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762A -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762A
KR20170100762A KR1020160023003A KR20160023003A KR20170100762A KR 20170100762 A KR20170100762 A KR 20170100762A KR 1020160023003 A KR1020160023003 A KR 1020160023003A KR 20160023003 A KR20160023003 A KR 20160023003A KR 20170100762 A KR20170100762 A KR 2017010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nistrator terminal
power
server
virtual perform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규
나광호
손승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Priority to PCT/KR2016/0019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6288A1/ko
Priority to KR1020160023003A priority patent/KR20170100762A/ko
Publication of KR2017010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 세팅 초기에 기본 성능 지표로 설정되지 않은 성능 지표를 추가하여 이를 알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 설정된 기본 성능 지표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랙과; 각각의 서버랙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전원 분배 장치와; 각각의 서버랙에 마련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의 전원 분배 장치와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를 가상 성능 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기초 정보의 합산 또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A management system for infra-components in a server room using virtual performance and combination of the virtual performance}
본 발명은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 세팅 초기에 기본 성능 지표로 설정되지 않은 성능 지표를 추가하여 이를 알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 설정된 기본 성능 지표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서버실은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 다수의 서버가 실장되는 다수의 서버랙과, 서버실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다수의 항온 항습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헌 서버실에 대한 구성은 한국공개특허 10-2015-135126에 개시된다.
다수의 서버랙에는 상하 방향으로 수십개의 서버가 장착되고, 각각의 서버에는 전원 코드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전원 코드를 꽂기 위해서는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일명 멀티탭)이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전원 분배 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의 분전반에 연결되고, 각각의 분전반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전력 미터기(디지털 미터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항온 항습기나 기타 전력 소비 장치의 경우에도 각각의 분전반에 연결되고 각각의 분전반은 독립적으로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연결된다.
모든 전력 미터기는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고, 모니터링 서버는 관리자 단말기에 연결된다.
한편, 서버랙의 상부 영역, 중앙 영역, 하부 영역에는 각각 온도 센서가 배치되고, 각각의 온도 센서는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서 특정 서버랙에 있는 특정한 전원 분배 장치에 연결된 전력 미터기에서 개별적인 유효 전력량만 제공할 뿐 특정 서버랙 전체에 관한 유효 전력량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온도의 경우도 특정 서버랙의 특정 영역에서의 온도만 제공될 뿐 특정한 서버랙 또는 특정 공간내에 있는 서버랙들의 최대 온도, 평균 온도, 최저 온도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는 관리자가 일일히 체크해서 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유효 전력량을 산출하는 경우에도 특정 기간 단위로 산출되지 않고, 누적 유효 전력량만 제공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특정 기간 단위(예, 일 단위, 월 단위)의 유효 전력량을 즉각적으로 산출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특정 전력 소비 장치에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가 초기화되는 경우(4자리수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더더욱 제대로 된 특정 기간 단위 유효 전력량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버 관리 시스템 초기 세팅시 제공하지 않았지만, 초기 세팅 후 필요해진 성능 지표를 가상 성능 지표로 제공하고, 이러한 성능 지표를 초기 세팅시 제공되는 기본 성능 지표를 이용해서 산출할 수 있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누적 유효 전력량을 이용하여 특정 기간 단위 유효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력 미터기의 초기화시에도 정확한 특정 기간 단위 유효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랙과; 각각의 서버랙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전원 분배 장치와; 각각의 서버랙에 마련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의 전원 분배 장치와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를 가상 성능 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기초 정보의 합산 또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에 장착된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복수의 서버랙들이 위치하는 특정 공간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버랙들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의 평균온도 또는 최저 온도 또는 최고 온도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에 장착된 복수의 온도 센서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고,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한 가상 성능 지표의 특징에 따라서 획득된 온도값의 평균값 또는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복수의 서버랙이 위치하는 특정 영역의 평균온도 또는 최저 온도 또는 최고 온도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버랙에 장착된 복수의 온도 센서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고,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한 가상 성능 지표의 특징에 따라서 획득된 온도값의 평균값 또는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온 항습기와; 각각의 항온 항습기와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를 가상 성능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기초 정보의 값 자체 또는 합산값 또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항온 항습기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항온 항습기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복수의 항온 항습기들이 위치하는 특정 공간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항온 항습기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소비 제품과; 각각의 전력 소비 제품과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인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인 현재 누적 유효 전략량 및 특정 기간의 시점 이전의 누적 유효 전력량을 취득하고,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특정 기간의 시점 이전의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하여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상 성능 지표인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이 일(日) 유효 전력량인 경우, 일(日) 유효 전력량은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 미터기가 초기화 된 경우, 일(日) 유효 전력량은 최대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한 값에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을 더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실 관리 시스템이나, 항온 항습기 또는 서버와 같은 전력 소비 장치에서 초기에 설정되지 않은 항목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되, 이러한 가상 성능 지표를 초기 설정된 성능 지표로부터 추출할 수 있어서 관리의 편리성 및 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서 단일의 랙에 서로 다른 루트(서로 다른 전원 분배 장치)로 인입되는 유효 전력값은 각각 취득하여 이를 별도로 합산하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나, 총 인입 유효 전력값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면, 추후에 별도의 계산 과정 없이 이를 바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관리에 편리하다.
이는 단일의 장비 뿐만 아니라 몇몇 장비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서의 해당 장비들에 인입되는 총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 지표로 하여 관리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온도의 경우, 평균, 최고, 최저값을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서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할 수 있어서 관리의 탄력성을 제공한다.
한편, 특정 기간(예, 일별, 월별) 동안의 유효 전력량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 제공하던 누적 유효 전력량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며, 전력 미터기가 초기화 되는 경우에도 정확한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 지표로 하여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서버랙에 전원 분배 장치가 다양한 예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서버랙의 전원 분배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부대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서 서버랙에 인가되는 총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는 과정이 관리자 단말기 화면에서 순서대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서버랙의 온도 센서 및 이와 연결되는 부대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와 평균 온도 값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는 과정을 관리자 단말기 화면 상에서 구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다수의 공간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온도 평균값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는 과정을 관리자 단말기 화면에서 구현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3는 본 발명에서 항온 항습기 및 이와 연결되는 부대 구성요소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4 내지 도18은 본 발명에서 항온 항습기에 인가되는 총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는 과정이 관리자 단말기 화면에서 순서대로 구현된 것을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에서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관리자 단말기 상의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버실 관리 시스템(1)을 크게 보면 복수의 서버랙(2)으로 마련되는 서버랙 열(10)과, 각각의 서버랙 열(10)이 배치되는 공간을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키는 항온 항습기(400)를 포함한다.
서버랙열(10)은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서버랙(2)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서버랙(2)에는 온도 센서(51, 52)가 마련되는데, 온도 센서(51, 52)는 하나의 서버랙(51, 52)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 마련되고, 선택적으로는 중앙 영역에도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서버랙 열(10)에 있는 모든 온도 센서(51, 52)들은 하나의 통신선(60) 루프에 의하여 연결된다.
하나의 서버랙 열(10)에 있는 온도센서(51, 52)를 연결하는 통신선(60)은 서버실 모니터링 서버(600)에 연결된다.
항온 항습기(400)는 하나의 서버랙 열(10) 또는 복수의 서버랙열이 차지하는 공간마다 배치되며, 서버랙열(10)이 다수 있는 경우, 항온 항습기(400)도 복수개로 마련된다.
각각의 항온 항습기(40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각각의 항온 항습기(400)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서버(600)와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600)는 관리자 단말기(700) 및 DB서버(800)와 연결되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서 각 서버랙열(10)이나, 단일의 서버랙(2), 단일의 항온 항습기(4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실 내부에는 다수의 서버랙열(10)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고, 항온 항습기(CRAC, 400)는 하나의 서버랙 열(10)과 인접한 서버랙 열(10) 사이의 복도의 일측에 배치된다.
단일의 서버랙 당 수십개의 서버가 배치되는데, 각 서버에서 방출하는 열에 의하여 서버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이러한 열은 서버의 동작 이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서버실 내부의 냉각 능력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항온 항습기(400)가 마련된다.
여기서 각각의 항온 항습기(400)에 대한 정보는 모니터링 서버(600)로 전달된다.
한편,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버랙(2)에는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일명, 멀티탭)(21, 22)이 마련된다.
하나의 서버랙(2)에는 수십개의 서버가 배치되고, 각각의 서버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코드가 마련된다.
따라서, 하나의 서버랙에 배치되는 전원 분배 장치(21, 22)에는 수십개의 전원 코드가 꽂혀야 한다. 그런데, 단일의 전원 분배 장치의 삽입구 수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하나의 서버랙에는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가 마련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서버랙(예, 랙#1)에 제1전원 분배 장치(21)와, 제2전원 분배 장치(22)가 설치되었다고 하자.
제1전원 분배 장치(21)는 제1분전반(31)에 연결되고, 제2전원 분배 장치(22)는 제2분전반(3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전원 분배 장치(21)와 제1분전반(31)을 연결하는 분기선을 분기선#6(Branch #6)라 하고, 제2전원 분배 장치(22)와 제2분전반(32)을 연결하는 분기선을 #2(Branch #2)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제1분전반(31)은 제1전력 미터기(41)와 연결되고, 제2분전반(32)은 제2전력 미터기(42)와 연결된다. 제1,2전력 미터기(41, 42)는 모두 디지털 미터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2전력 미터기(41, 42)는 모니터링 서버(600)와 연결된다. 모니터링 서버(600)의 제어부는 제1,2전력 미터기(41, 42)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제1,2전원 분배 장치(21, 22)에 인가되는 유효 전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6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관리자 단말기(700) 및 DB서버(8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서버실 관리 시스템(1)의 초기 세팅시 제공하지 않는 성능 지표를 '가상 성능 지표'라고 정의하여 이를 새롭게 설정하고 정의하되, 이러한 가상 성능 지표가 초기 세팅시 설정된 기존 성능 지표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일의 서버랙에 인가되는 전체 유효 전력값은 서버실 관리 시스템이나 서버 자체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단순히 제1,2전원 분배 장치(21, 22)에 각각 공급되는 부분적인 유효 전력값만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을 통하면, 제1,2전원 분배 장치(21, 22)에 각각 공급되는 유효 전력값을 합산하여 총 유효 전력값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적인 성능 지표(예, 유효 전력, 온도, 습도 등)를 획득하여, 획득된 성능 지표를 합산 하거나(예, 총 유효 전력), 획득된 성능 지표의 최고값 또는 최저값 또는 평균값(예, 온도 또는 습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가 어떠한 가상 성능 지표를 원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에 항온 항습기(40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기 위해서는 서버랙(2)의 최저 온도를 알아야하고, 항온 항습기(400)를 다시 동작하기 위해서는 최고 온도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가상 성능 지표에서 최저값 또는 최고값을 설정하고, 이러한 최저값이나 최고값이 산출될 수 있는 기본 성능 지표의 타켓이 되는 디바이스(온도 센서, 습도센서, 분전반)를 선택하면 된다.
한편, 서버랙(2)이나 복수 서버랙이 배치되는 영역의 평균온도를 알고 싶은 경우에는 가상 성능 지표에서 평균 온도를 설정하고, 알고자 하는 영역이나 서버랙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들을 선택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단일의 랙에 장착된 모든 서버에 인가되는 총 유효 전력을 구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랙#1에 인가되는 총 유효전력을 구하기 위해서 관리자 단말기 화면에서 관리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고, 모니터링 할 장비를 선택한다.
도5에서는 랙 #1을 선택하고(붉은색 원), 연결방법을 가상 연결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주기 설정에서 성능 수집 주기 및 로그 수집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5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도6과 같이 바뀐다.
여기서 성능 탭을 누르고 '가성 성능 추가' 버튼을 누른다.
이에 의하여 랙#1에 대한 가상 성능 지표가 추가된다.
그러면 화면이 바뀌면서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분되는 4개의 영역이 나타난다.
즉, '대상 장비' 선택 영역, '성능명' 영역, '선택 장비 성능' 영역, 그리고, '가상 성능 정보' 영역이 그것이다.
'대상 장비' 선택 영역에서 제1분전반(31)에 연결된 제1전력 미터기(41)(모델명: iPSM)를 선택 후,성능명' 선택 영역에서 분기선 #6에 대한 유효 전력을 선택하고, '선택 추가'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선택 장비 성능' 영역에는 대상장비와 성능명이 조합된 문구가 위치한다.
그리고,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장비' 선택 영역에서 제2분전반에 연결된 제2전력 미터기(모델명: Gems3500)을 선택 후, '성능명' 선택 영역에서 분기선 #2에 대한 유효 전력을 선택하고, '선택 추가'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선택 장비 성능' 영역에는 제1전력 미터기와 제2전력 미터기의 유효 전력이라는 성능 지표가 같이 설정된다.
여기서 제1전력 미터기(41)에서 획득하는 유효 전력값에 대한 구분 기호는 a01이 되도록 매핑되고, 제2전력 미터기(42)에서 획득하는 유효 전력값에 대한 구분 기호는 a02이 되도록 매핑된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성능 정보' 영역에서 가상 성능명을 '유효 전력'이라고 하고 단위를 W로 선택하고, 조합식을 a01과 a02를 더한 값이 될 수 있도록 기재한다.
여기서 조합식은 사칙연산(더하기, 나누기, 곱하기, 빼기), 평균값 구하기(a거h, 최고(max), 최저(min)가 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 제어부의 처리에 의하여 랙#1에 인가되는 전체 유효 전력값과 최종 수집 시간 및 검사 간격이 관리자 단말기 모니터에 나타난다.
이를 통해서 관리자는 랙#1에 대한 총 유효 전력을 수기로 합산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상 성능 지표 설정 과정을 통해서 단일의 랙의 총 유효 전력, 여러 개의 랙의 총 유효 전력, 더 나아가 특정 공간 내에 있는 랙 들의 총 유효 전력을 서로 다른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고 그 결과 값을 취득할 수 있다.
도11은 랙#1의 온도 평균값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랙#1에는 3개의 온도 센서가 마련된다.
상부 영역에 있는 온도 센서를 L01-F-M 온도센서로 정의하고, 중앙 영역에 있는 온도 센서를 L01-F-T 온도센서로 정의하며, 하부 영역에 있는 온도 센서를 L01-R-T 온도센서로 정의하자.
각각의 온도 센서는 모니터링 서버(600)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는 L01-F-M 온도센서, L01-F-T 온도센서, L01-R-T 온도센서를 '대상 장비' 영역에서 선택하고, '성능명' 영역에서 온도(temperature)를 선택하고 '선택 추가' 버튼을 누른다.
이러면 L01-F-M 온도센서, L01-F-T 온도센서, L01-R-T 온도센서에서 측정딘 온도값은 각각 a03, a04, a05로 매핑된다.
그리고 '가상 성능 정보' 영역에서는 가상 성능 지표명을 평균온도라고 정의하고, 단위는 ℃로하고, 조합식은 세 값의 평균을 의미하는 avg(a03, a04, a05)라고 기재한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랙#1에 대한 평균 온도값이 새로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어 다음부터는 이 항목을 클릭하면 관리자의 별도 계산없이 모니터링 서버(600)의 제어부가 자동적으로 랙#1에 대한 평균 온도를 산출되고 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보내서 관리자가 이를 볼 수 있다.
도12는 단일의 랙이 아니라 서버실의 전체의 평균온도값을 가상 성능으로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대상 장비를 각 서버랙열 중 각각의 랙1열로 설정하고, 성능명을 센서#1 부터 센서#7까지의 온도로 하여 이들의 평균 온도를 구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선택 장비 성능에는 [랙1열]센서 #1 온도 부터 #7 온도가 리스팅되고, a01~a07 까지 각각 매칭된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는 가상 성능명을 평균온도로 하고, 단위를 ℃로 하며, 조합식은 avg(a01, a02, a03, a04, a05, a06, a07)로 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랙1열]의 평균 온도라고 설정된 가상 성능 지표는 센서 #1 부터 #7까지의 온도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이는 모니터링 서버(600)의 제어부가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700)로 보낸다.
도13 내지 도18은 항온 항습기(400)에 대해서 가상 성능 지표를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항온 항습기(400)의 마이콤(401)은 모니터링 서버(600)와 연결된다.
한편, 항온 항습기(400)는 분전반(131)과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되는 분기선을 분기선 #7(Branch #7)로 정의한다.
분전반(131)은 디지털 미터기인 전력 미터기(141)와 연결되고, 전력 미터기(141)는 다시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된다.
항온 항습기(400)의 경우, 내부에 설치된 마이콤(401)에서 자체 성능 값을 제공하나, 이에 의하여 제공되지 않는 성능값을 이용해 관리가 필요한 경우, 가상 성능 지표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700)에서 항온 항습기(400)를 등록한다.
장비명을 항온 항습기라고 하고, 연결방법은 '시리얼 포트 연결'을 선택한다.
도15는 항온 항습기(400)의 마이콤(401)에서 제공하는 기본 성능인데, 여기서는 항온 항습기(400)의 유효 전력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유효 전력을 가상 성능 지표로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성능 추가' 버튼을 누르면, 도17과 같이 화면이 바뀐다.
여기서 '대상장비'는 분전반 및 이에 연결된 전력 미터기(iPMS)를 선택하고, '성능명' 영역에서 [분기#07] 유효전력을 선택하고, '선택 추가' 버튼을 누른다.
이에 의하여, '선택 장비 성능' 영역의 a01에 선택한 항목인 "[분전반(iPSM)] 분기 #7 유효전력"이 매핑이 되고, '가상 성능 정보' 영역에서 가상 성능명을 유효전력으로 하고, 조합식을 a01로 하면 선택된 항온 항습기의 유효전력이 가성 성능 지표로 세팅된다.
세팅이 완료되면, 항온 항습기의 성능 지표 리스트에 유효 전력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아래에서 두번째), 현재 유효전력, 점검 주기, 최종 수집 시간 등이 나타난다.
이는 모니터링 서버(600)의 제어부에서 처리한 항목이 관리자 단말기(700) 화면에서 보이는 것이다.
도19는 특정 전력 소비 장치(예, 특정 서버랙에 장착된 모든 서버들, 서버랙열에 장착된 모든 서버들, 항온 항습기)의 특정 기간 동안의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으로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전력 소비 장치 자체에서는 유효 전력값이 기본 성능 지표값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전력 미터기를 통해서만 측정이 가능한데, 이마저도 누적값으로만 나타나지 특정 기간(예, 일별, 월별) 동안의 유효 전력값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다만, 관리 측면에서는 일별 또는 월별 전력량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특정 전력 소비 장치에 대한 일별 또는 월별 유효 전력을 가상 성능으로 설정하는 것을 보면, 도19의 화면의 '대상 장비' 영역에서 특정한 전력 소비 장치(예, 항온 항습기)의 분전반 및 이와 연결된 전력 미터기(iPSM)을 선택하고, '성능명' 영역에서 [인입] 누적 유효 전력량을 선택하고,'선택 추가' 버튼을 누른다.
이 경우, '선택 장비 성능' 영역에는 [분전반_iPSM] 인입 누적 유효 전력량이 a01 도메인에 매핑된다.
그리고, '가성 성능 정보' 영역에서 가상 전력량을 기재하고, 그 옆의 스크롤을 눌러서 일전력량 또는 월전력량을 선택한다.
그리고 조합식에서는 a01을 선택한다.
일 전력량을 선택한 경우 일(日) 유효 전력량은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하여 산출한다.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DB서버(800) 또는 모니터링 서버(600)에 저장된 DB파일에서 가져와서 읽으면 된다.
한편, 전력 미터기(41, 42, 141)가 초기화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예를 들어 4자리수로 전력을 표시하는 전력 미터기가 전날까지 9990Kwh까지 표시되어 있다가. 전력 소비가 더 되면, 0000 또는 0001Kwh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소비전력이 없거나, 1kwh만 유효 전력으로 인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력 미터기가 초기화 되는 경우, 일(日) 유효 전력량은 최대 누적 유효 전력량(예, 9999Kwh)에서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예,9990Kwh)을 차감한 값(예, 10Kwh)에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예, 0001Kwh)을 더하여 산출하여 일 유효 전력량(예, 11Kwh)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월(月) 유효 전력량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는 경우, 다른 가상 성능 지표인 일(日) 유효 전력량을 더하여 얻을 수 있다.
월별로 이를 산정하는 경우, 특정 월의 1일로부터 측정일 2일 전까지의 일 유효 전력량의 합을 구하고, 여기에 어제 일 유효 전력량을 더하며, 현재의 일 유효 전력량을 더한다.
여기서, 어제 일 유효 전력량은 모니터링 서버에 저장된 DB파일로부터 추출하는데, DB서버에는 완벽한 누적 유효 전력량 정보가 금일로부터 2일 전까지 것까지만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면 관리자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이나, 각 전력 소비 장치에서 초기에 설정되지 않은 항목을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하되, 이러한 가상 성능 지표를 초기 설정된 성능 지표로부터 추출할 수 있어서 관리의 편리성 및 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서버실 관리 시스템 2: 서버랙
10: 서버랙열 21, 22: 전원 분배 장치
31, 32, 131: 분전반 41, 42, 141: 전력 미터기
400: 항온 항습기 600: 모니터링 서버
700: 관리자 단말기 800: DB서버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랙과;
    각각의 서버랙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전원 분배 장치와;
    각각의 서버랙에 마련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의 전원 분배 장치와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를 가상 성능 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기초 정보의 합산 또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에 장착된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복수의 서버랙들이 위치하는 특정 공간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버랙들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전원 분배 장치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의 평균온도 또는 최저 온도 또는 최고 온도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서버랙에 장착된 복수의 온도 센서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고,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한 가상 성능 지표의 특징에 따라서 획득된 온도값의 평균값 또는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복수의 서버랙이 위치하는 특정 영역의 평균온도 또는 최저 온도 또는 최고 온도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버랙에 장착된 복수의 온도 센서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획득하고,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한 가상 성능 지표의 특징에 따라서 획득된 온도값의 평균값 또는 최고값 또는 최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온 항습기와;
    각각의 항온 항습기와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를 가상 성능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기초 정보의 값 자체 또는 합산값 또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 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항온 항습기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특정 항온 항습기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복수의 항온 항습기들이 위치하는 특정 공간에 인입되는 전체 유효전력값이 가상 성능 지표로 설정되고,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항온 항습기의 유효전력값을 측정하는 전력 미터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선택된 모든 전력 미터기에서 측정된 유효 전력값을 획득하고 이를 합산한 결과가 관리자 단말기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소비 제품과;
    각각의 전력 소비 제품과 연결되는 분전반과;
    각각의 분전반과 연결되는 전력 미터기와;
    각각의 전력 미터기와 모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서, 성능 지표 설정시 기본적으로 세팅되지 않은 성능지표인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을 가상 성능지표로 정의하여 신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의하여 신규로 설정된 가상성능지표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인 현재 누적 유효 전략량 및 특정 기간의 시점 이전의 누적 유효 전력량을 취득하고,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특정 기간의 시점 이전의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하여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가상 성능 지표인 특정 기간별 유효 전력량이 일(日) 유효 전력량인 경우,
    일(日) 유효 전력량은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실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전력 미터기가 초기화 된 경우,
    일(日) 유효 전력량은 최대 누적 유효 전력량에서 전일 마지막 누적 유효 전력량을 차감한 값에 현재 누적 유효 전력량을 더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KR1020160023003A 2016-02-26 2016-02-26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KR20170100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1945 WO2017146288A1 (ko) 2016-02-26 2016-02-26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KR1020160023003A KR20170100762A (ko) 2016-02-26 2016-02-26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003A KR20170100762A (ko) 2016-02-26 2016-02-26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762A true KR20170100762A (ko) 2017-09-05

Family

ID=5968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003A KR20170100762A (ko) 2016-02-26 2016-02-26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00762A (ko)
WO (1) WO201714628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65A (ko) *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서버룸의 공기조화 상태 평가 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
KR102205565B1 (ko) * 2020-08-06 2021-01-21 주식회사 넥스트티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WO2021132951A1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서버랙 예지 보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63B1 (ko) * 2009-07-10 2013-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데이터 센터 전력 공급 장치
US8494370B2 (en) * 2010-08-16 2013-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ng components in data center
KR101505405B1 (ko) * 2013-08-30 2015-03-25 (주) 아이커머 데이터센터의 지능형 통합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7912B1 (ko) * 2014-05-19 2016-06-0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전류 계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분석 시스템
KR20150135126A (ko) * 2014-05-22 2015-12-02 하성우 서버 룸 공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65A (ko) *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서버룸의 공기조화 상태 평가 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
WO2021132951A1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서버랙 예지 보전방법
US11698633B2 (en) 2019-12-23 2023-07-11 Its Co., Ltd. Server rack predictive maintenance method
KR102205565B1 (ko) * 2020-08-06 2021-01-21 주식회사 넥스트티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288A1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357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having a wi-fi compatible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circuit module
JP5929575B2 (ja) 消費電力管理装置及び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KR20170100762A (ko)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US20170161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psychrometric charts to data centers
US89490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metering of household devices
TWI386652B (zh) 辨識電器狀態之方法、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9479847B2 (en) Wireless home energy monitoring system
JP5967931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WO201209958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utility consumption
US11906180B1 (en)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 density efficiency measurements
JP2016095683A (ja) 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管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測定システム
US20160033561A1 (en) Modular metering system
JP5991611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120068328A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CN104655179A (zh) 应力应变测试方法、装置及系统
JP2017116129A (ja) 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5828A (ko) 데이터센터의 지능형 통합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3694B1 (ko)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와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
EP3133373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CA3042027A1 (en) Method of disaggregating an energy usage signal of a usage area
CN105427543A (zh) 一种基于智能电网的温度预警方法及系统
US20180146268A1 (en) Meter Data Request For Metering System
EP31905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wer consumption of network element device
KR102384424B1 (ko) 에너지 아이 기술을 이용한 공장 및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324036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