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243A -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243A
KR20170100243A KR1020160022553A KR20160022553A KR20170100243A KR 20170100243 A KR20170100243 A KR 20170100243A KR 1020160022553 A KR1020160022553 A KR 1020160022553A KR 20160022553 A KR20160022553 A KR 20160022553A KR 20170100243 A KR20170100243 A KR 2017010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dsorption pad
cover
walle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542B1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filed Critical 이현우
Priority to KR102016002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5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보관되는 휴대폰의 전면과 후면을 밀착하여 수용함은 물론, 휴대폰을 고정하는 별도의 매체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고, 특히,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 이탈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판과 덮개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에 의하여 "⊂"형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받침판과 덮개와 연결편은 가죽을 재질로 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받침판에서 휴대폰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후면흡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한 덮개에서 휴대폰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전면흡착패드가 구비되되; 상기 후면흡착패드와 전면흡착패드는, N,N'-phenylenebis dicarboxylic acid 와 H2BDC를 리간드(ligand)로 사용하고 아연(Zn)을 전이금속으로 하여 배위결합을 통해 합성하여서 된 나노튜브형태의 배위고분자 입자를 재질로 하여 '패드(pad)' 형태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지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 보관되는 휴대폰의 전면과 후면을 밀착하여 수용함은 물론, 휴대폰을 고정하는 별도의 매체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고, 특히,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 이탈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휴대폰은, 화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휴대하거나 사용하고,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액정화면(LCD)을 자주 접촉하는 경우에는 화면에 스크래치(scratch)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어 별도의 보호 테이프를 액정화면의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더불어, 휴대폰의 외곽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를 통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 케이스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09865호(명칭: 휴대폰 보호케이스)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보호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상면의 액정 화면이 밀착되고, 상기 액정 화면이 투과되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필름층; 상기 필름층에 결합하고 상기 휴대폰의 측면을 감싸도록 직사각형 관통 홀 구조를 가지며,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한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의 하면을 덮는 평판 형태를 갖는 덮개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12416호(명칭: 탄성체를 이용한 휴대폰 가죽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이 끼움 결합 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이 부착되는 후면 커버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덮어주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 내에 'C'자 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를 몸체 측으로 모아주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커버, 전면 커버, 힌지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나의 커버와; 상기 하나의 커버는 외 표면을 구성하는 제 1원단과; 내표면을 구성하는 제 3원단과; 상기 제 1원단과 제 3원단 사이의 제 2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커버는 상기 제 1원단, 상기 제 2원단, 상기 제 3원단이 적층되며, 상기 제 2원단은 중앙에 소정의 넓이만큼 비어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중앙의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 커버측과 상기 후면 커버측에 부착되는 2개의 제 2원단이 분리된 형태인 구성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83566호(명칭: 전자파 차폐용 스마트폰 케이스)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받침판과 덮개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에 의하여 "⊂"형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며, 받침판에는 스마트폰이 고정되어 덮개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이 보호되고, 덮개와 받침판에는 금속 장식판들이 각각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후면커버는 도전성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유해 전자파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커버는 금속판재를 커버의 외형으로 절단하고 프레스로 벤딩 성형하여 형성되고, 후면커버는 받침판에 접착테이프로 고정되어, 기존 커버가 분리된 스마트폰의 후면이 결합되어 씌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의 표면과 받침판의 후면에는 금속 장식판이 부착되고, 금속 장식판들은 앤틱가공 처리되어 케이스의 외관을 장식하고 고풍(古風)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29168호(명칭: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을 탈부착 가능하게 일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홀더; 상기 휴대폰 홀더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 일측에서 접혀져 상기 휴대폰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덮어 보호하는 전면판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측에 얇은 지물을 압박 고정하는 커버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 고정핀은 상기 커버 외측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일측에서 절곡되고 상기 커버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누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고정핀은 리벳 이음에 의해 상기 커버에 고정 결합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09865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12416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83566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29168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들은,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구 및 탄성체 등과 같이 공간 및 부피를 가지는 별도의 매체들이 구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내부에 휴대폰을 고정하여 휴대폰이 무단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단점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보관되는 휴대폰의 전면과 후면을 밀착하여 수용함은 물론, 휴대폰을 고정하는 별도의 매체가 없어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고, 특히,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 이탈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는, 받침판과 덮개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에 의하여 "⊂"형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받침판과 덮개와 연결편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받침판에서 휴대폰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후면흡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한 덮개에서 휴대폰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전면흡착패드가 구비되되; 상기 후면흡착패드와 전면흡착패드는, N,N'-phenylenebis dicarboxylic acid 와 H2BDC를 리간드(ligand)로 사용하고 아연(Zn)을 전이금속으로 하여 배위결합을 통해 합성하여서 된 나노튜브형태의 배위고분자 입자를 재질로 하여 '패드(pad)' 형태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받침판과 덮개에 구비된 상기 후면흡착패드와 전면흡착패드를 통해 휴대폰의 전면과 후면을 흡착하여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됨으로써,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됨에 따라 무단으로 분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단순한 봉제작업을 통해 생산이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됨에 따라, 경제적인 이익이 구현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적용되는 후면흡착패드와 전면흡착패드를 구성하는 나노흡착소재의 합성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는, 받침판(2)과 덮개(3)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4)에 의하여,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된 지갑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받침판(2)과 덮개(3) 사이의 공간에 휴대폰(5)을 수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상기에서 받침판(2)에는, 휴대폰(5)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촬영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3)에는, 휴대폰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된 스피커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4)에는, 별도의 고리가 고정되는 고리고정공(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판(2)과 덮개(3) 및 연결편(4)들은, '판' 형상의 패드(pad)로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받침판(2)과 덮개(3)와 연결편(4)은 가죽을 재질로 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편(4)을 중심으로 상기 받침판(2)과 덮개(3)가 원활하게 접혀져 회동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3)에는, 명함, 메모지, 카드 등과 같은 소품이 수납되는 수납주머니(32)가 봉제 되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에서 휴대폰(5)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5)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후면흡착패드(6)가 구비되고; 상기한 덮개(3)에서 휴대폰(5)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5)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전면흡착패드(7)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받침판(2)과 덮개(3)에 구비된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를 통해 휴대폰(5)의 전면과 후면을 흡착하여 마찰력을 증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폰(5)이 상기 받침판(2)과 덮개(3)의 사이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무단으로 분리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들은, 상기 받침판(2)과 덮개(3)에 단순한 봉제작업을 통해 고정되어 결합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이 구현된다.
아울러,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들은, '판' 형상의 패드로 이루어져 부피가 작고 및 점유공간이 작아 미관을 해치지 않아 외장적 심미감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에서 후면흡착패드(6)는, 상기 휴대폰(5)의 후면에 대한 전체면적에서 최소 60%이상의 면적과 접촉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흡착패드(7)는, 상기 휴대폰(5)의 전면에 대한 전체면적에서 최대 30%이하의 면적과 접촉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들은, 상기 받침판(2)과 덮개(3)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에서,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N,N'-phenylenebis dicarboxylic acid 와 H2BDC를 리간드(ligand)로 사용하고 아연(Zn)을 전이금속으로 하여 배위결합을 통해 합성하여서 된 나노튜브형태의 배위고분자 입자를 재질로 하여 '패드(pad)' 형태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가 나노튜브 형태의 나노흡착소재로 이루어져, 휴대폰(5)에 대한 흡착성이 높아, 휴대폰(5)이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5)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는, 나노튜브 형태의 나노흡착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후면흡착패드(6) 및 전면흡착패드(7)가 상기 받침판(2)과 덮개(3)에서 휴대폰(5)과 접촉하는 표면에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휴대폰 키이스 2 : 받침판
21 : 촬영공 3 : 덮개
31 : 스피커공 32 : 수납주머니
4 : 연결편 41 : 고리고정공
5 : 휴대폰 6 : 후면흡착패드
7 : 전면흡착패드

Claims (1)

  1. 받침판(2)과 덮개(3)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4)에 의하여 "⊂"형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한 받침판(2)과 덮개(3)와 연결편(4)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받침판(2)에서 휴대폰(5)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5)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후면흡착패드(6)가 구비되고;
    상기한 덮개(3)에서 휴대폰(5)이 수용되어 밀착하는 표면에는,
    휴대폰(5)의 표면과 밀착하여 흡착하도록 된 전면흡착패드(7)가 구비되되;
    상기 후면흡착패드(6)와 전면흡착패드(7)는,
    N,N'-phenylenebis dicarboxylic acid 와 H2BDC를 리간드(ligand)로 사용하고 아연(Zn)을 전이금속으로 하여 배위결합을 통해 합성하여서 된 나노튜브형태의 배위고분자 입자를 재질로 하여 '패드(pad)' 형태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20160022553A 2016-02-25 2016-02-25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78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553A KR101785542B1 (ko) 2016-02-25 2016-02-25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553A KR101785542B1 (ko) 2016-02-25 2016-02-25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43A true KR20170100243A (ko) 2017-09-04
KR101785542B1 KR101785542B1 (ko) 2017-10-16

Family

ID=5992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553A KR101785542B1 (ko) 2016-02-25 2016-02-25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69U (ko) * 2019-06-14 2020-12-23 이보윤 보조 배터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81B1 (ko) * 2019-06-26 2020-10-05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폴더블 모바일 디바이스용 보호 케이스
KR102480891B1 (ko) 2021-01-08 2022-12-22 최정욱 휴대단말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69U (ko) * 2019-06-14 2020-12-23 이보윤 보조 배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542B1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N204906449U (zh) 便携式电子设备用保护件
US8887910B2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CN201210953Y (zh) 手持装置的携行装置
US8726952B2 (en) Wireless phone wallet
KR101054575B1 (ko) 카드 포켓을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070259704A1 (en) Mobile phone receiving ba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KR101785542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20220158678A1 (en) Case Assembly 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ccessory Access Window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JP5689520B1 (ja)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44219Y1 (ko) 밀림방지부재를 갖는 이동기기 케이스
TWM417750U (en) Protection shell
KR20047111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JP5006461B1 (ja) タブレット端末用背面保護カバー
KR20160003466U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0438Y1 (ko) 지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JP3190581U (ja) 携帯通信端末機用収納具
CN205812356U (zh) 一种多功能音箱
CN208798034U (zh) 一种手机保护套
KR20130087954A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