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753A - 보이스 퍼즐 장치 - Google Patents

보이스 퍼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753A
KR20170100753A KR1020160022980A KR20160022980A KR20170100753A KR 20170100753 A KR20170100753 A KR 20170100753A KR 1020160022980 A KR1020160022980 A KR 1020160022980A KR 20160022980 A KR20160022980 A KR 20160022980A KR 20170100753 A KR20170100753 A KR 2017010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pl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oic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222B1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훔
Priority to KR102016002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2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A63F2009/08
    • A63F2009/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복수개의 퍼즐 유닛이 배치될 수 있는 퍼즐 상판; 상기 퍼즐 상판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 퍼즐 하판;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음원 데이터가 식별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오디오 메모리; 음원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 음원 데이터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식별정보 메모리;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식별정보 메모리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식별정보에 할당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이스 퍼즐 장치{Apparatus for voice puzzle}
본 발명은 퍼즐 장치로서, 복수개의 퍼즐 유닛을 끼워 맞추는 퍼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평균 수명이 증대됨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 중에서 상당수의 노인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노인들이 가장 피하고 싶은 병중에 하나가 치매이다. 치매(dementia)는 지적 수준이 정상이던 사람이 뇌의 각종 질환으로 인하여, 정상인의 지정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일컫는다.
이러한 치매는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증상호전 가능성이 있는 치매(reversible or treatable dementia) 등으로 구분되는데, 알쯔하이머병은 퇴행성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던 뇌세포들이 특정한 원인 없이 서서히 죽어 가면서 발병하게 된다. 혈관성 치매와 증상호전 가능성이 있는 치매는 모두 증상을 중지시키거나,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대략 40 퍼센트 정도에 해당한다.
치매는 치유가 불가능한 병으로 생각해버리는 사회적 인식 부족, 또한 간호 인력 부족, 경제적이 부담, 초기 진단 및 조기 발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환자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들은 엄청난 육체적 또는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치매로 인한 기억력 감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매환자의 두뇌활성화를 위한 놀이치료에 오감을 다양하게 자극하는 것이 좋다. 임상실험 결과에 따르면, 치매환자로 하여금 퍼즐 맞추기 게임을 수행하도록 할 경우, 퍼즐을 맞추는 시간을 단축시킬수록 기억력 유지를 향상시켜 치매의 진행 속도를 낮추며, 또한 치매 환자의 공격적 성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데, 이러한 퍼즐 게임의 경우, 단순하게 퍼즐 조각들을 맞추는 것에 불과할 뿐이어서, 퍼즐 맞추는 재미가 감소되며, 또한 퍼즐 맞춘 후에 아무런 보상이 제공되지 않아 퍼즐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가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심리 치료가 가능한 퍼즐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2-0066394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심리 치료가 가능한 퍼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퍼즐 조각들을 맞추는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복수개의 퍼즐 유닛이 배치될 수 있는 퍼즐 상판; 상기 퍼즐 상판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 퍼즐 하판;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음원 데이터가 식별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오디오 메모리; 음원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 음원 데이터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식별정보 메모리;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식별정보 메모리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식별정보에 할당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이스 퍼즐 장치는, 상기 퍼즐 하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 메모리, 스피커, 및 제어모듈이 마련된 메인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판은, 음악 재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음악 재생 버튼과, 음성 재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음성 재생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음악 재생 버튼의 선택이 있는 상기 오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음성 재생 버튼의 선택이 있는 상기 오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메모리는 메모리 카드 형태로 마련되며, 메모리 카드 슬롯이 마련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 형태의 오디오 메모리가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이스 퍼즐 장치는, 상기 퍼즐 하판과 메인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기판의 상부를 보호하는 기판 상측 보호판; 및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를 보호하는 기판 하측 보호판;을 할 수 있다.
상기 퍼즐 상판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 재질의 상판 바닥면; 상기 상판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퍼즐 유닛; 및 상기 상판 바닥면을 둘러싸는 상판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조도 센서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개의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량을 이용하여 상기 퍼즐 상판의 상판 바닥면에 배치된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퍼즐 유닛은, 고유한 태그번호가 할당된 NFC 태그가 내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NFC 판독 센서로 구현되어, 상기 퍼즐 상판에 배치되는 퍼즐 유닛의 NFC 태그의 태그번호를 판독하여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퍼즐 유닛의 뒷면에 (퍼즐 유닛별로 다른 형태의) 금속 조각이 돌출되어 있으며,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상기 퍼즐 유닛에서 돌출된 금속 조각의 끝에 접촉될 수 있는 금속 조각이 마련되어 회로판과 접촉이 고정되어 있으며, 퍼즐 유닛이 정해진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금속 조각을 통해 퍼즐 유닛이 감지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및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퍼즐을 맞추어 퍼즐이 맞추어지는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음성 및 음악을 제공해줄 수 있어, 퍼즐 조각들을 맞추는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매 환자가 능동적으로 퍼즐을 즐기게 되어 심리 치료 및 기억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퍼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퍼즐 장치의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퍼즐 장치의 퍼즐 상판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지 센서가 조도 센서로 구현될 때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마련된 복수의 조도 센서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즐 하판에 마련된 복수의 조도 센서가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FC 태그가 내장된 퍼즐 유닛이 퍼즐 상판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즐 상판의 일부의 NFC 태그가 내장된 퍼즐 유닛이 퍼즐 상판에 일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퍼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퍼즐 장치의 결합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퍼즐 장치의 퍼즐 상판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퍼즐 장치는 그림, 사진, 문양 등을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시킨 후, 사용자가 분리된 퍼즐 유닛(P)의 조각을 짜맞추어 해당 그림이나 문양이 나오도록 하는 놀이기구이다. 이러한 퍼즐 장치는 사물의 모양대로 생긴 퍼즐 유닛(P)을 여러 가지 모양별로 끼워 맞추는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이스 퍼즐 장치(100)라 함은, 퍼즐의 배치 상태에 따라서 음악이나 음성 등의 보이스를 각각 다르게 출력하는 퍼즐 장치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보이스 퍼즐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즐 상판(110), 퍼즐 하판(120), 기판 상측 보호판(130), 메인 기판(140), 및 기판 하측 보호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퍼즐 상판(110)은, 복수개의 퍼즐 유닛(P)이 배치될 수 있는 플레이트판이다. 따라서 그림, 사진, 문양 등을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된 퍼즐 유닛(P)을, 사용자가 그림, 사진, 문양에 맞추어서 플레이트판 위에 모양별로 끼워넣어 배치시킬 수 있다.
퍼즐 상판(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상판 바닥면(112), 상판 바닥면(112)을 둘러싸는 상판 테두리(111), 상판 바닥면(112)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퍼즐 유닛(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즐 유닛(P)이 배치되지 않은 투명 재질의 상판 바닥면(112) 상에, 사용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퍼즐 유닛(P)을 서로 끼어넣어 배치시킬 수 있다.
퍼즐 하판(120)은, 퍼즐 상판(110)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퍼즐 유닛(P)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다. 감지 센서를 통해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도 센서(121)로 구현한 감지 센서를 통해 퍼즐 유닛(P)이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의 1/2 정도만 배치되었다든지, 또는 1/4 정도만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NFC 판독 센서(122)로 구현한 감지 센서를 통해 퍼즐 상판(110)에 배치된 퍼즐 유닛(P)의 식별번호를 판독하여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도 센서(121), NFC 판독 센서(122)의 각각의 감지 동작 모습은 도 4 내지 도 7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기판 상측 보호판(130)은, 퍼즐 하판(120)과 메인 기판(140) 사이에 위치하여, 메인 기판(140)의 상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퍼즐 유닛(P)을 퍼즐 상판(110)에 끼워 넣을 때 완충 역할을 하게 한다. 기판 상측 보호판(130)에는 메인 기판(140)에 돌출되어 마련된 배터리(10), 스피커(20), 제어모듈(30)이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복수의 모듈 배치홀(H)이 마련된다.
기판 하측 보호판(150)은, 메인 기판(140)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메인 기판(140)의 하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하측의 충격으로부터 메인 기판(14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기판(140)은, 퍼즐 하판(120)의 하측에 위치하여, 배터리(10), 오디오 메모리(미도시), 스피커(20), 식별정보 메모리(미도시), 및 제어모듈(3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디오 메모리(미도시), 스피커(20), 및 제어모듈(30)이 단일의 메인 기판(140)에 함께 마련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지 오디오 메모리(미도시), 스피커(20), 및 제어모듈(30)이 메인 기판(140)이 아닌 다른 기판, 예컨대, 기판 상측 보호판(130), 기판 하측 보호판(150) 등에 나누어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스피커(20)는, 음원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출력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스피커(20)의 종류 역시 제한이 없을 것이다.
오디오 메모리(미도시)는,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음원 데이터가 식별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메모리이다. 예를 들어, 제1식별정보에는 제1음악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2식별 정보에는 제2음악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3식별 정보에는 제1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4식별 정보에는 제3음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데이터는 리듬과 악보를 가지는 음악으로서 고전 음악, 국악, 현대 음악 등과 같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의 녹음 목소리, 동물 소리, 풍경 소리 등과 같이 역시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오디오 메모리(미도시)는, 메모리 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메모 기판(140)에는 메모리 카드 슬롯(40)이 마련되어, 메모리 카드 형태의 오디오 메모리(미도시)가 메인 기판(140)에 마련된 메모리 카드 슬롯(40)에 삽입된다. 제어 모듈(30)에 마련된 메모리 카드 판독기(미도시)에서 메모리 카드 슬롯(40)에 삽입된 오디오 메모리를 판독하게 된다.
식별정보 메모리(미도시)는,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 음원 데이터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의 1/4 면적만 퍼즐 유닛(P)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1음성 데이터(예컨대, '아직 갈 길이 멀어요'라는 음성)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되며,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의 1/2 면적만 퍼즐 유닛(P)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2음성 데이터(예컨대, '이제 반을 퍼즐 맞추셨네요'라는 음성)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되며,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에 모두 퍼즐 유닛(P)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3음성 데이터(예컨대, '퍼즐을 모두 완성하셨네요. 축하합니다'라는 음성)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퍼즐 상판(110)의 배치된 퍼즐 유닛(P)의 NFC 태그번호가 제1,3,5태그번호인 경우에는 제4음성 데이터(예컨대, 제1,3,5태그번호의 퍼즐 결합에 의해 형성된 강아지 그림에 따른 강아지 음성)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NFC 태그번호가 제2,4,9태그번호인 경우에는 제1음악 데이터(예컨대, 제2,4,9태그번호의 퍼즐 유닛(P)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형상의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오디오 메모리(미도시)와 식별 정보 메모리(미도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모리를 구별하여 호칭하였을 뿐이지 동일 제품의 단일의 메모리에 오디오와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어 모듈(30)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서 식별정보 메모리(미도시)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식별정보에 할당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결과,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의 1/4 면적만 퍼즐 유닛(P)이 배치된 퍼즐 배치 상태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에 할당된 제1음성 데이터의 식별정보인 제1-1식별정보를 식별정보 메모리(미도시)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제1음성 데이터의 식별정보인 제1-1식별정보에 할당되어 저장된 제1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메모리(미도시)에서 추출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하다. 따라서 스피커(20)를 통해 제1음성 데이터인 '아직 갈 길이 멀어요'라는 음성이 아날로그 형태로 흘러나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퍼즐을 맞추는 사람은 현재의 퍼즐 결합 정도를 알게 되어, 더욱 퍼즐 맞추기에 몰두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NFC 태그가 내장된 퍼즐 유닛(P)을 감지한 결과, 퍼즐 상판(110)에 제5태그번호를 가진 제5퍼즐 유닛, 제6태그번호를 가진 제6퍼즐 유닛이 결합되어 퍼즐 상판(110)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에 할당된 제1음악 데이터의 식별정보인 제2-1식별정보를 식별정보 메모리(미도시)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제1음악 데이터의 식별정보인 제2-1식별정보에 할당되어 저장된 제1음악 데이터를 오디오 메모리(미도시)에서 추출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하다. 따라서 스피커(20)를 통해 제1음악 데이터(제5,6태그번호의 퍼즐 유닛(P)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형상의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 아날로그 형태로 흘러나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퍼즐을 맞추는 치매환자가 퍼즐을 맞추다가 제2,3,7태그번호의 퍼즐 유닛(P)의 결합하여 치매환자의 남편 형상이 나타나게 된 경우, 치매환자의 남편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이 스피커(20)를 통해 흘러나와 치매환자의 기억력 저하를 차단시킬 수 있다. 물론 음악 데이터가 아니라 치매환자의 남편의 음성녹음이 스피커(20)를 통해 흘러나오도록 하여 치매환자의 기억력에 도움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밖에 메인 기판(140)은, 배터리(10), 전원버튼(31), 음악 재생 버튼(32), 음성 재생 버튼(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재생 버튼(32)은 메인 기판(140)의 제어 모듈(30)에 마련되어, 음악 재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버튼이다. 음성 재생 버튼(33)은, 메인 기판(140)의 제어 모듈(30)에 마련되어, 음성 재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버튼이다.
따라서 제어 모듈(30)은, 음악 재생 버튼(32)의 선택이 있는 오디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하며, 음성 재생 버튼(33)의 선택이 있는 오디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악을 듣거나 음성을 듣고자 하는 경우, 퍼즐 상판(110)을 걷어내고 노출된 퍼즐 하판(120)상에서 음악 재생 버튼(32), 음성 재생 버튼(33)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퍼즐 하판(120)에는 메인 기판(140)의 제어 모듈(30)에 마련된 음악 재생 버튼(32), 음성 재생 버튼(33)과 대향된 위치에 버튼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버튼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퍼즐 하판(120)은 필름 형태의 얇은 막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의 눌림이 있을 때 눌림 압박을 메인 기판(140)의 제어 모듈(30)에 마련된 전원 버튼(31), 음악 재생 버튼(32), 및 음성 재생 버튼(33)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퍼즐 하판(120)에 마련된 감지 센서는, 퍼즐 상판(110)에 배치되는 퍼즐 유닛(P)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감지 수단으로 조도 감지, NFC 판독 감지, 금속 조각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과 함께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지 센서가 조도 센서로 구현될 때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마련된 복수의 조도 센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즐 하판에 마련된 복수의 조도 센서가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FC 태그가 내장된 퍼즐 유닛이 퍼즐 상판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퍼즐 상판의 일부의 NFC 태그가 내장된 퍼즐 유닛이 퍼즐 상판에 일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우선, 감지 센서가 조도 센서(121)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는, 퍼즐 하판(12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조도 센서(121)로 구현되어, 복수개의 조도 센서(121)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량을 이용하여 퍼즐 상판(110)의 상판 바닥면(112)에 배치된 퍼즐 유닛(P)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121)로 구현한 감지 센서를 통해 퍼즐 유닛(P)이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의 1/2 정도만 배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퍼즐 유닛(P)이 퍼즐 상판(110)의 전체 면적의 1/4 정도만 배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센서가, 퍼즐 하판(120)에서 NFC 판독 센서(122)로 구현될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퍼즐 유닛(P)의 내부에는 고유한 태그 번호가 할당된 NFC 태그가 내장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퍼즐 유닛(P)은 태그번호가 각각 다른 NFC 태그를 각각 내장하도록 한다.
감지 센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즐 하판(12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NFC 판독 센서(122)로 구현되어, 퍼즐 상판(110)에 배치된 퍼즐 유닛(P)의 NFC 태그의 태그번호를 판독하여 퍼즐 유닛(P)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할당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NFC 태그가 내장된 퍼즐 유닛(P)을 NFC 판독 센서(122)를 통해 감지한 결과, 퍼즐 상판(110)에 제5태그번호를 가진 제5퍼즐 유닛(P), 제6태그번호를 가진 제6퍼즐 유닛(P)이 결합되어 퍼즐 상판(110)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5,6태그번호의 그룹에 할당된 음악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퍼즐을 맞추는 치매환자가 퍼즐을 맞추다가 제5,6태그번호의 퍼즐 유닛(P)의 결합하여 치매환자의 남편 형상이 나타나게 된 경우, 치매환자의 남편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이 스피커(20)를 통해 흘러나와 치매환자의 기억력 저하를 차단시킬 수 있다. 물론 음악 데이터가 아니라 치매환자의 남편의 음성녹음이 스피커(20)를 통해 흘러나오도록 하여 치매환자의 기억력에 도움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센서가 금속 조각으로 구현될 경우, 감지 센서는, 퍼즐 유닛의 뒷면에 퍼즐 유닛별로 다른 형태의 금속 조각(이하, '퍼즐 금속 조각'이라 함)이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퍼즐 유닛에서 돌출된 퍼즐 금속 조각의 끝에 접촉될 수 있는 금속 조각(이하, '하판 금속 조각'이라 함)이 마련되어 회로판과 접촉이 고정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퍼즐 유닛이 정해진 위치에 놓이게 되면 퍼즐 금속 조각과 하판 금속 조각을 통해 퍼즐 유닛이 감지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제어모듈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및 음악을 재생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보이스 퍼즐 장치 110:퍼즐 상판
120:퍼즐 하판 130:기판 상측 보호판
140:메인 기판 150:기판 하측 보호판

Claims (10)

  1. 복수개의 퍼즐 유닛이 배치될 수 있는 퍼즐 상판;
    상기 퍼즐 상판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된 퍼즐 하판;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음원 데이터가 식별정보별로 할당되어 저장된 오디오 메모리;
    음원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 음원 데이터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식별정보 메모리;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퍼즐 배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식별정보 메모리에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식별정보에 할당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한 보이스 퍼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퍼즐 장치는,
    상기 퍼즐 하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디오 메모리, 스피커, 및 제어모듈이 마련된 메인 기판;
    을 포함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판은,
    음악 재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음악 재생 버튼과, 음성 재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음성 재생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음악 재생 버튼의 선택이 있는 상기 오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음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음성 재생 버튼의 선택이 있는 상기 오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메모리는, 메모리 카드 형태로 마련되며,
    메모리 카드 슬롯이 마련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 형태의 오디오 메모리가 상기 메모리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보이스 퍼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퍼즐 장치는,
    상기 퍼즐 하판과 메인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기판의 상부를 보호하는 기판 상측 보호판; 및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메인 기판의 하부를 보호하는 기판 하측 보호판;
    을 포함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 상판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 재질의 상판 바닥면;
    상기 상판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퍼즐 유닛; 및
    상기 상판 바닥면을 둘러싸는 상판 테두리;
    를 포함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조도 센서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개의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량을 이용하여 상기 퍼즐 상판의 상판 바닥면에 배치된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 유닛은,
    고유한 태그번호가 할당된 NFC 태그가 내장되어 있는 보이스 퍼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NFC 판독 센서로 구현되어, 상기 퍼즐 상판에 배치되는 퍼즐 유닛의 NFC 태그의 태그번호를 판독하여 퍼즐 유닛의 퍼즐 배치 상태를 감지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감지 센서는, 상기 퍼즐 유닛의 뒷면에 (퍼즐 유닛별로 다른 형태의) 금속 조각이 돌출되어 있으며, 퍼즐 하판의 상부면에 상기 퍼즐 유닛에서 돌출된 금속 조각의 끝에 접촉될 수 있는 금속 조각이 마련되어 회로판과 접촉이 고정되어 있으며, 퍼즐 유닛이 정해진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금속 조각을 통해 퍼즐 유닛이 감지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및 음악을 재생하는 보이스 퍼즐 장치.
KR1020160022980A 2016-02-26 2016-02-26 보이스 퍼즐 장치 KR10177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80A KR101778222B1 (ko) 2016-02-26 2016-02-26 보이스 퍼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80A KR101778222B1 (ko) 2016-02-26 2016-02-26 보이스 퍼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753A true KR20170100753A (ko) 2017-09-05
KR101778222B1 KR101778222B1 (ko) 2017-09-14

Family

ID=5992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980A KR101778222B1 (ko) 2016-02-26 2016-02-26 보이스 퍼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66A (ko) * 2020-08-27 2022-03-08 송주영 학습 및 놀이용 스마트 센서 퍼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149B1 (ko) 2019-12-24 2021-10-05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 출력 퍼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24Y1 (ko) * 2001-08-18 2002-04-03 박성식 멜로디나 음성이 나오는 퍼즐 엽서와 카드
KR200305686Y1 (ko) * 2002-11-13 2003-03-03 이차용 음성출력 퍼즐기구
JP2015085060A (ja) * 2013-10-31 2015-05-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絵柄表示装置、絵柄書込装置および絵柄書込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66A (ko) * 2020-08-27 2022-03-08 송주영 학습 및 놀이용 스마트 센서 퍼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222B1 (ko)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389B2 (en) Arrangement for electronically carrying out board role-play and card games
US5841878A (en) Multimedia collectible
KR101376482B1 (ko) 수동조작이 가능한 상호작동 장치
US20060215476A1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WO2003058878A8 (en) Gaming device with biometric system
US20170326445A1 (en) Puzzle system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
US20070093169A1 (en) Interactive book and toy
KR101778222B1 (ko) 보이스 퍼즐 장치
US20060109262A1 (en) Structure of mouse pen
US6979245B1 (en) Puzzle apparatus with audible sounds
CN106820479A (zh) 一种电子手环
RU2006108465A (ru) Способ спарива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и персональной карты
TW201109069A (en) Electrified board game system
KR102510802B1 (ko) 맞춤형 화장품 스마트 세트 보관함
CN207182398U (zh) 一种智能u盾
EA200300548A1 (ru) Игровая система
CN105030545A (zh) 一种老年人盲人用药提示系统及方法
KR100883688B1 (ko) 스위치형 알에프 아이디 태그가 내장된 스마트 북 및 이를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US20060075411A1 (en) Structure of removable storage media player
US20060064185A1 (en) Structure of removable storage media player
CN204791230U (zh) 一种用于身份识别的数字门口机
JP2003203272A (ja) 写真シール作成方法とその自動販売装置
US20240050871A1 (en) Interactive toy-set for playing digital media
KR20110006858A (ko) 비접촉식 알에프 아이씨 스마트 태그가 삽입된 교육용 서적과 휴대용 단말 펜을 이용한 교육시스템 및 방법
JP4674807B2 (ja) スロット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