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785A -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785A
KR20170098785A KR1020170106739A KR20170106739A KR20170098785A KR 20170098785 A KR20170098785 A KR 20170098785A KR 1020170106739 A KR1020170106739 A KR 1020170106739A KR 20170106739 A KR20170106739 A KR 20170106739A KR 20170098785 A KR20170098785 A KR 2017009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learning
user terminal
learning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006B1 (ko
Inventor
김성윤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Priority to KR102017010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0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으로서, (a)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b)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GLOBAL SOCIAL FOREIGN LANGUAGE STUDY, GLOBAL SOCIAL FOREIGN LANGUAGE STUDY PROVISION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어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발음과 악센트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을 제공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스러운 외국어 습득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외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들과 접촉을 늘리는 것이다. 실제로 학원이나 교재 등 다양한 교수법을 통하여 어학학습을 시도하고 있으나 자연스러운 외국어 구사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는 것은 무척 어렵고, 결국 현지에서 원어민들과 생활을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를 익히는 효과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희망하는 많은 사람들이 유학이나 어학연수를 통하여 현지인들과의 접촉을 늘리면서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거액의 어학연수를 다녀온다 하더라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실패하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따라서, 자국에서 원어민들과의 접촉을 늘려 외국어 학습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외국어 학습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4052호는 문장의 블랭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국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학습단계 별로 국어로 번역된 문장과 함께 선택적으로 제시하되 문장 내 특정한 단어를 블랭크로 처리하여 이를 접한 학습자가 리스닝 앤 스피킹(listening and speaking), 받아쓰기(dictation), 리딩 앤 라이팅(reading and writing) 방식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면서 블랭크 내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나, 스튜디오에서 녹음되는 교과서적 어학학습 데이터를 이용하므로, 원어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발음과 악센트를 학습자가 접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40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서비스를 통하여 서로의 모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다른 나라 사람들을 연결해, 원어민이 실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발음과 악센트를 통하여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제1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으로서, (a)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b)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학습 희망 언어와 일치하는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후보 사용자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출생지, 거주지, 성별, 연령, 또는 신뢰도를 기초로 매칭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매칭 점수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매칭을 시도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1 언어의 지시문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지시문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 및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이 유지되는 블록을 제거하고, 제거된 블록만큼 헤더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레벨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의 최댓값을 기초로 증폭값을 산출하고, 상기 증폭값을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표준화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언어 학습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1)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d-3) 상기 답변이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e)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단계, 및 (g) 상기 표준화된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2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습 데이터는 언어의 종류별로 분류되어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로서,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매칭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학습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표준화부, 및 상기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학습 수행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제1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학습 희망 언어와 일치하는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후보 사용자 단말을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칭부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출생지, 거주지, 성별, 연령, 또는 신뢰도를 기초로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칭부는 상기 매칭 점수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매칭을 시도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습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1 언어의 지시문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지시문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준화부는 상기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 및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이 유지되는 블록을 제거하고, 제거된 블록만큼 헤더를 재조정하는 트리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준화부는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레벨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의 최댓값을 기초로 증폭값을 산출하고, 상기 증폭값을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 적용하는 레벨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습 수행 관리부는 상기 표준화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언어 학습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 문제 생성 및 제공 모듈,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 및 상기 답변이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및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서비스를 통하여 원어민이 실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유학이나 어학연수 없이 자국에서 원어민들과 생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언어를 익힐 수 있으며, 따라서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준화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학습 수행 관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알고리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표준화 알고리즘에 대한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 및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는 언어 데이터베이스(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넷(Internet)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후술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 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110) 및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로서, 통신망을 통하여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 양방향성 외국어 학습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부 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1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11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사용자 단말(11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 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단말(1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110)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두 개는 제1 사용자 단말(111) 및 제2 사용자 단말(112)로 서로 매칭되어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호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과 외국어 학습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 중 제1 사용자 단말(111) 및 제2 사용자 단말(112)을 결정하여 서로 매칭시키고, 제1 사용자 단말(111) 및 제2 사용자 단말(112) 간에 외국어 학습을 위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언어 데이터베이스(130)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 전송된 특정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언어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언어 데이터베이스(130)는 학습 데이터를 한국어 학습 데이터, 영어 학습 데이터, 일본어 학습 데이터, 및 중국어 학습 데이터 등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어 데이터베이스(130)에 언어별로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학습 데이터는 향후 이차적인 외국어 학습용 콘텐츠 제작에 활용될 수 있고,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하여 추가적인 외국어 학습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는 매칭부(210),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 표준화부(230), 학습 수행 관리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매칭부(210)는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1) 및 제2 사용자 단말(112)을 매칭한다. 즉, 매칭부(210)는 서로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가지고 상대방의 언어에 대해 학습을 희망하는 2명의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영어를 모국어로 하며 한국어 공부를 희망하는 미국인과,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며 영어 공부를 희망하는 한국인을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은 단지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 정보만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모국어, 학습 희망 언어, 연령, 성별, 학습이력, 유저 신뢰도 등의 지표를 참고하는 매칭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매칭 알고리즘에 대하여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110) 각각은 ID, 출생지, 거주지, 모국어, 학습 희망 언어, 성별, 연령, 및 신뢰도(서비스 내 평판 지수)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부(210)가 제2 사용자 단말(112)과 매칭시킬 제1 사용자 단말(111)을 결정하는 경우에, 매칭부(210)는 제2 사용자 단말(112)의 학습 희망 언어와 일치하는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후보 사용자 단말을 검출하여 후보군을 생성할 수 있다.
후보군에 하나의 사용자 단말만이 포함된 경우에는, 매칭부(210)는 해당 사용자 단말을 제1 사용자 단말(111)로 결정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과 매칭 시킬 수 있고, 후보군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포함된 경우에는, 출생지, 거주지, 성별, 연령, 또는 신뢰도를 기초로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매칭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과의 관계에서, 출생지가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높은(또는 낮은) 점수, 거주지가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높은(또는 낮은) 점수, 성별이 같은 경우 높은(또는 낮은) 점수, 연령이 비슷할수록 높은(또는 낮은) 점수, 또는 신뢰도가 높은 수록 높은(또는 낮은) 점수를 부여하여 매칭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매칭부(210)는 매칭 점수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후보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매칭을 시도하고 후보군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제1 사용자 단말(111)을 결정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과 매칭을 시킬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1)로부터 생성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생성되어 수신한 학습 데이터는 언어의 종류별로 분류되어 언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1)에 제1 언어의 지시문을 제공하고, 제1 언어의 지시문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1)의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1)의 모국어가 영어인 경우에, 제1 사용자 단말(111)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1)에 출력된 영어 지시문인 {The assistance you arranged for us was fantastic}을 읽고 이를 녹음하여 오디오 형태의 영어 학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1)의 학습 레벨에 적합한 지시문을 제시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1)은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에 지시문의 제공 또는 재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레벨은 제1 사용자 단말(111)의 학습 희망 언어의 학습 수행 결과 레벨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1)은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여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 전송을 완료하면, 마일리지 형태의 리워드(reward)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일리지는 제1 사용자 단말(111)이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서의 콘텐츠 사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준화부(230)는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즉,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학습 데이터는 학습용으로 적합하도록 표준화 처리되어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준화부(230)는 트리밍 모듈(310), 및 레벨링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화부(230)는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한 다음, 이하에서 설명될 트리밍 모듈(310) 및 레벨링 모듈(320)을 통하여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한다. 이하,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표준화부(23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리밍(trimming) 모듈(310)은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 및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이 유지되는 블록을 제거하고, 제거된 블록만큼 헤더를 재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는 원본 학습 데이터 이고, 도 7의 (b)는 트리밍 모듈(310)을 통하여 조정된 학습 데이터이다. 즉, 트리밍 모듈(310)을 통하여, 학습 데이터는 도 7의 (a)와 같은 데이터에서 도 7의 (b)와 같은 데이터로 조정될 수 있다.
레벨링(leveling) 모듈(320)은 트리밍 모듈(310)에 의하여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레벨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레벨의 최댓값을 기초로 증폭값을 산출하고, 증폭값을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레벨링 모듈(320)을 통하여 학습 데이터는 녹음 환경에 따른 학습 데이터의 음량의 차이가 보정되어 일정한 수준의 음량을 가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c)가 레벨링 모듈(320)을 통하여 조정된 학습 데이터이다. 즉, 레벨링 모듈(320)을 통하여, 학습 데이터는 도 7의 (b)와 같은 데이터에서 도 7의 (c)와 같은 데이터로 조정되어 일정한 수준의 음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준화부(230)는 제1 사용자 단말(111)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학습 데이터가 제시된 지시문을 올바르게 읽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올바르지 않게 읽고 녹음한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111)에 다시 한번 녹음을 요청할 수 있다.
즉, 표준화부(230)는 서로 다른 환경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수준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학습 데이터가 일정한 수준의 품질을 가지도록 하고, 또한, 학습 데이터가 제대로 녹음되었는지, 즉, 사용자가 제시된 지시문을 바르게 읽어 녹음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모든 학습 데이터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품질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의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학습 데이터를 학습에 적합하도록 표준화하여 제공한다.
학습 수행 관리부(240)는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이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수행 관리부(240)는 학습 문제 생성 모듈(410),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420), 및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모듈(430)을 포함한다.
학습 문제 생성 모듈(410)은 표준화부(230)를 통하여 표준화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언어 학습 문제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 문제 생성 모듈(410)은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퀴즈 형태로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시문의 주요 단어에 대한 받아쓰기 문제 형태로서, {지시문의 주요 단어에 대한 받아쓰기: The ( ) you arranged for us was ( ). 에서 들은 대로 괄호 안의 입력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 문제 생성 모듈(120)은 받아쓰기 형태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문제 생성 모듈(410)은 제2 사용자 단말(112)의 학습 수행 결과 레벨을 기초로 난이도를 조정하여 학습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112)도 특정 난이도의 학습 문제를 요청하거나 학습 문제의 재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420)은 제2 사용자 단말(112)로부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12)은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텍스트 형태 또는 오디오 형태로 입력하여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4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12)의 사용자가 {지시문의 주요 단어에 대한 받아쓰기: The ( ) you arranged for us was ( ). 에서 들은 대로 괄호 안의 입력하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서, {assistance, fantastic}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문자로 입력하거나 해당 단어를 발음하여 녹음할 수도 있다.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모듈(430)은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420)을 통하여 수신한 답변이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제1 언어 학습 문제 수행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모듈(430)은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대해 자동 채점을 하고, 정답일 경우에는 마일리지 등의 리워드를 제공하고, 틀렸을 경우에는 재시도 또는 마일리지 차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모듈(430)은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420)을 통하여 수신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기초로 학습 수행 결과 레벨을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수행 결과 레벨이 정답률을 기준으로 {0~20%: level 1, 20~40%: level 2, 40~60%: level 3, 60~80%: level 4, 80~100%: level 5}와 같이 산정되는 경우에는,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420)은 제2 사용자 단말(112)로부터 수신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학습 수행 결과 레벨을 산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매칭부(210),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 표준화부(230), 및 학습 수행 관리부(240)의 동작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5는 도 1의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의 매칭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1) 및 제2 사용자 단말(112)을 매칭한다(단계 S510). 일 실시예에서, 매칭은 사용자 단말(110)의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실행될 수 있고,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매칭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매칭부(210)는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정한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1)로부터 생성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520).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1)은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교수자 역할이고, 제2 사용자 단말(112)이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 역할이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1)의 모국어인 제1 언어의 지시문을 제1 사용자 단말(111)에 제시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1)은 해당 지시문을 읽어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에 제공한다.
표준화부(230)는 학습 데이터 수신부(220)를 통하여 수신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한다(단계 S530). 표준화부(230)는 트리밍 모듈(310)및 레벨링 모듈(320)을 통하여 다양한 상태의 학습 데이터를 일정한 수준의 품질을 가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학습 수행 관리부(240)는 표준화부(230)를 통하여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이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540). 학습 수행 관리부(240)는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에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12)로부터 수신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사용자 단말(112)에 대한 학습 수행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1)이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 단말(112)이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통하여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 즉, 제1 사용자 단말(111)이 교수자이고 제2 사용자 단말(112)이 학습자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 단말(110)중 어떠한 사용자 단말도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수자 또는 생성된 학습 데이터를 통하여 특정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가 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12)이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여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에 제공하면,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120)는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1)에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1)은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2 언어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 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30: 언어 데이터베이스
210: 매칭부
220: 학습 데이터 수신부
230: 표준화부
240: 학습 수행 관리부
250: 제어부
310: 트리밍 모듈
320: 레벨링 모듈
410: 학습 문제 생성 모듈
420: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
430: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모듈

Claims (19)

  1. 제1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b)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학습 희망 언어와 일치하는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후보 사용자 단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출생지, 거주지, 성별, 연령, 또는 신뢰도를 기초로 매칭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매칭 점수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매칭을 시도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1 언어의 지시문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지시문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 및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이 유지되는 블록을 제거하고, 제거된 블록만큼 헤더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레벨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의 최댓값을 기초로 증폭값을 산출하고, 상기 증폭값을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표준화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언어 학습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1)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d-3) 상기 답변이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단계; 및
    (g) 상기 표준화된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2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는
    언어의 종류별로 분류되어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11. 모국어 및 학습 희망 언어를 기초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매칭하는 매칭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학습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표준화부; 및
    상기 표준화된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언어의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언어의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학습 수행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제1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와 연관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제2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용자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학습 희망 언어와 일치하는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후보 사용자 단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출생지, 거주지, 성별, 연령, 또는 신뢰도를 기초로 매칭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매칭 점수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후보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하여 매칭을 시도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1 언어의 지시문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언어의 지시문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오디오 형태의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부는
    상기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 및 특정 레벨 이하인 부분이 유지되는 블록을 제거하고, 제거된 블록만큼 헤더를 재조정하는 트리밍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부는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서 레벨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의 최댓값을 기초로 증폭값을 산출하고, 상기 증폭값을 상기 재조정된 학습 데이터의 블록에 적용하는 레벨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행 관리부는
    상기 표준화된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언어 학습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 문제 생성 및 제공 모듈;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학습 문제 답변 수신 모듈; 및
    상기 답변이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에 대한 정답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1 언어 학습 문제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 문제 결과 산출 및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1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이는 기록매체.
KR1020170106739A 2017-08-23 2017-08-23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20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39A KR102207006B1 (ko) 2017-08-23 2017-08-23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39A KR102207006B1 (ko) 2017-08-23 2017-08-23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964A Division KR20160149354A (ko) 2015-06-17 2015-06-17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85A true KR20170098785A (ko) 2017-08-30
KR102207006B1 KR102207006B1 (ko) 2021-01-25

Family

ID=5976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739A KR102207006B1 (ko) 2017-08-23 2017-08-23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516B1 (ko) * 2017-11-03 2022-11-0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언어 학습 평가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536A (ko) * 2000-04-26 2001-12-07 김정태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 전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JP2007065291A (ja) * 2005-08-31 2007-03-15 Yamaha Corp 語学学習支援方法
KR101054052B1 (ko) 2011-04-29 2011-08-03 비전워크코리아(주) 문장의 블랭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KR20120089021A (ko) * 2011-02-01 2012-08-09 최영민 다국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국어 온라인 학습의 컨텐츠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5013A (ko) * 2013-12-04 2015-06-12 (주)하우투리슨 영어 리스닝 학습을 위한 교재 음원 재가공 기반의 지역 멘토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지역 멘토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536A (ko) * 2000-04-26 2001-12-07 김정태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 전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JP2007065291A (ja) * 2005-08-31 2007-03-15 Yamaha Corp 語学学習支援方法
KR20120089021A (ko) * 2011-02-01 2012-08-09 최영민 다국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국어 온라인 학습의 컨텐츠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1054052B1 (ko) 2011-04-29 2011-08-03 비전워크코리아(주) 문장의 블랭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KR20150065013A (ko) * 2013-12-04 2015-06-12 (주)하우투리슨 영어 리스닝 학습을 위한 교재 음원 재가공 기반의 지역 멘토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지역 멘토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006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8952A (zh) 识别带口音的语音
CN113140138A (zh) 互动教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30108173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인식 질의응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8897771B (zh) 自动问答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122349B2 (en) Serv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microphone
US20200320993A1 (en) Dialogue processing apparatus,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dialogue processing method
KR102196917B1 (ko) 영어 말하기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059358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국어 통역/학습 장치 및 방법
CN107767862B (zh) 语音数据处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2207006B1 (ko)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754616B1 (ko) 무선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대화형 학습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대화형 학습콘텐츠 제공방법
KR20160149354A (ko)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글로벌 소셜 외국어 학습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460516B1 (ko) 언어 학습 평가 방법
JP2017021245A (ja) 語学学習支援装置、語学学習支援方法および語学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20210144019A (ko) 발음 키워드의 언어 평가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KR20210144005A (ko) 기록매체
KR102572362B1 (ko) 난청환자 재활교육용 챗봇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69834B1 (ko)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312798B1 (ko) 강의통역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0926B1 (ko) 영어 문장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7323A (ko) 학습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144014A (ko) 기록매체
KR20210144015A (ko) 발음 키워드의 언어 평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KR20210144016A (ko) 발음 키워드의 언어 평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44009A (ko) 발음 키워드의 언어 평가 모델 기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