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752A -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752A
KR20170099752A KR1020160179803A KR20160179803A KR20170099752A KR 20170099752 A KR20170099752 A KR 20170099752A KR 1020160179803 A KR1020160179803 A KR 1020160179803A KR 20160179803 A KR20160179803 A KR 20160179803A KR 20170099752 A KR20170099752 A KR 2017009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oller
blade
woun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341B1 (ko
Inventor
윤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영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영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영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17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3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32
    • B29C47/0088
    • B29C47/0898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합성수지 믹싱장치는,
합성수지가 권취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합성수지를 가압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롤러에 권취되는 합성수지를 믹싱하거나 양측으로 안내하는 작업유니트; 및 상기 작업유니트를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키는 작업유니트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유니트는 복수로 구비되어 수직연결프레임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MIXING DEVICE}
본 발명은 롤러에 권취되는 합성수지를 믹싱하여 반죽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 재료인 염화비닐수지의 믹싱 효율성을 극대화한 합성수지 믹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비닐이 있는 바, 분말 형태의 폴리염화비닐을 필름 압출기에 넣어 스크류를 통해 열분해되고 용융되어 겔 상태의 염화비닐수지로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압출기를 통해 가공되어 배출되는 염화비닐수지 즉, 합성수지는 재료가 잘 섞이도록 혼합하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상기 합성수지를 나란히 형성된 두개의 롤러 중 하나의 롤러에 권취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롤러에 권취되어 회전되는 합성수지를 작업자가 직접 나이프를 접촉시켜 절단하여 다시 롤러 사이에 넣어 롤러에 권취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합성수지 믹싱작업은 인력이 낭비되고, 롤러에 의한 안전사고가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믹싱하며,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합성수지 믹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합성수지가 권취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합성수지를 가압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롤러에 권취되는 합성수지를 믹싱하거나 양측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와 같은 작업유니트; 상기 블레이드와 같은 작업유니트를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키는 작업유니트이송부; 합성수지 믹싱장치의 틀을 구성하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겔 상태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믹싱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유니트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기 작업유니트를 고정하는 작업유니트지지대로부터 전방의 아래로 호 형태를 취하여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직연결프레임;
상기 수직연결프레임의 하단 좌우측 옆으로 연장되는 수평연결프레임;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의 좌우단부에 각각 위를 향하여 설치되는 다른 작업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하여, 작업유니트인 상기 블레이드의 좌측 후단 모서리에는 좌측 각조절힌지축이 구성되고, 상기 좌측 각조절힌지축에는 판형상의 좌측 플랩이 힌지결합 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우측 후단 모서리에는 우측 각조절힌지축이 구성되고, 상기 우측 각조절힌지축에는 판형상의 우측 플랩이 힌지결합 되어서,
상기 힌지결합을 통하여 현장 상황의 작업에 필요한 각도로 상기 좌측 플랩 및 상기 우측 플랩 사이의 각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각조절고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각조절고정부는 신축장치로서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장치의 좌단은 상기 좌측 플랩의 안쪽 몸체에 힌지결합 되고, 상기 신축장치의 우단은 상기 우측 플랩의 안쪽 몸체에 힌지결합 되어서,
외부로부터 오일의 유입유출로 유압이 조절되거나 오일의 유입유출을 차단하여서 상기 신축장치가 신축작용거나 고정되는 방법으로 상기 좌측 플랩과 상기 우측 플랩을 서로 밀거나 당겨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거나 설정된 각도로 고정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바에 따르면,
합성수지 믹싱작업의 인력이 낭비를 절감하여 원가를 낮추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하여서 작업 안전성을 높이고,
자동으로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믹싱하되 그 효율을 이는 합성수지 믹싱장치를 제공한다.
도 1에서 도 1 A는 합성수지 믹싱장치의 정면도: 도 1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에서 도 2 A는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2 B는 다른 예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합성수지 믹싱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 A는 개략도; 도 3 B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도 4는 블레이드 구성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위에서 내려다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작동상태를 평면도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예시를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로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정면도; 측면도(우측면도);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좌측은 정면도; 우측은 측면도;로 보인 상태도이다.
도 10은 구성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 A는 측면도; 도 10 B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공지된 합성수지 믹싱장치를 알아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76687호(2011.10.19)를 아래와 같이 참조한다.
도 1 A 및 도 1 B에서, 합성수지 믹싱장치의 틀을 구성하며 각 부품들이 설치되는 구성인 프레임(90)과, 상기 프레임(90)에 설치되며, 겔 상태로 압출되는 염화비닐수지와 같은 합성수지(VR)가 권취되는 제1롤러(100)와, 상기 제1롤러(100)와 소정간격 떨어져 형성되어 제1롤러(100)에 권취되는 합성수지(VR)를 가압하는 제2롤러(200)와, 상기 제1롤러(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롤러(100)에 권취된 합성수지(VR)를 믹싱하는 블레이드(300) 및 상기 블레이드(300)를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키는 작업유니트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300)는 작업유니트의 하나이다.
제1롤러(100)는 압출기(미도시)에서 원통형으로 압출되는 합성수지(VR)가 권취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롤러(100)는 권취되는 겔 형태의 합성수지(VR)가 굳지 않도록 제1롤러(100)를 가열하는 가열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상기 제1롤러(100)에 권취되는 합성수지(VR)를 가압하여 얇게 펴기 위한 것으로 제1롤러(10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나란히 형성된 제1롤러(100) 및 제2롤러(200)는 도 1 B를 기준으로 상기 제1롤러(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롤러(2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제1롤러(100)에 권취되는 합성수지(VR)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롤러(200)에 의해 가압되어 제1롤러(100)에 얇게 펴져 권취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100) 및 제2롤러(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300)는 제1롤러(100)에 권취되는 합성수지(VR)를 믹싱하기 위한 것으로 제1롤러(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업유니트이송부(400)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블레이드(300)의 상부에는 작업유니트지지대(303)가 형성되어 플레이트(412) 및 보조플레이트(413)의 사이에 고정부재(310)에 의해 결합되고, 플레이트(412)는 후술되는 수직이송부(410)의 플런저(411)에 결합된다. 이때, 작업유니트지지대(303)는 플레이트(412) 및 보조플레이트(413)의 사이에 힌지 결합되므로 작업유니트지지대(303)의 결합되는 각도를 변경하여 블레이드(300)가 합성수지(VR)를 가압하는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작업유니트이송부(400)는 상기 작업유니트 즉, 상기 블레이드(30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수직이송부(410) 및 상기 수직이송부(410)가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300)를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송부(410)는 플런저(411) 및 실린더로 구성되어 유압에 의해 블레이드(300)를 상하로 이송시켜 합성수지(VR)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이송부(410)에는 합성수지(VR)를 가압할 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감지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이송부(410)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감지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미리 지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블레이드(300)가 제1롤러(100)를 가압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압력조절수단이 수직이송부(410)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제1롤러(100) 또는 블레이드(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플런저(411) 및 실린더로 구성된 수직이송부(410)로 설명하였으나 플런저 및 실린더 외에 공압 또는 유압으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등 블레이드(300)를 상하로 이송하여 합성수지(VR)를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이송부(420)는 수직이송부(410)와 결합되어 블레이드(30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평이송부(420)와 동일하게 플런저(421)와 실린더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모터 및 볼 스크류로 구성된 액추에이터, 공압 또는 유압으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기어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 등 블레이드(300)를 도 1 A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00)는 도 2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롤러(100)에 권취되어 회전되는 합성수지(VR)를 가압할 시 합성수지(VR)를 갈라 양측으로 안내하도록 만곡된 블레이드면(3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00)는 도 2 B와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블레이드(500)는 합성수지(VR)를 갈라 양측으로 안내하도록 만곡된 블레이드면(501)과, 블레이드(500)의 하단에 형성되어 바퀴형태의 회전가능한 원형날(5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형날(502)은 블레이드(5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1롤러(100)가 회전됨에 따라 합성수지(VR)를 가압하는 블레이드(500)의 원형날(502)이 제1롤러(1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합성수지(VR)를 가압하게 되므로 합성수지(VR)를 원활하게 믹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500)의 원형날(502)이 제1롤러(100)에 접촉되어도 제1롤러(100)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력에 의해 제1롤러(100) 또는 블레이드(5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합성수지 믹싱장치의 동작은 도 3 A 및 도 3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출기에서 겔 상태로 용융되어 원통형으로 압출되는 합성수지(VR)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 제1롤러(100)와 제2롤러(200)의 사이로 투입된다. 이때, 제1롤러(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합성수지(VR)는 제1롤러(100)에 권취되고, 제2롤러(2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롤러(100)에 권취되는 합성수지(VR)를 가압하여 얇게 펴지도록 한다.
여기서, 수평이송부(420)를 이용하여 위치를 설정한 블레이드(300)를 수직이송부(410)로 제1롤러(100)에 권취된 합성수지(VR)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 제1롤러(100)의 회전력에 의해 합성수지(VR)를 갈라 블레이드면(301)을 통해 양측으로 안내한다. 이때, 합성수지(VR)는 양측으로 안내되고 제2롤러(200)에 의해 다시 펴져 제1롤러(100)에 권취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블레이드(300)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겔 상태의 합성수지(VR)를 자동으로 믹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도 4 이하에 도시된 바와 함께 각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 및 도 5에서, 작업유니트인 블레이드(600)의 블레이드면(601) 좌측 후단 모서리(Edge)에는 좌측 각조절힌지축(604)이 구성되고, 상기 좌측 각조절힌지축(604)에는 판형상의 좌측 플랩(605) 전단이 힌지결합(Hinge Joint)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600)의 블레이드면(601) 우측 후단 모서리에는 우측 각조절힌지축(604)이 구성되고, 상기 우측 각조절힌지축(604)에는 판형상의 우측 플랩(605) 전단이 힌지결합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600) 좌우측 양측의 상기 블레이드면(601)의 후단 모서리에는 좌우측 각각의 각조절힌지축(604)이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양측 각각의 각조절힌지축(604)에는 판형상을 취하는 좌우측 각각의 플랩(605) 전단이 힌지결합으로 각조절(an)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각조절힌지축(604)은 건축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첩과 같은 것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각조절힌지축(604)에 고정되는 상기 플랩(605)은 그 후단이 소정의 각도로 벌여지거나 좁혀져서 도 6처럼 각조절(an)이 결정된 뒤에 상기 각조절(an)이 된 각도가 고정될 수 있도록, 각조절고정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조절고정수단의 일 예로서 상기 각조절힌지축(604)에 통상의 고정핀(또는 멈춤핀)(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각조절힌지축(604)은 통상의 경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각조절고정부는 통상의 고정핀이 그 예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랩(605)의 구성과 함께 상기 블레이드(600) 즉, 작업유니트의 하단에 도 2 B의 예시와 같은 원형날(502)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유니트지지대(603)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임을 조절하여 상기 플랩(605)이 상기 제1롤러(100)에 접촉하는 각도 또는 압력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플랩(605)은 판형상을 취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그 전단이 상기 블레이드(600)의 좌우측 각각의 후단 모서리에 상기 각조절힌지축(604)을 통하여 힌지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은 경첩과 같은 구성으로 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 고정되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플랩(605)의 몸체 또는 후단은 좌우측으로 벌여지거나 좁혀지는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작업 현장에서는 작업대상인 합성수지 자체의 점성, 온도, 성질 등과 같은 직접적인 요인이나 작업환경의 변화 특성에 따라서, 도 6의 예시처럼, 상기 좌우측 플랩(605) 사이의 벌여지거나 좁혀지는 각도의 각조절(an)을 변경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의 가공 요구정도에 따라 상기 각조절(an)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 바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600)는 각조절(an) 기능이 부여된 상기 플랩(605)과 함께 합성수지(VR)를 상황에 따른 필요한 정도의 각도로 양측으로 갈라 알맞게 안내한다.
상기 각조절고정수단의 보다 진보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7 이하에서는 신축장치(607)를 포함하는 각조절고정부(600a)을 제공한다.
상기 신축장치(607)는 일종의 엑추에이터로서, 액체 또는 기체(오일 또는 공기 등)와 같은 유체의 유출입(ab)(유입유출)에 따른 유압으로 길이가 신축(bc)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실린더(607a)와 상기 실린더(607a)에 긴밀하게 끼워져 슬라이딩 동작하고 움직이는 피스톤(607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축장치(607)의 좌단부 즉, 상기 실린더(607a)의 좌단부 몸체의 일구간에 개구된 유체유입구(609)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유입구(609)에 외부로부터 유체를 유입할 플렉시블한 유체배관(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신축장치(607)의 좌단은 상기 좌측 플랩(605)의 안쪽 몸체에 신축장치힌지축(606)으로 힌지결합 되어서 굴절(회전) 가능케 고정되고,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신축장치(607)의 우단은 상기 우측 플랩(605)의 안쪽 몸체에 힌지결합 하도록 신축장치힌지축(606)으로 고정된다. 도 7에는 상기 신축장치(607)에 있어서, 실린더(607a)의 좌단이 상기 좌측 플랩(605)에 신축장치힌지축(606)으로 힌지결합 되어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607a)에 좌측이 삽입된 피스톤(607b)의 우단이 상기 우측 플랩(605)에 힌지결합 되도록 신축장치힌지축(606)으로 굴절(회전) 가능케 고정되도록 예시되어 있지만, 위치에 있어서는 좌우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 동작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유체의 유출입(ab)을 통하여 유압을 조절하거나 유출입(ab)을 차단하여서 상기 신축장치(607)가 길이방향으로 신축(bc) 작용을 하거나, 신축되지 않게 고정되게 하는 방법으로, 상기 좌측 플랩(605)과 상기 우측 플랩(605)을 서로 밀거나 당겨서 각조절(an)이 이루어지거나, 이미 각조절(an)로 설정된 각도가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607a) 내로 유체가 유출입(ab)되는 방법으로 상기 피스톤(607b)을 밀어내거나 당기게 하고, 유체의 유출입(ab)을 차단하여 멈추게 하는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를 정리하면, 상기 피스톤(607b)의 길이방향 운동에 의하여 상기 신축장치(607) 전체가 신축작용을 하고 상기 신축작용은 상기 신축장치(607) 양단에 신축장치힌지축(606)을 통하여 힌지결합되어 있는 좌우측 상기 플랩(605)을 밀거나 당겨서 각조절(an)을 취하거나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8 이하에서는 보다 진보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에서 좌측은 정면도이고 우측은 측면도이다. 도면은, 작업유니트로 사용될 상단접촉날(700)과 상기 상단접촉날(700)로부터 좌우측 양측의 아래에 각각 배치되는 작업유니트인 좌하단접촉날(700a) 및 작업유니트인 우하단접촉날(700b) 두 개를 포함하고, 이들을 연결시키고 고정시키는 수직연결프레임(710)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한다. 상기 상단접촉날(700),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상기 우하단접촉날(700b)은 앞에서 예시된 도 2 A, 도 2 B 또는 도 4 이하에 예시된 각 형태의 블레이드(300)/(500)/(600) 형태 중에 전부 또는 일부가 섞여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예시에서, 프레임(90)상에서 배치된 위치를 설정한 상단접촉날(700),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은 제1롤러(100)의 회전력에 의해 합성수지(VR)를 동시에 갈라 각각 그 양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신속하게 증가시킨다. 이때, 합성수지(VR)는 양측으로 안내되고 제2롤러(200)에 의해 다시 펴져 제1롤러(100)에 권취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상단접촉날(700),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이 수평으로 이동하며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겔 상태의 합성수지(VR)를 보다 입체적으로 신속하며 효율적인 믹싱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단접촉날(700),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상기 우하단접촉날(700b)은 공지기술인 등록특허 제1608296호 (2016.03.28.)의 도 3 및 도 6에 예시된 제1컷팅부, 제2컷팅부 및 반전부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가령,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상기 우하단접촉날(700b)은 상기 공지기술의 제1컷팅부 및 제2컷팅부로 제공되어서 제1롤러(100)에 권취되는 합성수지(VR)를 컷팅하여 컷팅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접촉날(700)은 제1컷팅부 또는 제2컷팅부에 의해 컷팅된 합성수지(VR)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반전시키는 상기 공지기술의 반전부의 구성일 수 있는 것이다. 또는, 그 역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상술한 이러한 구성의 방법은 작업의 원하는 방법, 효과에 대한 선택의 문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구성들은 프레임(90)에 설치되는 구성을 최소화 시켜주어서 상기 공지기술에 사용되는 구성을 간략화 하여주어서 시설비용의 원가절감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바랄 수 있다.
다음은 도 8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수직연결프레임(710)은 그 상단(711)이 상기 상단접촉날(700)을 고정하는 작업유니트지지대(703)의 몸체로부터, 측정기구 버니어캘리퍼스처럼 호(아치 또는 반원)형태를 취하여, 하방(아랫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배를 내밀 듯이 연장되고 그 하단이 다시 뒤로 후퇴하는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연결프레임(710)은 호 형태를 취하여 제1롤러(100)의 전방측을 감싸는 모양을 취하게 되므로, 상기 호의 크기(지름)는 합성수지가 감긴 제1롤러(100)의 지름보다 충분히 커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프레임(710)은 강한 압력 및 진동을 견디어 낼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두께를 갖는 금속부재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연결프레임(710)은 도 10의 예시처럼 몸체 중간에 힌지처럼 굴절되어 굴절조절각(h1)을 조절하고, 고정핀 등으로 상기 굴절된 굴절조절각(h1)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굴절조절부(730)를 둘 수 있다. 상기 굴절되는 힌지 및 상기 굴절조절각(h1)을 유지하는 고정핀과 같은 것은 건축분야나 기계분야의 정비도구 등과 같은 다른 기구 분야에 사용되는 공지된 것을 인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굴절조절부(730)의 굴절조절각(h1)을 설정하여서 제1롤러(100)에 감기는 합성수지(vr)의 가공 믹싱에 적절한 이격조절간(h2)을 키우거나 줄여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이격조절간(h2)은 상단접촉날(700)에 대하여 좌하단접촉날(700a) 또는 우하단접촉날(700b)이 이격된 거리가 조절된 것을 말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굴절조절각(h1)을 설정하여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의 제1롤러(100)에 대한 접촉 각도의 조절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에 별도의 각도 조절장치(미도시)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수직연결프레임(710) 하단(712)에는 그 좌우측으로 수평연결프레임(720)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만들어진 후에 고정되는 방법을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결프레임(720)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향되게 수직방향으로 접촉날받침대(721)가 연장되거나 부착되는 방법으로 구비되어서 각각, 추가하여 구비되는 작업유니트인,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이 위를 바라보는 형태가 되도록 고정한다. 여기에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과 상기 상단접촉날(700)은 서로 수직방향(x1) 및 수평방향(x2)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서로 대칭된 배치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은 정면/배면에서 보아 상기 상단접촉날(700)으로부터 좌우측(옆쪽)으로 각각 비껴나게 이격배치(x3)되도록 설치되어 각자 합성수지(vr)를 컷팅하거나 반전하는 궤도를 다르게 갖는 것이다. 상기 좌하단접촉날(700a) 및 우하단접촉날(700b)은 상기 이격배치(x3) 거리 두 배의 이격배치(x4)를 두고 장착되는 모양이 된다. 이때, 상기 이격배치(x3)/(x4)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연결프레임(720)의 몸체에는 앞에서 설명한 신축장치의 구성과 같은 것을 인용하여 거리조절수단(725)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롤러(100); 제2롤러(200);
블레이드(300)/(500)/(600)/(700); 작업유니트지지대(303)/(603)/(703);
작업유니트이송부(400); 수직이송부(410); 수평이송부(420);
상단접촉날(700); 좌하단접촉날(700a); 우하단접촉날(700b);
수직연결프레임(710); 수평연결프레임(720);

Claims (1)

  1. 합성수지가 권취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합성수지를 가압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롤러에 권취되는 합성수지를 믹싱하거나 양측으로 안내하는 작업유니트; 및 상기 작업유니트를 수직 또는 수평 이송시키는 작업유니트이송부;를 포함하여, 겔 상태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믹싱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유니트는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KR1020160179803A 2016-12-27 2016-12-27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KR10194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03A KR101941341B1 (ko) 2016-12-27 2016-12-27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03A KR101941341B1 (ko) 2016-12-27 2016-12-27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52A true KR20170099752A (ko) 2017-09-01
KR101941341B1 KR101941341B1 (ko) 2019-01-23

Family

ID=5992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803A KR101941341B1 (ko) 2016-12-27 2016-12-27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62A (ko) * 2019-12-25 2021-03-24 전금옥 합성수지 믹싱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138A (ja) * 1993-12-01 1995-06-20 Kiyoshi Inaizumi ロール混練装置
KR101076687B1 (ko) * 2011-05-13 2011-10-26 주식회사 케이디에프 합성수지의 믹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138A (ja) * 1993-12-01 1995-06-20 Kiyoshi Inaizumi ロール混練装置
KR101076687B1 (ko) * 2011-05-13 2011-10-26 주식회사 케이디에프 합성수지의 믹싱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262A (ko) * 2019-12-25 2021-03-24 전금옥 합성수지 믹싱장치
KR20210082393A (ko) * 2019-12-25 2021-07-05 전금옥 합성수지 믹싱 시스템
KR20210082392A (ko) * 2019-12-25 2021-07-05 전금옥 합성수지 혼련시스템
KR20210082391A (ko) * 2019-12-25 2021-07-05 전금옥 합성수지 믹싱설비
KR20220122956A (ko) * 2019-12-25 2022-09-05 박두하 합성수지의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341B1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687B1 (ko) 합성수지의 믹싱장치
CN106736074B (zh) 全自动管材上料、卸料装置
KR101958524B1 (ko) 합성수지 믹싱설비
KR101941341B1 (ko) 수직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믹싱장치
EP0391003A2 (en) Continuous kneading machine
CN105916653B (zh) 用于支撑塑料型材的方法与设备
US44654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rusion back pressure
KR101767424B1 (ko) 호퍼 제조장치
CN208555557U (zh) 一种折弯机
WO1996005463A1 (de) Werkzeug für einen kanalroboter
EP2414150B1 (de) Handschweissextruder mit heftdüse
WO2020178070A1 (en) Mixing and extrusion machine with self-cleaning twin screw and method of use
KR102337987B1 (ko) 합성수지 믹싱 시스템
CN207862627U (zh) 一种染缸轧水装置
KR102112446B1 (ko)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합성수지 믹싱설비
CN214183258U (zh) 一种鄂式破碎机
EP1403021A2 (en) An apparatus for regulating a relative positioning of components in rotary machines for decoration of ceramic tiles
CN111421780A (zh) 一种可变径的定径套
CN211518560U (zh) 一种实心轮胎注胶机及其模具夹持装置
EP3934875B1 (en) Output mechanism of a mixer with converging conical twin screws
CN219074517U (zh) 一种金属管切割台
CN210552296U (zh) 一种带翻胶冷却功能的开炼机
CN219171011U (zh) 一种pvc管材用管材切割机构
KR101671911B1 (ko) 압출기의 압출물 자동 컨베이어장치
KR100773954B1 (ko) 동방향회전 이축압출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