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190A -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190A
KR20170098190A KR1020170021892A KR20170021892A KR20170098190A KR 20170098190 A KR20170098190 A KR 20170098190A KR 1020170021892 A KR1020170021892 A KR 1020170021892A KR 20170021892 A KR20170021892 A KR 20170021892A KR 20170098190 A KR20170098190 A KR 20170098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gear
drive assembly
operating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비. 맥닐
로널드 홀트
스티븐 티. 와이즈컵
데이빗 린치
크리스토퍼 알. 뮐러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8Driving means other than pulling co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3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rotary bars guided in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1Transmissions locat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7Lamellae suspensions ; Bottom weights; 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덮개는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려 있는 블라인드 패널, 및 동작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시스템은 상기 헤드 레일에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블라인드 패널을 이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제1 구동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블라인드 패널을 이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제2 구동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병합된, 2016년 2월 19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인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297,770의 선출원일의 35 U.S.C.§119(e) 하에서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덮개(architectural cover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 덮개를 제어하는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건축물 덮개는 덮개 재료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extend)시키고 수축(retract)시키기 위해 코드(cord)를 이용하는데, 이 덮개는 일반적으로 수직 덮개 또는 수직 창문 덮개 또는 수직 블라인드(blind)(이는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임의의 용어로 지칭됨)라고 언급된다. 일부 수직 창문 덮개는 2개의 동작 코드 루프, 즉 사용자가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제어 코드 루프, 및 제1 제어 코드 루프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1 제어 코드 루프를 잡아당기는 것에 응답하여 베인(vane)을 연장시키고 수축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코드 루프를 사용한다. 종종 제1 코드 루프는 예비 장력(pre-tensioned)을 받아서, 덮개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견인력의 양을 증가시킨다. 2 코드 형태는 장력을 받아야 하는 코드의 길이를 감소시켜서,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코드의 장력을 보다 잘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수직 블라인드의 경우, 종종 핸드 완드(hand wand)를 사용하여 베인의 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덮개 재료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더 제어한다. 이러한 핸드 완드는 제1 코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완드를 하우징에 통합하여 코드를 인장시키는 경우 종종 완드가 수직 정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걷어차이게(kick)"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뿐만 아니라 현재 설계에서 제시되는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수직 블라인드와 같은 수직 덮개를 위한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창문, 출입구, 아치 길 등과 같은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feature)를 위한 덮개와 같은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래에 제공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시스템은 헤드 레일 코드 루프를 별도로 구성된 제어 코드 루프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에 의해 덮개를 제어하는 것을 향상시킨다. 상기 2개의 코드 루프는, 상기 헤드 레일 코드와 상기 제어 코드가 기계적 장점 없이 결합되는 시스템에 비해, 사용자에게 기계적 장점 및 감소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시스템은 상기 헤드 레일 코드 루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허용 가능한 견인력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동작 완드와 같은 동작 터치 포인트(touch point)에 인접한 위치에서) 얽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제어 코드 루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는 본 명세서 및 도면의 나머지 부분을 참조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고,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양태 및 특징 각각이 일부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시되었지만, 임의의 실시예의 개별 양태는 개별적인 유용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고, 또한 개별적으로 청구될 수 있고 또는 이 실시예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청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개시 내용은 본 출원에서 여러 상세 레벨로 제시되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는 본 '발명의 내용' 란에 있는 요소, 구성 요소 등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경우에,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치 않거나 또는 다른 상세를 이해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는 상세는 생략되었을 수 있다.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특정 실시예 또는 배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예를 제시하며, 상기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축 가능한 덮개의 부분 사시도이다. 덮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연장되어 개방된 형태로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명료함을 위해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도 1의 덮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의 확대 부분 측면도이다. 하우징의 절반이 예시를 위하여 제거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1 구동 조립체의 기어 감속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기어 감속 조립체의 분해된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기어 감속 조립체의 분해된 하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후방 하우징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연결 부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하우징 연결 부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11-11 선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12-12 선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13-13 선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제2 구동 조립체의 분해된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제2 구동 조립체의 분해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풀리 조립체의 분해된 상부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6의 풀리 조립체의 분해된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16의 풀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하우징 커버의 전방 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하우징 커버의 후방 부분 및 다른 요소들이 제거된 상태의 도 19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창문, 출입구, 아치 길 등의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와 같은 건축물 구조부 또는 피처(이하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간결함을 위해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라 한다)를 위한 덮개와 같은 건축물 덮개를 위한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동작 시스템은, 예를 들어, 덮개가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 연장된 형태와, 덮개가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가로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축되는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제1 방식으로 건축물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제1 구동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조립체는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은 콤팩트하고, 덮개 재료의 경로에 있지 않도록 헤드 레일에 인접하여 위치되거나 장착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 헤드 레일에 결합된다. 제1 구동 조립체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제1 코드 루프와 예를 들어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제1 방식으로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코드 루프 사이 트랜스미션(transmission) 또는 트랜스미션 시스템(transmission system)(예를 들어, 커플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시스템은 또한 덮개 재료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변화시키도록 예를 들어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제2 방식으로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제2 구동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조립체는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건축물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회전 가능한 동작 샤프트 또는 완드(이하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동작 완드라 언급된다)와 같은 별도의 터치 포인트 또는 제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조립체는 제1 구동 조립체와 분리되지만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 조립체는 제1 구동 조립체에 근접할 수 있다. 제1 구동 조립체는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요소와 정렬된 코드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드 루프는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완드에 근접하여 유지되는데, 예를 들어, 이 동작 완드와 중첩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코드 루프에 가해지는 장력은 제2 구동 조립체와 관련된 동작 완드의 위치(예를 들어, 완드의 매달림)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친다. 제1 구동 조립체에서 2개의 코드 루프를 사용하면, (즉, 종래의 코드 루프보다 각각 더 짧은 2개의 루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덮개의 연장 및 수축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코드의 전체 길이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구동 조립체는 제1 코드 루프를 경유하여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완드로부터 제2 코드 루프의 장력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코드 루프에 가해지는 장력은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완드로 전달되지 않아서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완드의 위치와 간섭하거나 이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제1 코드 루프는 제1 구동 조립체의 입력 측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동작 코드는 제1 구동 조립체의 출력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드 루프는 제1 구동 조립체의 제1 풀리 주위로 라우팅(routed)될 수 있고, 코드 루프는 제1 구동 조립체의 제2 풀리 주위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풀리는 제1 구동 조립체가 제1 코드 루프를 제2 코드 루프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제1 코드 루프를 조작하여 제1 코드 조립체를 작동시키고 제2 코드 루프를 조작하여 덮개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조립체는, 덮개를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데 드는 힘이 종래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힘보다 더 적다는 기계적 장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동작 완드는 제2 구동 조립체의 제1 동작 요소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어서 제1 동작 요소는,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예를 들어, 이들 사이에 기어 조립체 또는 메쉬(mesh))을 통해 제2 구동 조립체의 제2 동작 요소에 결합된다(맞물린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동작 요소 사이의 맞물림은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덮개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 감속 또는 기계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동작 요소는 개방된 형태와 폐쇄된 형태 사이에서 (예를 들어, 베인을 회전시킴으로써) 덮개(예를 들어, 베인 또는 다른 유형의 블라인드 패널)를 이동시키는 헤드 레일의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제1 동작 요소가 이동하면, 예를 들어, 회전하면, 제1 동작 요소와 제2 동작 요소 사이의 결합 기구를 통해 전달되어, 제2 동작 요소, 및 이에 따라 이 제2 동작 요소에 고정된 샤프트가 제1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 동작 요소 및 샤프트가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제1 방식으로 제2 동작 요소(및 샤프트)가 이동하면, 덮개가 개방된 위치 또는 폐쇄된 위치로 이동(예를 들어, 회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덮개의 베인의 전방이 제2 구동 조립체 쪽으로 또는 이 제2 구동 조립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pivot)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제1 동작 요소가 이동하면, 예를 들어, 회전하면, 제1 동작 요소와 제2 동작 요소 사이의 결합 기구를 통해 전달되어, 제2 동작 요소 및 샤프트가 제2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 동작 요소 및 샤프트가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제2 방식으로 제2 동작 요소(및 샤프트)가 이동하면, 덮개가 개방된 위치 또는 폐쇄된 위치로 이동(예를 들어, 회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덮개의 베인의 전방이 반대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전술한 여러 장점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구동 조립체의 실시예가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12) 상에 장착된 덮개 재료를 갖는 수축 가능한 덮개(110)의 예가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가로 질러 연장된다. 수축 가능한 덮개(110)는 (예를 들어, 구조부/특징부의 상부를 따라)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형성하는 벽(119)에 (예를 들어 헤드 레일(112)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덮개 재료는 헤드 레일(112)에 매달려 있는 하나 이상의 덮개 패널 또는 베인(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인(114)은 수직으로 연장된 길이방향 축을 포함한다. 덮개(110)를 위한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예를 들어 헤드 레일(112)의 길이를 따라 베인(114)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덮개(110)를 가역적으로 병진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연장된 형태에서, 덮개의 베인(11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가로 질러 확장된다. 수축된 형태에서, 베인(114)은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전혀 커버하지 않거나 또는 그 일부만을 커버하도록 서로 적층된 관계로 건축물 구조부/특징부의 일측에 인접하여 수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시스템은 제1 구동 조립체(132)를 동작시키는 제1 터치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코드 루프(116)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예를 들어, 제1 동작 코드(116)의 힘을, 헤드 레일(112)을 따라 루프 형성하는 제2 동작 코드(146)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 조립체(132)를 작동시켜 수축가능한 덮개(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코드(146)가 이동하면, 덮개(110)가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제2 동작 코드(146)는 덮개(110)와 (예를 들어, 베인(114)과) 결합될 수 있다.
덮개(110)를 위한 제2 구동 조립체(134)는 다른 방식으로 수축 가능한 덮개(110)를 변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 조립체(134)는 덮개(110)를 통한 시야를 조정하는데, 예를 들어, 증가 및/또는 감소/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비-배타적인 실시예에서, 제2 구동 조립체(134)는 베인(114)을 그 길이방향 축 주위로 선회시켜 덮개(110)를 개방된 형태와 폐쇄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켜 덮개(110)를 통한 광 투과율 및 시야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개방된 형태에서, 베인(114)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리고 덮개(110)가 장착된 건축물 구조부/피처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서, 이들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을 통한 시야를 허용한다. 폐쇄된 형태에서, 베인(114)들은 서로 평행하게 중첩해 있고, 건축물 구조부/특징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있어서, 덮개(110)를 통한 시야를 감소시킨다. 베인(114)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베인(114)은 또한 베네치아 유형 블라인드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매달려 있어서, 레일(112)과 반대쪽 베인(114)의 단부들이 지지 요소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베인(114)은 가리개(shade) 또는 블라인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시스템은 제2 구동 조립체(134)를 동작시키는 제2 터치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동작 완드(115)는 사용자에 의해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되어 제2 구동 조립체(134)를 작동시킬 수 있고, 이는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인(114) 및 이에 따라 덮개(110)를 개방된 형태와 폐쇄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양태에 따라,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제2 구동 조립체(134)에 대해 위치되어 원하는 미학적 및/또는 기능적 특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제2 구동 조립체(134)에 근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제2 구동 조립체(134)의 동작 요소와 정렬된 동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코드(116)는 제2 구동 조립체(134)의 동작 요소와 정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코드(116)는 동작 완드(115) 주위로 동작가능하게 이동하기 위해 동작 완드(115)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코드(116)는 동작 완드(1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어 테더(tether)를 통해 동작 완드(115)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122)은, 동작 시스템을 장착하고 선택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특히 제1 구동 조립체(132) 및 제2 구동 조립체(134)를 선택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헤드 레일(112)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22)이 헤드 레일(112)의 일 단부 상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2)은 적어도 제1 구동 조립체(132)가 충분히 덮개 재료 위에 있어서 덮개(110)가 연장되고 수축되는 것과 간섭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바람직한 미학적 및/또는 기능적 특성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하우징(122)을 수용하기 위해 베인(114)의 부분을 잘라내야 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코드 루프 또는 제어 코드로 언급될 수 있고 제1 코드 루프로 고려될 수 있는 제1 동작 코드(116)는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데, 예를 들어, 하우징(122) 내로부터 그리고 동작 완드(115)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제1 동작 코드(116)는 사용자가 제1 구동 조립체(132)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1 구동 조립체(1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가 순환하면 제1 구동 조립체(132)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제2 동작 코드(146)가 헤드 레일(112)의 길이를 따라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가로 질러 베인(114)을 이동시켜 덮개(110)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동작 코드(116)의 하부 단부는 코드 앵커(118) 주위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 코드 앵커는 건축물 구조부/피처를 형성하는 프레임 또는 벽(119)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코드(116)는 폐쇄 루프로 헤드 레일(112)로부터 하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린이 안전 표준에 순응하도록 하기 위해 동작 완드(115)에 예비 장력이 걸려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코드(116)는 동작 완드(115) 주위로 동작가능하게 이동하기 위해 동작 완드(115)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동작 완드(115)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코드(116)는 동작 완드(115)의 핸들(미도시) 내에 또는 동작 완드(115)의 핸들(미도시) 내에 수용된 풀리 주위에 형성된 곡선 채널을 통과하거나, 또는 벽(119)에 고정된 앵커가 아니라 동작 완드(115)에 부착된 임의의 다른 종류의 테더를 통과할 수 있다. 각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드 앵커(118), 또는 핸들 내의 곡선 채널 또는 풀리는 제1 동작 코드(116)의 폐루프의 순환 및 방향 전환을 제공하여, 제1 동작 코드(116)가 가역적인 루프 경로를 따르게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코드 구속부(120) 또는 가이드가 동작 완드(115)에 결합될 수 있고, 동작 완드(115)와 매우 인접한 관계로 제1 동작 코드(116)를 유지하고, 제1 동작 코드(116)가 동작 완드(115)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가역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하다(도 1 참조). 아치형 슬롯(280) 또는 다른 개구가 제1 동작 코드(116)의 대향하는 구획(section)이 통과하는 코드 구속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동작 완드(115)와 제1 동작 코드(116)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코드 구속부(120)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이격 간격으로 고정된 형태로 동작 완드(115)에 결합될 수 있다. 동작 완드(115)는, 각 코드 구속부(12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각 코드 구속부(120)가 동작 완드(115)의 상부 위를 그리고 동작 완드(115)의 길이를 따라 활주(slide)할 수 있도록 동작 시스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코드 구속부(120)는 동작 완드(115)를 따라 특정 위치에서 동작 완드(115)에 부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개시된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일 양태에 따라, 제1 동작 코드(116)는 수축가능한 덮개를 위한 유사한 구동 조립체에서 종래에 달성된 것보다 제2 구동 조립체(134)의 동작 요소(예를 들어, 제1 동작 요소(154))에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제1 구동 조립체(13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가 제2 구동 조립체(134)의 제1 동작 요소(154)에 그리고 이 제1 동작 요소(154)에 부착된 완드(115)에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제1 동작 코드(116)에 가해지는 예비 장력은 제2 구동 조립체(134)의 동작 요소(154)와 완드(115)에 대하여 (만약 있다면) 더 짧은 모멘트 아암을 가져서, 이에 따라, 이러한 힘은 완드(115)가 제2 구동 조립체(134)의 동작 요소(154) 아래에 수직으로 매달리는 것으로부터 변위되게 할 것 같지 않다.
도 3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조립체(132)(예를 들어, 제1 구동 조립체(132)의 회전 축)는 헤드 레일(11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베어링(138, 1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베어링(138, 140)은 하우징(122)의 대응하는 제1 및 제2 베어링 표면(142, 144)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는 제1 구동 조립체(132)와 연관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구동 조립체(134)의 길이를 따라 제1 구동 조립체(1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 레일 코드 또는 헤드 레일 코드 루프로 언급될 수 있고 제2 코드 루프로 고려될 수 있는 제2 동작 코드(146)는 또한 제1 구동 조립체(132)와 관련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 레일(112)의 길이를 따라 제1 구동 조립체(1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동작 시스템은 헤드 레일(112)에 대해 제1 구동 조립체(132)가 경사져서 장착됨에도 불구하고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원활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시스템은 제1 구동 조립체(132)의 경사진 장착을 수용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 걸쳐 제1 동작 코드(116) 및/또는 제2 동작 코드(146)를 원활히 지향시키도록 동작가능한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0)는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22)과 헤드 레일(112) 사이에 위치되고 하우징(122)을 헤드 레일(112)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24)는 풀리 크래들(pulley cradle)(265)(도 10 참조) 및 이 풀리 크래들(265)에 유지된 풀리 샤프트(153)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방향성 풀리(152)(도 3 및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풀리(152)는 제1 구동 조립체(132)로 동작하기 위해 헤드 레일(112)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부터 제2 동작 코드(146)의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방향성 풀리(152)들은 헤드 레일(112)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1 구동 조립체(132)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동작 코드(146)의 제1 및 제2 부분을 각각 위치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연결 부재(324)의 일부로 형성된 한 쌍의 코드 슈트(cord chute)(367)는 도 3 및 도 4의 방향성 풀리(152)의 대체물로서 연결 부재(324)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코드 슈트(367)는 연결 부재(324)로부터 연장될 때 각각 매끄러운 오목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동작 코드(146)의 두 길이는 코드 슈트(367)를 따라 활주하며, 이 코드 슈트는, 제2 동작 코드(146)를, 헤드 레일(1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부터, 제1 구동 조립체(132)와 인터페이싱하기에 적합한 배향으로, 예를 들어, 제1 구동 조립체(132)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전이시키기 위해 헤드 레일(112)의 배향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코드(116)는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제1 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동작 코드(146)는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제2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코드(116)는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제1 풀리(148) 주위로 라우팅될 수 있고, 제2 동작 코드(146)는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제2 풀리(150) 주위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풀리(148) 및 제2 풀리(150)는, 제1 구동 조립체(132)가 제1 동작 코드(116)를 제2 동작 코드(146)와 동작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동작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제1 동작 코드(116)를 조작하여 제1 구동 조립체(132)를 작동시키고 제2 동작 코드(146)를 조작하여 덮개(110)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110)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조립체(132)는, 덮개(11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양을 감소시키는, 예를 들어,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덮개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견인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유성 기어 트레인 시스템(136) 또는 다른 기어 감속 시스템과 같은 기어 감속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시스템의 기어 비(들)는 제2 동작 코드(146)가 덮개(110)를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1 동작 코드(116)에 가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성 기어 시스템(136)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큰 힘으로 덮개(110)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성 기어 시스템(136)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코드(146)의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가 제1 동작 코드(116)의 대응하는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보다 더 작지만 제2 동작 코드(146)에 가해지는 토크는 제1 동작 코드(116)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보다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성 기어 시스템(136)은 썬 기어(194), 링 기어(196), 및 이 썬 기어(194)와 링 기어(196) 사이에 배치되거나 이들 기어와 인터페이싱하거나 이들 기어와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유성 기어(198)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캐리어(200) 또는 캐리지는 유성 기어 시스템(136) 내 캐리어(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포스트(199) 상에 복수의 유성 기어(198)를 지지할 수 있다. 캐리어(200)는 캐리어(200)의 본체(204)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버트(buttress)(2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200)는 플레이트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하우징(122)의 부분들에 복수의 버트(202)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하우징(122) 내에 고정된 비-회전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인 유성 기어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썬 기어(194)는 썬 기어(194)의 회전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각 유성 기어(198)의 복수의 기어 톱니와 맞물리도록 동작가능한 복수의 기어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링 기어(196)는 링 기어(196)의 회전축을 향해 안쪽으로 연장되고 각 유성 기어(198)의 복수의 기어 톱니와 맞물리도록 동작가능한 복수의 기어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썬 기어(194)는 링 기어(196)보다 더 작은 수의 기어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썬 기어(194)의 더 큰 회전 수는 링 기어(196)의 더 작은 회전 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동작 코드(116)가 썬 기어(194)와 결합되고 제2 동작 코드(146)가 링 기어(196)와 결합되는 경우, 제2 동작 코드(146)의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는 제1 동작 코드(116)의 대응하는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보다 더 적지만, 링 기어(196)에 인가되는 토크는 썬 기어(194)에 인가되는 토크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2 동작 코드(146)에 가해지는 견인력은 사용자에 의해 제1 동작 코드(116)에 가해지는 견인력보다 더 크다.
썬 기어(194)의 회전축은 링 기어(196)의 회전축과 일치하고,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공통 회전축을 형성한다. 썬 기어(194)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유성 기어(198)는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복수의 유성 기어(198)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 기어(196)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썬 기어(194)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유성 기어(198) 및 링 기어(196)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조립체(132)의 도시된 실시예는 제1 풀리(148)와 제2 풀리(150)를 포함한다. 입력 풀리로 언급될 수 있는 제1 풀리(148)는 썬 기어(194)에 결합되거나,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그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출력 풀리로 언급될 수 있는 제2 풀리(150)는 링 기어(196)에 결합되거나,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그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풀리(148)는 제1 베어링(138)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풀리(150)는 제2 베어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풀리(148)는 제1 및 제2 베어링(138, 14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는 썬 기어(194) 상의 제1 풀리(148)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동작 코드(146)는 링 기어(196) 상의 제2 풀리(1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1 동작 코드(116)가 조작되면 제1 및 제2 베어링(138, 140) 상의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썬 기어(194)가 회전하고, 이 회전은 유성 기어(198)를 통해 링 기어(196)로 전달되고, 링 기어(196)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동작 코드(146)가 구동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풀리(148, 150)의 도시된 실시예 각각은 제1 및 제2 풀리(148, 150)에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가 맞물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폭을 각각 갖는 각 코드 수용 홈(cord receiving groove)(208a/b)을 형성하도록 교번하는 브래킷(alternating bracket)(206a/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브래킷(206a/b)들의 배열은 후술된 바와 같이 미끄러짐 없이 이 브래킷(206a/b)들이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브래킷(206a/b)들은 홈(208a/b)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브래킷(206a/b)들은 인접한 브래킷(206a/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브래킷(206a/b)들은 각각의 홈(208a/b)의 일측에 있는 브래킷(206a/b)이 각각의 홈(208a/b)의 대향하는 면 상에 있는 2개의 브래킷(206a/b)들 사이의 공간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스태거(staggered)되거나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제1 풀리(148) 상의 브래킷(206a)은 제1 풀리(148)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탭(tab)(210a)을 포함할 수 있다. 리지(ridge)(212a)는 각각의 탭(210a)의 내부 면(214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이 내부 면을 이등분할 수 있다. 리지(212a)는 제1 풀리(148)의 회전축에 인접한 넓은 베이스로부터 경사지거나 테이퍼(taper)지고, 내부 면(214a)을 따라 탭(210a)의 상부 에지(edge)(216a)까지 연장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리지(212a)들의 베이스들은 중첩되도록 홈(208a)의 중심점(midpoint)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이 브래킷(206a)들은 홈(208a)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1 동작 코드(116)는 홈(208a) 내에 끼워져서 리지(212a)들에 의해 마찰적으로 결합되어 홈(208a)에서 미끄러짐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탭(210a)의 상부 에지(216b)와 리지(212a)는 제1 동작 코드가 브래킷(206a)들 사이를 통과할 때 제1 동작 코드(116)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둥글거나 윤곽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풀리(150) 상의 브래킷(206b)은 제2 풀리(150)의 회전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탭(210b)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리지(212b)는 각각의 탭(210b)의 측방향 에지들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탭(210b) 상의 리지(212b)들은 이들 리지와 각 탭(210b)의 내부 면(214b) 사이에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 리지(215)는 각 쌍의 리지(212b)들 사이의 내부 면(214b)으로부터 제2 풀리(150)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풀리(15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탭(210b)과 리지(212b)는 제2 동작 코드가 블래킷(206b)들 사이를 통과할 때 제2 동작 코드(146)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에지(216b)에서 둥글거나 윤곽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브래킷(206b)들은 홈(208b)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2 동작 코드(146)는 홈(208b) 내에 끼워져서 리지(212b)와 베이스 리지(215)에 의해 마찰적으로 결합되어 홈(208b)에서 미끄러짐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대안적인 제1 구동 조립체(332)는, 제1 구동 조립체(332)가 제1 동작 코드(116)를 제2 동작 코드(146)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는 동일한 방향,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속도로 함께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코드(11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풀리(348)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동작 코드(146)는 제2 풀리(350)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풀리(348)는 사용자가 제1 동작 코드(116)를 당기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제2 풀리(350)는 제1 풀리와 연결된 것으로 인해 제1 풀리(348)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2 동작 코드(146)가 덮개(110)를 연장되거나 수축시키게 한다. 제1 풀리(348)의 외부 직경은 사용자가 제1 동작 코드(116) 상에 가하는데 요구되는 견인력을 감소시키는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풀리(350)의 외부 작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는 제1 동작 코드(116)를 조작하여 제1 구동 조립체(332)를 작동시키고 제2 동작 코드(146)를 조작하여 덮개(110)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110)를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의 대안적인 제1 구동 조립체(332)의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는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특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풀리(348)는 제1 측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베어링 샤프트(338) 및 제2 측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베어링 샤프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어링 샤프트(340)는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가 서로 결합될 때 제2 풀리(350)에 형성된 축 방향 베어링 구멍(hole)(339)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베어링 샤프트(140)는 제2 풀리(350)의 외부 면을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풀리(348, 350)는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를 내부에 각각 용이하게 수납하기 위해 폭을 각각 갖는 각 코드 수납 홈(308a/b)을 형성하는 교번하는 브래킷(306a/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각 브래킷(306a/b)은 홈(308a/b)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이 각각의 브래킷은 각각의 홈(308a/b)의 일측에 있는 각각의 브래킷(306a/b)이 각각의 홈(308a/b)의 대향하는 면 상에 있는 2개의 브래킷(306a/b)들 사이의 공간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스태거될 수 있다.
제1 풀리(348) 상의 브래킷(306a)들 각각은 대안적인 제1 구동 조립체(332)의 공통 회전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탭(310a)을 포함할 수 있다. 리지(312a)는 각 탭(310a)의 내부 면(314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여 이 내부 면을 이등분할 수 있다. 리지(312a)는 제1 풀리(348)의 회전축에 인접한 넓은 베이스로부터 경사지거나 테이퍼지고, 내부 면(314a)을 따라 탭(310a)의 상부 에지(316a)까지 연장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리지(312a)들의 베이스들은 중첩하도록 홈(308a)의 중심점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브래킷(306a)들은 홈(308a)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1 동작 코드(116)는 홈(308a) 내에 끼워져서 리지(312a)들에 의해 마찰적으로 결합되어 홈(308a)에서 미끄러짐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탭(310a)의 상부 에지(316b)와 리지(312a)는 제1 동작 코드가 각각의 브래킷(306a)들 사이를 통과할 때 제1 동작 코드(116)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둥글거나 윤곽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풀리(350) 상의 브래킷(306b)들 각각은 대안적인 제1 구동 조립체(332)의 공통 회전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탭(310b)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리지(312b)들은 각각의 탭(310b)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탭(310b) 상의 리지(312b)들은 이들 리지와 각각의 탭(310b)의 내부 면(314b) 사이에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 리지(315)는 각 쌍의 리지(312b)들 사이의 내부면(314b)으로부터 대안적인 제1 구동 조립체(332)의 공통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풀리(350)의 측벽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탭(310b)과 리지(312b)는 제2 동작 코드가 브래킷(306b)들 사이를 통과할 때 제2 동작 코드(146)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에지(316b)에서 둥글거나 윤곽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브래킷(306b)들은 홈(308b)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2 동작 코드(146)는 홈(308b) 내에 끼워져서 홈(312b)과 베이스 리지(315)에 의해 마찰적으로 결합되어 홈(308b)에서 미끄러짐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는 이들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함께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풀리(348, 350)는 제2 풀리(350)에 대한 제1 풀리(348)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동작 가능한 대응하는 구조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베어링 샤프트(340)는 제2 풀리(350)에 형성된 축 방향 베어링 구멍(339)을 통해 연장한다. 복수의 잠금 탭(locking tab)(341)은 제2 베어링 샤프트(340)에 인접하여 제2 베어링 샤프트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풀리(348)의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잠금 탭(341)은 잠금 탭(341)의 베이스 부근에 안착부(seat)(343), 및 이로부터 방사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잠금 탭(341)의 원위 단부에 래치 너빈(latch nubbin)(345)을 형성할 수 있다. 잠금 탭(341)은 제2 풀리(350)의 구조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접한 스포크(351)들, 림 벽(353), 및 허브 벽(355) 사이에 형성된 일부 허브 개구(347)들 내에 끼워지는 크기로 정해지고 이격되어 있다. 잠금 탭(34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허브 개구(347)는 림 벽(353)으로부터 허브 벽(355)을 향해 방사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래치 선반(latch shelf)(3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가 함께 결합될 때, 잠금 탭(341)은 허브 개구(347) 내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래치 너빈(345)이 래치 선반(349)의 외부측을 지나서 스냅 결합하여 맞물려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를 함께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잠금 탭(341)의 베이스 근처의 안착부(343)는 제2 풀리(350)에 대향하는 림 벽(353)의 에지 표면에 접하여, 래치 너빈(345)을 래치 선반(349)에 결합시키는 축 방향 장력을 제공하고, 나아가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가 서로 부착될 때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 작은 이격 거리를 제공한다. 나아가 래치 탭(349)과 스포크(35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여 이들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2)은 연결 부재(124)를 통해 헤드 레일(112)의 일 단부에 대해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2)은 헤드 레일(112)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22)은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요소(154)와 제1 동작 코드(116)가 하우징(122)에 진입하거나 및/또는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슬롯 또는 개구(126)를 하부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6)는 맞물림 표면(12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 표면은 제1 동작 코드(116)가 제1 풀리(148)와 맞물린 위치로부터 동작 완드(115)와 실질적으로 정렬된 위치로 전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동작 요소(154)와 동작 완드(115)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의 상부 부분은 제1 동작 코드(116)가 개구(126)를 통해 가역적으로 순환될 때 맞물림 표면(128)으로 활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코드(116)의 하부 부분은 동작 완드(115)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맞물림 표면(128)은 제1 동작 코드(116)의 하부 부분을 동작 완드(115)에 매우 인접하게 위치시켜서 제1 동작 코드(116)가 동작 완드(115)에 의해 모여지는 실시예에서 "완드 킥(wand kick)"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구동 조립체(132)와 제2 구동 조립체(134)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또한 이들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우징(122)의 예가 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2)은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와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를 포함하는 2-부분 하우징일 수 있다.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의 내부 구조부는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제2 하우징 절반부(122b)의 내부 구조부는 아래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의 것을 약간 변경한 형태로 실질적으로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와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는 기계적 패스너, 접착제, 열 또는 음파 용접, 또는 임의의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 각각은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제1 및 제2 베어링(138, 14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베어링 표면(142, 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결합될 때,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대응하는 제1 및 제2 베어링 표면(142, 144)은 각각 제1 및 제2 베어링(138, 14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하우징(122) 내 제1 구동 조립체(132)를 회전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다. 제1 베어링(138)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 표면(142)은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교차부에 형성된 내부 벽(2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베어링(140)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 표면(144)은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교차부에 형성된 외부 벽(236)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벽(234)과 외부 벽(236)은 헤드 레일(11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예를 들면, 45°)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1 및 제2 베어링 표면(142, 144)들 사이에 유지되는 제1 구동 조립체(132)의 회전축은 헤드 레일(112)의 길이방향 축과 동작 완드(115)의 길이방향 축 모두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이런 각도 배향은 제1 동작 코드(116)와 제2 동작 코드(146)를 모두 동축 풀리(148, 150)와 같은 제1 구동 조립체(132)로 전이시키는 중간 위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런 각도 배향은 제1 동작 코드(116)가 수직 배향으로부터 동작 완드(115)를 따라 전이하여 제1 구동 조립체(132)와 결합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2 동작 코드(146)가 또한 수평 배향으로부터 헤드 레일(112)을 따라 전이하여 제1 구동 조립체(132)와 결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에서 제1 구동 조립체(132)를 배향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풀리(148, 150) 내에서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가 얽힐 가능성이 각각 감소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베어링 표면(142, 144), 및 이에 따라 제1 구동 조립체(132)는 이러한 각도로 배향될 필요가 없고 다른 배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2)은 제1 구동 조립체(132)가 신뢰성 있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예를 들어, 제1 구동 조립체(132)로부터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가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 각각은 제1 및 제2 풀리(148, 150)의 홈(208a, 208b) 내에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를 각각 유지하도록 동작 가능한 가이드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는 함께 제1 가이드 구조부(238)(도 11 참조)와 제2 가이드 구조부(240)를 형성할 수 있다(도 12 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구조부(238)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일 수 있고,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의 내부 표면(226)으로부터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구조부(238)의 내부 에지는 제1 풀리(148)의 외부 직경 주위에 아치형 가이드 표면(242)을 형성할 수 있다(도 11 참조). 아치형 가이드 표면(242)은, 제1 동작 코드(116)가 하우징(122) 내 제1 풀리(148) 주위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풀리(148)로부터 이격된다. 아치형 가이드 표면(242)은, 제1 동작 코드(116)를 홈(208a) 내에 완전히 안착시켜, 제1 동작 코드(116)와 풀리 브래킷(206a) 사이에 완전한 맞물림을 달성하고, 동작 동안 제1 동작 코드(116)가 홈(208a) 밖으로 "점프(jump)할" 경우, 제1 동작 코드(116)를 홈(208a) 내에 유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치형 가이드 표면(242)은 원호를 따라가지 않을 수도 있지만, 대신, 아치형 가이드 표면(242)이 가이드 풀리(152)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제1 동작 코드(116)를 홈(208a)에 완전히 유지하도록 더 작은 반경을 가지고, 가이드 풀리(15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는 제1 동작 코드(116)가 홈(208a)을 빠져 나와 하우징(122)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더 큰 반경을 가지도록 가변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가이드 구조부(24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일 수 있고,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의 내부 표면(226)으로부터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구조부(240)의 내부 에지 표면은 제2 풀리(150)의 외부 직경 주위로 연장될 수 있는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을 형성할 수 있다(도 12 참조).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은, 제2 동작 코드(146)가 하우징(122) 내 제2 풀리(150) 주위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도록 제2 풀리(150)로부터 이격된다.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은 제2 동작 코드(146)를 홈(208b) 내에 완전히 안착시켜, 제2 동작 코드와 풀리 브래킷(206b) 사이에 완전한 맞물림을 달성하고, 동작 동안 제2 동작 코드(146)가 홈(208b) 밖으로 "점프할" 경우, 제2 동작 코드(146)를 홈(208b) 내에 유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은 원호를 따라가지 않을 수도 있지만, 대신,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이 가이드 풀리(15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는 제2 동작 코드(146)를 홈(208b)에 완전히 유지하도록 더 작은 반경을 가지고, 가이드 풀리(152)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제1 동작 코드(116)가 홈(208b)을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더 큰 반경을 가지도록 가변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은 하우징(122)에 부착된 연결 부재(124)의 외부 표면(241)에 있는 각각의 코드 개구(278)를 통과하도록 제2 동작 코드(146)를 가이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동작 코드(14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가이드 표면(246)의 단부에서 윤곽 형성된 채널(245)을 따라 활주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는 도시되지 않은 대응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구조부(238, 240)를 갖게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아치형 가이드 표면(242, 246)은 제1 및 제2 풀리(148, 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가 방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제어하도록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를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 중 적어도 하나, 선택적으로 둘 모두는 유성 기어 시스템(136)을 하우징(122) 내에 고정하고 하우징(122)에 대해 캐리어(2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지 탭(retention tab)(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절반부(122a)를 참조하면, 유지 탭(248)은 내부 표면(226)으로부터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구조부(238)와 제2 가이드 구조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유지 탭(248)의 내부 에지는 캐리어(200)의 본체(204)의 외부 직경과 대체로 대응하는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갖는 아치형 가이드 표면(250)을 형성할 수 있다. 유지 탭(248)은 캐리어(200)의 버트(202)와 맞물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지 탭(248)은 각 측면 상에 있는 제1 리브(202a)와 맞물리는 상부 코너 부분(252), 및 제2 및 제4 리브(202b, 202d)의 인접한 상부 에지와 맞물리는 하부 코너 부분(254)을 구비한다.
또한,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a) 중 적어도 하나, 선택적으로 둘 모두는 유지 탭(248)과 동일한 평면 내에 정렬되고 제3 리브(202c)의 외부 주위와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맞물림 표면(128) 내에 형성된 유지 리세스(256)를 포함할 수 있다. 함께 유지 탭(248)과 유지 리세스(256)는 만약 제공된 경우 캐리어(200)를 하우징(122) 내에 고정시키고 하우징(122)에 대해 캐리어(200)가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된 캐리어(200)는 포스트(199)에 부착된 유성 기어(198)를 통해 제1 구동 조립체(132)의 유성 기어 시스템(136)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6 내지 도 18의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를 장착하고 수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322a, 322b)와 연결 부재(324)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에서는, 제2 하우징 절반부(322b)가 제거되어 있어서,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 및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가 드러나 있다. 도 20에서는, 제1 하우징 절반부(322a)가 제거되고, 또한 제1 및 제2 동작 코드(116, 146) 및 제1 및 제2 동작 요소(154, 156)가 제거되어 다른 구조적 특징이 드러나 있다. 제1 풀리(348)와 제2 풀리(350)는 부착된 제1 및 제2 풀리(348, 350)가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베어링 표면에 의해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322a, 322b)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가 개구(326)를 통해 가역적으로 순환될 때 제1 동작 코드(116)는 경사진 맞물림 표면(328)을 따라 개구(326)를 통해 하우징 절반부(322a, 322b)를 빠져 나갈 수 있다.
제1 베어링 표면(342)은 제1 하우징 절반부(322a)의 내부 벽(334a)과 제2 하우징 절반부(322b)의 내부벽(322b)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베어링 표면(342)은 내부 벽들이 하우징 절반부(322a, 322b) 내에서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만날 때 내부 벽(322a, 322b)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반원형 컷아웃(cutout)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풀리(348)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베어링 샤프트(338)는 반원형 컷아웃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이 컷아웃의 에지는 제1 베어링 샤프트(338)가 회전하는 제1 베어링 표면(342)을 형성한다. 제2 하우징 절반부(322b)는 또한 내부 벽(322b)으로부터 (예를 들어, 직각으로 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 벽(337) 상에 장착된 유지 판(retention plank)(335)을 더 형성하고 제1 베어링 표면(342)의 에지에까지 연장된다. 유지 판(335)은 내부 벽(322b)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외팔보 형태로 제1 베어링 표면(342)에 의해 형성된 구멍 위를 걸쳐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유지 판(335)은 하우징 절반부(322a, 322b) 내 제1 베어링 샤프트(338)가 잠재적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풀리(348, 35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제1 및 제2 풀리(348, 350)를 제 위치에 유지한다.
제2 베어링 표면(371)은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들이 연결 부재(324) 아래에서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만날 때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322a, 322b)의 대향하는 에지들에 반원통형 리세스에 의해 하우징 절반부(322a, 322b)의 외부 벽에 원통형 포켓(pocke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풀리(350)의 베어링 개구(339)를 통해 연장되는 제2 베어링 샤프트(340)는 제2 베어링 표면(371) 내에 안착되어 그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324)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 풀리를 사용하지 않고 제2 동작 코드(146)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324)에는 제2 풀리(350)의 상부 에지 위 내부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코드 슈트(367)가 형성될 수 있다. 코드 슈트(367)는 헤드 레일(112)과 제2 풀리(350) 사이에 제2 동작 코드(146)에 대한 전이 경로 및 가이드 표면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슈트(367)는 헤드 레일(112)의 수평 배향으로부터 하향 곡선(curve) 또는 경사 각도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 채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풀리 가이드(367)는 수용 홈(408b) 내에 제2 동작 코드(146)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코드 슈트(367)들 사이 연결 부재(324)의 내부 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제2 풀리(350)의 수용 홈(308b) 위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24)는 헤드 레일(112)의 일 단부에 하우징(122)을 장착 및/또는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124)는 하우징(122)과 통합되거나 또는 헤드 레일(112)과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헤드 레일(112), 하우징(122) 및 연결 부재(124)는 단일의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 및 연결 부재(124) 각각은 연결 부재(124)를 하우징(122)에 고정하기 위한 정렬 및/또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는 제3 외부벽(258) 내에 형성되고 헤드 레일(112)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 슬롯(257)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핑거(latch finger)(260)는 제2 외부 벽(2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롯(257)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각 래치 핑거(260)는 래치 핑거(260)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롯(257)을 향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124)는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슬롯(257)과 돌출부(262)에 각각 대응하는 리브(264)와 래치 리세스(266)(도 4 및 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264)는 연결 부재(124)의 본체(268)의 외부 표면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래치 리세스(266)는 본체(268)의 바닥 표면(27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124)를 하우징(122)에 고정하기 위해, 연결 부재(124) 상에 배치된 리브(264)는 하우징(122)의 슬롯(257)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래치 핑거(260)는 돌출부(262)가 래치 리세스(266) 내로 돌출할 때까지 연결 부재(124)의 본체(268)의 바닥 표면(270)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124)는 래치 핑거(260)에 의해 하우징(12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주로 슬롯(257) 내에 리브(264)가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부재(124)는 접착제, 열 또는 음파 용접, 기계적 패스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계속 참조하면, 연결 부재(124)는 본체(268)의 단부로부터 리브(26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72)는 하우징(122)의 단부에 접하여, 연결 부재(124)를 하우징(1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24)의 본체(268)는 하우징(122)의 단부가 플랜지(272)의 내부 표면(274)에 접할 때까지 하우징(122) 내로 활주할 수 있다(도 2 참조). 본체(268)와 플랜지(272)는 관통 형성된 구동 개구(276)(아래에서 더 설명됨) 및 두 개의 코드 개구(278)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개구(278)는 제2 동작 코드(146)(도 8 참조)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성 기어 시스템(136)이 회전하면, 제2 동작 코드(146)의 제1 및 제2 수평 런(run)(146a, 146b)(도 12 참조)이 연결 부재(124)의 코드 개구(278)를 활주하거나 통과한다. 본체(268)와 플랜지(272)는 헤드 레일(112)의 일부분(예를 들어, 단부)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275)을 형성할 수 있다. 공동(275) 내에 수용된 헤드 레일(112)의 부분은 접착제, 열 또는 음파 용접, 기계적 패스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연결 부재(124)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코드(116)의 제1 및 제2 수직 런(116a, 116b)은 맞물림 표면(128)에 인접한 하우징(122)의 개구(126)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제1 동작 코드(116)는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제1 풀리(148)의 대부분 주위에 그리고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제1 가이드 구조부(238)에 인접하게 라우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코드(116)는 제1 풀리(148)의 교번하는 리지 구조부(206a)의 대부분과 맞물려 있어서, 제1 동작 코드(116)의 수직 런(116a, 116b)을 조작하면, 제1 풀리(148)가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공통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직 런(116a)을 하우징(1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풀리(148)가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1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수직 런(116b)을 하우징(1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풀리(148)가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1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풀리(148)가 가역적으로 회전하면, 제2 풀리(150)가 제2 동작 코드(146)를 코드 개구(278)(도 12 참조)를 통해 그리고 헤드 레일(112)의 길이를 따라 가역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캐리어(200)는 제1 풀리(148)(도 13 참조)가 회전하는 동안 고정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동작 코드(146)는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제2 풀리(150)의 대부분 주위에 그리고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의 제2 가이드 구조부(240)에 인접하게 라우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동작 코드(146)는 제2 풀리(150)의 교번하는 리지 구조부(206b)의 대부분과 맞물려 있어서, 제2 풀리(150)가 회전하면, 제2 동작 코드(146)의 제1 및 제2 수평 런(146a, 146b)이 연결 부재(124)의 코드 개구(278)를 통해 활주하거나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풀리(150)가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1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수평 런(146b)이 코드 개구(278)들 중 하나의 코드 개구를 통해 헤드 레일(112)을 향해 통과할 수 있다. 제2 풀리(150)가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1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수평 런(146a)이 코드 개구(278)들 중 다른 코드 개구를 통해 헤드 레일(112)을 향해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 시스템(136)의 캐리어(200)(도 13 참조)는 제2 풀리(150)가 회전하는 동안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 조립체(134)는 또한(예를 들어, 하우징(12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제2 방식으로 가리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구동 조립체(134)는 헤드 레일(112)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샤프트(130)와 같은 피동 요소를 회전시켜,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베인(114)을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구동 조립체(134)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인(114)이 폐쇄된 형태로 베인(114)이 회전될 수 있고, 여기서 베인(114)은 하우징(122) 쪽 전방으로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구동 조립체(134)가 제2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인(114)이 반대쪽 폐쇄된 형태로 회전될 수 있고, 여기서 베인(114)은 반대 방향으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동작 완드(115)는 제2 구동 조립체(134)에 결합되어 있어 동작 완드(115)를 조작하는 것을 통해 제2 구동 조립체(13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구동 조립체(134)는 제1 동작 요소(154) 및 이 제1 동작 요소(154)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예를 들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동작 요소(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동작 요소(154, 156) 각각은 기어 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동작 요소(154)의 제1 단부(158)는 동작 완드(115)의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제1 동작 요소(154)의 제2 단부(166)는 예를 들어 외부 외주 표면에 있는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와 동작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동작 요소(154)는 제2 동작 요소(156)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90도 미만, 90도 초과 또는 90도)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동작 요소(154)는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하우징(122)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되어, 제1 단부(158)가 동작 완드(115)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해 장착 표면의 벽(11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룸(room) 안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2 기어 부재(156)의 제2 단부(157)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재료의 베인을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 재료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레일 샤프트(130)와 맞물려서, 레일 샤프트(130)의 축과 축 방향으로 정렬하여 이 레일 샤프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완드(115)는 제1 동작 요소(154)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동작 완드(115)는 제1 동작 요소(154)의 제1 단부(158)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클립(160)은 동작 완드(115)의 상부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U자형 루프(161)는 고정 클립(160)의 측방향 측면 상의 양 단부에 고정되고 그 상부 표면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루프(161)는 제1 단부(158)에서 제1 동작 요소(154)의 샤프트 부분(155)에 형성된 개구(162)를 통해 수용되고 이에 의해 제1 동작 요소(154)를 고정 클립(160)과 루프(161)를 통해 동작 완드(115)의 일 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동작 완드(115)는 제1 동작 요소(154)를 그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1 동작 요소(154)의 개구(162) 내에 루프(161)를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은 제1 동작 요소(154)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동작 완드(115)의 길이방향 축을 위치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완드(115)의 길이방향 축이 장착 표면(119) 및 건축물 구조부/피처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완드는 제1 동작 요소(154)로부터 장착 표면(119)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 배향에서 완드는 헤드 레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때 장착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룸 안으로 기울어진다.
동작시, 사용자가 동작 완드(115)를 잡고 덮개(110)를 조작할 때,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동작 완드(115)를 룸 안으로 자연적으로 기울인다. 종래의 장치에서, 사용자가 완드를 룸 안으로 들어올릴 때, 완드와 동작 요소 사이의 힌지 인터페이스에서 동작 요소 사이의 그로 인한 각도는 180°로부터 감소한다. 사용자가 완드를 회전시켜 가리개를 조절하려고 할 때, 종래의 장치의 힌지 인터페이스가 회전하여 동작 요소에 접하여, 힌지 인터페이스, 코드 루프 및 동작 요소가 종래의 장치에 얽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요소(154)는 사용자가 동작 완드(115)를 잡아서 (통상적인 사용자가 동작 완드(115)를 유지하는 평균 각도에 기초하여) 동작시킬 때 동작 완드(115)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동작 요소(154)와 고정 클립(160) 사이에서 가능한 한 바람직하게 180°에 가까운 각도를 달성하도록 룸 안으로 기울어져서 이에 의해 잠재적 얽힘을 완화시킨다. 제1 동작 부재(154)와 동작 완드(115) 사이의 외측 각도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180°를 초과하여, 동작 완드(115)가 사용자에 의해 룸 안으로 당겨질 때 생성된 각도는 동작 완드(115)로부터 제1 동작 요소(154)로 토크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해 약 180°이게 한다(즉, 동작 완드(115)와 제1 동작 요소(154) 사이의 각도가 가능한 한 180°에 가까울 때 동작 완드(115)는 최상으로 토크를 전달한다).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요소(154)의 제2 단부(166)와 맞물려 이와 결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동작 요소(156)는 제1 동작 요소(15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요소(154)는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예각)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동 조립체(134)는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가리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웜 구동부(worm dirv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작 요소(154)의 제2 단부(166)는 제1 기어 메쉬 부분(gear mesh portion)(예컨대, 웜 나사(168))을 포함하고,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는 웜 나사(168)와 맞물린 웜 나사(168)와 같이 제1 기어 메쉬 부분과 맞물리는 제2 기어 메쉬 부분(예를 들어, 웜 기어(17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 조립체(134)가 가역적으로 회전하면, 베인(114)이 개방된 형태와 폐쇄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요소(154)가 제1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제2 단부(166)에서 웜 나사(168)가 회전한다.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 사이에 기어 메쉬는 제2 동작 요소(156) 및 이에 따라 이 제2 동작 요소(156)에 결합된 레일 샤프트(130)를 제1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인의 전방 표면이 하우징(122) 쪽으로 회전하거나 이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베인(114)을 회전시킨다. 유사하게 제1 동작 요소(154)가 제2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웜 나사(168)가 회전한다.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 사이의 기어 메쉬는 제2 동작 요소(156)와 레일 샤프트(130)를 제2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1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인의 전방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베인(114)을 회전시킨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작 요소(156)의 제2 단부(157)는 레일 샤프트(13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159)를 일 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레일 샤프트(130)의 실시예의 단면은 베인(114)을 회전시키는 기계적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예를 들어 다수의 플루트(flute) 또는 로브(lobe)를 갖게 불균일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동작 요소(156)의 개구(159)는 제2 동작 요소(156)와 레일 샤프트(130)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 샤프트(130)의 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동작 요소(156)의 제2 단부(157)는 또한 연결 부재(124)(도 10 참조)의 구동 개구(276) 내에 끼워 맞춰진다. 제2 단부(157)는 베어링으로 작용하는, 연결 부재(124)에 의해 지지되는 저널(journal)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요소(156)는 하우징(122)의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 사이의 중심선(midline)을 따라 레일 샤프트(130)와 동일한 길이방향 축을 따라 레일 샤프트(130)의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 동작 요소(154)는, 이 제1 동작 요소(154)의 제1 단부(158)가 하우징(122)의 수직 중심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반면, 제1 동작 요소(154)의 제2 단부(166)는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제2 동작 요소(156)(도 4 및 도 11 참조)의 제1 단부(164)에 오히려 인접하고 뒤쪽에 있도록 하우징(122)의 수직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이 형태에서, 동작 완드(115)는 하우징(122)의 수직 중심선 아래에 수직으로 매달릴 수 있고, 여기서 동작 완드는 제1 동작 요소(154)의 제1 단부(158)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2 단부(166)는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 뒤에 있는 반면, 제1 단부(158)는 동작 완드(115)와의 연결이 수직 중심선 상에 있도록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제1 동작 코드(116)는 제1 동작 요소(154)와 동작 완드(115) 사이의 연결부의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라우팅된다. 이 대칭은 제1 동작 코드(116)에 예비 장력이 걸린 경우 유리하다. 제1 동작 코드(116)의 두 부분이 대칭이 아닌 경우, 제1 동작 코드(116)는 동작 완드(115)의 일 측을 다른 측보다 더 많이 끌어당겨서 완드-킥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2 동작 요소(156)는 레일 샤프트(130)와 정렬되는 한, 하우징(122)의 중심선을 따라 위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1 동작 요소(154)는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뒤에 있을 필요가 없지만, 둘 사이의 기어 메쉬들이 이러한 위치에서 적절히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한, 제2 동작 요소(156)의 전방 또는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지지 케이지(support cage)(172)는 덮개(110)의 구동 조립체에, 예를 들어, 제2 구동 조립체(134)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케이지(17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의 동작 요소의 샤프트를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또는 스캐폴드(scaffold)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케이지(172)는 제2 구동 조립체(134)의 동작 동안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를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제2 구동 조립체(134)의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를 둘러쌀 수 있다. 간단히 스캐폴드라고 언급될 수 있는 지지 케이지(172)는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가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유지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구동 조립체(134)는 지지 케이지(17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케이지(172)는 실질적으로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를 둘러싸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케이지(172)는 웜 나사(168)와 웜 기어(17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4,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동작 요소(154)는 지지 케이지(172) 내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동작 요소(154)의 제2 단부(166)는 플랜지(174)와 웜 나사(168) 사이에 위치된 베어링 표면(176)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74)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케이지(172)는 제1 동작 요소(154)의 플랜지(174), 웜 나사(168) 및 베어링 표면(176)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고 제1 동작 요소(154)의 제2 단부(166)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포켓(175)을 형성하는 아치형 위치 설정 재료 스트립(178) 또는 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웹 요소(arcuate web element)로 지칭될 수 있는 위치 설정 스트립(178)은 제1 동작 요소(154)의 베어링 표면(176)에 안착하여, 제1 동작 요소(154)를 지지 케이지(172) 내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설정 탭(178)은 지지 케이지(172)에 대해 제1 동작 요소(154)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 케이지(172)는 아치형 위치 설정 스트립(178) 아래에서 이 스트립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 케이지(172)의 제2 포켓(177)을 형성하는 아치형 정렬 재료 스트립(179) 또는 웹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표면 및/또는 제2 아치형 웹 요소로 지칭될 수 있는 아치형 정렬 스트립(179)은 아치형 위치 설정 스트립(178)보다 더 넓고, 이에 따라 아치형 위치 설정 스트립(178)보다 하우징(122)의 중심선을 향해 더 연장된다. 제1 동작 요소(154)의 샤프트 부분(155)은 제1 및 제2 포켓(175, 177)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치형 위치 설정 스트립 및 아치형 정렬 스트립(178, 179)에 저널로 안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아치형 정렬 스트립(179)은 샤프트 부분(155)을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하는데, 예를 들어, 덮개(110)가 관련된 건축물 구조부/특징부를 형성하는 표면에 대해 샤프트 부분(155)을 바깥쪽으로 틸팅(tilt)시켜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아치형 위치 설정 스트립(178)과 아치형 정렬 스트립(179)의 폭들의 차이에 의해 제1 동작 요소(154)는 수직선으로부터 비스듬한 각도로 하우징(122) 내의 개구(126)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켓(177)을 형성하는 정렬 스트립(179)의 에지는 제1 포켓(175)을 형성하는 위치 설정 스트립(178)의 에지와 수직 정렬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샤프트 부분(155)은 위치 설정 스트립 및 정렬 스트립(178, 179)의 각 에지와 인터페이싱할 때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동작 요소(154)가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될 수 있지만, 제1 동작 요소(154)의 샤프트 부분(155) 내 개구(162)를 통해 수용된 U자형 루프(161)는 피봇 또는 힌지로서 작용하여, 완드(115)가 제1 동작 요소(154)로부터 수직으로 매달릴 수 있도록 한다. 제1 동작 요소(154)는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될 수 있지만, 제1 동작 요소(154)의 제1 단부(158)는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 아래에서 이 제1 단부와 정렬되어 실질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공동(180)은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에 형성되어, 지지 케이지(172) 내의 제2 위치에 제2 동작 요소(156)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공동(180)은 제2 동작 요소(156)의 제1 단부(164) 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 표면(18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케이지(172)는 지지 케이지(172)의 내부 면(18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표면(188)을 갖는 보스(boss)(18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84)는 베어링 공동(180) 내에 수용되어 제2 동작 요소(156)를 지지 케이지(172) 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동작 요소(156)의 내부 면(182)은 보스(184)의 베어링 표면(188)과 인터페이싱하며 보스(184)에 대해 제2 동작 요소(156)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케이지(172)는 제1 동작 요소(154)가 제2 동작 요소(156)와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지지 케이지(172)는 제2 동작 요소(156)의 저널 표면(19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치형 맞물림 표면(19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치형 맞물림 표면(190)은 반원통형이고, 지지 케이지(172)의 내부 면(18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함께, 아치형 맞물림 표면(190)과 보스(184)는 제1 동작 요소(154)로부터 제2 동작 요소(156)가 축 방향과 방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 제1 동작 요소(154)와 제2 동작 요소(156)가 맞물리는 것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절반부(122a, 122b)는 하우징(122) 내에서 제2 구동 조립체(134)를 수용하도록 동작가능한 대응하는 유지 특징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공동(218)은 제1 하우징 절반부(122a) 내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22) 내에서 제2 구동 조립체(134)의 지지 케이지(172)를 수용하고 정렬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공동(218)은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의 아치형 제1 외부 벽(220), 바닥 벽(222) 및 정렬 벽(224)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벽(222)과 정렬 벽(224)은 제1 하우징 절반부(122a)의 내부 면(226)으로부터 제2 하우징 절반부(122b)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벽(222)은 제2 동작 요소(15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정렬 벽(224)은 제2 동작 요소(156)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렬 벽(224)은 제1 외부 벽(220)과 바닥 벽(222)에 부착될 수 있다. 바닥 벽(222)은 지지 케이지(172)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위치 설정 슬롯(23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렬 탭(228)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케이지(172)를 하우징(122) 내에 더 정렬하기 위해 정렬 벽(224)은 지지 케이지(172)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정렬 홈(23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광범위한 적용을 갖는다. 제공된 예는 수직 슬랫(slat)을 갖는 덮개를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은 베네치안 유형 블라인드 및 수직 블라인드 또는 덮개를 포함하는 많은 유형의 블라인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임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청구 범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하게 구현되고 사용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와 설명을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태 또는 형태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여러 특징은 본 발명을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양태, 실시예, 또는 형태로 함께 그룹화되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서로 별개이고 독립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특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특징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면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실시예에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 실시예, 또는 형태의 여러 특징은 대안적인 양태, 실시예, 또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이하의 청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에 병합되고, 각 청구항은 본 발명의 별개의 실시예로 각자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및 "및/또는"라는 어구는, 동작시 결합가능하고 분리가능한 개방된 표현(open-ended expression)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 개체는 하나 이상의 개체를 말한다. 그리하여, 단수 용어, "하나 이상의" 및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방향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근위, 원위, 상위(upper), 하위(lower), 상향으로, 하향으로, 좌측,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전방, 후방, 상부(top), 하부(bottom), 위에(above), 아래에(below), 수직, 수평, 방사방향(radial), 축방향,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등)은 본 발명을 독자들이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식별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 것일 뿐, 특히 본 발명의 위치, 배향(orientation), 또는 사용을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연결에 관한 언급(예를 들어, 부착된(attached), 결합된(coupled), 연결된(connected), 및 접합된(joined))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고,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요소들의 집합 사이에 중간 부재와, 이 요소들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결에 관한 언급은 반드시 2개의 요소들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서로 고정된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식별을 위한 언급(예를 들어, 제1차, 제2차, 제1, 제2, 제3, 제4 등)은 중요성이나 우선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특징부를 다른 특징부와 구별하려고 사용된 것이다. 도면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반영된 크기, 위치, 순서 및 상대적인 크기는 변할 수 있다.

Claims (42)

  1.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feature)를 위한 덮개로서,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려 있는 덮개 재료; 및
    동작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동작 시스템은,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 재료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제1 구동 조립체; 및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 재료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제2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조립체는 상기 제1 구동 조립체와 분리되지만 상기 제1 구동 조립체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 조립체는 상기 제2 구동 조립체에 인접하며, 상기 제2 구동 조립체의 동작 요소와 정렬된 코드 루프를 포함하는,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조립체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 주위로 연장되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 위치되는 제1 동작 코드 루프;
    상기 제1 풀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 주위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동작 코드 루프를 더 포함하는,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조립체는 기어 감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중 하나는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제1 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제2 기어에 고정되는,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은 유성 기어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유성 기어 시스템은,
    썬 기어;
    링 기어; 및
    캐리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유성 기어 시스템의 상기 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유성 기어 시스템의 상기 링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고정되어 있는, 덮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는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기계적 장점이 달성되도록 상기 제1 직경보다 더 작은 제2 직경을 구비하는,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조립체는,
    제1 동작 요소; 및
    상기 제1 동작 요소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동작 요소를 포함하는,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요소의 회전축은 상기 제2 동작 요소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덮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조립체는 상기 제1 동작 요소와 상기 제2 동작 요소를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 케이지를 포함하는, 덮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조립체의 작동시 상기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 재료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동작 요소 및 상기 덮개 재료와 결합된 피동 요소를 더 포함하는, 덮개.
  10. 건축물 덮개를 위한 동작 시스템으로서,
    상기 덮개가 이동하는 샤프트;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감속 시스템;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상기 제1 기어에 결합된 제1 풀리;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상기 제2 기어에 결합된 제2 풀리;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상기 제1 풀리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 상기 동작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코드 루프; 및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상기 제2 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부분적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코드 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코드 루프는 상기 덮개에 결합되고,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제1 코드 루프가 순환하면 상기 제2 코드 루프가 순환하고 상기 덮개가 이동하는, 동작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회전축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위치되는, 동작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배열된 기어 조립체로서, 상기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덮개가 개방된 형태와 폐쇄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기 기어 조립체;
    상기 기어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 조립체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동작 완드(operating wand)를 더 포함하는, 동작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조립체는 웜 나사, 및 상기 웜 나사와 맞물린 웜 기어를 포함하는, 동작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웜 나사와 상기 웜 기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웜 나사와 상기 웜기어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동작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웜 나사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웜 기어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이고 그리고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되는, 동작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과 상기 기어 조립체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동작 시스템.
  17. 건축물 덮개를 위한 구동 조립체로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동작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수동 동작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동작 코드; 및
    상기 제2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덮개를 작동시켜 상기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를 가로 질러 연장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는 제2 동작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는 동축이고, 상기 제1 동작 코드의 상기 하향 방향과 상기 제2 동작 코드의 상기 횡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배향의 공통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구동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작동시켜 하나 이상의 베인(vane)을 각각의 베인의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제2 구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구동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구동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구동 조립체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동작 완드를 더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코드의 하향 방향은 상기 동작 완드의 길이방향 축과 동축인, 구동 조립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동작 코드의 방향을 변경시켜 상기 제2 풀리 주위로 상기 비스듬한 배향으로 연장시키는 제3 풀리를 더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풀리는 샤프트에 의해 연결된 2개의 풀리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 코드의 제1 길이는 상기 2개의 풀리 휠 중 제1 풀리 휠 위를 통과하고, 상기 제2 동작 코드의 제2 길이는 상기 2개의 풀리 휠 중 제2 풀리 휠 위를 통과하는, 구동 조립체.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동작 코드의 방향을 변경시켜 상기 제2 풀리 주위로 상기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의 제1 코드 홈의 제1 직경은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풀리의 제2 코드 홈의 제2 직경보다 더 큰, 구동 조립체.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는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풀리에 고정되는, 구동 조립체.
  25. 건축물 덮개를 위한 구동 조립체를 위한 지지 구조부(support structure)로서, 상기 지지 구조부는 상기 구동 조립체의 동작 요소의 샤프트를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스캐폴드(scaffold)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조부는,
    상기 스캐폴드 내의 제1 포켓(pocket)을 형성하는 제1 아치형 웹 요소(arcuate web element); 및
    상기 제1 아치형 웹 아래에서 그리고 상기 제1 아치형 웹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스캐폴드 내의 제2 포켓을 형성하는 제2 아치형 웹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켓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아치형 웹 요소의 에지(edge)는 상기 제1 포켓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웹 요소의 에지와 수직 정렬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스캐폴드 내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포켓 내에 위치된 상기 구동 조립체의 동작 요소의 샤프트는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웹 요소의 상기 각각의 에지와 인터페이싱할 때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되는, 지지 구조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표면은 상기 건축물 덮개가 관련된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를 형성하는 표면에 대해 상기 동작 요소의 상기 샤프트를 바깥쪽으로 틸팅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구조부.
  28. 제26항의 상기 지지 구조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덮개로서,
    상기 스캐폴드에 고정되게 연결된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지지 구조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구동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제1 단부에 제1 기어 메쉬 부분(gear mesh portion) 및 상기 제1 기어 메쉬 부분으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1 기어 부재; 및
    제1 단부에 제2 기어 메쉬 부분 및 상기 제2 기어 메쉬 부분으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2 기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부재와 제2 기어 부재는,
    상기 제1 기어 메쉬 부분이 상기 제2 기어 메쉬 부분과 맞물리고,
    상기 제1 샤프트가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웹 요소의 상기 각각의 에지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포켓 내에 위치되고,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레일 샤프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 구조부 내에 구성된, 덮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레일 샤프트와 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덮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부재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기어 부재의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단부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기어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와 정렬되는, 덮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와 힌지 연결을 통해 부착된 동작 완드를 더 포함하는, 덮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일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고,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기계적으로 장점이 있는 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 시스템은,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 상기 동작 완드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동작 코드 루프;
    상기 제1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상기 헤드 레일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동작 코드 루프를 포함하는, 덮개.
  33. 건축물 구조부 또는 특징부를 위한 덮개로서, 상기 덮개는,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구동 조립체;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 상기 구동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로부터 연장하는 동작 완드; 및
    제1 코드 루프를 제2 코드 루프에 결합시키는 트랜스미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드 루프는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동작 완드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코드 루프는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으로부터 연장되고, 연장된 형태와 수축된 형태 사이에서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제2 코드 루프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상기 동작 완드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차단되는, 덮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은,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드 루프는 상기 동작 완드의 길이를 따라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 상기 제1 풀리 주위로 그리고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코드 루프는 상기 제2 풀리 주위로 그리고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는 상기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기계적 장점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제2 풀리보다 더 큰, 덮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기어 감속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풀리는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제1 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의 제2 기어에 고정되는, 덮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감속 시스템은 유성 기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 시스템은,
    썬 기어;
    링 기어; 및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 각각은 상기 썬 기어 및 상기 링 기어와 각각 인터페이싱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유성 기어 시스템의 상기 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유성 기어 시스템의 상기 링 기어를 포함하는, 덮개.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제1 단부에 제1 기어 표면을 갖는 제1 동작 요소, 및 제2 단부에 상기 동작 완드와 맞물리기 위해 연결 구조부를 포함하고;
    제2 기어 표면을 갖는 제2 동작 요소; 및
    상기 제1 동작 요소의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동작 요소의 제2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덮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제1 동작 요소와 상기 제2 동작 요소를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지지 케이지를 포함하는, 덮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지는 상기 제1 동작 요소를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로 유지하는, 덮개.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제2 동작 요소와 고정 맞물리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덮개 패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덮개 패널을 폐쇄된 형태와 개방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덮개.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 루프는 상기 동작 완드와 결합되는, 덮개.
KR1020170021892A 2016-02-19 2017-02-17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 KR20170098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7770P 2016-02-19 2016-02-19
US62/297,770 2016-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90A true KR20170098190A (ko) 2017-08-29

Family

ID=5959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892A KR20170098190A (ko) 2016-02-19 2017-02-17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55385B2 (ko)
KR (1) KR20170098190A (ko)
CN (1) CN107100529B (ko)
AU (1) AU2017201047B2 (ko)
CA (1) CA2958177A1 (ko)
TW (1) TWI7365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5385B2 (en) * 2016-02-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10407983B2 (en) * 2016-10-26 2019-09-10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TWM552535U (zh) * 2017-06-21 2017-12-01 Fresh Spring International Inc 百葉窗及其百葉窗角度調節器
CA3017663A1 (en) * 2017-09-29 2019-03-29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US11236547B2 (en) * 2018-07-24 2022-02-0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Manual window treatment having a floating chain tensioner
US11459822B2 (en) 2019-02-12 2022-10-04 Hunter Douglas Inc. Tilt-control assembly for use with an operating mechanism in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US11299931B2 (en) * 2019-09-10 2022-04-12 Hunter Douglas Inc. Wand assembly for use with a vertical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CN215255963U (zh) * 2021-03-31 2021-12-21 宁波森瑞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窗帘的驱动装置及电动窗帘
CN215443861U (zh) * 2021-08-11 2022-01-07 东莞市雷富溢窗饰科技有限公司 窗帘调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2657A (en) * 1939-09-12 Venetian blind
US2224362A (en) * 1936-09-18 1940-12-10 William E Shehan Interchangeable and interlocking tilt bracket and cord fitting assembly for venetianblinds
US2202293A (en) * 1938-01-26 1940-05-28 Gottfrid C Lawson Venetian blind
NL155911B (nl) * 1968-09-19 1978-02-15 Silverflex Int Nv Bedieningsinrichting voor een jaloezie.
CH574559A5 (ko) * 1972-08-08 1976-04-15 Franciaflex
US3862655A (en) * 1972-08-17 1975-01-28 John Knapper Transport mechanism for vertical venetian blinds and drapes
US3921695A (en) * 1974-09-30 1975-11-25 Victor Debs Wand operated venetian blind
US4122884A (en) * 1977-01-24 1978-10-31 Consolidated Foods Corporation Vertical venetian blind construction
US4193438A (en) * 1978-09-13 1980-03-18 Ronald Pastore Vertical-blind-like modular assembly
US4293021A (en) * 1979-06-06 1981-10-06 Arena Joseph Philip Support for traversing window covering device
US4386644A (en) * 1981-04-16 1983-06-07 Levolor Lorentzen, Inc. Vertical blind tilt control
US4657060A (en) * 1982-03-01 1987-04-14 Graber Industries, Inc. Vertical venetian blind with inline drive
GB2157753B (en) * 1984-04-16 1987-07-01 Hunter Douglas Ind Bv A vertical blind headrail end cap
US4844139A (en) * 1987-09-30 1989-07-04 Home Fashions, Inc. Vertical louver blind having clutched operating mechanism
US4848434A (en) * 1988-03-17 1989-07-18 Graber Industries, Inc. Vertical blind with movable auxiliary rod support
US4869308A (en) * 1988-08-02 1989-09-26 Chang Wang S Transmission mechanism for the adjustment of inclination angle of a venetian blind
US4936369A (en) * 1989-06-01 1990-06-26 Graber Industries, Inc. Vertical blind with louver rotation control
GB2247488B (en) * 1990-08-29 1994-11-30 Exactocraft Vertical blind suspension units
US5038843A (en) * 1990-09-17 1991-08-13 Graber Industries, Inc. Vertical blind with louver rotation control
US5103889A (en) * 1990-10-01 1992-04-14 Cooper Industries, Inc. Dual function window blind cord system
US5137073A (en) * 1991-02-19 1992-08-11 Teh Yor Industrial Co., Ltd. Chain pulling device
US5119868A (en) * 1991-10-07 1992-06-09 Werner John L Venetian blind with a three-position tilt adjustment
US5501262A (en) * 1993-05-07 1996-03-26 Toso Co., Ltd. Cord locking assembly for use with venetian blind
US5553649A (en) * 1993-07-05 1996-09-10 Kabushiki Kaisha Nichibei Blind apparatus
DE4418735C2 (de) * 1994-05-28 1997-11-27 Benthin Ag Vorrichtung zur Handbetätigung einer Jalousie, vorzugsweise einer Vertikaljalousie
US5472035A (en) * 1994-06-27 1995-12-05 Springs Window Fashions Division, Inc. Window blind with wand operator
US5465779A (en) * 1994-07-22 1995-11-14 Rozon; David Integrated cord loop drive means and housing for window covering
US5575323A (en) * 1995-02-01 1996-11-19 Smuckler; Lawrence Positive closure apparatus for vertical blind track by internal drive gear control
US6196293B1 (en) * 1995-06-02 2001-03-06 Paul Lee Louvered blind controller system
US6491085B1 (en) * 1995-06-07 2002-12-10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rtical van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5722478A (en) * 1995-08-07 1998-03-03 Claypool; Jeff Venetian blind safety pull cord assembly
US5657807A (en) * 1996-01-29 1997-08-19 Ching Feng Blinds Ind., Co., Ltd. Operating structure for a vertical blind
US5682938A (en) * 1996-02-05 1997-11-04 Ching Feng Blinds Ind., Co., Ltd. Operating structure for a vertical blind
EP0803635B1 (en) * 1996-04-24 2003-10-29 Hunter Douglas International Nv A safety device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US5671793A (en) * 1996-05-15 1997-09-30 Enwig Corp. Combination blind controller
US6116322A (en) * 1996-09-30 2000-09-12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a vertical van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5749405A (en) * 1997-04-18 1998-05-12 Huang; Tai-Long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al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US5850863A (en) * 1997-04-18 1998-12-22 Huang; Tai-Long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US5904198A (en) * 1997-04-18 1999-05-18 Huang; Tai-Long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US5845695A (en) * 1997-05-05 1998-12-08 All-Teck Blinds, P.T.B. Inc. Traversing and rotating wand for vertical blinds
US6112798A (en) * 1999-07-02 2000-09-05 Cheng; Keng Mu Manual/auto dual driving mode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vertical blind
US6360806B1 (en) * 2000-04-05 2002-03-26 Hunter Douglas Inc. Operation,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rtical van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516860B1 (en) * 2001-09-25 2003-02-11 E. Leon Weaver Device for safely containing and operating lift cords of a vertical covering
TW575071U (en) * 2003-01-14 2004-02-01 Beautiful Window Entpr Co Ltd Venetian blind with cord winding device
GB2418449A (en) * 2004-09-27 2006-03-29 Louver Lite Ltd Control unit for window blind including intermediate gearing
US20060108076A1 (en) * 2004-11-19 2006-05-25 Shien-Te Huang Rotor brake mechanism for curtain linkage system
US20090008046A1 (en) * 2005-03-03 2009-01-08 Christiaan Johannes Roetgering Device for Operating a Screen, Such as a Window Covering
US7878230B2 (en) * 2007-10-24 2011-02-01 Overhead Door Corporation Door release mechanism
US8662136B2 (en) * 2010-02-01 2014-03-04 Robert L Nevins, Sr. Anti-strangulation apparatus for, and hanging freely with, a looped cord of a window covering device
AU2011245077B2 (en) * 2010-04-30 2015-08-20 Aaron Lava Blind adjuster
TWI531717B (zh) * 2012-06-25 2016-05-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其控制模組及操作方法
WO2014163602A2 (en) * 2013-03-11 2014-10-09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system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EP3152380B1 (en) * 2014-06-09 2018-08-15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ctuating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5532187U (zh) * 2016-01-29 2016-08-31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升降控制结构
CN205493471U (zh) * 2016-02-05 2016-08-24 太仓敬富塑胶制品有限公司 窗帘的驱动装置
US10655385B2 (en) * 2016-02-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10337243B2 (en) * 2017-04-10 2019-07-02 Mechoshade Systems, Llc Geared bracket for a window shade
TWI651462B (zh) * 2017-04-13 2019-02-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21908B2 (en) 2021-06-01
TW201736715A (zh) 2017-10-16
CN107100529A (zh) 2017-08-29
AU2017201047B2 (en) 2022-05-19
TWI736586B (zh) 2021-08-21
US10655385B2 (en) 2020-05-19
US20200240204A1 (en) 2020-07-30
CN107100529B (zh) 2021-08-06
CA2958177A1 (en) 2017-08-19
US20170241198A1 (en) 2017-08-24
AU2017201047A1 (en)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8190A (ko) 건축물 덮개를 위한 이중 코드 동작 시스템
US9957750B2 (en) Window covering positional adjustment apparatus
CA2919677C (en) Cordless shade lift system and headrail arrangement
EP3390757B1 (en) Window shade
KR101260918B1 (ko) 블라인드 장치
EP1057965B1 (en) Carrier and spacer assembly
EP1213438B9 (en) Single control tilt drive unit
US10676988B2 (en) Window covering control apparatus
WO2006022090A1 (ja) ブラインド装置
US7308927B2 (en) Window blind system
KR101205520B1 (ko) 분리 조절형 블라인드 장치
JP4710043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6479413B2 (ja) 昇降コード支持装置及び遮蔽装置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JP5768905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5304769B2 (ja) ブラインド装置
KR200329062Y1 (ko) 전동블라인드의 정렬 승하강 구조
KR20050008267A (ko) 전동블라인드의 정렬 승하강 구조
JP4543891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6024735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06138183A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06138187A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12177297A5 (ko)
JP2012241388A (ja) 遮蔽体開閉装置