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565B1 -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565B1
KR102205565B1 KR1020200098326A KR20200098326A KR102205565B1 KR 102205565 B1 KR102205565 B1 KR 102205565B1 KR 1020200098326 A KR1020200098326 A KR 1020200098326A KR 20200098326 A KR20200098326 A KR 20200098326A KR 102205565 B1 KR102205565 B1 KR 10220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idity
thermo
hygrostat
dif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티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티엔
Priority to KR102020009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36Thermal management, e.g. serve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63Liquid cooling without phase change
    • H05K7/20781Liquid cooling without phase change within cabinets for removing heat from serve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산 장비의 온도 및 습도를 무선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산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산 장비;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에 대한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고, 상기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습 또는 감습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항온항습기; 및 상기 항온항습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중 어느 하나인 제1 전산 장비는, 상기 제1 전산 장비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VIA WIRELESS OF COMPUTERIZED EQUIPMENT}
아래 실시예들은 전산 장비의 온도 및 습도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처리되는 데이터 양이 급증하면서, 전산실의 모니터링 시스템도 복잡해지고 규모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엔지니어의 기술력 숙련도에 따라 전산실 문제 해석이 다르고, 중소기업의 경우 모니터링이 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기업 사정에 따라 맞춤형의 소규모 전산기계실 솔루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전산실 운영이 늘어나면서 전산실 사고로 인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화재, UPS 폭발, 누수, 동파, 가스유출, 전산장애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시 인명, 재산상 피해는 물론, 복구, 배상, 업무 마비 등 2차, 3차 피해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산기계실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대설비간 통합설계와 관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항온항습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가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습도가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산 장비의 온도 및 습도를 무선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산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산 장비;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에 대한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고, 상기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습 또는 감습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항온항습기; 및 상기 항온항습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중 어느 하나인 제1 전산 장비는, 상기 제1 전산 장비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제2 전산 장비는, 상기 제2 전산 장비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2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2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 차이값 및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온도 차이값과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온도 차이값이 상기 제2 온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이 상기 제1 온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항온항습기와 상기 제2 항온항습기가 번갈아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와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의 차이인 제1 습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와 상기 제2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의 차이인 제2 습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2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습도 차이값 및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습도 차이값과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습도 차이값이 상기 제2 습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이 상기 제1 습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항온항습기와 상기 제2 항온항습기가 번갈아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는,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 그룹과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에 변화를 가하는 각각의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 및 시간별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시간별 제어 명령의 각각의 시간에 맞추어,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각각의 항온항습기 별로 각각의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각각의 센서 그룹 별로 측정한 측정값을 확인하여,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 및 상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전산 장비별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통해 상태에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분석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강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강제 제어 명령을 통해 상태에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은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항온항습기 각각은 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수도(水道)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대해,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센서 그룹과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는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시간별 제어 명령은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물 공급 수단에 포함된 냉각제의 냉각 정도 및 상기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센서 그룹을 통해 측정된 온도이며,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 중에서 상기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산실의 천장 높이를 획득하고, 상기 전산실의 천장 높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더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증류수의 비열용량(specific heat capacity)과 해수(海水)의 평균 비열용량을 기초로 증류수-해수(海水) 인덱스를 정의하고, 상기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수원(水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연산하고, 상기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기초로, 상기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를 확인하여,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산실을 구성하는 전산 장비들의 상태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산실을 운영하는 기업 사정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의 온도 조절을 위해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의 습도 조절을 위해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별 목표 온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전산 장비(111), 제2 전산 장비(112), 제1 센서 그룹(121), 제2 센서 그룹(122), 제1 항온항습기(131), 제2 항온항습기(132), 제어 장치(140) 및 통신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전산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전산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 이외에 제3 전산 장비, 제3 전산 장비 등이 더 포함되면, 제3 전산 장비에 대응하여 제3 센서 그룹 및 제3 항온항습기가 더 포함되고 제4 전산 장비에 대응하여 제4 센서 그룹 및 제4 항온항습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의 전산 장비를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많은 전산 장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는 전산실 내에 배치되는 랙(Rack), 각종 전산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산 장비(111)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그룹(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전산 장비(112)는 제2 전산 장비(112)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 그룹(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산 장비(112)는 제1 전산 장비(111)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 그룹(121) 및 제2 센서 그룹(122) 각각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산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산 장비에는 복수의 항온항습기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전산 장비(111)에는 제1 항온항습기(131)가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산 장비(112)에는 제2 항온항습기(1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항온항습기(131)는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며,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습 또는 감습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항온항습기(132)는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며,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습 또는 감습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온도는 자동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각각의 목표 온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습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습도는 자동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각각의 목표 습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40)는 시스템(100)에 포함된 제1 전산 장비(111), 제2 전산 장비(112), 제1 센서 그룹(121), 제2 센서 그룹(122), 제1 항온항습기(131), 제2 항온항습기(132) 및 통신 장치(150) 각각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 및 제2 항온항습기(132)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가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 각각에서 측정된 습도가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 그룹(121)은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2 센서 그룹(122)은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0)는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 각각에 대해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0)는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산실 상황에 따라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통신 장치(150)는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하여 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장치(150)를 통해 시스템(100)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1 전산 장비(111)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131)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습도를 확인하여,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1 항온항습기(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40)는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2 전산 장비(112)와 연결된 제2 항온항습기(132)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된 습도를 확인하여,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2 항온항습기(1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온도와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전산 장비(111)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13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온도가 30℃로 확인되고,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가 25℃로 확인되는 경우, 제1 온도 차이값으로 5℃를 산출할 수 있으며, 기준치가 3℃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온도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1 항온항습기(13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40)는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된 온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전산 장비(112)와 연결된 제2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의 온도 조절을 위해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S2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센서 그룹 별로 측정된 온도 및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온도와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한 온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온도와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값을 통해 제1 온도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된 온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값을 통해 제2 온도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크고 동시에 제2 온도 차이값도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1 온도 차이값 및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205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온도 차이값과 제2 온도 차이값을 비교하여, 제1 온도 차이값이 제2 온도 차이값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제1 온도 차이값과 제2 온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제1 온도 차이값이 제2 온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206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만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제1 온도 차이값과 제2 온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제2 온도 차이값이 제1 온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207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항온항습기(132)만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6 단계 및 S207 단계 이후 S204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140)는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크고 동시에 제2 온도 차이값도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온도 차이값 중 제2 온도 차이값 적어도 하나가 기준치 보다 작아질 때까지 S204 단계, S205 단계, S206 단계 및 S207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2 항온항습기(132)가 번갈아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제1 온도 차이값 및 제2 온도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8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209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09 단계 이후 S208 단계로 되돌아가,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아질 때까지 S208 단계 및 S209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S208 단계에서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210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211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항온항습기(132)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11 단계 이후 S210 단계로 되돌아가,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아질 때까지 S210 단계 및 S211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140)는 측정 온도 및 목표 온도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의 습도 조절을 위해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S3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센서 그룹 별로 측정된 습도 및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습도와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한 습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된 습도와 제1 전산 장비(111)에 설정된 목표 습도의 차이값을 통해 제1 습도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된 습도와 제2 전산 장비(112)에 설정된 목표 습도의 차이값을 통해 제2 습도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크고 동시에 제2 습도 차이값도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1 습도 차이값 및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305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습도 차이값과 제2 습도 차이값을 비교하여, 제1 습도 차이값이 제2 습도 차이값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1 습도 차이값과 제2 습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제1 습도 차이값이 제2 습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306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만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1 습도 차이값과 제2 습도 차이값을 비교한 결과, 제2 습도 차이값이 제1 습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307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항온항습기(132)만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6 단계 및 S307 단계 이후 S304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140)는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크고 동시에 제2 습도 차이값도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습도 차이값 중 제2 습도 차이값 적어도 하나가 기준치 보다 작아질 때까지 S304 단계, S305 단계, S306 단계 및 S307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2 항온항습기(132)가 번갈아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1 습도 차이값 및 제2 습도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309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1 항온항습기(131)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9 단계 이후 S308 단계로 되돌아가,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아질 때까지 S308 단계 및 S309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310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311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제2 항온항습기(132)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11 단계 이후 S310 단계로 되돌아가,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아질 때까지 S310 단계 및 S311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140)는 측정 습도 및 목표 습도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의 전산 장비는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 그룹과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고,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에 변화를 가하는 각각의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산 장비(111)는 제1 센서 그룹(121)과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고, 제1 전산 장비(111)는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산 장비(112)는 제2 센서 그룹(122)과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고, 제2 전산 장비(112)는 제2 항온항습기(132)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될 수 있다.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대해,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센서 그룹과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는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산 장비(111)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1 센서 그룹(121)과, 제1 전산 장비(111)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1 항온항습기(131)는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산 장비(112)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2 센서 그룹(122)과, 제2 전산 장비(112)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2 항온항습기(132)는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될 수 있다.
복수의 항온항습기 각각은 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수도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2 항온항습기(132)는 하나의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2 항온항습기(132)는 각각 별도의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될 수도 있다.
S401 단계에서, 통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 및 시간별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은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퇴근 시간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별로 전산 장비 각각의 온도, 습도 등의 목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산 장비(111)의 1시간 단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은 오후 7시에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30℃, 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8℃이고, 오후 8시에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29℃, 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7℃이고, 오후 9시에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28℃, 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6℃일 수 있다.
제1 전산 장비(111)가 제2 전산 장비(112) 보다 열에 더 민감한 경우, 목표 온도가 더 낮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밤이 될수록 전산실의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목표 온도가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별 제어 명령은 퇴근 시간 이후 전산 장비 각각의 온도, 습도 등이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등에 근접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별 제어 명령은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가 작아지도록 물 공급 수단에 포함된 냉각제의 냉각 정도 및 항온항습기와 연결된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는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센서 그룹을 통해 측정된 온도를 의미하고, 제2 온도는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 중에서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는 수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1 센서 그룹(121)을 통해 측정된 온도를 의미하고, 제2 온도는 제1 항온항습기(131)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시간별 제어 명령의 각각의 시간에 맞추어, 복수의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각각의 항온항습기 별로 각각의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0)는 오후 7에 대응하는 시간별 제어 명령을 기초로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오후 7시에 맞춰서, 제1 전산 장비(111)의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가 작아지도록 제1 항온항습기(131)와 연결된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오후 8시, 오후 9시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퇴근 후에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산 장비들의 상태를 시간별 목표 값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후 7시에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30℃, 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8℃인 경우, 제1 센서 그룹(121)의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가 32℃, 제2 센서 그룹(122)의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25℃일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40)는 오후 7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1 항온항습기(131)와 연결된 수도의 유량을 높여,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가 32℃에서 30℃로 내려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오후 7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2 항온항습기(132)와 연결된 수도의 유량을 낮추어,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25℃에서 28℃로 올라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항온항습기(131) 및 제2 항온항습기(132)와 수도로 연결된 물 공급 수단에는 냉각제가 포함되어 있다.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 이외에 목표 습도에 대해서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시각에 특정 전산 장비의 습도가 낮은 것으로 측정되면, 해당 시각에 해당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된 항온항습기에서 수증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습도를 높일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복수의 전산 장비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각각의 센서 그룹 별로 측정한 측정값을 확인하여,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1 센서 그룹(121)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확인하여,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가 29.6℃인 것을 확인하고, 제1 전산 장비(111)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2 센서 그룹(122)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확인하여,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28℃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0)는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를 분석하는데 있어, 미리 정해진 시간별로 전산 장비의 제어 조건에 따른 온도, 습도 등의 목표 값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 및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오후 7시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로부터 허용 범위인 0.5℃ 이내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전산 장비(111)의 오후 7시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가 30℃, 제2 전산 장비(112)의 오후 7시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가 27℃인 경우,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가 오후 7시에 29.6℃로 확인되면, 목표 온도인 30℃로부터 허용 범위인 0.5℃ 이상을 벗어나지 않았다고 분석할 수 있으며,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오후 7시에 28℃로 확인되면, 목표 온도인 27℃로부터 허용범위인 0.5℃ 이상을 벗어났다고 분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분석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 및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전산 장비별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통해 상태에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30℃이고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가 29.6℃로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항온항습기(131)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7℃이고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28℃로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더 높으므로, 제2 항온항습기(132)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 그룹들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전산 장비들의 상태를 시간별 목표 값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통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200)로 분석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의 강제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대기할 수 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의 강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통신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강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강제 제어 명령을 통해 상태에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를 28℃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강제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제1 항온항습기(131)와 연결된 수도의 유량을 증가시켜,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가 떨어질 수 있도록, 제1 항온항습기(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복수의 항온항습기 각각은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제가 포함된 제1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되고,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해 발열체가 포함된 제2 물 공급 수단과도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물 공급 수단에서는 전산 장비가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공급해줄 정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물의 가열 정도는 물 공급 수단의 수온계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물은 수온계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적어도 전산 장비들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최대값보다 높도록 가열될 수 있다. 물의 가열은 탄소 발열체와 같은 가열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공급받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센서 그룹들을 통해 전산 장비들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공급받지 못한 경우, 전산 장비들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전산 장비들의 목표 온도를 높일 경우, 제2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된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항온항습기에 보다 많은 열이 전달되어, 전산 장비의 온도가 보다 증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산실의 천장 높이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공간이 더 많이 트여 있으므로, 전산 장비들은 수도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으로 발산시킨다. 즉, 전산실의 천장 높이가 높을수록, 전산 장비들이 외부로 열을 발산시키는 정도는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맞추기 위해선, 공급받는 열의 양을 늘려줘야 하므로,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는 보다 높게 조정되어야 한다.
S5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전산실의 천장 높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산실의 천장 높이는 미리 기록된 전산실의 설계도 데이터, 건축 데이터 등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천장 높이는 높이 측정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전산실의 천장 높이를 기초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를 기준으로, 천장 높이가 높을수록, 전산 장비별 목표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천장 높이가 낮을수록, 전산 장비별 목표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는 전산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천장 높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 온도 조정 정도는 제어 장치(140)에 포함된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산실에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는 8.5m이고, 오후 7시에 대응하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30℃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7℃일 경우, 높이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산실의 높이가 10.0m로 확인되면,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를 30.5℃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를 27.4℃로 각각 조정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산 장비별 온도는 전산 장비 별로 제1 대응관계를 가지는 센서 그룹들의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40)는 제1 센서 그룹(121)으로부터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로 29℃를 획득하고, 제2 센서 그룹(122)으로부터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로 27.1℃를 획득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더 조정할 수 있다.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를 더 조정할지 여부는, 측정된 전산 장비의 온도가 전산 장비의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에서의 목표 온도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허용 범위는 ±0.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산 장비(111)의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인 8.5m에서의 오후 7시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는 30℃일 수 있다. 측정된 제1 전산 장비(111)의 온도 29℃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인 8.5m에서의 목표 온도인 30℃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인 0.5℃를 벗어났으며, 29℃는 30℃보다 낮으므로,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는 더 높아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는 30℃에서 31℃로 조정될 수 있다.
반면, 제2 전산 장비(112)의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인 8.5m에서의 오후 7시에 대응하는 목표 온도는 27℃일 수 있다. 측정된 제2 전산 장비(112)의 온도 27.1℃는 제2 전산 장비(112)의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인 8.5m에서의 목표 온도인 27℃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인 0.5℃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는 더 이상 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40)는 전산실의 천장 높이에 대응하여, 전산 장비들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 장비별 목표 온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복수의 항온항습기 각각은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제가 포함된 제1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되고,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해 발열체가 포함된 제2 물 공급 수단과도 연결될 수 있다.
제2 물 공급 수단에서는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Heat)을 공급해줄 정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물의 가열 정도는 제2 물 공급 수단의 수온계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물은 수온계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적어도 전산 장비들의 목표 온도의 최대값보다 높도록 가열될 수 있다. 물의 가열은 가열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 수단은 탄소 발열체일 수 있다.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공급받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센서 그룹들을 통해 전산 장비들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공급받지 못한 경우, 전산 장비들의 목표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전산 장비들의 목표 온도를 높일 경우, 제2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된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산 장비들에게 보다 많은 열이 전달되어, 전산 장비들의 온도가 보다 증가할 수 있다.
물의 비열용량(specific heat capacity)은 물에 함유된 미네랄의 정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물이 동일한 온도로 가열됐더라도, 수도에 흐르는 같은 유량의 물이 전산 장비들에게 공급하는 시간 당 열은 물에 함유된 미네랄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에 미네랄이 많이 함유될수록, 물의 비열용량(specific heat)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일례로, 증류수의 비열용량은 4200 [J/(kg℃인 반면, 평균 해수의 비열용량은 약 3850 [J/(kg℃이다. 물의 비열용량이 낮을수록, 물이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더라도 함유하고 있는 열의 양은 적다. 즉, 미네랄이 많이 함유된 물은, 미네랄이 적게 함유된 물과 동일한 온도로 가열됐다고 하더라도, 단위 부피당 함유하고 있는 열의 양이 적다. 따라서 미네랄을 많이 함유한 물이 전산 장비들에게 필요로 하는 시간 당을 열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미네랄을 적게 함유한 물의 경우보다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이 많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가 미네랄을 적게 함유한 물의 경우보다 높게 조정되어야 한다.
S601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증류수의 비열용량(specific heat capacity)와 해수(海水)의 평균 비열용량을 기초로 증류수-해수(海水) 인덱스를 정의할 수 있다. 민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는 0에서 1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증류수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는 0, 평균 해수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물에 함유된 미네랄이 많아질수록, 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는 클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수원(水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수원(水源) 정보는 제2 물 공급 수단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원 정보와 일치할 수 있다. 제2 물 공급 수단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원 정보는 전산실이 위치한 지역을 기반으로 물의 수원을 추적하여 획득될 수도 있고, 전산실 관리자의 입력 등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S603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수원 정보를 기초로,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연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40)는 수원 정보를 토대로, 미리 정리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수원의 물이 함유하고 있는 미네랄의 비율을 획득할 수 있다. 수원으로부터 나온 물의 미네랄의 비율이 높을수록, 1에 가까운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연산하여, 수도에 공급되는 물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수원으로부터 나온 물의 미네랄의 비율이 낮을수록, 0에 가까운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연산하여, 수도에 공급되는 물에게 부여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제어 장치(140)는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기초로,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증류수-해수 인덱스를 기준으로,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가 높을수록, 전산 장비별 목표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가 낮을수록, 전산 장비별 목표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 증류수-해수 인덱스는 0.1일 수 있다. 증류수-해수 인덱스에 따른 구체적인 목표 온도 조정 정도는 제어 장치(140)에 포함된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 증류수-해수 인덱스는 0.1이고, 오후 7시에 대응하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가 30℃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가 27℃일 경우, 제어 장치(140)가 연산한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증류수-해수 인덱스가 0.2라면, 제어 장치(140)는 제1 전산 장비(111)의 목표 온도를 30.5℃제2 전산 장비(112)의 목표 온도를 27.4℃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40)는 제2 물 공급 수단 및 제2 물 공급 수단과 연결된 항온항습기의 수도에 공급되는 물의 미네랄 함유비율에 대응하여 전산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 당 열을 적절하게 공급해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시스템 111 : 제1 전산 장비
112 : 제2 전산 장비 121 : 제1 센서 그룹
122 : 제2 센서 그룹 131 : 제1 항온항습기
132 : 제2 항온항습기 140 : 제어 장치
150 : 통신 장치 200 : 사용자 단말

Claims (3)

  1. 전산 장비의 온도 및 습도를 무선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산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산 장비;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에 대한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고, 상기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가습 또는 감습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항온항습기; 및
    상기 항온항습기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중 어느 하나인 제1 전산 장비는,
    상기 제1 전산 장비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항온항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는,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 그룹과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에 변화를 가하는 각각의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 및 시간별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시간별 제어 명령의 각각의 시간에 맞추어,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각각의 항온항습기 별로 각각의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와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각각의 센서 그룹 별로 측정한 측정값을 확인하여,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 및 상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에 기초하여, 전산 장비별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통해 상태에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분석된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의 상태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강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강제 제어 명령을 통해 상태에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전산 장비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산 장비별 제어 조건은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항온항습기 각각은 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수도(水道)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대해, 제1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센서 그룹과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항온항습기는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시간별 제어 명령은 제1 온도와 제2 온도의 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물 공급 수단에 포함된 냉각제의 냉각 정도 및 상기 수도에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3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센서 그룹을 통해 측정된 온도이며,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전산 장비 별로 설정된 목표 온도 중에서 상기 수도와 연결된 항온항습기와 제2 대응관계로 매칭되어 있는 전산 장비의 목표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산실의 천장 높이를 획득하고, 상기 전산실의 천장 높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산 장비 각각에 설정된 목표 온도를 더 조정하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제2 전산 장비는,
    상기 제2 전산 장비의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2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2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 차이값 및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온도 차이값과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온도 차이값이 상기 제2 온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온도 차이값이 상기 제1 온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항온항습기와 상기 제2 항온항습기가 번갈아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와 상기 제1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의 차이인 제1 습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1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 그룹에서 측정된 습도와 상기 제2 전산 장비에 설정된 목표 습도의 차이인 제2 습도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전산 장비와 연결된 제2 항온항습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습도 차이값 및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이 기준치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습도 차이값과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습도 차이값이 상기 제2 습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습도 차이값이 상기 제1 습도 차이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항온항습기만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항온항습기와 상기 제2 항온항습기가 번갈아가면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3. 삭제
KR1020200098326A 2020-08-06 2020-08-06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KR10220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26A KR102205565B1 (ko) 2020-08-06 2020-08-06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326A KR102205565B1 (ko) 2020-08-06 2020-08-06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565B1 true KR102205565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326A KR102205565B1 (ko) 2020-08-06 2020-08-06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452B1 (ko) * 2021-06-16 2022-07-05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상수도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자연 냉각 시스템
KR102580070B1 (ko) * 2022-06-21 2023-09-19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데이터 센터용 친환경 자연 냉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762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JP2017167999A (ja) * 2016-03-18 2017-09-21 善郎 水野 センサ管理システム
KR20180033903A (ko) * 2016-09-26 2018-04-04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데이터 센터 관리 시스템
KR20200083294A (ko) * 2018-12-28 2020-07-08 윤명혁 항온항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762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가상 성능 및 가상 성능의 조합을 이용한 서버실 내 인프라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JP2017167999A (ja) * 2016-03-18 2017-09-21 善郎 水野 センサ管理システム
KR20180033903A (ko) * 2016-09-26 2018-04-04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데이터 센터 관리 시스템
KR20200083294A (ko) * 2018-12-28 2020-07-08 윤명혁 항온항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452B1 (ko) * 2021-06-16 2022-07-05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상수도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자연 냉각 시스템
KR102580070B1 (ko) * 2022-06-21 2023-09-19 호스트웨이아이디씨(주) 데이터 센터용 친환경 자연 냉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565B1 (ko) 전산 장비 무선 온습도 관리 시스템
US10230240B2 (en) Low-frequency ancillary power grid services
US20190146423A1 (en) Feedback control system with normalized performance indices for setpoint alarming
US10102757B2 (en) Secure unmanned vehicle operation and monitoring
CN105900540B (zh) 数据中心控制方法和系统
US7792597B2 (en) Control systems and method using a shared component actuator
US9671840B2 (en) Multiple level computer system for temperature management for cooling fan control
Ghantasala et al. Active fault‐tolerant control of sampled‐data nonlinear distributed parameter systems
US8600566B1 (en) Thermal management smart valve with rupture detection and isolation
US11003163B2 (en) Voice control of components of a facility
Wang et al. A robust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strategy for pressure-independent VAV terminals of real office buildings
US10061365B2 (en) Temperature prediction system using prediction models, temperature prediction method using prediction model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rein program for temperature prediction using prediction models
WO2015089295A2 (en) Comfortable, energy-efficient control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40039844A1 (en) Determining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model for a building
Cui et al. A gradient-based adaptive balancing method for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US20180087358A1 (en) Controlling operation of a steam-assisted gravity drainage oil well system by adjusting controls to reduce model uncertainty
Lin et al. Real-time forecasting of building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 via ensemble kalman filter
KR102205566B1 (ko) 전산 장비 유지 보수를 위한 이상 감지 시스템
US9785505B1 (en) Communicative building management system for data loss prevention
Ma et al. Three-dimensional sliding mode guidance law for maneuvering target with prescribed performance and input saturation
US10228668B2 (en) Management of airflow provisioning to meet a cooling influence redundancy level
KR102229966B1 (ko) 인공지능 기반 전산 장비 관리 시스템
US20190022441A1 (en) Portable fire detection and suppression vehicle
KR102388757B1 (ko) 가상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 안전 제어 시스템
Zhao et al. Global Self-Optimizing Control With Data-Driven Optimal Selection of Controlled Variables With Application to Chill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