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272A -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272A
KR20170100272A KR1020160022630A KR20160022630A KR20170100272A KR 20170100272 A KR20170100272 A KR 20170100272A KR 1020160022630 A KR1020160022630 A KR 1020160022630A KR 20160022630 A KR20160022630 A KR 20160022630A KR 20170100272 A KR20170100272 A KR 2017010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edestrian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아
이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2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272A/ko
Publication of KR2017010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5Surv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는 보행자의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분석하여 보행 행태 및 보행 위험 행태를 분석하는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 및 상기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결과 및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Omitted}
본 발명은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도로 및 교차로 횡단보도 지역에서 고령자의 횡단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상충 위험도를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의 위치 및 특성을 수집하는 것은 로봇과 같은 인간과 동기화된 시스템의 연구를 위해 수행하거나, 혹은 의료기기로서의 보행상태를 확인하거나 재활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보행 의도는 보행을 하는 사람의 의도에 관한 것으로 의도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신체의 이동 상태를 추적함으로써 보행 의도를 감지한다. 우리나라 보행자 특히 고령자 사망사고 및 대인사고는 해외의 사례에 비해 높으며 특히 무신호 횡단보도나 교차로에서의 횡단 사고가 높은 상황이다.
도로 및 교차로 횡단보도는 차량과 보행자가 만나는 상충지점으로 보행자가 좌우 시선변화를 통하여 차량 진입여부, 진입속도, 잔여시간을 판단하여 횡단을 하게 되는 지점이다. 최근 고령 보행자의 횡단사고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데 이는 나이가 적은 보행자보다 고령 보행자가 차량 인식에 대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례의 고령자와 비 고령자의 보행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횡단보도의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반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예로, 고령자의 차량 및 위험에 대한 인식시간이 비 고령자에 비하여 20% 늦다면 차량과 보행자간의 위험경고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이를 반영한 위험경고 제공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자 보행에 있어서 횡단 의도 및 행태에 대한 정보 수집과 분석은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행자 횡단 의도 및 분석 기술에 관한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공개번호 10-2011-0093283, 공개번호 10-2012-0085064, 등록번호 10-1338687, 공개번호 10-2015-0100797, 공개번호 10-2015-0115417 등이 있으나 보행자의 의료상의 상태 측정 및 재활을 위한 것과 로봇과 같은 인간과 유사한 시스템 개발에서 활용하기 위해 보행의도를 측정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 주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고령자의 횡단 교통사고 사망자 수 및 사망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위험상황과 고령자 상황판단에서 위험률이 높은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며, 연구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방법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작업은 비용 및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고 여러 지역에서 쉽게 활용하기가 어려워 실제적으로 많은 관심이 있음에도 쉽게 접근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도화된 ICT 기술을 적용하여 고령자 횡단행태를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보행자 횡단행태 관련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보행자의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분석하여 보행 행태 및 보행 위험 행태를 분석하는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 및 상기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결과 및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보 수집부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와 측정지역에 대한 위치 및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기본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도로정보 및 기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교통량, 차량 접근 속도, 차량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보행자 통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조사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위치, 걸음수, 보폭, 보행시간, 보행속도에 대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보행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인지반응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인지반응정보 수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보행자의 기본정보 및 보행 횡단행태 분석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보행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하거나 입력받는 측정/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측정/입력부는 보행자의 보행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모바일 측정부,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영상 측정부 또는 보행자의 보행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Push 버튼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보행자의 기본정보 및 보행 횡단행태 분석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보행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하거나 입력받는 측정/입력부를 더 포함하면서, 정보 수집부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와 측정지역에 대한 위치 및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기본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도로정보 및 기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교통량, 차량 접근 속도, 차량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보행자 통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조사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위치, 걸음수, 보폭, 보행시간, 보행속도에 대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보행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인지반응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인지반응정보 수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표시부는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결과 및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측정/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는 보행자의 개인 특성, 인지반응 능력, 횡단 시간, 횡단 궤적, 시선 방향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행자 횡단행태 관련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자료를 수작업 대신 고도화된 ICT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집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중 정보 수집부 및 측정/입력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중 정보 수집부 및 측정/입력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분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보행자는 교통약자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명백히 밝혀 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는 크게 정보 수집부(10), 정보 저장부(20),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30), 표시부(40), 측정/입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10)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와 측정지역에 대한 위치 및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기본정보 수집부(11), 조사대상 지역의 도로정보 및 기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정보 수집부(12), 조사대상 지역의 교통량, 차량 접근 속도, 차량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13), 보행자 통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조사 정보 수집부(14), 보행자의 위치, 걸음수, 보폭, 보행시간, 보행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보행정보 수집부(15),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16), 보행자의 인지반응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인지반응정보 수집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정보 수집부(11)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로서 보행자의 나이, 성별, 식별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보행 보조기구 이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측정지역에 대한 위치 및 기초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측정/입력부(50)를 통해 보행자 및 관리자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측정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미 획득된 데이터가 있다면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주변정보 수집부(12)는 조사대상 지역의 도로정보로서 도로폭, 도로유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과 기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량정보 수집부(13)는 조사대상 지역의 교통량, 차량 접근 속도, 차량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조사대상 지역의 cctv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설문조사정보 수집부(14)는 보행자에게 측정/입력부(50)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문조사 항목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횡단행태 분석 장치를 이용할 이용자가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보행정보 수집부(15)는 보행자의 보행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측위센서, 가속도센서, GPS 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보행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보행이 시작되는 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데 시작/종료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sh 버튼 측정부(53)를 추가로 구성하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게 하거나 측위센서, 가속도센서, GPS와 같은 장비들과 연동되게 하여 보행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정보 수집부(16)는 보행자의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 보행자의 머리위에 영상 측정부(52)를 고정시켜 설치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지반응정보 수집부(17)는 보행자의 인지반응 검사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인지반응 검사항목에는 Depth Perception Test, Stroop Test, Sustained Attention Test, Field Dependency Test, Divided Attention Test, Trail Making Test 등의 검사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10)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된다. 이때 수집된 정보가 저장되기 위해서는 정보 저장부로 데이터 전송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데이터 전송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유/무선 데이터 전송이 모드 가능할 수 있다.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30)는 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행특성을 분석하여 횡단행태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보행자별로 분석된 데이터는 별도의 결과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결과 저장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횡단행태 분석부(30)를 통해 분석된 결과 및 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된 정보와 측정/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측정/입력부(50)는 측정장치를 통하여 보행자의 이동행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며, 기본적인 정보와 조사대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고, 설문조사 및 인지반응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보행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보행자의 보행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모바일 측정부(51),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영상 측정부(52) 또는 보행자의 보행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Push 버튼 측정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 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 정보 수집부
11 : 기본정보 수집부
12 : 주변정보 수집부
13 : 차량정보 수집부
14 : 설문조사정보 수집부
15 : 보행정보 수집부
16 : 영상정보 수집부
17 : 인지반응정보 수집부
20 : 정보 저장부
30 :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
40 : 표시부
50 : 측정/입력부
51 : 모바일 측정부
52 : 영상 측정부
53 : Push 버튼 측정부

Claims (6)

  1. 보행자 횡단행태 분석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의 정보를 분석하여 보행 행태 및 보행 위험 행태를 분석하는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 및
    상기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결과 및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와 측정지역에 대한 위치 및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기본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도로정보 및 기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교통량, 차량 접근 속도, 차량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보행자 통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조사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위치, 걸음수, 보폭, 보행시간, 보행속도에 대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보행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인지반응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인지반응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보행자의 기본정보 및 보행 횡단행태 분석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보행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하거나 입력받는 측정/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입력부는 보행자의 보행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모바일 측정부,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영상 측정부 또는 보행자의 보행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Push 버튼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와 측정지역에 대한 위치 및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기본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도로정보 및 기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정보 수집부, 조사대상 지역의 교통량, 차량 접근 속도, 차량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보행자 통행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설문조사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위치, 걸음수, 보폭, 보행시간, 보행속도에 대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보행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보행중 시선방향의 영상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보행자의 인지반응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는 인지반응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결과 및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측정/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KR1020160022630A 2016-02-25 2016-02-25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KR20170100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30A KR20170100272A (ko) 2016-02-25 2016-02-25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30A KR20170100272A (ko) 2016-02-25 2016-02-25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72A true KR20170100272A (ko) 2017-09-04

Family

ID=5992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630A KR20170100272A (ko) 2016-02-25 2016-02-25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2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375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KR20220115687A (ko) * 2021-02-09 2022-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375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KR20220115687A (ko) * 2021-02-09 2022-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 proactive workers' safety risk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position and posture data fusion
Ahmetovic et al. Achieving practical and accurate indoor naviga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JP4282091B1 (ja)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atzoda et al. Drive analysis using vehicle dynamics and vision-based lane semantics
US201700016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afe Driving State of Driver
CN107380164A (zh) 基于计算机视觉的驾驶员辅助系统和支持系统
CN101952868A (zh) 危险驾驶预防意识判定系统及危险驾驶预防意识判定方法
KR102002303B1 (ko) 보행자-차량 간의 상충위험도 분석시스템
CN106662458A (zh) 用于改进地图和导航数据的可穿戴传感器数据
US10325489B2 (en) Dynamic natural guidance
Wallace et al. Measuring variation in driving habits between drivers
Datta et al. Towards city-scale smartphone sensing of potentially unsafe pedestrian movements
CN113340291A (zh) 导航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afri et al.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indoors environments using Google’s Project Tango device
KR20170100272A (ko) 보행자 횡단행태 및 상충위험 분석 장치
Tsai Automatically determining accidental falls in field surveying: A case study of integrating accelerometer determination and image recognition
Devi et al. Smart navigation guidance system for visually challenged people
Jan et al. Methods and tools for monitoring driver's behavior
KR20130119144A (ko)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및 장치
Allamehzadeh et al. Cost-efficient driver state and road conditions monitoring system for conditional automation
Jafri et al. Utilizing the google project tango tablet development kit and the unity engine for image and infrared data-based obstacle dete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allace et al. Measurement of signal use and vehicle turns as indication of driver cognition
JP5622766B2 (ja) 経路探索装置
CN115497636A (zh) 一种基于车辆外部环境监测实现信息查验的方法及系统
CN104346606A (zh) 异常步态分析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