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210A -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210A
KR20170099210A KR1020160021307A KR20160021307A KR20170099210A KR 20170099210 A KR20170099210 A KR 20170099210A KR 1020160021307 A KR1020160021307 A KR 1020160021307A KR 20160021307 A KR20160021307 A KR 20160021307A KR 20170099210 A KR20170099210 A KR 2017009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polycarbonate
bis
repeating unit
hydroxy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051B1 (ko
Inventor
이기재
반형민
손영욱
홍무호
전병규
황영영
박정준
고운
고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2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0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 및 투명성 또한 뛰어난 코폴리카보네이트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COPOLYCARBONATE AND MOLDED ARTICLE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 및 투명성 또한 뛰어난 코폴리카보네이트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충격강도, 수치안정성,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의 물성으로 인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외장재, 자동차 부품, 건축 소재, 광학 부품 등의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소재이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최근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유의 물성은 유지하면서도 유동성 및 투명성 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코폴리카보네이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구조의 방향족 디올을 공중합하여 구조가 다른 단위체를 폴리카보네이트의 주쇄에 도입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술들이 생산단가가 높고, 내화학성이나 충격강도 등이 증가하면 반대로 투명성이 저하되고, 투명성이 향상되면 내화학성이나 충격강도 등이 저하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이에,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 및 투명성 또한 뛰어난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연구 개발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 및 투명성 또한 뛰어난 코폴리카보네이트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며, 용융지수(MI)가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값 이상인,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성형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며,
용융지수(MI)가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값 이상인, 코폴리카보네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C1-10 알킬렌, 비치환되거나 또는 C1-10 알킬로 치환된 C3-15 사이클로알킬렌, O, S, SO, SO2, 또는 CO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Z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C1-10 알킬렌, 비치환되거나 또는 C1-10 알킬로 치환된 C3-15 사이클로알킬렌, O, S, SO, SO2, 또는 CO 이고,
[수학식 1]
8*1021*X-4.645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고, 23,000 내지 40,000이다.
특히, 상기 일 구현예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한다. 이와 같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상술한 범위로 포함함에 따라, 코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과 용융지수를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함량이 1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과 유리전이온도가 저하될 수 있고,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분자량 대비 용융지수가 작고,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지수(MI)가 중량평균 분자량과 관계된 수학식 1에 따른 값 이상인 특징이 있다. 이 때,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은 GPC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이용할 수 있고, 용융지수는 MI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그래프화하여 추세선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식을 만족하는 상기 일 구현예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높은 유리전이온도, 내충격성과 같은 고유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유동성과 투명성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광판, 자동차 램프, LED 램프 관련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지수(MI)가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값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값 이상 및 하기 수학식 2에 따른 값 이하일 수 있다.
[수학식 2]
9*1019*X-4.18
상기 수학식 2에서,
X는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고, 23,000 내지 40,00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정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X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 알킬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 에탄-1,1-디일, 프로판-2,2-디일, 부탄-2,2-디일, 1-페닐에탄-1,1-디일, 또는 디페닐메틸렌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X는 사이클로헥산-1,1-디일, O, S, SO, SO2, 또는 CO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된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3
.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바람직하게는, R5 내지 R8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Z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 알킬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 에탄-1,1-디일, 프로판-2,2-디일, 부탄-2,2-디일, 1-페닐에탄-1,1-디일, 또는 디페닐메틸렌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Z는 사이클로헥산-1,1-디일, O, S, SO, SO2, 또는 CO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및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로부터 유래한다'의 의미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시기와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반응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방향족 디올 화합물인 비스페놀 A와 카보네이트 전구체인 트리포스겐이 중합된 경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된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04
.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디-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포스겐 또는 포스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143℃ 이상, 바람직하게는 14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의 유리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여 높은 유리전이 온도를 나타낼 수 있지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1 중량부 초과하여, 예컨대 1.5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리전이 온도가 143℃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또,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500 J/m 이상, 바람직하게는 550 J/m,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J/m 의 충격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 온도와 유사하게, 상기 일 구현예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여 높은 충격강도를 나타낼 수 있지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1 중량부 초과하여, 예컨대 1.5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리전이 온도가 500 J/m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수소, OH, C1-10 알킬, 또는 할로겐이다.
이 때,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100 중량부에 대해 0.05 중량부 이상, 또는 0.1 중량부 이상이고, 2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합하는 단계에서 화학식 3의 함량을 조절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중량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술한 범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지수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앞서 화학식 2의 반복 단위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중합은 계면 중합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면 중합시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중합 온도는 0℃ 내지 40℃, 반응 시간은 10분 내지 5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중 pH는 9 이상 또는 11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산결합제의 존재 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결합제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시 코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조절을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 C1-20 알킬페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 p-tert-부틸페놀, p-쿠밀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에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또는 트리아콘틸페놀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중합 개시 전, 중합 개시 중 또는 중합 개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상, 또는 1 중량부 이상이고, 10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분자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의 촉진을 위하여,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3차 아민 화합물, 4차 암모늄 화합물, 4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 촉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는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용융지수(MI)가 중량평균 분자량과 관련된 특정 값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는 등, 유동성 또한 향상되어 기존에 사용되던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는 성형품에 비하여 응용 분야가 넓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 외에,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형광증백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와 기타 첨가제를 믹서를 이용하여 잘 혼합한 후에, 압출기로 압출 성형하여 펠릿으로 제조하고, 상기 펠릿을 건조시킨 다음 사출 성형기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 및 투명성 또한 뛰어난 코폴리카보네이트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비교예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에 대한 용융지수(MI)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실시예 1
질소 퍼지와 콘덴서가 구비되고, 서큘레이터(circulator)로 상온 유지가 가능한 2L 메인 반응기에 H2O 620g, BPA 116.47g, Sebacoyl chloride 0.312ml(BPA 대비 0.3 wt%), NaOH 102.5g, MeCl2 200ml를 투입하고 수분간 교반시켰다.
질소 퍼징을 멈추고 1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트리포스겐 62g과 MeCl2 120g을 넣고 트리포스겐을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트리포스겐 용액을 천천히 BPA 용액이 녹아 있는 메인 반응기에 투입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PTBP 2.28g을 넣고 10여분간 교반시켰다. 교반이 완료된 후 40 중량% NaOH 수용액 97g 넣은 후 커플링제로서 TEA 1.16g을 투입하였다. 이 때, 반응 pH는 11~13을 유지하였다. 충분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시간을 두고 반응을 종결하기 위해 HCl을 투입하여 pH를 3~4로 떨어뜨렸다. 그리고, 교반을 중지하여 폴리머층과 물층을 분리한 다음 물층은 제거하고 순수한 H2O를 다시 투입하여 수세하는 과정을 3~5회 반복 수행하였다. 수세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폴리머층만 추출하고 메탄올, H2O 등을 이용한 비용매를 사용하여 재침법으로 폴리머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이 때, 제조된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1,000g/mol이었다.
실시예 2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0.104ml(BPA 대비 0.1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0.52ml(BPA 대비 0.5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1.04ml(BPA 대비 1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PTBP의 사용량을 3.41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PTBP의 사용량을 1.97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Sebacoyl chloride를 사용하지 않고, PTBP의 사용량을 3.41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Sebacoyl chloride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Sebacoyl chloride를 사용하지 않고, PTBP의 사용량을 1.97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0.052ml(BPA 대비 0.05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1.27ml(BPA 대비 1.5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3.12ml(BPA 대비 3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Sebacoyl chloride의 함량을 7.28ml(BPA 대비 7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코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6, 비교예 1~7에서 제조된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사출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중량평균 분자량(g/mol): Agilent 1200 series를 이용, PC standard로 검량하여 측정하였다.
* 용융지수(흐름성, MI): ASTM D1238(300℃, 1.2kg 조건)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유리전이 온도(Tg, ℃): 시차주사열량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충격강도: ASTM D256(1/8inch, Notched Izod)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 transmittance(Tt): Spectrophotometer U-4100(Hitachi 社)를 이용하여 380 내지 780nm의 빛을 조사하여 Tt를 측정하였다.
* Yellow Index(YI): ASTM D1925에 의거하여 Color-Eye 7000A(X-rite 社)를 이용하여 상온, Spectral range(360 내지 750 nm)에서 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Mw
(g/mol)
MI
(g/10min)
Tg
(℃)
Izod Impact
(J/m)
Tt
(%)
YI
실시예 1 31,000 14 150.1 746 90.52 0.96
실시예 2 31,000 12.9 150.5 757 90.42 0.97
실시예 3 31,000 14.2 147.8 744 90.84 0.94
실시예 4 31,000 14.8 145.5 739 91.14 0.93
실시예 5 24,700 34 148.8 630 90.62 0.96
실시예 6 34,900 9 149.6 869 90.44 0.98
비교예 1 24,700 26.2 151.2 645 90.33 1.2
비교예 2 31,000 10.8 151.6 784 90.1 1.3
비교예 3 34,900 5.7 151.8 870 89.66 1.7
비교예 4 31,000 10.9 150.8 778 90.1 1.11
비교예 5 31,000 15.8 142.5 482 91.16 0.92
비교예 6 31,000 16.3 140.1 412 91.32 0.92
비교예 7 31,000 17.2 132.5 352 91.53 0.9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Sebacoyl chloride유래의 반복 단위를 BPA 유래의 반복 단위 대비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6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Sebacoyl chloride유래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하여 동일 중량평균 분자량에서의 용융지수가 높고, 투명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Sebacoyl chloride유래의 반복 단위를 BPA 유래의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여, 비교예 5 내지 7의 Sebacoyl chloride유래의 반복 단위를 1.5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하여 높은 145℃ 이상의 유리전이 온도, 600 J/m 이상의 충격강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대비 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하며,
    용융지수(MI)가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값 이상인, 코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C1-10 알킬렌, 비치환되거나 또는 C1-10 알킬로 치환된 C3-15 사이클로알킬렌, O, S, SO, SO2, 또는 CO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Z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C1-10 알킬렌, 비치환되거나 또는 C1-10 알킬로 치환된 C3-15 사이클로알킬렌, O, S, SO, SO2, 또는 CO이고,
    [수학식 1]
    8*1021*X-4.645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고, 23,000 내지 40,00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지수(MI)가 하기 수학식 2에 따른 값 이하인, 코폴리카보네이트:
    [수학식 2]
    9*1019*X-4.18
    상기 수학식 2에서,
    X는 상기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고, 23,000 내지 40,000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3 내지 1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 1-1]
    Figure pat00008
    .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및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화학식 2-1]
    Figure pat00009
    .
  7. 제1항에 있어서,
    143℃ 이상의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코폴리카보네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500 J/m 이상의 충격강도를 갖는 코폴리카보네이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는, 성형품.
KR1020160021307A 2016-02-23 2016-02-23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2086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307A KR102086051B1 (ko) 2016-02-23 2016-02-23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307A KR102086051B1 (ko) 2016-02-23 2016-02-23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10A true KR20170099210A (ko) 2017-08-31
KR102086051B1 KR102086051B1 (ko) 2020-03-06

Family

ID=5976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307A KR102086051B1 (ko) 2016-02-23 2016-02-23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0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38B1 (ko) * 1989-12-22 1995-11-08 제네랄 일렉트릭 캄파니 코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KR20030000181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삼양사 용융강도가 우수한 고유동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의제조방법
KR20110119623A (ko) * 2008-12-31 2011-11-02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고유동성 및 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투명 물품 및 물품의 제조 방법
US20140206079A1 (en) * 2013-01-24 2014-07-2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icrowell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38B1 (ko) * 1989-12-22 1995-11-08 제네랄 일렉트릭 캄파니 코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KR20030000181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삼양사 용융강도가 우수한 고유동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의제조방법
KR20110119623A (ko) * 2008-12-31 2011-11-02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고유동성 및 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투명 물품 및 물품의 제조 방법
US20140206079A1 (en) * 2013-01-24 2014-07-2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icrowell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051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836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59160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3628699B1 (en) Co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168679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2019515118A (ja) コポリカーボネ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
KR102229664B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3398984A1 (en) Novel polyorganosiloxane and copolycarbonate prepared using same
KR102234518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6051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955674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2223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70028831A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4265B1 (ko) 신규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KR1020307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EP4234608A1 (en) Polycarbonate copolymer
EP4335889A1 (en) Polycarbonate copolymer
KR101955673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9171A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166115A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7795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6901A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KR20240014713A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1338A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7076A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