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441A - 조명장치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441A
KR20170098441A KR1020160020342A KR20160020342A KR20170098441A KR 20170098441 A KR20170098441 A KR 20170098441A KR 1020160020342 A KR1020160020342 A KR 1020160020342A KR 20160020342 A KR20160020342 A KR 20160020342A KR 20170098441 A KR20170098441 A KR 2017009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pcb substrate
engaging
rotating body
rubb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한
조항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2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441A/ko
Publication of KR2017009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케이스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배면에 장착되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서, 회전체 수용함 본체 내부에는 내부 회전체가 수용되고, 그러한 내부 회전체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회전체와 결합한다. 내부 회전체와 외부 회전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거치 와이어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거치 와이어 끼움홈에는 거치 와이어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거치 와이어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180도의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회전체와 외부 회전체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제한없이 회전할 수 있음로, 거치 와이어는 수직방향으로 360도의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와이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거치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 케이스{Illumination Device Case}
본 발명은 조명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장치를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게 해주는 조명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빛을 공급하여 어두운 공간을 밝게 하는 장치로서 현대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레저 및 캠핑 생활에서 이동이 용이한 소형 조명장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457588호(2014. 10. 28. 등록)는 스피커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조명장치는 삼각기둥 형상의 몸체의 각 면에 구비된 스피커 및 광원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의 양측에 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대는 삼각기둥 형상의 몸체를 회전시키면서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580245호(2015. 12. 18. 등록)는 조명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캠핑용 LED 랜턴을 개시한다. 개시된 랜턴은 본체, 회전체, 조명바디 및 걸이부재를 포함한다. 조명바디는 회전체에 의하여 본체로부터 회전하여 펼쳐짐으로써 조명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걸이부재는 랜턴을 텐트 줄 등에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특허등록 제10-1554780호(2015. 09. 15. 등록)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466344호(2013. 04. 03. 등록)는 캠핑용 스트링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캠핑용 스트링 조명장치는 텐트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링을 조명하여 밤에 텐트의 줄에 사람이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과 아울러 장식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조명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지만, 조명장치를 사용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하는데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더욱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장치를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게 해주는 조명장치 케이스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장치 케이스는 하나 이상의 LED가 장착되고 회로 배선이 인쇄된 PCB 기판이 전면에 장착되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4개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면들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가능 결합부,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무링 장착판부, 상기 고무링 장착판부로부터 수직하게 원형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링 장착 돌출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의 한 지점에서 중심을 가로질러 맞은편의 한 지점에 걸쳐 형성되는 거치 와이어 끼움홈을 포함하는 내부 회전체;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고무링 장착판부와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의 바깥쪽 면에 접촉하도록 끼워지는 고무링; 상기 고무링을 상부에서 압박하고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 및 상기 와이어 끼움홈을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를 덮는 회전체 수용함 덮개;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와이어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끼움홈을 가지고 상기 내부 회전체와 결합하는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와이어 끼움홈 및 상기 외부 회전체의 상기 와이어 끼움홈에 끼워져서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를 거치하는 거치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 와이어는 폐쇄형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끼움홈에 끼워지는 변 부분 및 지면에 접촉하는 변 부분이 아닌 변 부분에서 열리고 닫히는 도어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도어구조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거치 와이어 내부에 줄을 삽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 와이어는 지면에 접촉하는 변 부분의 중앙부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는 원기둥부 및 상기 원기둥부 상에 상기 원기둥부의 원 내부에 육각기둥부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중심부에는 나사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링 장착판부 및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는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원기둥부의 원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원 면적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의 측벽과 상기 원기둥부의 원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 면적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속이 빈 디스크 형상의 바닥벽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의 상기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중공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원기둥부와 상기 육각기둥부가 수용되고,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는 상기 내부 회전체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의 상기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중공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의 상기 바닥벽에 걸려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로부터 아래로는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육각기둥부와 일치하는 육각기둥 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육각기둥 형상의 홈보다 작은 원형의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에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육각기둥부가 끼워진 후 중앙에 형성된 상기 원형 구멍을 통하여 나사가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나사결합홈에 결합함에 의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이고, 그래서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는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측면들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 수용함 덮개는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는 가운데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가 결합하는 배면 평판부,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와 상기 배면 평판부 사이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 전체에 걸쳐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는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배면 평판부의 중앙 영역에 결합하며,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는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양 측방에서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슬라이딩 장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결합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배면 측방 덮개;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의 가운데에 형성된 상기 중공과 일치하는 한쌍의 결합구멍을 가지고, 상기 배면 측방 덮개의 측면 윤곽 및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측면 윤곽을 덮는 측면 덮개; 및 상기 측면 덮개의 상기 결합구멍 및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의 가운데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덮개와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를 결합시키는 측면 결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결합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조명장치 케이스; 및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의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LED가 장착되고 회로배선이 인쇄된 PCB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의하면, 조명장치를 거치하는 거치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180도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360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조명장치를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복수개의 LED가 장착되고 회로배선이 인쇄된 PCB 기판이 조명장치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어 형성되는 조명장치에 대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대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에 대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에 대한 상방향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고무링이 결합된 내부 회전체에 대한 상방향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내부 회전체에 대한 하방향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고정편에 대한 하방향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회전체 수용함 덮개에 대한 하방향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외부 회전체에 대한 하방향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거치 와이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에 적용되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 배면 측방 덮개, 측면 덮개 및 측면 결합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 내부 회전체(300), 고무링(400), 고정편(500),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 외부 회전체(700) 및 거치 와이어(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에서,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미도시)이 장착된다. PCB 기판에는 하나 이상의 LED, 특히 복수개의 LED가 장착되고 또한 회로배선이 인쇄되어 있다.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 배면 평판부(130), 슬라이딩 장홈(140)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는 가운데에 중공(111 및 121)이 각각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면 평판부(130)에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가 결합하며, 슬라이딩 장홈(140)은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와 배면 평판부(130) 사이에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 전체에 걸쳐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배면 평판부(130)에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와의 결합을 위하여 복수개의 나사결합공(13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PCB 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이 통과하여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전선관통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배면 평판부(130) 중앙에 배치된다.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바닥면(210) 및 바닥면(210)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4개의 측면(220, 230, 240 및 250)으로 형성되고, 바닥면(210) 및 측면들(220, 230, 240 및 250)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바닥면(210)에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배면 평판부(13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들(131)에 일치하도록 복수개의 나사결합공(280)이 형성되어 있다. 대응하는 나사결합공들(131 및 280)에는 나사가 관통하여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와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가 결합하게 된다. 또한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전선관통공(133)에 대응하여 PCB 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이 통과하여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전선관통공(211)이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바닥면(210)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바닥면(210)에는 결합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출부(260)는 바닥면(2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기둥부(261) 및 원기둥부(26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육각기둥부(263)를 포함한다. 육각기둥부(263)는 원기둥부(261)의 원 내부에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결합 돌출부(260)의 중심부에는 나사를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나사결합홈(26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출부(260)의 바깥에는 가이드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70)는 원형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 회전체(300)가 결합 돌출부(260)와 결합하는 것을 가이드하고 내부 회전체(3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바닥면(210)에는 또한 복수개의 나사결합용 돌출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결합용 돌출부(290)의 가운데에는 수직하게 나사결합홈(29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결합용 돌출부(290)는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와 나사결합을 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회전체(3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 결합부(310), 고무링 장착판부(320), 고무링 장착 돌출부(330) 및 거치 와이어 끼움홈(340)을 포함한다.
회전가능 결합부(310)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바닥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회전가능 결합부(310)는 측벽(311) 및 바닥벽(315)으로 구성된다. 측벽(311)은 그것의 내부에 측벽 중공(313)이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측벽 중공(313)의 단면적은 원 형상을 가지는데, 측벽 중공(313)의 원 면적은 결합 돌출부(260)의 원기둥부(261)의 원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바닥벽(315)은 측벽(311)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속이 빈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벽 중공(317)의 단면적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결합 돌출부(260)의 원기둥부(261)의 원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그리하여, 회전가능 결합부(310)의 측벽(311) 내부에 형성된 측벽 중공(313)에는 결합 돌출부(260)의 원기둥부(261)와 육각기둥부(263)가 수용된다.
고무링 장착판부(320)는 회전가능 결합부(310)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체로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무링 장착판부(320)에는 외부 회전체(700)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복수개의 나사결합용 돌출부(321)가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사결합용 돌출부(321)의 가운데에는 나사결합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링 장착 돌출부(330)는 고무링 장착판부(320)의 모서리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져서 고무링 장착판부(320)로부터 수직하게 원형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무링 장착판부(320)의 상면과 고무링 장착 돌출부(330)의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고무링(400)이 끼워진다.
거치 와이어 끼움홈(340)은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링 장착 돌출부(330)의 한 지점에서 중심을 가로질러 맞은편의 한 지점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 와이어 끼움홈(340)에는 거치 와이어(800)가 끼워진다.
고정편(5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회전체(300)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가능 결합부(310)의 측벽(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측벽 중공(313)에 수용되고 회전가능 결합부(310)의 바닥벽(315)에 걸려 회전가능 결합부(310)로부터 아래로는 유출되지 않는다. 고정편(500)은 육각기둥 형상 홈(510) 및 원형 구멍(520)을 가진다. 육각기둥 형상 홈(510)은 바깥쪽은 원형이고 안쪽은 육각형을 가지는 홈 테두리부(511)에 의하여 형성되며, 홈 테두리부(511)의 상부 말단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된 원형 구멍 테두리부(521)에 의하여 그것의 내부에 원형 구멍(520)이 형성된다. 홈 테두리부(511) 및 원형 구멍 테두리부(521)의 외경은 측벽 중공(313)보다는 작고 바닥벽 중공(317)보다는 크다. 한편, 외경이 회전가능 결합부(310)의 측벽(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측벽 중공(313)의 내경과 일치하는 가이드링부(530)가 홈 테두리부(511) 및 원형 구멍 테두리부(521)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500)의 육각기둥 형상 홈(510)에는 결합 돌출부(260)의 육각기둥부(263)가 끼워지고, 중앙에 형성된 원형 구멍(520)을 통하여 나사가 결합 돌출부(260)의 나사결합홈(265)에 결합함으로써 고정편(500)은 결합 돌출부(260)에 고정된다. 그래서 회전가능 결합부(310)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는 고무링 장착 돌출부(330) 및 거치 와이어 끼움홈(340)을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를 덮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의 중앙에는 고무링 장착 돌출부(330) 및 거치 와이어 끼움홈(340)은 관통하지만 고무링 장착판부(320)의 테두리부 및 그것상에 끼워지는 고무링(400)은 관통하지 않는 크기로 중앙 관통공(610)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는 또한 고무링(400)을 상부에서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무링(400)에 대한 압박은 내부 회전체(300)의 회전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그럼으로써 내부 회전체(300)는 적은 힘으로는 회전하지 않으며, 그러한 마찰력보다 큰 힘을 작용시킬 때에만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거치 와이어(8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가 거치될 때 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지만 걸림테두리부(620)는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측면들(220, 230, 240 및 250)에는 걸림턱(221, 231, 241 및 2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의 걸림 테두리부(620)가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걸림턱(221, 231, 241 및 251)에 걸림으로써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를 덮게 된다. 유사하게, 중앙 관통공(610)의 테두리 영역에는 고무링 압박 테두리부(640)가 다른 영역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에는 복수개의 나사결합용 돌출부(630)가 형성되어 있고, 그것 내에는 나사결합공(63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의 나사결합공(631)과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나사결합홈(291)에 나사가 결합함으로써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나사결합용 돌출부(630)는 나사결합시에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나사결합력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되는 것인데,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에는 나사결합용 돌출부(630) 없이 나사결합공(631)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외부 회전체(700)는 내부 회전체(300)와 결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수개의 나사결합부(720)가 마련되어 있고, 나사결합부(720) 내부에는 나사결합공(721)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회전체(700)에는 또한 내부 회전체(300)의 와이어 끼움홈(34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끼움홈(710)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 와이어(800)는 내부 회전체(300)의 와이어 끼움홈(340) 및 외부 회전체(700)의 와이어 끼움홈(710)에 끼워져서 내부 회전체(300) 및 외부 회전체(700)에 결합한다. 이때 거치 와이어(800)는 그것을 회전시킬 때 내부 회전체(300)의 와이어 끼움홈(340) 및 외부 회전체(700)의 와이어 끼움홈(710)와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할 정도로 밀착된다. 그리하여, 그러한 마찰력보다 큰 힘을 작용시킬 때에만 거치 와이어는 내부 회전체(300) 및 외부 회전체(70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고, 너무 적은 힘을 작용시키는 경우에는 거치 와이어(800)는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거치 와이어(800)는 소정 굵기의 폐쇄형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 와이어(800)는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속이 빈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거치 와이어(800)는 와이어 끼움홈(340 및 710)에 끼워지는 변 부분과 지면에 접촉하는 변 부분이 아닌 다른 변 부분에 열리고 닫히는 도어구조부(810)를 가질 수 있다. 도어구조부(8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너에 채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구조부(810)에 의하여 거치 와이어(800) 내부에 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거치 와이어(800)는 또한 지면에 접촉하는 변 부분의 중앙부에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82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820)는 조명장치 케이스(10)를 텐트의 줄 등에 거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텐트의 줄은 연속되어 있고 측방에서는 텐트에 묶여있기 때문에 거치 와이어(800)의 도어구조부(810)를 개방하여 텐트의 줄이 거치 와이어(80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도어구조부(810)를 폐쇄하고 거치 와이어(800)의 돌출부(820)가 텐트의 줄에 걸리게 함으로써 조명장치를 텐트의 줄에 걸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결합구조에 의하면, 거치 와이어(800)는 와이어 끼움홈(340 및 71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에 의하여 그러한 회전이 제한되므로,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180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부 회전체(300) 및 외부 회전체(700)는 제한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에 대하여 360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360도라 함은 회전범위에 제한이 없다는 의미이며, 단지 1회전만 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거치 와이어(80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매우 다양한 방향 및 위치로 배치될 수 있게 되고, 그래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는 이러한 거치 와이어(800)에 의하여 어떠한 방향으로도 거치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는 또한 배면 측방 덮개(900), 측면 덮개(1000) 및 측면 결합구(1100)를 포함한다.
배면 측방 덮개(900)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배면 평판부(130) 중앙에 배치된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양측방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배면 측방 덮개(900)는 한 쌍의 슬라이딩 결합부(910), 한 쌍의 측벽부(920) 및 상판부(9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결합부(910)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슬라이딩 장홈(140)에 끼워져서 배면 측방 덮개(900)를 슬라이딩시켜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배면 평판부(130)에서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양측방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측벽부(920)는 슬라이딩 결합부(91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측벽부(920)는 슬라이딩 결합부(910)로부터 반드시 수직으로만 연장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고,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를 덮기 위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후 바깥쪽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상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부(930)는 슬라이딩 결합부(910)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한 쌍의 측벽부(920)의 말단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판부(930)는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상판부(930)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 및 회전체 수용함 덮개(600)와 대체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판부(930)와 측벽부(920)가 만나는 코너 부분에는 한 쌍의 나사결합공(9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결합공(940)은 측면 덮개(1000)와 나사결합을 하기 위한 것이다.
측면 덮개(1000)는 배면 측방 덮개(900)의 측면 윤곽 및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측면 윤곽을 덮으면서 그것들과 결합한다. 측면 덮개(100)는 배면 측방 덮개(900)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나사결합공(9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나사결합공(1020)을 가진다. 따라서, 나사는 나사결합공(940 및 1020)을 관통하여 나사결합을 함으로써 측면 덮개(1000)를 배면 측방 덮개(900)에 결합시킨다. 측면 덮개(1000)는 또한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측면 윤곽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의 중공(111 및 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결합구멍(1010)을 가진다.
측면 결합구(11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결합구멍(1010)을 관통하고,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의 중공(111 및 121)에 삽입되어 측면 덮개(1000)와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를 결합시킨다. 즉, 측면 결합구(1100)는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의 중공(111 및 121)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부(1110)와 삽입부들(1110)을 연결하는 지지부(1120)로 이루어진다. 측면 결합구(1100)는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와 나사결합을 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의 중공(111 및 121)에 삽입되는 삽입부(1110)에 나사결합공(1111)을 가진다.
한편, 삽입부(111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1111)에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110 및 120)의 위치에도 나사결합공(113 및 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나사는 나사결합공들(1111 및 113 또는 1111 및 12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측면 결합구(1100)와 상부 또는 하부 테두리부(110 또는 120)가 결합되게 하고, 결과적으로 측면 덮개(1000)가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측면과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케이스(10)는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100)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LED가 장착되고 회로배선이 인쇄된 PCB 기판이 장착된다. PCB 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은 전선관통공(133 및 211)을 관통하여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고,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된다. 즉, 콘트롤러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 내부에 배치된다. 콘트롤러는 각종 입출력부와 연결되고, 배터리부와도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와도 연결된다. 각종 입출력부는 예를 들어, 전원버튼, LED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버튼 또는 조절핸들,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 외부기기에게 배터리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USB 출력단자, 배터리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LED에 대한 현재 빛의 세기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 수용함 본체(200)의 측면들 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입출력부를 위하여 여러가지 창들이 형성된다. 상기 USB 출력단자는 출력단자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장치와 외부기기 간의 유선통신을 위한 입출력단자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조명장치 케이스(10)에 구현된 조명장치도 또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상기한 거치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10: 조명장치 케이스 100: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
110: 상부 테두리부 120: 하부 테두리부
130: 배면 평판부 140: 슬라이딩 장홈
200: 회전체 수용함 본체 210: 바닥면
220,230,240,250: 측면 260: 결합 돌출부
270: 가이드부 280: 나사결합공
290: 나사결합용 돌출부 300: 내부 회전체
310: 회전가능 결합부 320: 고무링 장착판부
330: 고무링 장착 돌출부 340: 거치 와이어 끼움홈
400: 고무링 500: 고정편
510: 육각기둥 형상 홈 520: 원형 구멍
530: 가이드링부 600: 회전체 수용함 덮개
610: 중앙 관통공 620: 걸림테두리부
630: 나사결합용 돌출부 640: 고무링 압박 테두리부
700: 외부 회전체 710: 와이어 끼움홈
720: 나사결합부 800: 거치 와이어
810: 도어구조부 820: 돌출부
900: 배면 측방 덮개 910: 슬라이딩 결합부
920: 측벽부 930: 상판부
940: 나사결합공 1000: 측면 덮개
1010: 결합구멍 1020: 나사결합공
1100: 측면 결합구 1110: 삽입부
1120: 지지부

Claims (9)

  1. 조명장치 케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LED가 장착되고 회로 배선이 인쇄된 PCB 기판이 전면에 장착되는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4개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면들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회전체 수용함 본체;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가능 결합부,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무링 장착판부, 상기 고무링 장착판부로부터 수직하게 원형 형상으로 돌출된 고무링 장착 돌출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의 한 지점에서 중심을 가로질러 맞은편의 한 지점에 걸쳐 형성되는 거치 와이어 끼움홈을 포함하는 내부 회전체;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고무링 장착판부와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의 바깥쪽 면에 접촉하도록 끼워지는 고무링; 상기 고무링을 상부에서 압박하고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 및 상기 와이어 끼움홈을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를 덮는 회전체 수용함 덮개;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와이어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끼움홈을 가지고 상기 내부 회전체와 결합하는 외부 회전체; 및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와이어 끼움홈 및 상기 외부 회전체의 상기 와이어 끼움홈에 끼워져서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를 거치하는 거치 와이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와이어는 폐쇄형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끼움홈에 끼워지는 변 부분 및 지면에 접촉하는 변 부분이 아닌 변 부분에서 열리고 닫히는 도어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도어구조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거치 와이어 내부에 줄을 삽입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4.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와이어는 지면에 접촉하는 변 부분의 중앙부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는 원기둥부 및 상기 원기둥부 상에 상기 원기둥부의 원 내부에 육각기둥부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중심부에는 나사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링 장착판부 및 상기 고무링 장착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내부 회전체의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는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원기둥부의 원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원 면적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의 측벽과 상기 원기둥부의 원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 면적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속이 빈 디스크 형상의 바닥벽으로 이루어지고, 그래서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의 상기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중공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원기둥부와 상기 육각기둥부가 수용되고,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는 상기 내부 회전체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의 상기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중공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의 상기 바닥벽에 걸려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로부터 아래로는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육각기둥부와 일치하는 육각기둥 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육각기둥 형상의 홈보다 작은 원형의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에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육각기둥부가 끼워진 후 중앙에 형성된 상기 원형 구멍을 통하여 나사가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기 나사홈에 결합함에 의하여 상기 결합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이고, 그래서 상기 회전가능 결합부는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측면들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 수용함 덮개는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를 덮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는 가운데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가 결합하는 배면 평판부,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와 상기 배면 평판부 사이에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 전체에 걸쳐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는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배면 평판부의 중앙 영역에 결합하며,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는 상기 회전체 수용함 본체의 양 측방에는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슬라이딩 장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결합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배면 측방 덮개;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의 가운데에 형성된 상기 중공과 일치하는 한쌍의 결합구멍을 가지고, 상기 배면 측방 덮개의 측면 윤곽 및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측면 윤곽을 덮는 측면 덮개; 및 상기 측면 덮개의 상기 결합구멍 및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의 가운데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덮개와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부를 결합시키는 측면 결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케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장치 케이스; 및 상기 조명장치 케이스의 상기 PCB 기판 장착 플레이트의 전면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의 LED가 장착되고 회로배선이 인쇄된 PCB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160020342A 2016-02-22 2016-02-22 조명장치 케이스 KR20170098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42A KR20170098441A (ko) 2016-02-22 2016-02-22 조명장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42A KR20170098441A (ko) 2016-02-22 2016-02-22 조명장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441A true KR20170098441A (ko) 2017-08-30

Family

ID=5976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342A KR20170098441A (ko) 2016-02-22 2016-02-22 조명장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4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53A (ko) * 2017-10-12 2019-04-22 (주)오난코리아 캠핑용 랜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53A (ko) * 2017-10-12 2019-04-22 (주)오난코리아 캠핑용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639B1 (en) Smart nightlight
US11133632B2 (en) Quick connect device for recessed electrical fixtures
JP6513214B2 (ja) 自撮り用装置
US7463148B2 (en) Wireless motion activated light fixture base plate and kit
US10041661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256584A1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objects and mounting works of art
US10077894B2 (en) Adjustable pool light
US20160118780A1 (en) Electrical device mounting assembly
KR101144735B1 (ko) 조사 각도 조절 및 센서 역할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센서등
KR20170098441A (ko) 조명장치 케이스
KR101457588B1 (ko) 스피커를 구비한 조명장치
EP2581650B1 (en) Garden lighting
JP3184006U (ja) ドア用センサーライト
KR101561933B1 (ko) 다기능 센서등
CN106791304B (zh) 一种新型吊装结构的监控摄像头
US9933153B2 (en) Fan and light combination
CN210800864U (zh) 一种音箱壁灯
CN205871689U (zh) 车载加湿器
CN210568029U (zh) 一种旋转式灯泡底座
KR101398447B1 (ko) 매립형 콘센트 박스
CN109546415A (zh) 多功能墙装插座网关
JP6168450B2 (ja) 照明器具
CN213577365U (zh) 一种灯盖和一种灯壳
CN220965363U (zh) 可编程一体化控制器
CN208634956U (zh) 一种工作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