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806A - 접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806A
KR20170100806A KR1020160023139A KR20160023139A KR20170100806A KR 20170100806 A KR20170100806 A KR 20170100806A KR 1020160023139 A KR1020160023139 A KR 1020160023139A KR 20160023139 A KR20160023139 A KR 20160023139A KR 20170100806 A KR20170100806 A KR 20170100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arm
connection
coupled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태
이선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806A/ko
Publication of KR2017010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상기 기판 및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실장부 및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장부가 상기 탄성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암들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접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점 커넥터{Contact Connector}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웨어러블기기, 시계 등의 전자기기는 여러 가지 부품들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접점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110), 상기 실장부(110)에 결합된 탄성부(120)와 부품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부(110)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부(120)를 통해 상기 실장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부품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면, 상기 탄성부(120) 및 상기 실장부(110)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120)는 일측이 상기 실장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120)는 부품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상기 실장부(110), 상기 탄성부(120)와 상기 접속부가 서로 일렬로 결합되므로, 상기 탄성부(120)의 양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전자기기에 대한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갑, 옷 등과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상기 탄성부(120)의 개방된 양측을 통해 상기 탄성부(120)에 빈번하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100)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120)가 변형됨에 따라 제품 성능을 저하시키고, 상기 탄성부(120)가 손상 내지 파손됨에 따라 제조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탄성부가 변형되거나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접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는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상기 기판 및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실장부 및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는 상기 탄성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암, 및 상기 탄성암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탄성부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부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속부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의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탄성부의 특정 부분에 지속적으로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탄성부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에 대한 탄성력 및 복원력의 크기를 증대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접속부 및 부품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속부 및 부품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4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2에 도시된 것과 반대편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4의 B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4의 C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를 도 4의 D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있어서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에 있어서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부품(미도시)(이하, '부품'이라 함) 및 상기 전자기기에 설치된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핸드폰, 웨어러블기기, 시계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2), 상기 부품 접속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접속부(3),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접속부(3) 각각에 결합되는 탄성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3)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4)를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탄성부(4)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품이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되면, 상기 부품은 상기 접속부(3), 상기 탄성부(4)와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2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4)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복수개의 탄성암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암들은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3)가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암들을 연결한다.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는, 두께에 해당하는 두께면(4a, 도 2에 도시됨)들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실장부(2)가 갖는 보호부재(21)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조립공정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갑, 옷 등과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이 상기 탄성부(4)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4)가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되므로, 탄성암들 및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수평방향을 따라 눕혀져서 배치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탄성부(4)에서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교예는, 탄성암들 및 연결부재 각각의 두께면이 상기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탄성암들 및 연결부재가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눕혀져서 배치된다.
이는, 상기 비교예에 대해 부분별로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아래 그림 1로부터 알 수 있다. 그림 1에서 탄성암들 및 연결부재에 표시된 색채는 응력의 크기를 표시한 것으로, 적색에 가까울수록 응력이 큰 것이고, 청색에 가까울수록 응력이 작은 것이다.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된 탄성암들이 청색에 가까운 반면 연결부재가 적색에 가까운 것으로부터, 상기 비교예는 연결부재에 응력이 집중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예는 연결부재에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됨에 따라 지속적인 피로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결부재에 피로파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림 1]
Figure pat00001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접속부(3)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4)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에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에 지속적으로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림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비교예와 대비할 때 탄성력 및 복원력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장부(2), 상기 접속부(3)와 상기 탄성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에 접속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탄성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되면,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보호부재(21)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4)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장부(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2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변형되거나 손상 내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부재(21)는 좌면 보호부재(211, 도 4에 도시됨), 우면 보호부재(212, 도 4에 도시됨)와 전면(前面) 보호부재(213,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는 상기 탄성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에는 상기 탄성부(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 및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 및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부재(21)의 후면(後面)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 및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의 일부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보호부재(21)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탄성부(4)의 전부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와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내측에 상기 탄성부(4)가 위치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와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와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판재를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와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각각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와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와 상기 보호부재(21)의 후면에 있어서, 좌면, 우면, 전면과 후면은 각 구성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보호홈(20,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탄성부(4)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보호홈(20)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접속부(3)에 상기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4)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4)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보호부재(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보호부재(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21)는 상기 실장부(2)에서 상기 접속부(3)를 향하는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홈(20)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21)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은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측에 대해 반대되는 쪽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실장부재(22,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실장부재(22)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보호부재(2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보호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보호홈(20) 쪽으로 상기 보호부재(2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보호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보호부재(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보호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보호부재(2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실장부재(2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및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및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탄성부(4)에 결합된다. 상기 접속부(3)는 접속된 부품을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접속부(3)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4)를 통해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에 상기 부품이 접속되면,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4)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4)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로부터 상기 부품이 이격되면, 상기 접속부(3)는 상기 탄성부(4)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상항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3)는 접속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탄성부(4)와 결합된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탄성부(4)에 결합되어서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탄성부(4)가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본체(31)는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기 탄성부(4)가 변형되거나 손상 내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탄성부(4)에 결합되어서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을 가릴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보호부재(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탄성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4)를 통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속본체(31)는 상기 부품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속본체(31)에 접속된 부품은,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3)는 접속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접속본체(31)에 형성된다. 상기 부품은 상기 접속부재(3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접속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을 가리면서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상측을 가림으로써 상기 탄성부(4)를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부품에 대한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본체(31)에는 하나의 접속부재(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재(32)를 통해 단접점(Single Contact Point)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져서 상기 접속부재(32)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접속부재(32)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되므로 특정 방향으로 치우친 가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을 상기 접속부재(32)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품에 대한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이 상기 접속부재(32)에 반복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부품 및 상기 접속부재(32) 간에 접속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부품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면(32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면(321)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속부재(32)의 상면을 이룬다. 상기 접속면(321)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면(321)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접속부재(32)는 반구(半球)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속부재(32)는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는 끝단이 평면(平面)을 이루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면(321)은 평면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32)는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접속면(321) 및 평면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면(321)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부재(32) 및 상기 접속본체(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속부(3)는 상기 접속부재(3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32)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3)는 복수개의 측벽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재(33)들은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벽부재(33)들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위치한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보호부재(2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탄성부(4)가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재(33)들은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를 부분적으로 가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재(33)들은 각각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는 좌면 측벽부재(331, 도 4에 도시됨), 우면 측벽부재(332, 도 4에 도시됨), 전면(前面) 측벽부재(333, 도 4에 도시됨)와 후면 측벽부재(334,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의 일측은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의 타측은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의 사이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 및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의 일측은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의 타측은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의 사이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에는 상기 탄성부(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의 일측은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의 타측은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의 사이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는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 및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는 상기 접속본체(31)로부터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의 일측은 상기 접속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의 타측은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보호홈(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는 다른 측벽부재들(331, 332, 333)에 비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4)의 일부가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 및 상기 탄성부(4)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가 상기 접속본체(31) 및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 사이를 일부 가리도록 구현됨으로, 상기 탄성부(4)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와 상기 접속본체(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와 상기 접속본체(31)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 및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에 있어서, 후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은 각 구성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한편, 상기 후면 측벽부재(334),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 상기 보호부재(21)의 후면,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 및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에 있어서, 후면, 좌면, 우면, 및 전면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접속부(3)가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접속부(3)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부품이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되면, 상기 탄성부(4)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이 상기 접속부(3)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탄성부(4)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3)는 상기 부품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4)를 통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3)에 접속된 부품은,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 상기 접속부(3)와 상기 실장부(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4), 상기 접속부(3)와 상기 실장부(2)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탄성암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탄성암들의 개수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속부(3)가 상기 부품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두께면(4a, 도 2에 도시됨)들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서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에 지속적으로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늘림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가 갖는 탄성력 및 복원력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암들은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암들은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좌변 보호부재(211)에서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보호부재(21)의 내측에 상기 탄성암들이 복수개 배치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탄성부(4)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보호부재(21)를 통해 상기 탄성부(4)가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4)가 상기 접속부(3)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4)가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4)의 길이 및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소성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둘째,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가 충분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4)의 높이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의 높이 증가를 감소시킴으로써, 소형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도 5,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4)는 제1탄성암(41), 제2탄성암(42)과 제1연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실장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실장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일측(41a,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된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타측(41b,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실장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일측(41a)이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 도 5에 도시됨)를 향하고, 타측(41b)이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일측(41a)이 타측(41b)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IA, 도 11에 도시됨)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실장부(2)가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경우, 상기 수평면은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면이다. 즉,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수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면, 상기 접속부(3)에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접속부(3)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수평면에 대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각도(IA)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면, 상기 접속부(3)에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1탄성암(41)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부(3)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에서 상기 전면 측벽부재(213)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암(41)이 상기 보호홈(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탄성암(41)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더 줄여서 사용 수명을 더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접속부(3)가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늘려서 전자기기 내에 위치한 다른 구성들과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접속부(3) 및 부품 간의 접속력이 저하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들에 대한 배치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제1탄성암(4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암(42)은 일측(42a,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을 향하고, 타측(42b,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암(42)의 타측(42b)은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된다.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일측(42a)이 타측(42b)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에서 상기 전면 측벽부재(213)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탄성암(42)이 상기 보호홈(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탄성암(42)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2탄성암(42)을 통해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감소를 통한 사용 수명 연장, 상기 접속부(3)의 이동거리 증대를 통한 부품과의 접속력 향상,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들에 대한 배치의 용이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제2탄성암(4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1탄성암(41)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제2탄성암(42)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제2탄성암(4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4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제2탄성암(42)은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에는 상기 제1탄성암(41)의 일측(41a) 및 상기 제2탄성암(42)의 타측(42b)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탄성암(42)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1탄성암(41)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43)가 상기 보호홈(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43)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재(43)를 통해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감소를 통한 사용 수명 연장, 상기 접속부(3)의 이동거리 증대를 통한 부품과의 접속력 향상,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들에 대한 배치의 용이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곡률중심(43a, 도 12에 도시됨)이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제2탄성암(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재(43)를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후면 보호부재(211)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접속부(3) 및 부품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제2탄성암(42)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제2탄성암(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에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제2탄성암(42)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에 대한 부품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4)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밸런스(Balance)가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에 대한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3)가 기울어지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켜서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도 4, 도 5,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4)는 제3탄성암(44) 및 제2연결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탄성암(43)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암(43)은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제2탄성암(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보호부재(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우면 보호부재(212)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제2탄성암(4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암(44)은 일측(44a,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를 향하고, 타측(44b,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보호부재(4)의 개방된 후면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제1탄성암(41)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일측(44a)이 타측(44b)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에서 상기 전면 측벽부재(213)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탄성암(44)이 상기 보호홈(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탄성암(44)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3탄성암(44)을 통해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감소를 통한 사용 수명 연장, 상기 접속부(3)의 이동거리 증대를 통한 부품과의 접속력 향상,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들에 대한 배치의 용이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3탄성암(44)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3탄성암(44)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3탄성암(44)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3탄성암(44)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4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에는 상기 제2탄성암(42)의 일측(42a) 및 상기 제3탄성암(44)의 타측(44b)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3)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3탄성암(44)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2탄성암(42)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45)가 상기 보호홈(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45)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2연결부재(45)를 통해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감소를 통한 사용 수명 연장, 상기 접속부(3)의 이동거리 증대를 통한 부품과의 접속력 향상,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들에 대한 배치의 용이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곡률중심(45a, 도 12에 도시됨)이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3탄성암(44) 사이에 위치하도록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2연결부재(45)를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보호부재(2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 및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상기 접속부(3) 및 부품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3탄성암(44)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3탄성암(4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에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탄성암(42) 및 상기 제3탄성암(44)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에 대한 부품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4)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에 대한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3)가 기울어지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켜서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3탄성암(44),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1탄성암(41)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3탄성암(44),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1탄성암(4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4)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5),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3탄성암(44),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1탄성암(41)은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4)는 제3연결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46)는 상기 제3탄성암(44) 및 상기 접속부(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46)는 상기 제3탄성암(44)의 일측(44a, 도 12에 도시됨) 및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 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46)는 상기 제2연결부재(4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46) 및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상기 제3탄성암(44)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제3연결부재(46) 및 상기 제2연결부재(4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46)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3연결부재(46)를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46), 상기 제2연결부재(45),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3탄성암(44), 상기 제2탄성암(42),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접속부(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4) 및 상기 접속부(3)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탄성부(4)가 2개 또는 3개의 탄성암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전자기기에 요구되는 탄성변위 및 탄성력을 갖출 수 있다면 4개 이상의 탄성암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암들은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는 상기 탄성암들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4)는 이음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40)는 상기 제1탄성암(41) 및 상기 보호부재(21) 각각에 결합된다. 상기 이음부재(40)는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40)에는 상기 제1탄성암(41)의 타측(41b, 도 12에 도시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40)는 상기 제1연결부재(4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이음부재(40) 및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1탄성암(4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암(41)은 상기 이음부재(40) 및 상기 제1연결부재(4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이음부재(40)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이음부재(40)를 통해 상기 탄성부(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음부재(40), 상기 제3연결부재(46), 상기 제2연결부재(45),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3탄성암(44), 상기 제2탄성암(42),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접속부(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40)는 상기 보호부재(21)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상기 보호부재(2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40) 및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40) 및 상기 제2연결부재(45)는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에 부품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이음부재(40) 및 상기 제2연결부재(45)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거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3)에 대한 부품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4)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부품에 대한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부(3)가 기울어지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4)에 변형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소시켜서 상기 탄성부(4)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상기 접속본체(31)와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를 가림으로써, 상기 접속본체(31)와 상기 보호부재(2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제1탄성암(31)이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암(31)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좌면 측벽부재(331)는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좌면 보호부재(211)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상기 제1연결부재(43)와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상기 접속본체(31)와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를 가림으로써, 상기 접속본체(31)와 상기 보호부재(2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재(43)가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43)가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는 상기 제1연결부재(43)와 상기 전면 보호부재(213)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홈(2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에는 상기 제3탄성암(44)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상기 제2탄성암(42)과 상기 제3탄성암(44)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는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제2탄성암(42)의 사이를 가림으로써, 상기 제1탄성암(41)과 상기 제2탄성암(42)이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암(31) 및 상기 제2탄성암(42)이 작업자가 착용한 의류,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제조장치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탄성암(44)는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 및 상기 보호부재(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탄성암(44)은 상기 우면 측벽부재(332)를 우회하여 상기 전면 측벽부재(33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커넥터(1)는 상기 제3탄성암(44)의 길이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4)에 대한 탄성변위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접점 커넥터 2 : 실장부
3 : 접속부 4 : 탄성부
20 : 보호홈 21 : 보호부재
22 : 실장부재 31 : 접속본체
32 : 접속부재 33 : 측벽부재
40 : 이음부재 41 : 제1탄성암
42 : 제2탄성암 43 : 제1연결부재
44 : 제3탄성암 45 : 제2연결부재
46 : 제3연결부재

Claims (15)

  1.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상기 기판 및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부품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실장부 및 상기 접속부 각각에 결합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는 상기 탄성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부품 간의 접속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부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암, 및 상기 탄성암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암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들은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세워져서 배치되되, 상기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실장부에 결합된 제1탄성암,
    상기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1탄성암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제2탄성암, 및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 사이에 위치하도록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암은 상기 상측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실장부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상측방향으로 상기 제2탄성암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1탄성암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탄성암 및 상기 제2탄성암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탄성암 및 상기 제2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속부에 결합된 제3탄성암, 및 상기 제2탄성암과 상기 제3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2탄성암과 상기 제3탄성암 사이에 위치하도록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암은 상기 상측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3탄성암은 상기 상측방향으로 상기 접속부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상측방향으로 상기 제3탄성암에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2탄성암에 결합된 타측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2탄성암 및 상기 제3탄성암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탄성암 및 상기 제3탄성암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탄성부가 위치하기 위한 보호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된 접속본체, 및 상기 접속본체와 상기 보호부재의 사이를 가리기 위한 전면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측벽부재는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홈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탄성암은 상기 전면 측벽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탄성암과 상기 제2탄성암의 사이를 가리기 위한 우면 측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우면 측벽부재는 상기 제2탄성암와 상기 제3탄성암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된 접속본체, 및 상기 접속본체와 상기 보호부재의 사이를 가리기 위한 전면 측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탄성암은 상기 우면 측벽부재를 우회하여 상기 전면 측벽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우면 측벽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탄성부가 위치하기 위한 보호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된 접속본체, 및 상기 접속본체와 상기 보호부재의 사이를 가리기 위한 좌면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면 측벽부재는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1탄성암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홈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부에 결합된 접속본체, 및 상기 부품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접속본체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접속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커넥터.
KR1020160023139A 2016-02-26 2016-02-26 접점 커넥터 KR20170100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39A KR20170100806A (ko) 2016-02-26 2016-02-26 접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39A KR20170100806A (ko) 2016-02-26 2016-02-26 접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06A true KR20170100806A (ko) 2017-09-05

Family

ID=599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139A KR20170100806A (ko) 2016-02-26 2016-02-26 접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8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620B1 (ko) * 2019-09-03 2020-12-23 주식회사 수콘 전자기기용 보드 접속 커넥터
KR102267698B1 (ko) * 2021-03-09 2021-06-23 주식회사 지티지솔루션 전자기기용 보드 접속 커넥터
KR20210099308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TWI746956B (zh) * 2018-04-03 2021-11-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壓接連接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6956B (zh) * 2018-04-03 2021-11-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壓接連接器
KR102194620B1 (ko) * 2019-09-03 2020-12-23 주식회사 수콘 전자기기용 보드 접속 커넥터
KR20210099308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KR102267698B1 (ko) * 2021-03-09 2021-06-23 주식회사 지티지솔루션 전자기기용 보드 접속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0806A (ko) 접점 커넥터
JP6325349B2 (ja) コネクタ
KR101674998B1 (ko) 커넥터
TWI509910B (zh) 連接器
EP1930995A2 (en) Electrical connector
US9549491B2 (en) Conductive clip
WO2012123811A2 (en) Emi/esd shield clip
JP2013077440A (ja)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TWI528666B (zh) Electrical connectors with shields
US9887480B2 (en) Contact including deformation preventer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connector support
KR102552928B1 (ko) 접점 커넥터
US20090260872A1 (en) Module for packaging electronic components by using a cap
KR102266623B1 (ko) 접점 커넥터
WO2017179548A1 (ja) 圧接コンタクト
CN100454670C (zh) 弹性电端子及其形成方法
KR102523379B1 (ko) 접점 커넥터
KR20170086945A (ko) 접점 커넥터
KR20170110783A (ko) 접점 커넥터
US20160124141A1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and board housing module having the circiut board
KR20170018544A (ko) 접점 커넥터
TWI713265B (zh) 連接器組合件
KR102647096B1 (ko) 접점 커넥터
KR20170010122A (ko) 접점 커넥터
KR20170012796A (ko) 접점 커넥터
JP5345179B2 (ja) 回路基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