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757A - 습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습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757A
KR20170099757A KR1020170007863A KR20170007863A KR20170099757A KR 20170099757 A KR20170099757 A KR 20170099757A KR 1020170007863 A KR1020170007863 A KR 1020170007863A KR 20170007863 A KR20170007863 A KR 20170007863A KR 20170099757 A KR20170099757 A KR 2017009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centrifugal mixing
wa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729B1 (ko
Inventor
류광태
Original Assignee
류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광태 filed Critical 류광태
Priority to KR102017000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6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87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e.g. separators
    • A47L9/188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e.g. separators movable, revolving or rota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를 별도의 배기필터 없이 세척수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완벽히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 및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공모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정화부, 상기 공기정화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 세척수 및 진공모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공기정화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회수되는 수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진공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기정화부에 공급하여 미세먼지의 순환정화를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습식 진공청소기{WE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습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를 물입자의 흡착력을 통해 완벽하게 정화하여 실내로 미세먼지가 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내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습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일차로 먼지봉투나 원심분리 방식으로 분리하고, 배출구에 장착된 배기필터를 통해 최종 정화 배출시키게 된다.
통상의 진공청소기는, 이와 같은 필터정화 방식으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는 필터링이 가능하지만, 기공이 필요한 필터의 구조적 특성상 아주작은 미세먼지는 그대로 배출되어 또 다른 실내오염이 지적되어왔다.
또한,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필터에 누적되는 이물질로 기공이 폐쇄되어, 흡입력 저하와 그에 따른 잦은 세척이나 교체 등 유지관리에도 불편함이 있어 왔다.
최근에는 중국 발 황사, 매연 등의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면서, 물을 필터로 활용하려는 방안들이 다각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물을 필터로 활용한 진공청소기의 한 종류로써는, 물 필터 진공청소기가 대표적이다.
즉, 상기한 물 필터 진공청소기는 하부에 수조부와, 상부 또는 타 측에는 진공모터를 갖는 구조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먼저 수조부의 하부로 배출되어 담수 된 물에 회전하거나 충돌하며, 물의 표면장력으로 이물질을 제거 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물질을 포함하며 유입된 공기가 물과 접촉되는 과정에서,스치듯 통과하거나, 잘게 쪼개지지 않은 공기덩어리 형태로 물과 접촉함에따라 잘 용해되지 않고, 크고 작은 기포형태로 수면위로 배출되어 기포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그대로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더하여, 상기한 수조부는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흡입된 모든 이물질을 1차 필터링 없이 정화 및 보관해야 함에 따라, 다량의 물을 필요로하며, 수조부의 내부가 복잡해 세척이나 탈,부착 및 이동 등에 있어서 불편함이 지적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72533호(2007.01.1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세먼지를 별도의 배기필터 없이 세척수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완벽히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습식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의 진공청소기에서 사용되는 배기필터를 생략하여, 유지비용 절감과 용이한 관리를 가능케 하며, 항상 일정한 배출압력을 유지시켜 일정한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습식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된 이물질은 1차 필터링으로 분리하고, 배출되는 미세먼지 만을 정화하기 위함으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수조부는 상대적으로 소용량이면서 내부에 구조물이 필요 없는 비이커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손쉬운 착탈과 이동 및 세척이 용이하고, 물과 미세먼지가 접촉하며 통과하는 원심혼합부의 유로는 스위칭 선택으로 무부하운전을 통한 건조기능을 가능케 하여 위생적이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습식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습식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 및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공모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정화부, 상기 공기정화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 세척수 및 진공모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공기정화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회수되는 수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진공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기정화부에 공급하여 미세먼지의 순환정화를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정화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장착공간 및 상기 제1장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부가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장착 또는 분리되는 제2장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부는,
미세먼지와 세척수를 반복적으로 원심 회전시켜 혼합할 수 있도록 코일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심혼합부, 내부공간에 상기 원심혼합부가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수조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드레인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심혼합관이 지면과 수직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원심혼합부는 세척수의 회전방향과 중력방향이 평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와 배출공기가 반복해서 승강할 수 있는 다수개의 오름차구간 및 내림차구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물입자를 드레인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홈 형태의 배수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미세물입자를 분리하는 원심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심분리부는,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원심혼합부의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원심회전시키며 상기 배출공으로 유도하기 위한 스크류 형상의 분리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부는,
일측이 상기 흡입호스와 제1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이 원심혼합부에 장착되는 벤츄리관, 일측이 상기 벤츄리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조부와 마주하는 제2연결관,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수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관에 장착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진공모터의 배출압력에 의해 발생된 상기 벤츄리관 내의 압력저하 현상으로 인해 상기 공급관, 제2연결관, 벤츄리관 및 원심혼합부를 반복해서 순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는, 미세먼지를 별도의 배기필터 없이 세척수와 효율적으로 접촉시켜 완벽히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상의 진공청소기에서 사용되는 배기필터를 생략하여, 유지비용 절감과 용이한 관리를 가능케 하며, 항상 일정한 배출압력을 유지시켜 일정한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된 이물질은 1차 필터링으로 분리하고, 배출되는 미세먼지 만을 정화하기 위함으로, 상기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수조부는 상대적으로 소용량이면서 내부에 구조물이 필요 없는 비이커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손쉬운 착탈과 이동 및 세척이 용이하고, 물과 미세먼지가 접촉하며 통과하는 원심혼합부의 유로는 진공모터의 무부하운전을 통한 건조가 가능함에 따라 위생적이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 및 수조부가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원심혼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원심혼합부의 유로에서 배출공기와 세척수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원심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 및 수조부가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원심혼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원심혼합부의 유로에서 배출공기와 세척수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공기정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원심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1)는, 본체부(10), 흡입호스(12), 공기정화부(20), 유체공급부(30), 수조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내부에 외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모터(11), 필터(50) 등이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는 장착홀(10c)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0c)에는 유입관(17)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7)의 일측은 흡입호스(12)와 연결되고, 필터(50)와 진공모터(11) 및 유체공급부(30)의 벤츄리관(31)은 제1연결관(7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모터(11)에 전원을 공급하면 흡입력에 의해 외기 및 이물질이 흡입호스(12)와 유입관(17) 및 제1연결관(70)을 순차적으로 거쳐 필터(50)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되며, 이후에 진공모터(11)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상기 벤츄리관(31)을 거쳐 공기정화부(20)로 유입된다.
이러한, 본체부(10) 또는 흡입호스(12)에는 진공모터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함에 따라, 흡입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부가적으로, 본체부(10)의 타측에는 상기 공기정화부(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장착공간(10a) 및 상기 제1장착공간(10a)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부(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장착공간(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공간(10a)과 제2장착공간(10b)은 수평구획벽(13)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1장착공간(10a)과 본체부(10)의 내부공간은 수직구획벽(14)을 통해 구획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구획벽(13)의 끝단에는 수직부(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5)의 끝단에는 수평부(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15)는 후술되는 수조부(4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고, 상기 수평부(16)는 상기 수조부(40)의 슬라이딩을 가능케 한다.
상기 공기정화부(20)는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원심혼합부(21), 하우징(22), 원심분리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원심혼합부(21)는 배출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세척수(60)와 함께 원심 회전시켜 포집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2)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장착공간(10a)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원심혼합부(21)는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22)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심혼합부(21)의 일측 끝단에는 진공모터(11)의 작동과 벤츄리관(31)의 작용에 의해 배출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세척수(60)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정화된 공기와 세척수(60)를 하우징(22)의 내부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입구는 후술되는 하우징(22)을 구성하는 전측판(223)의 통과홀(223a)을 통과하여 후술되는 벤츄리관(3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원심혼합부(21)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코일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배출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세척수(60)를 반복적으로 원심회전 시킬 수 있는 코일 형상의 유로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원심혼합부(21)는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유로를 흐르는 세척수(60)의 회전방향과 중력방향이 평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원심혼합부(21)에는 배출공기와 세척수가 반복해서 상,하로 회전운동 할 수 있는 다수개의 오름차구간 및 내림차구간이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오름차구간을 따라 상승되는 배출공기는 상향의 흐름을 갖게 되고, 이끌려 이동하던 세척수는 비중에 따른 중력의 영향으로 두 유체의 흐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름차구간을 따라 상승되는 배출공기와 중력의 작용을 받는 세척수가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충돌현상으로 인해 세척수(60)가 입자 형태로 파쇄되면서 오름차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쇄된 물입자는 비산되어 유로에 골고루 분사됨에 따라, 유로에 유입된 공기와 접촉률을 높여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배출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림차 구간에서는 하향 이동하는 배출공기와 물입자의 흐름방향은 같게 되어, 물입자는 유로의 내벽에 부딪혀 응결되어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최저면으로 모여들게 되며, 이는 다음 오름차 구간에서 세척수(60)로 활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심혼합부(21)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름차구간들에서 세척수(60)와 배출공기의 충돌로 인한 분사작용과 내림차구간들에서의 응결로 인한 뭉침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접촉률은 더욱 상승되어 세척수로 필터를 대체할 수 있는 정화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종래 진공청소기 및 습식 진공청소기에 비해 실내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원심혼합부(21)에서 배출된 세척수(60)는 수조부(40)에 회수되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원심혼합부(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의 전측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는 전측판(223)의 일측면에는 관통홀(22a)이 형성되고,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입구 측은 상기 관통홀(22a)을 관통하여 벤츄리관(31)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원심혼합부(21)와 벤츄리관(3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커플러(80)를 통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커플러(80)는 중앙부분이 수직구획벽(14)에 형성된 제1고정홀(14a)을 관통하여 일측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타측은 제1장착공간(10a)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입구측과 벤츄리관(31)의 일측은 상기 제1커플러(80)의 내부공간에 각각 장착되며 그 끝단이 서로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2)은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제1장착공간(10a)에 배치되고, 그 저면이 상기 수평구획벽(13)의 상면에 안착되어 본체부(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하우징(22)은 일측이 상기 수평구획벽(13)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받침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한 경사값을 갖게 되며, 이는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60)가 상기 벤츄리관(31)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억제하고, 상기 드레인(221)을 통하여 상기 수조부(40)로 신속히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22)은 바닥면 중앙부분에 홈 형태의 배수로(2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도1을 기준으로 우측 저면에는 배수로(222) 상에 위치되는 드레인(2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60)와 공기중의 미세물입자는 상기 하우징(22)의 경사면 및 배수로(222)를 따라 흘러내려 하부측으로 모인 다음 드레인(221)을 통해 배수되어 수조부(4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2)에는 원심혼합부(21)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공(2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22b)은 상기 원심분리부(23)를 통과한 공기가 먼저 하우징(22)의 전측판(223)에 부딪혀 잔여 습기를 제거한 후, 흐름방향을 바꾸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2)의 수직구획벽(14)과 마주하는 상면측에만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전측판(223)은 하우징(22)의 전측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원심혼합부(21) 및 하우징(22)은 사용자가 미세먼지의 정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심분리부(23)는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 물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원심혼합부(21)의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되고 양 끝단이 상기 하우징(22)을 구성하는 전측판(223)과 후측판(224)의 중앙부분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축(231), 상기 고정축(231)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는 분리부재(232)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부재(232)는 원심혼합부(21)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공(22b)으로 이동시키되, 원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이동하는 공기가 원심분리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심혼합부(2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화된 공기는 스크류 형상의 분리부재(232)를 따라 배출공(22b) 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22)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스크류형상의 분리부재(232)의 면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중의 미세 물입자는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분리부재(232)의 외면으로 튕겨져 나가며 원심분리 되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출공(22b)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습기가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 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체공급부(30)는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유로에 세척수(60)와 배출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공급하는 것으로, 벤츄리관(31), 제2연결관(32), 공급관(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벤츄리관(31)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그 일측이 제1연결관(70)을 매개로 진공모터(11)와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관(32)은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관(32)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측이 상기 벤츄리관(31)의 단면적이 좁아진 부분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부(15)를 사이에 두고 수조부(40)와 마주한다.
상기 공급관(33)은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33)은 상기 수조부(40)의 저장공간에서 세척수(60)에 잠기며, 일측이 상기 수조부(4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33)의 일측은 제2커플러(90)를 통해 제2연결관(3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커플러(90)는 중앙부분이 상기 수직부(15)가 형성된 제2고정홀(15a)을 관통하여 일측이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타측은 제2장착공간(10b)으로 돌출되며, 제2연결관(32)의 일측과 상기 공급관(33)의 일측은 상기 제2커플러(90)의 내부공간에 각각 장착되며 그 끝단이 서로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조부(4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세척수(60)는 상기 진공모터(11)의 배출압력에 의한 상기 벤츄리관(31) 내부의 저압현상에 의해 상기 공급관(33), 제2연결관(32), 벤츄리관(31) 및 원심혼합부(21)의 유로를 반복해서 순환하여 미세먼지를 정화하게 된다.
상기 수조부(40)는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유로에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60)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조부(40)는 그 저면이 상기 수평부(16)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식으로 제2장착공간(10b)에 장착된다.
상기 수조부(40)는 상면이 일부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비이커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2)의 드레인(221)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60)는 상기 수조부(40)의 저장공간에 일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수조부(40)의 외측면에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어손잡이(41)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제어손잡이(41)를 통해 상기 수조부(40)를 제2장착공간(10b)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하여 세척수(60)를 공급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공급관(33)은 상기 수조부(4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수조부(40)의 내부간섭을 최소화하여 세척이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1)는 사용자가 수조부(40)를 본체부(10)의 제2장착공간(10b)에서 인출하여 사용하지 않은 세척수(60)를 충진한 후 다시 장착하며, 진공모터(11)의 배출압력에 의해 수조부(40)에 저장된 세척수(60)는 공급관(33), 제2연결관(32), 벤츄리관(31), 공기정화부(20)를 반복해서 순환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공모터(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면 진공모터(11)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 및 미세먼지가 흡입호스(12)와 유입관(17), 제1연결관(70), 필터(50) 및 벤츄리관(31)을 순차적으로 거쳐 원심혼합부(21)의 유로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발생되는 배출압력으로 벤츄리관(31)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유입된 세척수(60)는 공급관(33)과 제2연결관(32) 및 벤츄리관(31)을 거쳐 원심혼합부(21)의 유로로 이동된다.
따라서, 벤츄리관(31)에서부터 원심혼합부(21)의 출구 측으로 흐르는 배출공기와 세척수(60)는 원심혼합부(21)의 오름차구간들과 내림차구간들을 따라 원심회전 하면서 출구측까지 이동한다. 이때, 배출공기는 오름차구간을 따라 상승하려고 하고 배출공기에 비해 비중이 큰 세척수(60)는 중력에 의해 하 방향으로 하강하려고 하기 때문에 배출공기와 세척수(60)가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세척수(60)는 배출공기와의 충돌로 인해 입자 형태로 파쇄되면서 오름차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쇄된 물입자는 비산되어 원심혼합부(21)의 유로에 골고루 분사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와 접촉률을 높여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하게 된다.
또한, 내림차구간에서는 하향 이동하는 공기와 물입자의 흐름방향이 같게 되어, 물입자는 유로의 내벽에 부딪혀 응결됨에 따라 원심혼합부(21)의 최저면으로 모여들게 되며, 이는 다음 오름차 구간에서 세척수(60)로 활용되게 된다.
아울러, 배출공기와 세척수(60)의 충돌 현상으로 인한 세척수(60)의 분사작용 및 뭉침현상이 원심혼합부(21)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름차구간 및 내림차구간들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접촉률은 더욱 높아져 미세먼지를 완벽하게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원심혼합부(2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화된 공기는 분리부재(232)를 따라 배출공(22b) 측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정화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 물입자는 상기 분리부재(232)를 따라 이동하며 원심회전에 의해 물입자를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습기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흡입호스(12)에 건조용 스위치(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원심혼합부(21)의 유로 및 상기 하우징(22)의 내부를 용이하게 건조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용 스위치는 상기 진공모터(11)가 세척수(60)는 흡입하지 않고 배기만 가능한 회전속도로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조용 스위치를 통해 진공모터(11)를 무부하 운전시키게 되면, 진공모터(11)에서 배기되는 건조한 공기가 상기 원심혼합부(21)의 유로에 유입되어 잔여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건조한 공기는 원심혼합부(21)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하우징(22)의 내부공간에 남아 있는 잔여습기도 제거하게 됨으로써, 상기 공기정화부(20)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습식 진공청소기 10 : 본체부
10a : 제1장착공간 10b : 제2장착공간
10c : 장착홀 11 : 진공모터
12 : 흡입호스 13 : 수평구획벽
14 : 수직구획벽 14a,15a : 고정홀
15 : 수직부 15a : 관통홀
16 : 수평부 17 : 유입관
20 : 공기정화부 21 : 원심혼합부
22 : 하우징 22a : 관통홀
221 : 드레인 22b : 배출공
222 : 배수로 23 : 원심분리부
231 : 고정축 232 : 분리부재
30 : 유체공급부 31 : 벤츄리관
32 : 제2연결관 33 : 공급관
40 : 수조부 41 : 제어손잡이
50 : 필터 60 : 세척수
70 : 제1연결관 80 : 제1커플러
90 : 제2커플러

Claims (7)

  1.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 및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공모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정화부,
    상기 공기정화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 세척수 및 진공모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공기정화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회수되는 수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진공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기정화부에 공급하여 미세먼지의 순환정화를 가능케 하는 습식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공기정화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장착공간 및 상기 제1장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부가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장착 또는 분리되는 제2장착공간이 형성된 습식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미세먼지와 세척수를 반복적으로 원심 회전시켜 혼합할 수 있도록 코일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심혼합부,
    내부공간에 상기 원심혼합부가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수조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드레인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습식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심혼합관이 지면과 수직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원심혼합부는 세척수의 회전방향과 중력방향이 평행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와 공기가 반복해서 승강할 수 있는 다수개의 오름차구간 및 내림차구간을 형성하는 습식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물입자를 드레인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홈 형태의 배수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습식 진공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미세물입자를 분리하는 원심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심분리부는,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원심혼합부의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심혼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원심회전시키며 상기 배출공으로 유도하기 위한 스크류 형상의 분리부재로 구성되는 습식 진공청소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일측이 상기 흡입호스와 제1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이 원심혼합부에 장착되는 벤츄리관,
    일측이 상기 벤츄리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조부와 마주하는 제2연결관,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수조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관에 장착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진공모터의 배출압력에 의해 발생된 상기 벤츄리관 내의 압력저하 현상으로 인해 상기 공급관, 제2연결관, 벤츄리관 및 원심혼합부를 반복해서 순환하는 습식 진공청소기.
KR1020170007863A 2017-01-17 2017-01-17 습식 진공청소기 KR10191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863A KR101918729B1 (ko) 2017-01-17 2017-01-17 습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863A KR101918729B1 (ko) 2017-01-17 2017-01-17 습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57A true KR20170099757A (ko) 2017-09-01
KR101918729B1 KR101918729B1 (ko) 2019-02-08

Family

ID=5992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863A KR101918729B1 (ko) 2017-01-17 2017-01-17 습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50B1 (ko) * 2019-06-26 2020-05-18 김홍영 공기 청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044B2 (ja) * 1996-03-25 2001-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湿式電気掃除機
KR100666716B1 (ko) * 2006-02-07 2007-01-11 대아산업주식회사 청소 유니트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101135678B1 (ko) * 2009-11-12 2012-04-13 주식회사 자이벡 청소기
KR101651782B1 (ko) 2015-05-18 2016-08-26 조영삼 습식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729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195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40075574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06054850A2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0589788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KR100671844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10191872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EP2835088B1 (en) Separation system for wet vacuum cleaners
KR10043737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20010050001A1 (en) Cyclone for suction cleaner
EP1909629B1 (en)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cyclone separator and a liquid filter
KR101335675B1 (ko) 물세척 집진장치
WO2002078506A1 (en) Air cleaner with washable filter
KR2005001927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KR100206390B1 (ko) 진공 청소기용 물 흡입 키트
JPH09155139A (ja) 空気清浄装置
KR100444321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043736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20169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80086190A (ko) 빌트인 공기정화기
KR101065675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KR101666900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0640731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100640724B1 (ko) 흡입형 습식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