer, extruder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in an extruder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is preferable.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0)의 성형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지된 각종 성형 방법(캐스트 성형, 압출 필름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하와 같이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얻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즉, 예를 들어 폴리백 등의 백 중에서 인력에 의한 블렌드나, 헨쉘 믹서, 텀블러, 슈퍼 믹서 등의 교반 혼합기를 사용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내열 안정제 및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블렌드하여, 조성물을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조성물을 압출 필름 성형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을 행하면서 압출 필름 성형을 행하여,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얻는다. 압출 온도 범위로서는, 압출 온도가 100 내지 130℃이다. 압출 온도를 100℃ 이상으로 하면,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출 온도를 130℃ 이하로 하면,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사용되는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필름화하여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얻을 때에 겔화를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압출기의 토크의 상승을 방지하여, 필름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표면에 불필요한 요철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외관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가했을 때 필름 내부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파괴 전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The molding method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various known molding methods (cast molding, extrusion film molding, inflat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compression molding, etc.) can be employed. In particular, obtaining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s described below is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 That i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 organic peroxide, an ultraviolet absorber, an ultraviolet absorber or the like using a blend by a force in a bag such as a poly bag or a stirring mixer such as a Henschel mixer, a tumbler or a super mixer. , A light stabilizer, a heat stabilizer, and other additives as necessary, to obtain a composition. Then, the composition thus obtained is put into a hopper for extrusion film molding, and extrusion film molding is carried out while performing melt kneading to obtain a solar cell sealing film. The extrusion temperature range is from 100 to 130 캜. When the extrusion temperature is 100 deg. C or higher, the productivity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can be improved. When the extrusion temperature is 130 캜 or lower, the ethylen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solar cell sealing film is made into a film by an extruder, and gelation is hardly caused whe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is obtained. Therefore, the torque of the extruder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and the film can be easily molded. In addition, unnecessary unevenness is hardly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so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generation of cracks in the film can be suppressed when a voltag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down voltage from lowering. Further, the lowering of the moisture permeability can be suppressed.

또한, 필름(10)은, 태양 전지 모듈 사이즈에 맞추어 재단된 매엽 형식, 또는 태양 전지 모듈을 제작하기 직전에 사이즈에 맞추어 재단 가능한 롤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film 10 can be used as a sheet-like sheet cu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or as a rollable sheet that can be cut to the size immediately before the produc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필름(10)은, 표면 또는 이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층, 접착층, 반사 방지층, 가스 배리어층, 방오층 등을 포함해도 된다. 재질로 분류하면,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카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불소 함유 수지를 포함하는 층,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 등을 들 수 있다.The film 10 may include a hard coat layer for protecting the surface or the back surface, an adhesiv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gas barrier layer, a stainproof layer and the like. A layer including a thermosetting resin, a layer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a layer contain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a layer containing a fluorine-containing resin, a layer containing a cycloolefin resin ) Polymer, a layer containing an inorganic compound, and the like.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필름(10)은, 특정한 형상을 갖는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엠보싱 가공을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엠보싱 롤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롤의 표면에, 필름에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부에 따라서 설계한 볼록부 패턴을, 종래 기술에 준한 금속 가공으로 형성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엠보싱 롤 표면의 볼록부의 크기, 형상, 위치, 깊이 등을 조정함으로써, 필름 롤(20)에 형성되는 오목부(100)의 형상, 평균 깊이, 상면(110)의 면적률, 주기 p, 각도 r 등을 조정할 수 있다.The film 10 having the concave portion formed on its surface can be produced by embossing using an embossing roll having a specific shape. The embossing roll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forming a convex portion pattern designed on the surface of a roll made of metal along the concave portion to be formed on the film, by metal work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this case, the shape, the average depth,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the period (p) of the concave portion 100 formed in the film roll 2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ize, shape, position and depth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embossing roll surface. , Angle r, and so on.

상술과 같은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서는,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이 억제되고, 수송 보관 효율이 높은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상술과 같은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사용하면, 공기 혼입에 의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s described above, blocking of the film surfaces is suppressed, and a solar cell sealing film having high transportation storage efficiency is obtained. In addition, whe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a solar cell module, generation of bubbles due to air entrainment can be suppresse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10)을 사용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module using the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의 처리를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준비 공정 및 밀봉 공정을 포함한다. 준비 공정에서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0)을 준비한다. 밀봉 공정에서는,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태양 전지 셀(30),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 및 이면측 보호 부재(42)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함과 함께,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eparation step and a sealing step. In the preparation step, the solar cell sealing film 10 is prepared. In the sealing step,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the solar cell 30,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and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42 And the laminate is laminated in this order to form a laminate, and the laminate is integrated by heating and press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적층체는, 예를 들어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태양 전지 셀(30),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 및 이면측 보호 부재(42)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이다.The stacked body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a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 solar cell 30, a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42) are laminated in this order.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태양 전지 모듈의 최표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후성, 발수성, 내오염성, 기계 강도를 비롯하여, 태양 전지 모듈의 옥외 폭로에 있어서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광학 손실이 작은, 투명성이 높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surface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ince it is located at the outermost layer of the solar cell module, the long-term reliability in the outdoor exposure of the solar cell module is ensured including weather resistance, water repellency,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performance for the following reason. Further,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sunl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has a small optical loss and a high transparency.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나 유리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유리 기판은, 파장 350 내지 1400nm의 광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리 기판으로서는, 적외부의 흡수가 적은 백판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청판 유리여도 두께가 3mm 이하이면 태양 전지 모듈의 출력 특성에 대한 영향은 적다. 또한, 유리 기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열처리에 의해 강화 유리를 얻을 수 있지만, 열처리하지 않은 플로트 판유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리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반사 방지의 코팅을 해도 된다.As the material of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a resin film containing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fluororesin, an acrylic resin, a cyclic olefin (co) polymer, an ethylene- Glass substrates and the like. When a glass substrate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substrate h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light of a wavelength of 350 to 1400 nm of 80% or more, more preferably 90% or more. As such a glass substrate, it is common to use a white plate glass having little absorption outside and outside. However,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3 mm even if the glass plate is glass, the influence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module is small. In ord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glass substrate, a tempered glass can be obtained by heat treatment, but a float glass without heat treatment may be used. An antireflection coating may be applied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to suppress reflection.

이면측 보호 부재(42)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태양 전지 모듈의 최표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와 동일하게, 내후성, 기계 강도 등의 여러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면측 보호 부재(42)를 구성해도 된다. 즉,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로서 사용되는 상술한 각종 재료를, 이면측 보호 부재(42)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유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보호 부재(42)는, 태양광의 통과를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에서 요구되는 투명성은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태양 전지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또는 온도 변화에 의한 왜곡,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판을 붙여도 된다. 보강판은, 예를 들어 강판, 플라스틱판,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판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4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located at the outermost layer of the solar cell module. Therefore, like the above-described surface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weather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are required. Therefore, the back surface side protection member 4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 side transparent protection member 40.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various materials used as the front-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can also be used as the back-surface-side protective member 42. In particular, a polyester resin and glass can be preferably used. Since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42 does not assume the passage of sunlight, the transparency required by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olar cell module, or to prevent distortion or warping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a reinforcing plate may be attached. As the reinforcing plate, for example, a steel plate, a plastic plate, a 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plate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복수의 오목부(100)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 상면(110)의 면적률이 10% 이하이다.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은 동일한 필름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필름이어도 된다. 즉, 오목부(100)의 형상, 배열, 오목부(100)의 평균 깊이, 상면(110)의 면적률, 주기 p, 각도 r, 수지 조성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A plurality of recesses 10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in a lattice form.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00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and the area ratio of the top surface 110 is 10% or less.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may be the same film or different films. That is,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recess 100, the average depth of the recess 100,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110, the period p, the angle r, and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밀봉 공정에서는,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태양 전지 셀(30),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 및 이면측 보호 부재(42)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함과 함께,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한다. 본 공정에서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필름(10)을 구성하는 수지가 유동하여 필름(10)의 오목부(100)는 상실된다.In the sealing step,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the solar cell 30,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and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42 And the laminate is laminated in this order to form a laminate, and the laminate is integrated by heating and pressing. By heating and pressing in this step,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lm 10 flows and the concave portion 100 of the film 10 is lost.

밀봉하는 공정의 적층체에 있어서, 필름의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의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는 면(120A)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의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는 면(140A)이 태양 전지 셀(30)에 대치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를 갖는 면이 태양 전지 셀(30)과 접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처리 시에, 오목부가 찌부러짐으로써 쿠션으로서의 기능을 하여, 태양 전지 셀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경감할 수 있다. 결과, 태양 전지 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laminate of the step of sealing, the direction of th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urface 120A on which the concave portion 100 of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is formed and the surface 120B of the second solar cell-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140A on which the concave portion 100 of the solar cell 140 is formed is stacked so as to face the solar cell 30 to form a laminate. Further, the laminated body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 surfaces having concave portion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ar cell 30. By doing so, when the laminated body is heated and pressed to integrate the concave portions, the concave portions are crushed to function as a cushion, and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solar cell can be reduc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solar cell can be suppressed.

또한,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처리 시에, 오목부가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탈기성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탈기 불량이 억제된다.Further, at the time of the process of heating and pressing the laminate and integrating them, the concave portion forms an air passage, and the degassing property is improved. As a result, defective degassing is suppressed.

또한,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처리 시에, 가열되어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 수지가 오목부 내에 유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지가 적층체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laminate and integrating the laminate, the resin that has become heated and flowable can flow into the concave portion, so that the problem of such a resin being discharged out of the laminate can be suppressed.

또한, 밀봉 공정에서의 적층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는, 가열에 의해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이 적층체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조건에서 가압 및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laminate in the sealing step,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which are in a state capable of flowing by heating, are emptied from the laminate It is preferable to pressurize and heat it.

또한, 밀봉 공정에서의 적층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는, 적층체를 열판(50)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적층체를 가압해도 된다.Further,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laminated body in the sealing step, the laminated body may be pressed while the laminated body is placed on the heat plate (50).

또한, 밀봉 공정에서의 적층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는, 대기압에 의해 적층체를 가압해도 된다.Further,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laminate in the sealing step, the laminate may be pressed by atmospheric pressure.

또한, 밀봉 공정에서의 적층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는, 적층체를 연질 시트(60) 및 열판(50)으로 둘러싸고, 내부를 감압하여 대기압을 적층체에 가함으로써, 가압해도 된다.Further,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laminate in the sealing step, the laminate may be pressed by surrounding the laminate with the soft sheet 60 and the heat plate 50, reducing the pressure inside the laminate, and applying an atmospheric pressure to the laminate.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이면측 보호 부재(42),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 태양 전지 셀(30),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40)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열판(50) 상에 적재한다.6,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42,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the solar cell 30,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front surface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40 are stacked in this order on the heat plate 50. [

또한, 적층체 중에는, 1개 또는 복수의 태양 전지 셀(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복수의 태양 전지 셀(30)이 적층체 중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태양 전지 셀(30)은, 도시하지 않은 전극을 사용하여 직렬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전극의 구성 및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인 예에서는, 투명 도전막과 금속막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투명 도전막은 SnO2, ITO, ZnO 등을 포함한다. 금속막은 은, 금, 구리, 주석, 알루미늄, 카드뮴, 아연, 수은,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바나듐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이들 금속막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복합화된 합금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투명 도전막과 금속막은 CVD, 스퍼터,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Further, the laminate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solar cells 30.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re included in the laminate.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re connected in series using electrodes (not shown). Here,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electrod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specific example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a metal film.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es SnO 2 , ITO, ZnO, and the like. The metal film includes metals such as silver, gold, copper, tin, aluminum, cadmium, zinc, mercury,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nickel and vanadium. These metal films may be used alone or as a composite alloy.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e metal film are formed by a method such as CVD, sputtering, or vapor deposition.

또한,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은 서로 분리된 것이어도 되지만, 하나의 필름(10)에 의해,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 셀(30)을 내포하도록 하나의 필름을 절곡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셀(30)을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를 실현해도 된다.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may be separated by one film 1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may be constituted. For example, by folding one film so as to enclose the solar cell 30, the solar cell 30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를,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 시트(60)로 덮은 후, 연질 시트(60) 및 열판(5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감압한다. 결과, 대기압에 의해 적층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열판(50)은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있고, 당해 열로, 제1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20)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140)도 가열되어 있다.After the laminate is covered with the soft sheet 60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oft sheet 60 and the heat plate 50 is reduced in pressure. As a result, the laminate can be pressed by atmospheric pressure. At this time, the heat plate 5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120 and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140 are also heated by the heat.

또한, 이때의 조건의 일례로서는, 열판 온도 70℃ 이상 170℃ 이하, 진공 시간 1분 이상 10분 이하, 프레스 압력 0.1 기압 이상 1 기압 이하, 가압 시간 1분 이상 20분 이하이다.An example of the conditions at this time is a hot plate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70 DEG C and not more than 170 DEG C, a vacuum time of not less than 1 minute and not more than 10 minutes, a press pressure of not less than 0.1 atm and not more than 1 atm and a pressing time of not less than 1 minute and not more than 20 minutes.

또한,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의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층을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접착층, 충격 흡수층, 코팅층, 반사 방지층, 이면 재반사층 및 광 확산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층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각 층을 설치하는 목적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ar cell modu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other layers than those described above can be appropriately provi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layers other than the above include an adhesive layer, an impact absorbing layer, a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back side reflective layer and a light diffusion layer. These layer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disposed at appropriate pos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ayer.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태양 전지 셀의 깨짐, 밀봉 시의 탈기 불량에 의한 공기 혼입, 적층체의 단부면으로의 수지 조성물의 비어져 나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lar cell from cracking, air entrainment due to defective degassing at the time of sealing, And the like can be solved.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서는 수송, 보관할 때의 필름면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고,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의 에어 빠짐성이 우수하다.In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locking between the film surfaces during transport and storage is unlikely to occur, and air release property in the produc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the like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se embodiments at all.

(실시예 1)(Example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합성][Synthesis of ethylene /? - olefin copolymer]

교반 블레이드를 구비한 내용적 50L의 연속 중합기의 하나의 공급구에, 공촉매로서 메틸알루미녹산의 톨루엔 용액을 8.0mmol/hr, 주 촉매로서 비스(1,3-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의 헥산 슬러리를 0.025mmol/hr,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의 헥산 용액을 0.5mmol/hr의 비율로 공급하고, 촉매 용액과 중합 용매로서 사용하는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의 합계가 20L/hr이 되도록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중합기의 다른 공급구에, 에틸렌을 3kg/hr, 1-부텐을 15kg/hr, 수소를 5NL/hr의 비율로 연속 공급하고, 중합 온도 90℃, 전압 3MPaG, 체류 시간 1.0시간의 조건 하에서 연속 용액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기에서 생성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은, 중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이 150 내지 190℃가 되도록, 재킷부가 3 내지 25kg/㎠ 스팀으로 가열된 연결 파이프로 유도하였다. 또한, 연결 파이프에 이르기 직전에는, 촉매 실활제인 메탄올이 주입되는 공급구가 부설되어 있어, 약 0.75L/hr의 속도로 메탄올을 주입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에 합류시켰다. 스팀 재킷이 딸린 연결 파이프 내에서 약 190℃로 보온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은, 약 4.3MPaG를 유지하도록, 연결 파이프 종단부에 설치된 압력 제어 밸브의 개방도 조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플래시 조에 송액되었다. 또한, 플래시 조 내로의 이송에 있어서는, 플래시 조 내의 압력이 약 0.1MPaG, 플래시 조 내의 증기부의 온도가 약 180℃를 유지하도록 용액 온도와 압력 조정 밸브 개방도 설정이 행해졌다. 그 후, 다이스 온도를 180℃로 설정한 단축 압출기를 통과시키고, 수조에서 스트랜드를 냉각하고, 펠릿 커터로 스트랜드를 절단하여, 펠릿으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었다. 수량은 2.2kg/hr이었다.In one inlet of a continuous 50 L internal polymerization reactor equipped with an agitating blade, 8.0 mmol / hr of a toluene solution of methylaluminoxane as a cocatalyst, 1.0 g of bis (1,3-dimethylcyclopentadienyl) zirconium 0.025 mmol / hr of a hexane slurry of dichloride and a hexane solution of triisobutylaluminum at a rate of 0.5 mmol / hr to obtain a total of 20 L / hr of dehydrated and purified n-hexane used as a polymerization solvent and a polymerization solvent The dehydrated and purified n-hexane was continuously supplied. At the same time, another feed port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was continuously fed with 3 kg / hr of ethylene, 15 kg / hr of 1-butene and 5 NL / hr of hydrogen, and under the conditions of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90 ° C, a voltage of 3 MPaG and a residence time of 1.0 hour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The mixed solution of normal hexane / toluene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produced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 was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nd a mixed solution of normal hexane / toluene of the ethylene / The jacket portion was led to a connecting pipe heated to a steam of 3 to 25 kg / cm 2 to a temperature of 150 to 190 ° C. In addition, just before reaching the connection pipe, a feed port for injecting methanol as a catalyst deactivator was installed, and methanol was injected at a rate of about 0.75 L / hr to prepare a mixed solution of a normal hexane / toluene solution of the ethylene / . The mixed solution of normal hexane / toluene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kept at about 190 占 폚 in the connecting pipe with the steam jacket was adjusted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installed at the connecting pipe terminal so as to maintain about 4.3 MPaG To the flash tank. Further, in the transfer to the flash tank, the solution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adjusting valve opening degree were set so that the pressure in the flash tank was about 0.1 MPaG and the temperature of the vapor portion in the flash tank was about 180 deg. Thereafter, the die was passed through a single-screw extruder set at a temperature of 180 DEG C, the strands were cooled in a water bath, and the strands were cut with a pellet cutter to obtain an ethylene / alpha -olefin copolymer as pellets. The yield was 2.2 kg / hr.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평가][Evaluation of ethylene /? - olefin copolymer]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Containing Ratio of Ethylene Unit and? -Olefin Unit>

시료 0.35g을 헥사클로로부타디엔 2.0ml에 가열 용해시켜서 얻어진 용액을 글라스 필터(G2) 여과한 후, 중수소화벤젠 0.5ml를 첨가하고, 내경 10mm의 NMR 튜브에 장입하였다. 니혼 덴시사제의 JNM GX-400형 NMR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120℃에서 13C-NMR 측정을 행하였다. 적산 횟수는 8000회 이상으로 하였다. 얻어진 13C-NMR 스펙트럼에 의해,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 및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은 14mol%였다.A solution obtained by heating and dissolving 0.35 g of a sample in 2.0 ml of hexachlorobutadiene was filtered through a glass filter (G2), 0.5 ml of deuterated benzene was added, and charged into an NMR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10 mm. 13 C-NMR measurement was carried out at 120 ° C using a JNM GX-400 type NMR measurement apparatus manufactured by Nihon Denk Shing Co., Ltd. The number of integration was 8000 or more. The content of the ethylene unit and the content of the? -Olefin unit in the copolymer were determined by the obtained 13 C-NMR spectrum. As a result, the content of the? -Olefin unit in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f the present example was 14 mol%.

[MFR][MFR]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은 20g/10분이었다.The MFR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190 占 폚 and a load of 2.16 kg in accordance with ASTM D1238. As a result, the MFR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f this example was 20 g / 10 min.

[밀도][density]

ASTM D1505에 준거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0.870g/㎤였다.The density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505. As a result, the density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f this Example was 0.870 g / cm 3.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190℃, 가열 4분, 10MPa로 가압한 후, 10MPa로 상온까지 5분간 가압 냉각하여 3mm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사용하여, ASTM D2240에 준거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 A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 A 경도는 70이었다.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was pressurized at 190 占 폚 for 4 minutes with 10 MPa, and then pressurized to 10 MPa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to obtain a sheet having a thickness of 3 mm. Using the obtained sheet, the Shore A hardness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As a result, the Shore A hardness of the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f this Example was 70.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제조][Production of solar cell sealing film]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서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0.5중량부, 유기 과산화물로서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66℃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를 1.0중량부, 가교 보조제로서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를 1.2중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히드록시-4-노르말-옥틸옥시벤조페논을 0.4중량부, 라디칼 포착제(광 안정화제)로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를 0.2중량부 및 내열 안정제 1로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1중량부, 내열 안정제 2로서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1중량부를 배합하여, 수지 조성물 A를 얻었다.0.5 parts by weight of?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silane compound, 0.5 parts by weight of t-butylperoxypolysiloxane having a half-life temperature of 166 占 폚 for one minute as an organic peroxi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btained ethylene /? - olefin copolymer Oxy-2-ethylhexylcarbonate, 1.2 parts by weight of triallyl isocyanurate as a crosslinking aid, 0.4 parts by weight of 2-hydroxy-4-n-octyloxybenzophenone as an ultraviolet absorber, 0.2 part by weight of bis (2,2,6,6-tetramethyl-4-piperidyl) sebacate as a capturing agent (light stabilizer) and 0.2 part by weight of tris (2,4- 0.1 part by weight of phosphite and 0.1 part by weight of octadecyl-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as heat stabilizer 2 were compounded to obtain Resin Composition A.

서모·플라스틱사제의 단축 압출기(스크루 직경 20mmφ, L/D=28)에 코트 행거식 T형 다이스(립 형상: 270×0.8mm)를 장착하고, 다이스 온도 100℃의 조건 하, 롤 온도 30℃, 권취 속도 1.0m/min로, 제1 냉각 롤에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여, 두께 500㎛의 엠보싱 필름(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얻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엠보싱 롤의 표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정사각형의 볼록부를 복수 갖는 볼록 패턴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었다.A coat hanger type T-die (lip shape: 270 x 0.8 mm) was attached to a single screw extruder (screw diameter 20 mm ?, L / D = 28) manufactured by Thermo Plastic Co., , And the coiling roll was used for the first cooling roll at a winding speed of 1.0 m / min to obtain an emboss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0 mu m. Further, on the surface of the embossing roll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vex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square convex portions in a plan view was uniform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실시예 2 내지 7, 9 및 비교예 1 내지 3)(Examples 2 to 7 and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볼록 패턴이 실시예 1과는 다른 엠보싱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얻었다. 어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사용한 엠보싱 롤의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볼록 패턴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었다.A solar cell seal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embossing roll different from the one in Example 1 was used. Also in any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convex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was uniform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mbossing roll used.

(실시예 8)(Example 8)

수지 조성물 A 대신에, 수지 조성물 B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VA 28%, MFR 15g/10min)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얻었다.A solar cell seal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VA 28%, MFR 15 g / 10 min) was used as the resin composition B instead of the resin composition A.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평가][Evaluation of solar battery sealing film]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 대하여 이하의 각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The solar cell sealing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evaluation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오목부의 형상><Shape of recess>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오목부의 형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5, 7, 8,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정사각형의 오목부가 정사각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6에서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정삼각형의 오목부가 삼각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었다.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s a result, in Examples 1 to 5, 7, 8, and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 plurality of square concave portions were formed in a square-lattice shape as shown in Fig. In Embodiment 6, as shown in Fig. 3, concave portions of a plurality of equilateral triangles are formed in a triangular lattice shape.

<오목부의 평균 깊이>&Lt; Average Depth of Depression >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오목부의 평균 깊이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롤 중앙, 및 롤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10cm 내측의 3군데에 있어서, 20mm×20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을 잘라내고, 이들 필름편에 있는 각 오목부의 깊이를 1개의 필름편당 10개,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에 의해 측정하고, 평균 깊이를 구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는 볼록 패턴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된 엠보싱 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한 평균값은, 전체의 평균으로 간주할 수 있다.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was measured. Specifically, square film pieces each having a size of 20 mm x 20 mm were cut out at three positions, that is, the center of the roll and the inside 10 cm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 and the depth of each recess in these film pieces was set to 10 And an average depth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cross sec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since the embossing rolls having the convex patterns uniformly formed on the whole are used, the average value thus obtained can be regarded as the average of the whole.

<상면과 오목부와의 각도>&Lt;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concave portion &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상면과 오목부와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의 평가와 동일한 3군데에 있어서, 20mm×20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을 잘라내고, 이들 필름편에 있는 각 오목부와 상면과의 각도를 1개의 필름편당 10개,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된 각도는 거의 균일하고, 실시예 1 내지 6, 8,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45±1°의 범위에 있었다. 또한, 당해 각도는 실시예 7에서는 25±1°의 범위에 있었다. 또한, 편의상, 표 1에는 중앙값을 기재하였다.The angle between the top surface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was measured. Concretely, square film pieces of 20 mm x 20 mm were cut out in the same three places as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of the recesses, and the angles between the concave portion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se film pieces were 10 per one film, An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y cross section observation by an electron microscope. The measured angles were almost uniform, and in Examples 1 to 6, 8, and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angle was in the range of 45 占 占. In addition, the angle was in the range of 25 占 占 in Example 7. For convenience, the median values are listed in Table 1.

<상면의 면적률><Area ratio of the top surface>

상면의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깊이의 평가와 동일한 3군데에서 10mm×10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을 잘라내고, 이들 필름편의 표면 형상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측정하여 상면의 면적률을 산출하고, 3개의 필름편의 평균값을 필름의 상면의 면적률로서 구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는 볼록 패턴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된 엠보싱 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구한 면적률은 필름 전체에 있어서의 상면의 면적률로 간주할 수 있다.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was measured. Concretely, square film pieces of 10 mm x 10 mm square were cut out in the same three places as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and the surface shape of these film pieces was measured by an optical microscope to calculate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Was determined as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embossing roll having the convex pattern uniform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thereof is used, and thus the area ratio thus obtained can be regarded as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as a whole.

<주기><Period>

오목부의 배열 주기 p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깊이의 평가와 동일한 3군데에서 5mm×5m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을 잘라내고, 이들 필름편의 표면 형상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측정하여 주기를 측정하였다. 주기는 거의 균일하고, 실시예 1에서는 1030±5㎛의 범위에 있었다. 또한, 편의상, 표 1에는 중앙값을 기재하였다. 어느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도, 주기는 중앙값±5㎛의 범위에 있었다.And the arrangement period p of the concave portions was measured. Specifically, film strips of 5 mm x 5 mm square were cut at the same three points as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and the surface shape of these film strips was measured by an optical microscope to measure the period. The period was almost uniform, and in Example 1, it was in the range of 1030 占 퐉. For convenience, the median values are listed in Table 1. In any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period was in the range of the median value +/- 5 mu m.

<공극률><Porosity>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공극률 P[%]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롤 중앙에서 10cm×10cm의 정사각형의 필름편을 잘라내고, 이들의 합계 질량으로부터 단위 면적당의 무게 W[g]를 측정하였다. 또한, 별도 필름의 최대 막 두께 tmax[mm] 및 필름 재료의 비중 ρ[g/㎣]을 구하고, P(%)=1-W/(ρ·tmax·106)×100의 관계로부터, 공극률 P를 구하였다. 여기서, 최대 막 두께 tmax는, 오목부의 평균 깊이의 평가에서 행한 것과 동일한 단면 관찰로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 재료의 비중 ρ은, 본 실시예와 동일한 프로세스로, 엠보싱 가공을 행하지 않고 얻은 필름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he porosity P [%]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was measured. Specifically, square film pieces each having a size of 10 cm x 10 cm were cut out from the center of the roll, and the weight W [g] per unit area was measured from the total mass of these pieces.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 (%) = 1-W / (rho · t max · 10 6 ) x 100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maximum film thickness t max [mm] of the separate film and the specific gravity rho [ , And porosity P were obtained. Here, the maximum film thickness t max was measured by the same cross-sectional observation as that in 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The specific gravity rho of the film material was measured using a film obtained without the embossing process in the same proces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인장 탄성률>&Lt; Tensile modulus &

또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의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과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1mm의 필름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당해 필름을 JIS K7113에 준거하여 덤벨로 펀칭하고, 오토그래프(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AGS-J)로, 척간: 40mm, 인장 속도: 1mm/min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 환경의 온도는 23℃, 습도는 50% Rh로 하였다. 그 결과, 인장 탄성률은 실시예 1 내지 7,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있어서 사용한 수지 조성물 A가 8MPa, 실시예 8에 있어서 사용한 수지 조성물 B가 15MPa이었다.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solar cell sealing film was also measured. A film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nd having a thickness of 1 mm was prepared. Then, the film was punched into a dumbbell in accordance with JIS K7113, and measured with an autograph (AGS-J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at a chuck distance of 40 mm and a tensile rate of 1 mm / min.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measurement environment was 23 ° C and the humidity was 50% Rh. As a result, the tensile modulus was 8 MPa for the resin composition A used in Examples 1 to 7,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15 MPa for the resin composition B used in Example 8.

<블로킹의 억제 성능><Blocking Suppression Performance>

얻어진 250mm 폭의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을 35℃에서 1주일 정치한 후, 필름을 인출했을 때, 인출 강도가 1kgf 미만인 경우를 ○, 1kgf 이상 1.5kgf 미만인 경우를 △, 1.5kgf 이상인 경우를 ×로서 평가하였다.The results obtained when the obtained film roll for sealing a solar cell having a width of 250 mm were allowed to stand at 35 占 폚 for one week and then the film was drawn out were evaluated as? When the drawing strength was less than 1 kgf,? When the film was less than 1.5 kgf and? .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Manufacturing of solar cell module]

얻어진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사용하여, 단결정 셀을 사용하여 18셀 직렬 접속한 소모듈을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에는, 24×21cm로 커트한 아사히 가라스 파브리테크사제의 백판 플로트 유리 3.2mm 두께의 엠보싱 열처리 유리를 사용하였다. 결정계 셀(Shinsung제의 단결정 셀)은 수광면측의 버스바 은 전극을 중앙으로 하여 5×3cm로 커트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셀을 구리박에 공정(共晶) 땜납을 표면 코팅한 구리 리본 전극을 사용하여 18셀 직렬 접속하였다. 백 시트(이면측 보호 부재)로서, 실리카 증착 PET를 포함하는 PET계 백 시트를 사용하고, 백 시트의 일부에 셀로부터의 취출 부위에 커터-나이프로 약 2cm 절입을 넣어 18셀 직렬 접속한 셀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취출하고, 진공 라미네이터(NPC제: LM-110×160-S)를 사용하여 열판 온도 150℃, 진공 시간 4분, 가압 시간 15분으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였다. 그 후, 유리로부터 비어져 나온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백 시트를 커트하고, 유리 에지에는 단부면 밀봉재를 부여하고, 알루미늄 프레임을 설치한 후, 백 시트로부터 취출한 단자 부분의 절입 부위는 RTV 실리콘을 부여하여 경화시켰다.Using the obtained solar cell sealing film, a small module connected in series of 18 cells using a single crystal cell was manufactured and evaluated. As the front surface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embossed heat-treated glass of 3.2 mm thick whiteboard float glass manufactured by Asahi Glass Co., Ltd., cut to 24 x 21 cm was used. The crystal cell (a single-crystal cell made of Shinsung) was obtained by cutting the bus bar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side to 5 x 3 cm with the electrode as the center. This cell was connected in series with 18 cells using a copper ribbon electrode whose surface was coated with eutectic solder on a copper foil. A PET back sheet containing silica-deposited PET was used as the back sheet (back-side protection member), and about 2 cm of a cut-knife wa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back sheet taken out from the cell, And the solar cell sealing film was laminated using a vacuum laminator (LM-110x160-S manufactured by NPC) at a hot plate temperature of 150 deg. C, a vacuum time of 4 minutes, and a pressing time of 15 minutes . Thereafter,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nd the back sheet, which have been evacuated from the glass, are cut, the end face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glass edge, and the insert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taken out from the back sheet after installing the aluminum frame is made of RTV silicone And then cured.

[태양 전지 모듈의 평가][Evaluation of solar cell module]

<에어 빠짐성><Air Leakage Property>

얻어진 태양 전지 모듈의 유리 너머로 관찰하여,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기포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기포가 확인되지만, 눈으로는 기포가 확인되지 않고, 제품 품질로서 문제가 없는 경우를 △, 눈으로 기포가 확인된 경우를 ×로서 평가하였다.When the bubbles were not observed in the observation of the obtained solar cell module over the glass, and the bubbles were not observed in the observation by the optical microscope, the bubbles were confirmed by observation with an optical microscope. However, Was evaluated as &quot; DELTA &quot;, and the case where air bubbles were detected by the eye was evaluated as &quot; x &quot;.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에서는, 블로킹 억제 성능 및 에어 빠짐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오목부의 평균 깊이가 50㎛보다도 작은 비교예 1 및 상면의 면적률이 10%보다도 큰 비교예 3에서는, 블로킹 억제 성능이 떨어져 있었다. 또한, 오목부의 평균 깊이가 200㎛보다도 큰 비교예 2에서는, 에어 빠짐성이 떨어져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s 1 to 9,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blocking inhibiting performance and the air releasing property were excellent.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was smaller than 50 占 퐉 and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was larger than 10%, the blocking inhibiting performance deteriorated. Further, in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the averag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was larger than 200 占 퐉, the air dropping property was deteriorated.

이 출원은, 2015년 2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20253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upon and claims the benefit of priority fro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020253, filed February 4, 2015, the entir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Claims (6)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로 표시되는 상기 상면의 면적률이 10%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Wherein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lattice-
Wherein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In the at least one surface, as for the surface to have an apparent surface area S a,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not added to form the plurality of recesses in a case where said flat by S t, S t / S a × 100 (%) Wherein an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to be displayed is 10%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배열 주기가 500㎛ 이상 2000㎛ 이하의 범위인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rangement period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in the range of 500 탆 to 2000 탆.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를 구성하는 면은 30° 이상 60° 이하로 교차하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surface and the surface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recesses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an angle of 30 ° or more and 60 ° or les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평면에서 보아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 평행사변형, 삼각형 또는 육각형이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적어도 한쪽 면을 충전하고 있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lurality of recesses are square, rectangular, rhombic, parallelogram, triangular or hexagonal in plan view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o fill the at least one surface Solar cell sealing fil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이 코어재에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롤.A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obtained by winding the solar cell seal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on a core material.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제1 상기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태양 전지 셀, 제2 상기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 및 이면측 보호 부재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밀봉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양 전지 밀봉용 필름에는,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평균 깊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적어도 한쪽 면에 있어서, 표면이 평평하다고 했을 경우의 겉보기 표면적을 Sa,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면의 면적을 St로 했을 때, St/Sa×100(%)로 표시되는 상기 상면의 면적률이 10% 이하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A preparing step of preparing a solar cell sealing film,
Wherein the laminate is formed by laminating the front side transparent protective member, the first solar cell sealing film, the solar cell, the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 and the back side protective member in this order, And a sealing step of heating and pressing and integrating the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olar cell sealing films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with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ranged in a lattice form,
Wherein the average dept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50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In the at least one surface, as for the surface to have an apparent surface area S a,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not added to form the plurality of recesses in a case where said flat by S t, S t / S a × 100 (%) Wherein an area ratio of the upper surface to be displayed is 10% or less.
KR1020177020456A 2015-02-04 2016-02-02 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KR2017010125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0253 2015-02-04
JP2015020253 2015-02-04
PCT/JP2016/053059 WO2016125793A1 (en) 2015-02-04 2016-02-02 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257A true KR20170101257A (en) 2017-09-05

Family

ID=5656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456A KR20170101257A (en) 2015-02-04 2016-02-02 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6125793A1 (en)
KR (1) KR20170101257A (en)
CN (1) CN107343383A (en)
WO (1) WO201612579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7733A (en) * 2016-02-29 2019-05-23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Resin sheet, laminated glass, and solar cell module
JPWO2018043182A1 (en) * 2016-08-29 2019-06-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she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2311A (en) * 2009-03-26 2010-10-14 Sekisui Chem Co Ltd Sealing sheet for solar cell
KR101362030B1 (en) * 2009-09-29 2014-02-1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Sealing material sheet
JP2011119406A (en) * 2009-12-02 2011-06-16 Asahi Kasei E-Materials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solar cell sealing sheet, and solar cell sealing sheet
JP2012214050A (en) * 2011-03-31 2012-11-08 Toray Ind Inc Method for producing solar cell sealing sheet, and solar cell module
WO2012133196A1 (en) * 2011-03-31 2012-10-04 東レ株式会社 Process for producing solar cell sealing sheet
CN102544162B (en) * 2012-02-18 2014-07-09 西安黄河光伏科技股份有限公司 Solar cell module
JP6034756B2 (en) * 2013-06-21 2016-11-30 三井化学株式会社 Solar cell sealing sheet set and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25793A1 (en) 2017-08-24
WO2016125793A1 (en) 2016-08-11
CN107343383A (en)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135B1 (en) Sheet set for solar cell sealing
JP5405699B1 (en) Solar cell encapsulant and solar cell module
JP5016153B2 (en) Solar cell encapsulant and solar cell module
KR101929101B1 (en) Solar battery sealing material and solar battery module
TWI586724B (en) Encapsulating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KR20130086054A (en) Solar battery encapsulant and solar battery module
JP6267794B2 (en) Resin composition for solar cell encapsulant, solar cell encapsulant and solar cell module
KR20140146626A (en) Solar cell module
WO2013024599A1 (en) Solar cell sealing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sealing material, and solar cell module
WO2014126121A1 (en) Resin composition for solar cell sealing materials, solar cell sealing material using same, and solar cell module
US20180337297A1 (en) Solar cell module
JP5801733B2 (en) Solar cell encapsulant and solar cell module
JP6166377B2 (en) Solar cell sealing sheet set and solar cell module
JP2013229410A (en) Solar cell sealing material and solar cell module
KR20170101257A (en) Solar cell sealing film, solar cell sealing film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US20170317222A1 (en) Solar cell module
JP6586175B2 (en) Resin sheet, laminated glass and solar cell module
CN106536375A (en) Sealing-sheet package body and method for storing sealing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