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285A -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285A
KR20170098285A KR1020177020308A KR20177020308A KR20170098285A KR 20170098285 A KR20170098285 A KR 20170098285A KR 1020177020308 A KR1020177020308 A KR 1020177020308A KR 20177020308 A KR20177020308 A KR 20177020308A KR 20170098285 A KR20170098285 A KR 2017009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wearable device
screen
curr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621B1 (ko
Inventor
야후이 왕
원메이 가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과 웨어러블 기기가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lighting up)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가 회전할 때, 웨어러블 기기의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가시 범위 내에서 현재의 콘텐츠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본 출원은 "DISPLAY METHOD FOR SCREEN OF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를 그 명칭으로 하는, 2014년 12월 31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특허출원 CN 201410857634.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은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의 스마트 기술의 계속되는 발전에 따라, 시계, 손목밴드, 안경, 반지, 및 스마트 목걸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기기 제품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기능들도 점차 강력해지고 있다. 현재의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시계 또는 손목밴드에 있어서, 장치 스크린의 표시 영역은 시계나 손목밴드의 고정된 위치에 있게 되고, 그 표시 영역은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점유하고 있다. 사용자가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된 콘텐츠를 볼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가시 범위 내의 적절한 위치로 그 표시 영역을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며, 이는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린 상에 표시된 콘텐츠를 볼 때, 사용자가 표시 영역을 수동으로 반복하여 조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한다.
제1 태양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lighting up)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태양을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에서는,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t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상기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스크린 표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한다.
제1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관계임 - 를 포함한다.
제1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한다.
제1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태양 및 제1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5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됨 - 를 더 포함한다.
제1 태양 및 제1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6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할 때,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태양 및 제1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1 태양의 가능한 제7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태양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가 제공되는데, 이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모듈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제2 태양을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에서는,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t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상기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스크린 표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한다.
제2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제2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제2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이,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2 태양 및 제2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5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된다.
제2 태양 및 제2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6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이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이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2 태양 및 제2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2 태양의 가능한 제7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태양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가 제공되며, 이 웨어러블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표시 스크린 및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스크린과 입력 유닛은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인다.
제3 태양을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에서는,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t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상기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스크린 표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한다.
제3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2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제3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3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제3 태양의 가능한 제1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4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3 태양 및 제3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5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된다.
제3 태양 및 제3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6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3 태양 및 제3 태양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제3 태양의 가능한 제7 구현 방식에서는, 상기 프로세서가 추가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종래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들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그 실시예들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들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오직 일부만을 보여주는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창작적 노력 없이도 여기에서의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얼마든지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의되는, 웨어러블 기기가 이동 또는 회전하는, 기준 좌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왼손/오른손 모드에서의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가속도의 좌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에 대한 표시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모듈 구조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들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오직 일부의 실시예들일 뿐이라는 점이다. 통상의 기술자가 창작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다. 웨어러블 기기는 시계, 손목밴드 또는 반지와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주로 상대적으로 긴 스크린을 가지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또는 손목밴드의 스크린은 전체적으로 환상면의 커브드 스크린(toroidal curved screen)이거나, 부분적으로 스트립형(strip-shaped) 플랫 스크린이거나, 부분적으로 커브드 스크린이거나, 플랫-커브드 스크린이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플랫 스크린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가지는 스크린일 수 있다. 손목밴드를 일례로서 사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손목밴드의 스크린이 환상형의 커브드 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스크린을 볼 때, 사용자가 손목을 들어올려 스크린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고, 표시 영역은 항상 사용자의 눈의 가시 범위 내에서 적응적으로 위치되며, 표시 영역은 적응적 위치에서 밝기가 높아진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회전시킬 때, 표시 영역은 웨어러블 기기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고, 웨어러블 기기가 회전할 때 사용자의 시야의 라인으로부터 표시 영역이 벗어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된 콘텐츠를 볼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스크린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구현 솔루션은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의 도식적인 구조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 표시 스크린(20), 입력 유닛(30) 및 위치 센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스크린(20), 위치 센서(40) 및 입력 유닛(30)은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여 프로세서(10)에 접속되고, 입력 유닛(30)은 사용자가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을 수신하고,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표시 스크린(20)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여기서 표시 영역은 표시 스크린(20)의 일부 영역이고,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는 표시 스크린(20)을 제어하여,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인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표시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위치시킬 수 있어서,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해당 표시 영역의 밝기를 높이고, 사용자가 현재의 표시된 콘텐츠를 보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웨어러블 기기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위치 센서(40)는 적어도 하나의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고, 이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를 사용하여 기기의 경사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속도 센서는 운동 가속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아, 경사각 측정에서 벗어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일반적으로는,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의 보상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자이로스코프 또는 자기 센서와 같은 보상 측정 센서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를 읽는 사람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솔루션을 더욱 잘 이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되는 예시들을 사용하여 전술한 솔루션의 구현 프로세스를 설명하는데, 이 예시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의도로 기재된 것이 아니며, 다른 구현 방식도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거나 유지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의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 콘텐츠를 보길 원할 때, 사용자는 이하의 몇 가지 동작 방식으로 표시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동작 방식은 사용자가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탭핑한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 사용하여, 제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또한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은: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표시 스크린(20)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지정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궤적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값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웨어러블 기기가 머무는 시간일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전술한 동작의 동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 스크린(20)에 표시된 콘텐츠를 보길 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이 솔루션의 구현 프로세스는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값이 정의된 임계치에 도달하고 이동 궤적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이 지정된 시간에 도달한 예시를 사용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표준적인 3차원 좌표 시스템 XYZ가 정의된다. 위치 센서(40)는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값을 3개의 방향: X-축, Y-축, 및 Z-축에서 측정하는데, 각각 Rx, Ry, 및 Rz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0)는, 벡터 합성 방법을 사용하여, X-축 가속도, Y-축 가속도 및 Z-축 가속도의 합성 벡터(R)를 결정한다. 위치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Y-축 가속도 값이 중력 가속도(g)로부터 비중력 가속도로 변화하고 Z-축 가속도 값이 비중력 가속도에서 중력 가속도(g)로 변화하면, 이는 웨어러블 기기가 고정임을 나타낸다.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기기의 고정 시간을 기록하고, 고정 시간이 임계치(T)(예를 들어, 1s)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이 때 스크린을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임계치(T)는 실제 사용 이후에 획득되는 경험적 임계치이거나 또는 장치 제조자에 의해 정의되는 임계치일 수 있고, 사용자는 임계치를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세서(10)는 위치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좌표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0)는 그 이동 궤적 좌표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이 시계 방향(d1)인지 또는 반시계 방향(d2)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궤적이 시계 방향(d1)이면,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왼손에 착용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즉, 왼손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또는 이동 궤적이 반시계 방향(d2)이면,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즉, 오른손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위치 센서(40)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데이터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를 결정하고, 그 가속도에 따라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는 전술한 결정된 합성 벡터(R)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한다. 합성 벡터(R)가 제1 사분면에 있으면, 즉, 3개 축 상의 요소가 모두 양(positive)이면,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왼손에 착용된 것으로 결정되고, 즉, 왼손 모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또는 합성 벡터(R)가 좌표 시스템의 제2 사분면에 있으면, 즉, Y-축 상의 요소는 음(negative)이고 X-축과 Z-축 상의 요소는 양(positive)이면,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된 것으로 결정된다.
표시된 콘텐츠의 방향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서(10)에 의해 결정되는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에서 제어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왼손/오른손 상에 기기를 랜덤으로 착용할 수 있고, 착용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물론, 프로세서(10)는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식별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는 위치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좌표 데이터를 획득하고,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이 위치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3축 가속도 값과 기준점의 3축 가속도 값에 따라 계산되고, 표시 영역의 위치가 기준 표시 영역과, 회전각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에 따라 추가로 결정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방식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α)을 계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표준적인 3차원 좌표 시스템 XYZ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수직 방향이 Y-축 방향이고,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평면 방향을 따르면서 서로 수직인 2개의 축 방향이 X-축 방향 및 Z-축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위치 센서(40)의 초기의 3축 가속도는 (x, y, z) = (0, -g, 0)로 정의되며, 여기서 x는 X-축 가속도이고, z는 Z-축 가속도이며, g는 중력 가속도이다.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α)은 다음의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삼각 함수 공식인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가 사용되며, 여기서 x와 z는 측정되어 알고 있는 수이므로, 따라서 α의 값이 결정되어 획득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호 길이는 회전각(α)을 사용하여 추가로 계산될 수 있는데, 즉, 위치 센서(40)의 회전 호 길이는,
Figure pct00003
이고, 여기서 α는 회전각이고, R은 호 길이에 대응하는 반지름 즉, 위치 센서가 한 바퀴 회전함에 의해 형성되는 원에 대응하는 반지름이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결과가 계산의 방식과 위치 센서가 한 바퀴 회전하여 원을 형성하는 예시만을 사용함으로써 획득되었다는 것, 즉, 웨어러블 기기가 링(ring)형임을 가정한 경우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제로는, 웨어러블 기기는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링형 구조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회전각(α)과 회전 호 길이(L)가 상이한 형태에 대응하는 계산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α)이 결정된 후, 표시 영역의 이동량이 회전각(α)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에 따라 결정되어, 이에 따라 표시 영역의 최종 표시 위치가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결정된다. 기준 표시 영역은 미리 정의되어 있는 표시 영역이고, 그 기준 표시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의 사용 습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α)이 결정된 후, 회전 호 길이(L)가 회전각(α)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추가로, 표시 영역의 이동량이 회전 호 길이와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에 따라 결정되며, 표시 영역의 최종 표시 위치가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결정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대응관계와 제2 대응관계는 이하의 2개의 대응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가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이고, 연속적인 맵핑의 개념은 균등 연속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함수가 거리 공간(metric space)에서 균등 연속성이면, 함수는 거리 공간에서 절대적으로 연속적이나,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직관적으로, 균등 연속성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독립 변수(x)가 충분히 작은 범위에서 변화할 때, 함수 값(y)의 변화도 충분히 작은 범위로 제한된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표시 영역은 웨어러블 기기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 스크린(20) 상에서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연속적인 맵핑은 조건에 따라 균등하지 않은 연속적인 맵핑일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위해 일례로서 이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다른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회전각이 제1 임계치에 도달할 때, 표시 영역의 이동량은 이에 대응하여 제1 고정값이다. 예를 들어, 제1 임계치가 K로 정의되고,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이 α1로 결정되며; 회전각 α1≥K이면, 표시 영역의 이동량은 H로서 결정되고; 회전각 α1<K이면, 표시 영역의 이동량은 0으로 결정되며, 즉, 표시 영역이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다르게는, 다른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회전 호 길이가 제2 임계치에 도달할 때, 표시 영역의 이동량은 이에 대응하여 제2 고정값이다. 구현 방식은 전술한 회전각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대응관계의 구현 방식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대응관계에서는, 표시 영역이 웨어러블 기기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 스크린 상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나도록 시프트(shift)한다.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프로세서(10)는 표시 스크린(20)을 제어하여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한다. 표시 영역의 크기는 표시 스크린(20)의 일부 크기이고, 제조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크기가 설계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간주하면, 사용자는 표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제스처 또는 키 조작을 수행하거나 표시 경계를 드래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페이지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 영역이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밝기가 높아진 후에, 프로세서(10)가 현재의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는 표시 공간이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전환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콘텐츠가 SMS 메시지, 작은 사진 등이면; 이 경우에서는, 프로세서(10)가 표시 영역의 이동에 따라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를 다음 페이지로 전환한다. 현재의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는 표시 공간이 표시 영역을 초과하면, 현재의 콘텐츠는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의 콘텐츠가 주소록, 긴 이메일 등이면; 이 경우에서는, 프로세서(10)는, 표시 영역의 이동에 따라,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표시하도록 표시 영역을 제어하여, 현재의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없었던 나머지 콘텐츠가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이 솔루션에서는, 표시 방식이 상이한 크기의 페이지에 따라 선택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파일을 볼 수 있고, 파일 종류가 제한될 필요가 없게 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표시 영역이 이동한 후, 표시 영역의 이전의 표시 영역이 검게 돌아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 절약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또는 표시 영역의 이전의 표시 영역이 꺼지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표시 스크린(20)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 영역이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밝기가 높아진 후에, 사용자가 표시 영역의 위치가 부정확한 것으로 간주하면, 프로세서(10)는 추가로 표시 영역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이 적절한 위치로 드래그되거나 또는 표시 영역이 탭핑/더블-탭핑 또는 키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위치에 대한 상이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표시 영역을 보정함으로써 만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역 적응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에 대해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모든 표시 영역의 회전각, 회전 호 길이, 이동량 등은 벡터 데이터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웨어러블 기기(100)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10)가 웨어러블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고 데이터 처리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메모리(6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음향 재생 기능 또는 화상 재생 기능 등)에 의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웨어러블 기기(100)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또는 폰북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구성, 플래시 메모리 구성 또는 다른 휘발성 반도체 저장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30)은 입력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웨어러블 기기(1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유닛(30)은 터치 패널(31)과 다른 입력 기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1)은 터치스크린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터치 패널 상에서 또는 근처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31) 상에서 또는 근처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을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대응하는 연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 패널(31)은 2개의 부분: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치하고, 터치 조작에 의해 보내진 신호를 검출하며, 터치 제어기에 그 신호를 전달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터치 정보를 터치 좌표로 변환하며, 프로세서(10)에 터치 좌표를 전달하고, 프로세서(10)에 의해 전달된 명령어를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31)은 저항성 타입, 용량성 타입,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수의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유닛(30)은 터치 패널(31)에 더하여 다른 입력 기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기기(3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볼륨 제어 키 또는 온/오프 키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스크린(20)은 사용자에 대해 제공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100)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스크린(20)은 표시 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 패널(2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패널(31)은 표시 패널(21)을 덮을 수 있다. 터치 조작이 터치 패널(31) 상에서 또는 근처에서 감지될 때, 터치 패널(31)은 터치 조작을 프로세서(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하고, 프로세서(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21) 상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2에서 터치 패널(31)과 표시 패널(21)이 웨어러블 기기(100)의 입력 및 입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2개의 독립된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터치 패널(31)과 표시 패널(21)이 통합되어 웨어러블 기기(1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오디오 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오디오 유닛(80)은 오디오 회로(81)와 라우드스피커(82)를 추가로 포함한다. 오디오 회로(81)는, 라우드스피커(82)에,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획득되는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라우드스피커(82)는 그 전기 신호를 출력을 위한 음향 신호로 변환한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무선 주파수 모듈(50)과 WiFi 모듈(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iFi는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한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WiFi 모듈(90)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메일을 수신 및 송신하게 도울 수 있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는 등을 할 수 있다. WiFi 모듈(90)은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WiFi 모듈(90)을 보여주고 있지만, WiFi 모듈(90)은 웨어러블 기기(100)의 의무적인 구성에 속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을 변경함이 없이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91)(배터리 등)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서플라이(91)는 전원 공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로세서(3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는, 충전, 방전 및 전원 소비의 관리와 같은 기능들이 전원 공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된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제어 중심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전체 이동 전화의 모든 구성들을 연결하고, 메모리(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 전화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프로세서(10) 내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전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재의 하드웨어 실시예이며, 이하에서는 그 실재의 하드웨어 실시예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처리 방법의 실시예를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방법 실시예의 구현 솔루션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재의 하드웨어 실시예가 참고되므로, 방법 실시예의 상세한 구현 솔루션을 반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함. 여기서 표시 영역은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단계 102: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임.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위치시킬 수 있어서,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해당 표시 영역의 밝기를 높이고, 사용자가 현재의 표시된 콘텐츠를 보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웨어러블 기기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특정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가 이동하는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궤적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값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웨어러블 기기가 머무는 시간을 포함한다.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회전각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대응관계는 회전각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선택적으로,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 길이를 결정하고,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대응관계는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선택적으로,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단계 102 이전에,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단계 102 이후에: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을 때,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표시 영역을 초과할 때,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단계 102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것은 실재의 하드웨어 실시예에 기초하여 정리된 방법 단계 실시예이며, 이하에서는 실재의 하드웨어 실시예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가상 장치의 실시예를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가상 장치의 실시예의 구현 솔루션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재의 하드웨어 실시예가 참고되므로, 상세한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모듈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웨어러블 기기(200)를 제공하는데, 이 웨어러블 기기(200)는 위치 결정 모듈(201)과 표시 제어 모듈(202)을 포함한다. 위치 결정 모듈(201)과 표시 제어 모듈(202)은 접속되고, 위치 결정 모듈(201)은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표시 영역은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 모듈(202)은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표시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위치시킬 수 있어서,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해당 표시 영역의 밝기를 높이고, 사용자가 현재의 표시된 콘텐츠를 보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웨어러블 기기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특정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가 이동하는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궤적의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값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특정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웨어러블 기기가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한다.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위치 결정 모듈(201)이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위치 결정 모듈(201)이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회전각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대응관계는 회전각과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위치 결정 모듈(201)이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위치 결정 모듈(201)이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대응관계는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이다.
선택적으로,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위치 결정 모듈(201)이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위치 결정 모듈이,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기기(200)가, 웨어러블 기기(200)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때, 표시 제어 모듈(202)이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된 때, 표시 제어 모듈(202)이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도록 표시 영역의 이동을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기기(200)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 모듈(204)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기기(200)는 웨어러블 기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표시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위치시킬 수 있어서,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해당 표시 영역의 밝기를 높이고, 사용자가 현재의 표시된 콘텐츠를 보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웨어러블 기기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또는 모듈들을 조합하여, 그 구현이 전자적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설명은 이미 기능들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의 단계들 및 구성들을 일반적으로 설명하였다. 그 기능들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지는 구체적인 응용 및 기술적 솔루션의 설계 제약 조건에 달려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각각의 구체적인 응용을 위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나,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구현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 또는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ROM),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래머블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조합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과 본질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동등한 수정 또는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수정이나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lighting up)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t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상기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스크린 표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관계임 -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상기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됨 - 를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를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할 때,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9. 웨어러블 기기로서,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모듈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t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상기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스크린 표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인, 웨어러블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인, 웨어러블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상기 위치 결정 모듈이,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웨어러블 기기.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식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되는, 웨어러블 기기.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이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표시 제어 모듈이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기기.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7. 웨어러블 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표시 스크린 및 입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스크린과 입력 유닛은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 유닛은, 사용자가 상기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의 콘텐츠를 보는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스크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 여기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스크린의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동작 방식은 표시 영역 지정 동작 및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현재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밝기를 높이는, 웨어러블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이 타깃 표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tapping)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이: 상기 스크린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을 탭핑하는 동작, 또는 스크린 표시 키를 누르는 동작, 또는 호버(hover) 제스처 동작, 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털거나 흔드는 동작, 또는 정의된 궤적(track) 범위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 및 지정된 시간에 도달하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 또는 정의된 임계치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가속도 및 지정된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종료점에서 머무는 시간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1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각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각이 도달하는 제1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1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인. 웨어러블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자동 표시 영역 식별 동작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회전 궤적의 호(arc)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제2 대응관계 및 기준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 사이의 연속적인 맵핑 대응관계 또는 상기 회전 궤적의 호 길이가 도달하는 제2 임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량의 제2 고정값에 대응하는 대응관계인, 웨어러블 기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식이 표시 영역 지정 동작일 때,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탭핑 위치를 중심으로서 사용하여, 지정된 표시 영역 크기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웨어러블 기기.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궤적의 방향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오른손 모드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왼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1 방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오른손 모드에서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제2 방향으로 표시되는, 웨어러블 기기.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의 콘텐츠가 점유하는 표시 공간이 상기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된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현재의 콘텐츠의 나머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더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기기.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추가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calibration)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보정하는, 웨어러블 기기.
KR1020177020308A 2014-12-31 2015-10-27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KR102063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857634.9 2014-12-31
CN201410857634.9A CN104850317A (zh) 2014-12-31 2014-12-31 可穿戴设备的屏幕的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PCT/CN2015/092943 WO2016107257A1 (zh) 2014-12-31 2015-10-27 可穿戴设备的屏幕的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85A true KR20170098285A (ko) 2017-08-29
KR102063621B1 KR102063621B1 (ko) 2020-01-08

Family

ID=5384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308A KR102063621B1 (ko) 2014-12-31 2015-10-27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73483A1 (ko)
EP (1) EP3229105A4 (ko)
JP (1) JP2018502396A (ko)
KR (1) KR102063621B1 (ko)
CN (2) CN104850317A (ko)
WO (1) WO2016107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0317A (zh) * 2014-12-31 2015-08-19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屏幕的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CN105227734B (zh) * 2015-08-26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联系人查询的方法及智能手表
CN105045080A (zh) * 2015-08-26 2015-1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节焦点的方法及智能手表
CN107533360B (zh) * 2015-12-07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处理的方法及相关装置
CN106896904A (zh) * 2015-12-18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890647B (zh) * 2016-04-11 2017-12-05 青岛理工大学 一种集成可穿戴设备的测试系统及其运行方法
CN105955479B (zh) * 2016-04-29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穿戴式设备
CN107402656A (zh) * 2016-05-20 2017-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屏幕显示的方法和终端
CN106200965B (zh) 2016-07-08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356082A (zh) * 2016-09-26 2017-01-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系统及相应的装置
CN108108137B (zh) * 2017-12-15 2021-0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8255394A (zh) * 2018-01-24 2018-07-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手环及其显示方法
JP7136931B2 (ja) * 2018-06-05 2022-09-13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間3d環境へのコンテンツのマッチング
CN109257489B (zh) * 2018-08-23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4879840A (zh) * 2018-11-23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根据眼球焦点控制显示屏的方法和头戴电子设备
CN109739301A (zh) * 2018-12-28 2019-05-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智能手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639987B (zh) * 2019-02-25 2021-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手环拍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14723B (zh) * 2019-02-25 2021-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系统、穿戴式设备及存储介质
CN110139029B (zh) * 2019-03-29 2021-08-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卷曲拍摄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09583B (zh) * 2019-04-28 2022-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设置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96205B (zh) * 2019-04-30 2022-06-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区域控制方法、可穿戴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87759B (zh) * 2019-05-08 2023-01-17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0187758B (zh) 2019-05-08 2023-06-30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0187950B (zh) * 2019-05-27 2023-11-10 西藏霖栋科技有限公司 调整画面显示位置的方法、可穿戴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196618B (zh) * 2019-05-27 2023-11-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77286A (zh) * 2019-05-30 2019-08-27 上海云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方法、系统及智能眼镜
CN110275749B (zh) * 2019-06-19 2022-03-11 深圳顺盈康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表面放大显示的方法
CN111224862B (zh) * 2019-11-08 2022-03-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内容的分享方法及可穿戴设备
CN110784651B (zh) * 2019-11-15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抖方法及电子设备
JP2021089693A (ja) * 2019-12-06 2021-06-10 未來市股▲ふん▼有限公司 行動ベースの構成方法及び行動ベースの構成システム
EP4117507B1 (en) 2020-03-10 2024-07-17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wrist-device wearing location
CN111614992B (zh) * 2020-05-20 2022-05-31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屏幕录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199026A (zh) * 2020-08-27 2021-01-08 广东乐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进行多窗口显示切换的智能手表
CN112148184A (zh) * 2020-08-27 2020-12-29 广东乐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多窗口显示切换方法
CN112199013A (zh) * 2020-08-27 2021-01-08 广东乐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的显示切换方法
CN111904707B (zh) * 2020-09-08 2022-03-01 河南中医药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缓解抑郁紧张的按摩装置
CN113099203B (zh) * 2021-05-10 2023-08-22 青岛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显示系统校准方法及系统
CN114089814B (zh) * 2021-11-08 2024-05-17 广东乐心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551156B (zh) * 2022-03-01 2023-10-3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发光闪烁的方法及可穿戴设备
CN114827579A (zh) * 2022-04-25 2022-07-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和显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9116A2 (en) * 2005-12-12 2007-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incorporating a display
KR20100012665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WO2013169237A1 (en) * 2012-05-09 2013-11-14 Intel Corporation Eye tracking based selective accentuation of portions of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1627B (en) * 1985-09-10 1989-12-28 Interactive Tech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406945B1 (ko) * 2001-02-19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JP5023756B2 (ja) * 2006-04-27 2012-09-12 ソニー株式会社 領域別表示画質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262074A1 (en) * 2007-01-05 2009-10-22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9423995B2 (en) * 2007-05-23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US8184092B2 (en) * 2008-05-22 2012-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ulation of writing on game consoles through the use of motion-sensing technology
KR101078899B1 (ko) * 2010-01-29 2011-11-0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JP2011216066A (ja) * 2010-03-15 2011-10-27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装置
CN102902466A (zh) * 2011-07-28 2013-01-30 华移联科(沈阳)技术有限公司 自动调整显示影像的影像播放装置及调整显示影像的方法
US8644884B2 (en) * 2011-08-04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Sensor-based user interface control
US8947382B2 (en) * 2012-02-28 2015-02-0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 for presenting output on the same
US8988349B2 (en) * 2012-02-28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9189062B2 (en) * 2012-03-07 2015-1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based on user motion
CN102681648A (zh) * 2012-03-28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大屏幕终端省电的方法及装置
US20130271355A1 (en) *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JP5884689B2 (ja) * 2012-09-11 2016-03-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EP2741176A3 (en) * 2012-12-10 2017-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of bangle type, control method thereof, and UI display method
CN103869946B (zh) * 2012-12-14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3455256B (zh) * 2013-08-21 2017-09-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旋转屏幕显示画面的方法和终端
TWI671657B (zh) * 2013-09-18 2019-09-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顯示裝置的驅動方法、程式以及儲存介質
US9367086B2 (en) * 2013-12-10 2016-06-14 Atmel Corporation Smart watch with adaptive touch screen
CN103677269A (zh) * 2013-12-11 2014-03-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内容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677131B (zh) * 2013-12-11 2017-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穿戴式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US9383818B2 (en) * 2013-12-27 2016-07-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tilt-based actuation
JP2015141526A (ja) * 2014-01-28 2015-08-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853330B (zh) * 2014-03-05 2017-12-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基于眼睛控制显示层切换的方法和移动终端
CN104063145A (zh) * 2014-04-15 2014-09-24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翻页装置及翻页方法
CN104850317A (zh) * 2014-12-31 2015-08-19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屏幕的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9116A2 (en) * 2005-12-12 2007-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incorporating a display
KR20100012665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 방법
WO2013169237A1 (en) * 2012-05-09 2013-11-14 Intel Corporation Eye tracking based selective accentuation of portions of 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3483A1 (en) 2018-06-21
EP3229105A1 (en) 2017-10-11
KR102063621B1 (ko) 2020-01-08
CN107239213A (zh) 2017-10-10
CN104850317A (zh) 2015-08-19
EP3229105A4 (en) 2018-04-25
WO2016107257A1 (zh) 2016-07-07
JP2018502396A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621B1 (ko)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US10488922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on-foveal vision
EP29219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anel
US10055064B2 (en)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with a wearable input device
JP6170168B2 (ja) 電子機器
CN106980363B (zh) 可穿戴终端及控制方法
JPWO2012169106A1 (ja) 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
KR20140138361A (ko)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JP5222967B2 (ja) 携帯端末
KR102542913B1 (ko) 회전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80101290A1 (en) Wearable device, touchscreen thereof, touch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JP2013145556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6339088B (zh) 检测设备运动状态的方法、手持式移动终端及穿戴式设备
CN110162262A (zh)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JP2014071461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3173B2 (ja)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15391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71462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70124593A (ko) 지능형 상호작용 방법, 장비 및 시스템
CN11070397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24028893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2016115309A (ja) コンピューター、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