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758A -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758A
KR20170100758A KR1020160022990A KR20160022990A KR20170100758A KR 20170100758 A KR20170100758 A KR 20170100758A KR 1020160022990 A KR1020160022990 A KR 1020160022990A KR 20160022990 A KR20160022990 A KR 20160022990A KR 20170100758 A KR20170100758 A KR 2017010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endoscope
connecting unit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to KR102016002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758A/ko
Publication of KR2017010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4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electrical, e.g.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내시경의 와이어 연결구조로서, 단락된 삽입부의 제1 와이어와, 조작부의 제2 와이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일측에 단락된 상기 제1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밑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연결유닛; 일측이 단락된 상기 제2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상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연결유닛; 상기 제2 연결유닛 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편, 상기 조작부 외곽에 마련되고 내주에 나선의 안부홈이 형성된 이동다이얼 및 일측이 가압편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에 소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가압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부와 조작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연결유닛을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내시경을 분리 상태로의 보관 및 수납이 가능하므로, 보관의 편의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Wire connecting unit for divisible endoscope}
본 발명은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시경은 삽입부와 조작부로 분리될 수 있으며, 삽입부의 제1 와이어와 조작부의 제2 와이어가 이물림 구조의 연결유닛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하지 못한 영역(예를 들어, 협소한 공간의 내부 및 파이프와 같은 관체의 내부)을 관찰 또는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근래 들어 특히 의료용으로서, 위생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선택적 폐기가 용이하도록 내시경의 유지 부분과 폐기 부분의 분리 가능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9412호에 탈착이 용이한 삽입부를 구비한 의료용 내시경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내시경은, 의료용 내시경에 있어서, 조작부 조명 가이드와 조작부 이미지 가이드 및 다수의 조작부 관로를 내장하는 조작부와; 삽입부 조명 가이드와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 및 다수의 삽입부 관로를 내장하고, 일단에 상기 삽입부 조명 가이드,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 및 삽입부 관로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가 구비되는 삽입부와; 일단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부 조명 가이드, 조작부 이미지 가이드 및 조작부 관로에 대응하는 상기 커넥터와 각각 연결해주는 다수의 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구 내에서 연결되는 상기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 및 조작부 이미지 가이드 사이에 상기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어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이를 통하여, 인체의 체강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오염되거나 기능상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내시경을 통한 인체 감염 및 오염으로부터의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종래의 내시경은 조작부와 삽입부가 연결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물리적 결합구조가 불분명하며, 특히, 내시경의 굴곡을 제어하는 와이어의 연결수단이 전혀 개시되고 있지 않아 실시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삽입부와 조작부 사이의 단락된 와이어를 서로간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와이어 연결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6734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연구개발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부와 조작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연결유닛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이어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부와 조작부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세균에 대한 노출빈도가 높은 삽입부의 별도 폐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오염된 내시경의 재사용에 따른 감염 등 의료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 폐기가 아닌 부분적 폐기를 통해 자원낭비와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삽입부와 조작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연결유닛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조작부를 이용한 삽입부의 굴곡제어가 용이하며, 따라서 환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연결유닛을 복수로 적용하여 길이가 매우 길게 구성되는 내시경을 구축할 수도 있으며, 이로부터 의료용 이외에도 내시경의 적용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체결을 일련의 이물림 기구를 통하여 구현하며, 이물림 기구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와이어의 슬라이드 이동이 충분히 용이하도록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체결의 이물림 기구가 삽입부와 조작부간 암수 연결관계에 따라서 용이하게 물림 및 물림 해제되도록 구동됨으로써 와이어 체결의 용이성이 구현되도록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링 형태의 스위치의 전후(길이방향) 이동만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유닛과 제2 연결유닛의 결속 또는 탈락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리형 내시경의 와이어 연결구조로서, 단락된 삽입부의 제1 와이어와, 조작부의 제2 와이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일측에 단락된 상기 제1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하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연결유닛; 일측이 단락된 상기 제2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상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연결유닛; 상기 제2 연결유닛 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를 가압하는 가압편, 상기 조작부 외곽에 마련되고 내주에 나선의 안부홈이 형성된 이동다이얼 및 일측이 가압편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가압부;를 개시한다.
제1 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 타측과 제1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1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연결유닛과 대향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타측에 일체로 마련되고,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상기 삽입부와 조작부의 단락된 단부에 관체형태로 마련된 터널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널은, 단락된 상기 삽입부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제1 터널; 및 단락된 상기 조작부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제2 터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널은, 상기 제1 터널 단부 외곽으로 돌출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제2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접부재; 및 상기 간접부재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널 단부 일부를 삭제한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접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제2탄성체를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편과 마주하는 적어도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널은, 상기 제1 터널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2 터널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유닛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형 내시경으로서, 단락된 삽입부의 제1 와이어와, 조작부의 제2 와이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일측에 단락된 상기 제1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하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연결유닛; 일측이 단락된 상기 제2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상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연결유닛; 및 상기 제1 연결유닛 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편, 상기 삽입부 외곽에 마련되고 내주에 나선의 안내홈이 형성된 이동다이얼 및 일측이 가압편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가압부;를 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부와 조작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연결유닛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내시경을 분리 상태로의 보관 및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관의 편의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연결유닛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이어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세균에 대한 노출빈도가 높은 삽입부의 별도 폐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오염된 내시경의 재사용에 따른 감염 등 의료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내시경 전체적인 폐기가 아닌 삽입부만 부분적으로 폐기함으로써 자원낭비와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연결유닛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조작부를 이용한 삽입부의 굴곡제어가 용이하며, 따라서 환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연결유닛을 복수로 적용하여 길이가 매우 길게 구성되는 내시경을 구축할 수도 있으며, 이로부터 의료용 이외에도 내시경의 적용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체결을 일련의 이물림 기구를 통하여 구현하며, 이물림 기구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와이어의 슬라이드 이동이 충분히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체결의 이물림 기구가 삽입부와 조작부간 암수 연결관계에 연동하여 물림 및 물림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 체결의 용이성이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유닛이 설치된 내시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내시경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유닛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내시경을 기초하여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고 있으나, 의료용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의료용은 물론, 협소한 공간을 촬영하는 영상도구에서 선단 굴곡을 제어하는 와이어의 연결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선단의 굴곡 제어는 조작부에 마련된 컨트롤러를 통해 이루어지고, 컨트롤러는 통상의 물리적 레버 및 다이얼이거나, 단말의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아니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연결유닛이 대칭의 구조를 가지는 두 개의 실시예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다만 이하에서는 이 중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대칭 구조는 그 기재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설명가능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히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유닛이 설치된 내시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내시경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10)은 삽입부(20)와 조작부(30)를 포함하며, 삽입부(20)는 조작부(30)의 제어를 통해 선단이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이는 와이어의 견인에 따라 삽입부(20) 선단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삽입부(20)는 조작부(30)를 통해 견인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며, 이는 내시경 통상의 굴곡 제어에 관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삽입부(20)의 굴곡 제어는 조작부(30)에 마련된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컨트롤러는 레버, 다이얼 및 전자적 제어수단(예를 들어, 모터 및 단말을 이용한 제어)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내시경(10)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삽입부(20)의 제1 와이어(21)와 조작부(30)의 제2 와이어(31)는 단락된 상태로서, 와이어 연결유닛(100)을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내시경(10)을 분리 상태로의 보관 및 수납이 가능하므로 보관의 편의성 및 이동성을 향상은 물론, 삽입부(20) 및 조작부(30)에 대한 선택적 교체와 폐기가 가능하므로 자원 낭비와 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복수의 와이어 연결유닛(100)을 이용한다면 삽입부(20)의 길이 연장이 상당수준으로 가능하므로, 협소한 관로, 기설정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촬영 및 검사가 용이하다.
와이어 연결유닛(100)은 삽입부(20)의 제1 와이어(21)가 연결되는 제1 연결유닛(110)과 조작부(30)의 제2 와이어(31)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닛(120) 및 제1 연결유닛(110)과 제2 연결유닛(120)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와이어 연결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130)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유닛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4는 제2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은 제1 와이어(21)가 연결되고 제1 터널(131)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연결유닛(110), 제2 와이어(31)가 연결되고 제2 터널(137)을 통해 설치되는 제2 연결유닛(120) 및 제1 연결유닛(110)과 제2 연결유닛(120)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터널은 도 6과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이 조작부(30) 견인에 의해 L 또는 R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결합부(113)의 압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제1 결합부(113)가 탄성에 의해 제2 결합부(123)와 이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관체의 구조물이다.
제1 연결유닛(110)은 일측에 제1 와이어(21)가 연결되는 제1 블록(111), 제1 블록(111) 타측과 제1 힌지(11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결합부(113) 및 제1 블록(111)과 제1 결합부(1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결합부(113)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 탄성체(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블록(111)은 제1 와이어(21)와 세트스크루(S)를 통해 결합되고, 외곽은 제1 터널(131) 내곽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이루며, 적어도 둘레가 제1 터널(131)과 같거나 소정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연결유닛(110)은 제1 결합부(113)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도 5와 같이 가압부(160)와 제1 결합부(113) 사이에서 가압부(160)의 압력을 전달하는 간접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간접부재(150)는 가압부(160)에 의한 직접적 가압이 용이하지 못할 때,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낙차(제1 가압부와 가압편의 높이)가 발생할 경우, 가압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낙차에 대한 갭(gap)을 메우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접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널(131)에 마련된 브래킷(133)과 제2 힌지(1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간접부재(150)는 제2 탄성체(153)를 통해 제1 결합부(113)와 동일한 탄성이 부여된다.
여기서, 제1 탄성체(117)와 제2 탄성체(153)는 판,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판 스프링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2 연결유닛(120)은 일측에 제2 와이어(31)가 연결되는 제2 블록(121), 제2 블록(121)의 타측에 마련되어 제1 결합부(113)와 이물림되는 제2 결합부(123)를 포함하며, 제2 블록(121)과 제2 결합부(12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2 와이어(31)는 제2 블록(121)과 세트스크루(S)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블록(121)은 외곽이 제2 터널(137) 내곽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이루며, 적어도 둘레가 제2 터널(137)과 같거나 소정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터널(137) 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39)가 더 형성되며, 절개부(13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부재(150)의 수용 공간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은 제1 연결유닛(110)과 제2 연결유닛(120)의 이물림을 통해 결합되나, 이물림과 그 이물림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가압부(160)에 의한 것이며, 가압부(160)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구성에 대한 부호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60)는 제2 터널(137)과 조작부(30) 사이에 배치된 가압편(161), 조작부(30) 외곽에 설치된 이송다이얼(167), 가압편(161)과 이송다이얼(167) 사이에 설치된 연결핀(1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편(161)은 일측 단부에 첨예부(162)가 형성되고, 연결핀의 일단이 결합되는 몸체(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다이얼(167)은 조작부(30) 외주에 마련되고 내주에 나선형태의 안내홈(169)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165)은 이송다이얼(167)과 가압편(161) 사이에서 일측이 몸체(163)와 자웅 결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나사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측은 안내홈(169)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송다이얼(167)을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핀(165)은 나선의 안내홈(169)을 따라 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단에 체결된 가압편(161)을 함께 견인한다. 가압편(161)이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첨예부(162)가 간접부재(150)의 선단을 가압하여 간접부재(150)가 절개부(139)에 수용되면서 제1 결합부(11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 결합부(113)와 제2 결합부가 이물림되도록 한다. 이로써, 제1 결합부(113)와 제2 결합부(123)는 가압부(160)에 의해 서로 연결상태가 유지되며, 해제시에는, 이송다이얼(167)을 a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 결합부(113)와 제2 결합부(123)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다이얼(167)과 가압편(161)은 링(ring)의 형태인 것이며, 이송다이얼(167)의 회전만으로, 터널(13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연결유닛(100)을 동시에 연결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을 통해 연결된 제1 와이어(21)와 제2 와이어(31)는 조작부의 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터널(13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 시, 삽입부(20)의 선단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굴곡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중심선 C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을 삭제한 종단면의 일부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와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이 컨트롤러에 의해 L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시하지 않았으나, 삽입부(20) 선단은 도면에서 하방으로 굴곡될 것이며, 도 6b와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이 컨트롤러에 의해 R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삽입부 선단은 상방으로 굴곡될 것이다.
한편, 와이어 연결유닛(100)은 컨트롤러의 견인을 즉, 조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굴곡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연결유닛(1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터널(130)에 코일 스프링을 더 내재시킬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제1 터널(131)에 내재되는 제1 코일 스프링(135)과 제2 터널(137)에 내재되는 제2 코일 스프링(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부의 견인력이 해제되면 중립상태(삽입부의 굴곡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작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은 물론, 오작동에 의한 의료사고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내시경 20 : 삽입부
21 : 제1 와이어 30 : 조작부
31 : 제2 와이어 100 : 와이어 연결유닛
110 : 제1 연결유닛 111 : 제1 블록
113 : 제1 결합부 115 : 제1 힌지
117 : 제1 탄성체 120 : 제2 연결유닛
121 : 제2 블록 123 : 제2 결합부
130 : 터널 131 : 제1 터널
133 : 브래킷 135 : 제1 코일 스프링
137 : 제2 터널 139 : 절개부
141 : 제2 코일 스프링 150 : 간접부재
151 : 제2 힌지 153 : 제2 탄성체
160 : 가압부 161 : 가압편
162 : 첨예부 163 : 몸체
165 : 연결핀 167 : 이송다이얼
169 : 안내홈

Claims (9)

  1. 분리형 내시경으로서,
    단락된 삽입부의 제1 와이어와, 조작부의 제2 와이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일측에 단락된 상기 제1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하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연결유닛;
    일측이 단락된 상기 제2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상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연결유닛; 및
    상기 제2 연결유닛 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편, 상기 조작부 외곽에 마련되고 내주에 나선의 안내홈이 형성된 이동다이얼 및 일측이 가압편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1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 타측과 제1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1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연결유닛과 대향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제1 탄성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타측에 일체로 마련되고,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상기 삽입부와 조작부의 단락된 단부에 관체형태로 마련된 터널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단락된 상기 삽입부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제1 터널; 및
    단락된 상기 조작부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제2 터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상기 제1 터널 단부 외곽으로 돌출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제2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접부재; 및
    상기 간접부재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터널 단부 일부를 삭제한 절개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부재는,
    상기 삽입부에 제2탄성체를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편과 마주하는 적어도 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상기 제1 터널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유닛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2 터널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유닛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코일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9. 분리형 내시경으로서,
    단락된 삽입부의 제1 와이어와, 조작부의 제2 와이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일측에 단락된 상기 제1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하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1 연결유닛;
    일측에 단락된 상기 제2 와이어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상면에 산과 골이 교번하게 연속 배치된 제2 연결유닛; 및
    상기 제1 연결유닛 외곽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결유닛을 가압하는 가압편, 상기 삽입부 외곽에 마련되고 내주에 나선의 안내홈이 형성된 이동다이얼 및 일측이 가압편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KR1020160022990A 2016-02-26 2016-02-26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KR20170100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90A KR20170100758A (ko) 2016-02-26 2016-02-26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90A KR20170100758A (ko) 2016-02-26 2016-02-26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758A true KR20170100758A (ko) 2017-09-05

Family

ID=5992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990A KR20170100758A (ko) 2016-02-26 2016-02-26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7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1706A (zh) * 2018-04-18 2020-10-02 太雄医疗器株式会社 具有分离型探头的内窥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1706A (zh) * 2018-04-18 2020-10-02 太雄医疗器株式会社 具有分离型探头的内窥镜
CN111741706B (zh) * 2018-04-18 2023-10-20 太雄医疗器株式会社 具有分离型探头的内窥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225B1 (ko) 탄력적 이물림 구조를 갖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US11642006B2 (en) Detachable endoscope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CN101057775B (zh) 内窥镜辅助连接设备
KR101091999B1 (ko)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EP2648598B1 (de) Handbetätigtes endoskop für medizinische zwecke
US20050192481A1 (en) Laryngoscope and camera coupling
US20160261846A1 (en) Wireless transfer system
EP2958506A1 (en) Surgical tool holding device, endoscope, and medical system
JP6813679B2 (ja) 内視鏡先端部、及び内視鏡先端部を備えた内視鏡
KR20140063947A (ko) 분리형 내시경
EP2977150A1 (en) Manipulator
KR102190216B1 (ko) 착탈분리형 내시경
US11642007B2 (en) Detachable endoscope having wire buffer function
WO1999017828A2 (de) Endoskopische einführhilfsvorrichtung
JP2017535314A (ja) 尿管鏡のための取付けデバイス
CN106821286A (zh) 一次性电子内窥镜
KR20170100758A (ko)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JP7288524B2 (ja) 軟性内視鏡
US11571114B2 (en) Detachable endoscope
EP3203896B1 (de) Endoskop mit lösbarem handgriff
JP4709528B2 (ja) 内視鏡装置
CN207323443U (zh) 一次性使用的电子内窥镜
KR101614939B1 (ko)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KR200461877Y1 (ko) 내시경
CN105193631A (zh) 营养管和营养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